KR20050085189A - 착용 동안 연신성 내부 및 외부 표면의 연신성이 증가되는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착용 동안 연신성 내부 및 외부 표면의 연신성이 증가되는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5189A
KR20050085189A KR1020057009631A KR20057009631A KR20050085189A KR 20050085189 A KR20050085189 A KR 20050085189A KR 1020057009631 A KR1020057009631 A KR 1020057009631A KR 20057009631 A KR20057009631 A KR 20057009631A KR 20050085189 A KR20050085189 A KR 20050085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ble
waist region
outer cover
stretchabl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다 도르쉬너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5008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1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61F13/565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adjustable pants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2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being elastomeric or stret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09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lm
    • A61F2013/51429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lm being elastomeric or stretchable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 용품의 전면 허리 구역을 흡수 용품의 후면 허리 구역과 연결시켜 섀시를 형성하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에 관한 것이다. 섀시는 측면 솔기들 사이에서 측정하였을 때 횡-기계 방향에서 약 40% 이상의 허리 구역에서의 연신율을 갖는다. 각 측면 솔기는 연신성 외부 커버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전면 허리 구역의 연부 부분 및 연신성 외부 커버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후면 허리 구역의 연부 부분을 결합시킨다. 연신성 패스너가 각 측면 솔기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착용 동안 연신성 내부 및 외부 표면의 연신성이 증가되는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 HAVING INCREASED EXTENSION OF EXTENSIBLE INNER AND OUTER FACINGS DURING WEAR}
본 발명은 일회용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저귀 팬티의 전면 허리 구역 및 후면 허리 구역이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에서 함께 결합되어 증가된 맞음새 또는 크기 범위를 제공하는, 연신성 내부 및 외부 표면층을 갖는 기저귀 팬티와 같은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 기저귀 팬티, 배변훈련용 팬츠 또는 실금자용 가먼트와 같은 흡수 용품은 대표적으로는 라이너 재료, 흡수 코어 및 액체 불투과성 후면 시트 또는 외부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용품은 바람직하게는 착용자 주위에 잘 맞는 편안한 맞음새를 제공하고 신체 배설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기저귀 팬티(일반 기저귀의 흡수능을 갖지만 팬티와 같이 이용되는 용품)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서 기저귀 팬티를 조절하기 위한 체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패스너는 기저귀 팬티의 후면 구역에 결합된다. 도 1을 살펴보면, 기저귀 팬티는 일반적으로 패스너가 영구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기저귀 팬티의 후면 구역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면 이어 패널을 포함한다. 이어 패널 및(또는) 패스너는 대표적으로는 신축성 재료, 예를 들면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 및 체결 부품, 예를 들면 접착 테이프 탭 또는 후크형 부품을 포함한다. 착용자에 대한 기저귀 팬티의 맞음새를 조절하기 위하여, 체결 부품들은 부착 부품, 예를 들면 전면 허리 구역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하는 루프형 체결 재료와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루프형 체결 재료는 비탄성 또는 비-연신성 재료, 예를 들면 점 미결합(PUB)(point unbonded)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기저귀 팬티는 기저귀 팬티의 전면부를 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고(및 섀시의 길이방향 측면 연부를 지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면 이어 패널에 직접 결합되어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는 루프형 체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패스너 재료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부분들은 기저귀의 전면 연부 부분들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면 이어부를 형성하고, 이것은 대표적으로는 종래의 초음파 결합 기술 및(또는) 패턴을 사용하여 후면 이어 패널에 결합된다.
제조 공정 동안, 측방향 또는 횡-기계 방향 및 길이방향 또는 기계 방향에서의 대응하는 후면 이어 패널에 대한 전면 이어부의 위치맞추기(registration)가 어려울 수 있어 기저귀 부품들의 오정렬(misalignment)을 초래할 수 있다. 기저귀 부품의 오정렬은 사용 동안 적절한 적용범위 및 누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기저귀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재료들을 함께 결합시켜, 재료들의 오정렬 또는 부정합 없이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결합 공정 동안에 신축성 후면 이어 패널을 대응하는 비탄성 또는 비-연신성 전면 이어부와 위치맞추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추가로, 전면 허리 구역과 후면 허리 구역을 길이방향으로 또는 기계 방향으로 정렬하여 허리 개구부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신축성 후면 이어 패널에 대한 전면 허리 구역내 루프 재료의 결합의 연신성과 관련된 다른 잠재적인 단점은 추가의 재료가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루프 재료가 후면 이어 패널에 피동적으로 결합될 때에는, 이어 패널을 형성하는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 및(또는) 부착 부품을 형성하는 패턴 미결합 재료와 같은 비교적 값비싼 추가의 비필수적인 또는 미사용 재료가 요구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재료는 기계식 패스너(예를 들면, 후크 재료)를 기저귀의 전면 허리 구역내 부착 부품에 체결시키기 위하여 후면 이어 패널을 대응하는 전면 이어부에 관하여 접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많은 기저귀 및 기저귀 팬티는 제조 공정 동안에 캐리어 시트내에 형성된 다리 개구부의 만곡에 대응하는 고 만곡을 갖는 다리 탄성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매우 곡선형태인 다리 탄성재는 제조 공정 동안에 캐리어 시트에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이러한 매우 곡선형태인 다리 탄성재는 예를 들면, 캐리어 시트에 의해 형성된 다리 개구부에 관하여 캐리어 시트 상에서 곡선형태의 배향으로 적용되는 탄성 재료의 스트랜드들을 포함한다. 탄성 스트랜드들은 대표적으로는 접착제 결합 재료를 사용하여 캐리어 시트에 적용된다. 탄성 스트랜드들은 후속되는 기저귀의 제조 동안에 다리 개구부에 관하여 캐리어 시트 상에서 움직이거나 또는 말리는 경향이 있을 수 있어, 다리 탄성재의 오정렬을 초래하고, 따라서 다리 탄성재의 목적을 잠재적으로 좌절시킨다.
상기한 제조상의 어려움 외에, 종래의 기저귀 및 기저귀 팬티는 항상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적절한 적용범위를 제공하지 못하고, 이것은 궁극적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한 누출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후면 이어 패널에 결합된 비탄성 또는 비-연신성 루프 재료는 연신성이도록 선택되었을 다른 기저귀 부품의 연신성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호자가 착용자의 주위에서 기저귀 팬티의 패스너를 체결하거나 또는 재위치시키려고 할 때, 후면 이어 패널의 신축성 부분은 신축되지만, 전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는, 섀시를 형성하는 기저귀의 다른 부품들은 착용자의 몸과 일치하거나 또는 이를 덮도록 연장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섀시가 착용자의 엉덩이 및 고관절을 덮도록 적절하게 신축 또는 연장되지 되지 못하고(못하거나)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봉합면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 팬티가 적절한 적용범위 및(또는) 봉합면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게 부적절한 맞음새 및(또는) 누출을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저귀 팬티는 원하는 만큼 효과적으로 신체 배설물을 포함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 팬티 및 다른 흡수 용품을 개발하려는 시도들에도 불구하고, 신체 배설물의 효과적인 보유 및 적절한 맞음새를 위해 착용자에 일치할 수 있는 연신성 섀시를 갖는 기저귀 팬티를 여전히 필요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티-형성 솔기/결합이 섀시 재료의 연신성을 방해하지 않는 기저귀 팬티를 여전히 필요로 한다.
추가로, 기저귀 팬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 및(또는) 개선하여,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 및 패턴 미결합 재료와 같은 비교적 값비싼 부품 재료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제조 공정 동안에 측방향 및 길이방향의 부품 위치맞추기를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다리 탄성재와 같은 부품들의 추가를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 논의한 어려움 및 문제점들에 대응하여, 본 발명은 연신성 외부 및 내부 표면 층을 포함하는 섀시의 후면 허리 구역이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에서 연신성 외부 및 내부 표면 층을 포함하는 섀시의 전면 허리 구역에 결합되어 하나의 허리 개구부 및 2개의 다리 개구부를 갖는 섀시를 형성한, 사전체결된 기저귀 팬티를 제공한다. 신축성 또는 연신성 패스너가 전면 허리 구역 및 후면 허리 구역의 연부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에 결합되어 측면 솔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패스너를 당겨서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서의 기저귀 팬티의 맞음새를 조절할 때, 연신성 외부 및 내부 표면 층도 또한 당겨져서 착용자의 엉덩이 및 고관절을 적절하게 덮어 예를 들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봉합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는 연신성 외부 커버 및, 겹쳐놓여지는 관계로 외부 커버에 연결되는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는 외부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위치하여 허리 개구부 및 각 다리 개구부를 형성하는 기저귀 팬티의 섀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허리 구역 및 후면 허리 구역을 포함하는 외부 커버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는 착용 동안에 허리 개구부에서 섀시가 그의 원래 제조된 치수 이상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횡-기계 방향으로 연신성이다. 외부 커버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가 연신성이기 때문에, 기저귀 팬티의 허리 영역에서 섀시의 연신율%가 증가된다. 추가로, 부분 측면 솔기 또는 전체 측면 솔기를 사용하여 전면 허리 구역을 후면 허리 구역과 연결시켜 전면 및 후면 허리 구역들의 연신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는 약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0% 이상의 허리 개구부 주위의 연신율%를 갖는다. 허리 개구부에서의 기저귀 팬티의 연신율%는 연장된 또는 최종 허리 측정치("We")와 이완된 또는 초기 허리 측정치("Wi") 사이의 차를 초기 허리 측정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We는 기저귀 팬티를 착용자 상에 적절하게 위치시켰을 때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들 사이에서의 기저귀 팬티의 후면 허리 구역의 폭에 대한 측방향 측정치이고, Wi는 이완된 형태에서,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들 사이에서의 기저귀 팬티의 후면 허리 구역의 폭에 대한 측방향 측정치이다. 기저귀 팬티의 측방향은 기저귀 팬티의 허리라인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이다. 길이방향은 기저귀 팬티의 전면 허리 구역으로부터 후면 허리 구역까지 가랑이 영역을 가로질러 허리라인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이다.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의 형태는 또한 몇몇 제조 및(또는) 공정 이점 및 단순화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연신성 외부 및 내부 표면층을 포함하는 섀시의 전면 허리 구역의 이어부를 연신성 외부 및 내부 표면층을 포함하는 섀시의 후면 허리 구역의 대응하는 이어부에 직접 결합시키는 것은 측방향에서,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에서 기저귀 팬티 부품의 개선되고 단순화된 위치맞추기를 야기시킨다. 전면 허리 구역 이어의 대응하는 후면 허리 구역 이어로의 이러한 직접적인 결합은 종래의 기저귀 팬티에 사용되는 값비싼 추가의 재료, 예를 들면 전면 이어를 형성하는 패턴 미결합 재료 및 종래의 기저귀 팬티의 후면 이어 패널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탄성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요구하지 않는다. 추가로,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는 곡선 다리 탄성재보다는 오히려 직선 다리 탄성재를 포함하여, 예를 들면 제조 공정을 추가로 단순화시키고 종래의 제조 공정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 다리 탄성재가 직선이기 때문에, 직선 다리 탄성재를 형성하는 탄성 또는 연신성 재료는 제조 동안에 다리 개구부에 관하여 움직이거나 또는 말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특징부들은 도면 및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사전체결된 형태를 갖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팬티의 투시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 팬티의 투시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따른, 도 2의 일회용 기저귀 팬티의 전면 평면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른, 연결이 풀린 위치의 허리 크기 조절 수단을 갖는 도 2의 일회용 기저귀 팬티의 전면 평면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른,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기저귀 팬티의 표면이 관찰자를 향하도록, 체결되지 않고 신축되어 납작하게 펼쳐진 상태의 도 2의 일회용 기저귀 팬티의 평면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른,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기저귀 팬티의 표면이 관찰자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도록, 체결되지 않고 신축되어 납작하게 펼쳐진 상태의 도 2의 일회용 기저귀 팬티의 평면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른, 실시예 2의 샘플 1에 대한 하중(그램) 대 연신(㎜)를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2의 샘플 2-11에 대한 하중(그램) 대 연신(㎜)를 나타낸다.
도 9는 하기 실시예 3에서 행한 횡방향 측정의 평면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일회용"은 한정된 사용 후에 버려지도록 외도되고, 세탁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재사용을 위하여 저장되지 않는 용품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탄성", "탄성화된" 및 "탄성율"은 재료 또는 복합체가 변형을 일으키는 힘의 제거 후에 그의 원래의 크기 및 형태를 회복하려고 하는 재료 또는 복합체의 성질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엘라스토머성"은 임의의 방향에서 그의 이완된 길이의 50% 이상만큼 신장될 수 있고, 인가된 힘의 해제시에, 그의 신장율의 40% 이상을 회복하게 되는 재료 또는 복합체를 말한다. 엘라스토머성 재료 또는 복합체가 그의 이완된 길이의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신장될 수 있고 인가된 힘의 해제시 그의 신장율의 50% 이상을 회복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연신성"은 임의의 방향에서 그의 이완된 길이의 50% 이상만큼 신장될 수 있고, 변형을 일으키는 힘의 제거 후에, 그의 신장율의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그의 신장율의 30% 미만을 회복하거나 또는 회복하려는 경향이 있는 재료 또는 복합체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탄성"은 이들이 상기한 양만큼 충분하게 신축될 수 없기 때문이거나, 또는 이들이 신축 및 이완되었을 때 상기한 양만큼 충분하게 수축되지 못하기 때문에 엘라스토머성이 아닌 재료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넥킹된" 및 "넥 신축된"은 조절가능한 방식으로 그의 폭을 원하는 양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직물의 길이방향으로 또는 기계 방향으로 비탄성 부직물을 신장시키는 방법을 말하는, 상호교환가능한 용어이다. 조절된 신축은 저온, 실온 또는 보다 높은 온도 하에서 일어날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에 원래의 길이의 약 1.2 내지 1.4배인, 직물을 파단시키는데 필요한 신장율까지 신축되는 방향에서의 전체 치수의 증가로 제한된다. 생성되는 넥-신축된 직물은 후속 사용 동안에 직물의 측방향(횡기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직물이 그의 원래의 넥킹전의 형태로 돌아가게 한다. 넥 신축 공정은 예를 들면, 마이트너(Meitner) 등의 미국 특허 제4,443,513호; 모먼(Morman)의 미국 특허 제4,965,122호, 미국 특허 제4,981,747호 및 미국 특허 제5,114,781호; 및 하센뵈흘러 주니어(Hassenboehler Jr.) 등의 미국 특허 제5,244,482호에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수동 결합"은 용품의 다른 부분들을 인렬 또는 심각하게 손상시키지 않고서 및 착용자에 대한 외상 또는 흡수 용품으로부터 배설물의 유출을 야기시키지 않고서, 착용자로부터 흡수 용품을 제거하거나 또는 살펴보는 것을 돕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 손에 의해 결합이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비교적 낮은 박리 강도를 갖는 결합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패턴 미결합된" 또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점 미결합된" 또는 "PUB"는 다수개의 불연속 미결합 영역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결합된 영역을 갖는 직물 패턴을 의미한다. 불연속 미결합 영역들 내에서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들은 지지체 또는 필름 또는 접착제로 된 배킹층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각 미결합 영역을 에워싸거나 또는 둘러싸는 연속적인 결합된 영역에 의해 치수적으로 안정화된다. 미결합 영역은 미결합 영역 내에서 섬유 또는 필라멘트들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체적으로 디자인된다. 본 발명의 패턴-미결합 부직 재료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공정은 부직물 또는 웹을 제공하고, 대향하게 위치되는 제1 및 제2 칼렌더 롤을 제공하여 그들 사이에 닙을 형성하고(상기 롤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가열되고 다수개의 불연속 개구부, 구멍 또는 홀을 형성하는 랜드 영역의 연속 패턴을 포함하는 그의 최외곽 표면 상에서의 결합 패턴을 가짐), 및 상기 롤들에 의해 형성된 닙 내에서 부직물 또는 웹을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연속 랜드 영역에 의해 형성된 상기 롤 또는 롤들 내의 각 개구부는 웹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미결합된 부직물 또는 웹의 적어도 한 표면에서 불연속 미결합 영역을 형성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롤 또는 롤들 내의 랜드 영역들의 연속 패턴은 부직물 또는 웹의 적어도 한 표면 상에 다수개의 불연속 미결합 영역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패턴의 결합된 영역들을 형성한다. 상기한 공정의 다른 실시태양들은 칼렌더 롤에 의해 형성된 닙 내에서 직물 또는 웹을 통과시키기 전에 부직물 또는 웹을 사전결합시키거나 또는 다수개의 부직 웹들을 제공하여 패턴-미결합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PUB 직물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일반적으로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08/754,419호에 개시된다.
PUB 직물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적용분야는 필름이 개인 위생 제품용 순면감촉 외부 커버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액체 차단층을 제공하게 되는, PUB 직물의 형성 동안에 가해진 필름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영구적으로 결합된"은 엘레멘트들이 흡수 용품의 보통의 사용 조건 동안에 결합되기 쉽고 결합된 채로 유지되도록 흡수 용품의 2개의 엘레멘트들의 접합, 접착, 연결, 부착 등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사전체결된"은 흡수 용품이 착용자가 사용하기 전에 맞물리거나 또는 체결되는 체결 특징부를 갖는 상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재체결가능한"은 어느 한 엘레멘트에 대한 실질적인 영구적인 변형 또는 다른 손상 없이, 분리가능하게 부착, 분리 및 이어서 분리가능하게 재부착할 수 있는 2개의 엘레멘트들의 성질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분리가능하게 맞물린" 및 그의 변형은 엘레멘트들이 엘레멘트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인가된 분리력이 없을 때 연결된 채로 있도록 2개의 엘레멘트들이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고, 엘레멘트들이 상당한 영구적인 변형 또는 다른 손상없이 분리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필요한 분리력은 대표적으로는 흡수 용품을 착용하는 동안에 겪게 되는 것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면 및 실시태양들을 일회용 흡수 용품의 면에서 설명하고자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한하지 않고 단지 예시로서 일회용 기저귀 팬티에 대해 언급한다. 본 발명의 용품 및 방법들이 배변훈련용 팬츠, 성인 실금자용 용품, 여성 위생 용품, 다른 개인 위생 가먼트, 의료 또는 건강 위생 가먼트, 및 다른 일회용 용품 및 가먼트와 같은 다른 유형의 흡수 용품에 대해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는 적합하게는 약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상 및 많은 경우 약 70% 이상의 허리 개구부에서의 연신율%를 갖는다. 기저귀 팬티(20)의 연신율("E")은 대표적으로는 하기 수학식 1로 기재되는 바와 같이, 연장된 또는 최종 허리 측정치("We")와 이완된 또는 초기 허리 측정치("Wr") 사이의 차를 초기 허리 측정치로 나누어 100을 곱한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Wr는 이완된 형태에서,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들 사이에서의 기저귀 팬티(20)의 후면 허리 구역의 폭에 대한 측방향 측정치이고, We는 기저귀 팬티(20)를 예를 들면 착용자 상에 적절하게 위치시켰을 때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들 사이에서의 기저귀 팬티(20)의 후면 허리 구역의 폭에 대한 측방향 측정치이다.
도 2-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회용 사전체결된 기저귀 팬티(20)는 전면 허리 구역(22), 후면 허리 구역(24) 및 전면 허리 구역(22)과 후면 허리 구역(24)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 또는 가랑이 구역(26)을 형성한다. 참고로, 각각 기저귀 팬티(20)의 길이방향 축 및 측방향 축의 배향을 나타내는 화살표(38 및 40)가 도 4-6에 예시된다.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허리 구역(22)은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전면 상에 위치하는 기저귀 팬티(20) 부분을 포함하는 반면, 후면 허리 구역(24)은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다리들 사이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아랫 몸통을 덮는 기저귀 팬티(20) 부분을 포함한다.
기저귀 팬티(20)는 한 쌍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연부(30), 한 쌍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허리 연부(32), 착용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 표면(34)(도 5), 사용 동안에 착용자의 의복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 표면(34) 반대편의 외부 표면(36)(도 6)을 형성한다. 도 2-6을 살펴보면, 기저귀 팬티(20)은 또한 외부 커버(42) 및 겹쳐놓여진 관계로 외부 커버(42)와 연결되는 신체측 라이너(44)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28)은 외부 커버(42)와 신체측 라이너(44) 사이에 위치한다. 외부 커버(42), 신체측 라이너(44) 및 흡수 코어(28)은 기저귀 팬티(20)의 섀시(45)를 형성하고, 이것은 허리 개구부(33) 및 각 다리 개구부(35)를 형성한다.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연부(30)는 일반적으로 다리 개구부(35)를 추가로 형성하는 신체측 라이너(44) 및(또는) 외부 커버(42)의 측면 연부들에 의해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연부(30)는 일반적으로 기저귀 팬티(20)의 길이방향(38)에 평행하여, 보다 용이한 가공성을 생성시킨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연부(30)는 바람직하게는 곡선일 수 있다. 허리 연부(32)는 일반적으로 외부 커버(42)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44)의 허리 연부에 의해 형성되고, 사용 동안에 착용자의 허리를 에워싸도록 구성된 허리 개구부(33)을 형성한다. 흡수 코어(28)는 착용자로부터 방출된 신체 배설물을 포함하고(하거나)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기저귀 팬티(20)는 각종의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체결되지 않은 형태를 살펴보면, 기저귀 팬티(20)는 전반적인 직사각형, T자형 또는 적절한 모래시계형을 가질 수 있다. 나타낸 실시태양에서, 기저귀 팬티(20)는 체결되지 않은 형태로 일반적으로 I자형을 갖는다. 본 출원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적합한 기저귀 구성형태 및 기저귀 상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른 기저귀 부품들의 예는 모두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1989년 1월 17일에 특허허여된 메이어(Meyer) 등의 미국 특허 제4,798,603호; 1993년 1월 5일에 특허허여된 베르나르딘(Bernardin)의 미국 특허 제5,176,668호; 1993년 3월 9일에 특허허여된 프록스마이어(Proxmire) 등의 미국 특허 제5,192,606호; 및 1996년 4월 23일에 특허허여된 한슨(Hanson) 등의 미국 특허 제5,509,915호에 기재된다.
기저귀 팬티(20)의 각종 성분들은 접착제, 음파 및 열 결합, 및 이들의 병용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적합한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함께 일체식으로 조립된다. 나타낸 실시태양에서는, 예를 들면 외부 커버(42) 및 신체측 라이너(44)는 열용융형, 감압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로 서로에 대해 및 흡수 코어(28)에 대해 조립될 수 있다. 접착제는 접착제의 균일한 연속층, 접착제의 패턴화된 층, 접착제의 분무된 패턴, 또는 접착제의 개별 선, 소용돌이 또는 도트들의 어레이로서 도포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저귀 팬티(20)의 다른 부품들은 적합한 부착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기저귀 팬티(20) 내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커버(42)는 예를 들면 2000년 5월 3일에 뢰슬러(Roessler) 등이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09/563,41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신성이다.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09/563,417호의 내용은 본 발명을 보조하는 정도로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신성 외부 커버(42)는 적어도, 도 6에서 화살표(40)으로 나타내어지는 측방향 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측방향에서 연신성이다. 기저귀 팬티(20)의 외부 커버(42)는 적합하게는 수증기 투과성이거나 또는 수증기 불투과성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커버(42)가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고 수증기 투과성(통기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외부 커버(42)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다른 적합한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커버(42)는 약 0.013 밀리미터(0.5 밀) 내지 약 0.051 밀리미터(2.0 밀)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순면감촉의 느낌을 위하여, 외부 커버(42)는 그의 외부 표면에 적층된,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드 웹과 같은 부직 웹을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0.015 밀리미터(0.6 밀)의 두께를 갖는 스트레치-박막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스펀본드 웹이 열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필라멘트 당 약 1.5 내지 2.5 데니어의 두께를 갖고, 이 부직 웹은 약 17 그램/평방미터(0.5 온스/평방야드)의 기본 중량을 갖는다. 외부 커버(42)는 다르게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성분 섬유와 같은 이성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순면감촉 외부 커버의 형성 방법은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는, 외부 커버(4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표면층(142) 및 외부 표면층(14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적층된 내부 표면층(143)을 포함하는 이중 복합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층(142) 및 내부 표면층(143)은 모두 화살표(4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측방향 또는 횡-기계 방향에서 연신성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연신성 외부 표면층(142)은 스펀본드 부직 재료를 포함하고 연신성 내부 표면층(143)은 외부 표면층(142)에 적층된 필름 재료를 포함한다. 외부 표면층(142) 및(또는) 내부 표면층(143)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연신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외부 커버(42)는 흡수 코어(28) 근처 또는 이에 인접하는 선택된 구역에 바람직한 수준의 액체 불투과성을 부여하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처리된 직물 또는 부직 섬유 웹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외부 커버(42)는 임의로 여전히 액체 배설물이 외부 커버(42)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면서 증기가 흡수 코어(28)로부터 빠져나가게 하는 미공질 통기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커버(42)는 미공질 필름을 포함하는 내부 표면층(143)에 적층된 증기 투과성 부직 외부 표면층(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통기성 외부 커버 재료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맥코맥(McCormack) 등의 미국 특허 제5,695,868호; 및 1998년 12월 1일에 특허허여된 굿(Good) 등의 미국 특허 제5,843,056호에 기재된다. 또한 추가로, 외부 커버(42)는 또한 엘라스토머 재료, 예를 들면 스트레치-열 라미네이트(STL),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또는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SBL)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제조 방법은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1987년 5월 5일 특허허여된 비스네스키(Wisneski)의 미국 특허 제4,663,220호; 1993년 7월 13일에 특허허여된 모먼(Morman)의 미국 특허 제5,226,992호; 및 1987년 4월 8일에 공고된 테일러(Taylor) 등의 유럽 특허 출원 제EP 0 217 032호에 기재된다. 외부 커버(42)는 또한 엠보싱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무광택 마무리처리제가 제공되어 보다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체측 라이너(44)는 적합하게는 순응적이고, 부드러운 감촉이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성인 신체측 표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신체측 라이너(44)는 연신성이다. 예를 들면, 신체측 라이너(44)는 2000년 5월 3일에 출원된 뢰슬러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09/563,41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연신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체측 라이너(44)는 적어도 측방향으로는 연신성이다.
추가로, 신체측 라이너(44)는 흡수 코어(28)에 비하여 덜 친수성이어서 착용자에 비교적 건조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고, 액체 투과성이도록 충분히 다공성이어서 액체가 쉽게 그의 두께를 관통하여 침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44)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웹 재료는 다공성 포옴, 망상 포옴, 개구 플라스틱 필름,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재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또는) 천연 및 합성 섬유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신체측 라이너(44)는 적합하게는 흡수 코어(28) 내에 보유된 액체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격리시키는 것을 돕는데 사용된다.
각종 직물 및 부직포가 신체측 라이너(44)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체측 라이너(44)는 폴리올레핀 섬유로 된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44)는 또한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로 된 본디드-카디드 웹일 수도 있다. 신체측 라이너(44)는 실질적으로 소수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소수성 재료는 임의적으로 계면활성제로 처리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바람직한 수준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가공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신체측 라이너(44)는 약 20 그램/평방미터의 기본 중량 및 약 0.13 그램/입방 센티미터의 밀도를 갖는 웹으로 성형된 약 2.8 내지 약 3.2 데니어 섬유로 구성된 부직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직물로부터 제조된다. 직물은 상품명 아코벨(AHCOVEL) 베이스(Base) N-62 하에 호지슨 텍스타일 케미칼즈, 인크,(Hodgson Textile Chemicals,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계면활성제 약 0.3 중량%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임의의 종래의 수단, 예를 들면 분무, 인쇄, 브러쉬 코팅 등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전체 신체측 라이너(44)에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신체측 라이너(44)의 특정 구역, 예를 들면 기저귀 팬티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른 중간 구역에 선택적으로 도포되어 이 구역에 보다 큰 습윤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44)에는 착용자의 피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로션 또는 처치가 추가로 도포될 수 있다.
기저귀 팬티(20)의 흡수 코어(28)는 적합하게는 초흡수성 재료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고-흡수성 재료의 입자들과 혼합된, 셀룰로스계 플러프의 웹과 같은 친수성 섬유의 매트릭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흡수 코어(28)는 초흡수성 히드로겔-형성 입자 및 목재 펄프 플러프와 같은 셀룰로스계 플러프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목재 펄프 플러프는 합성 중합체 멜트블로운 섬유로, 또는 멜트블로운 섬유 및 천연 섬유의 조합물로 교환될 수 있다. 초흡수성 입자는 친수성 섬유와 실질적으로 균질하게 혼합되거나 또는 불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플러프 및 초흡수성 입자들은 또한 흡수 코어(28)의 바람직한 대역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신체 배설물을 보다 잘 포함하고 흡수할 수 있다. 초흡수성 입자의 농도는 또한 흡수 코어(28)의 두께를 가로질러 변할 수 있다. 다르게는, 흡수 코어(28)는 섬유 웹과 초흡수성 재료의 라미네이트 또는 국소화된 영역 내에 초흡수성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코어(28)에 적합한 고흡수성 재료는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고흡수성 재료는 무기 재료, 예를 들면 실리카겔 또는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가교결합된 중합체일 수 있다. 용어 "가교결합된"이란, 보통 수용성 재료를 효과적으로,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지만 팽윤성이도록 만들기 위한 임의의 수단을 말한다. 상기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물리적 엉킴, 결정질 영역, 공유 결합, 이온 착체 및 회합, 친수성 회합, 예를 들면 수소 결합, 및 소수성 회합 또는 반 데르 바알스 력을 들 수 있다.
적합한 합성 중합체 고흡수성 재료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 및 알파-올레핀과의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모르폴린), 폴리(비닐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 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가로 흡수 코어(28) 중에 사용하기 적합한 중합체로는 천연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예를 들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그라프트된 전분, 아크릴산 그라프트된 전분,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및 천연 검, 예를 들면 알기네이트, 크산탄 검, 구주콩나무 검 및 유사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천연 및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합성된 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도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흡수성 재료는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광범위하게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초흡수성 중합체의 예로는 버지니아주 포츠마우스에 위치한 획스트 셀라니이즈(Hoechst Celanese)로부터 입수가능한 산웨트(SANWET) IM 3900 중합체 및 미시간주 미들랜드에 위치한 다우 케미칼 캄파니.(Dow Chemical Co.)로부터 입수가능한 다우 드라이테크(DOW DRYTECH) 2035LD 중합체이다.
고흡수성 재료는 광범위의 다양한 임의의 기하학적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흡수성 재료가 별도의 입자들의 형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흡수성 재료는 또한 섬유, 플레이크, 봉, 구, 침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흡수성 재료는 흡수 코어(28)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약 5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흡수 코어(28) 중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친수성 티슈 랩시트(나타나있지 않음)는 흡수 코어(28)의 에어레잉된 섬유 구조의 일체성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티슈 랩시트는 대표적으로는 그의 1개 이상의 중요한 대향 표면 위의 흡수 코어(28) 주위에 위치하고, 흡수성 셀룰로스계 재료, 예를 들면 크레이핑된 옷솜 또는 고 습윤-강도 티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티슈 랩시트는 흡수 코어(28)를 포함하는 흡수 섬유의 덩어리 위에서 액체를 신속하게 분포시키는 것을 돕는 흡상층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수 섬유 덩어리의 한 면 상의 티슈 랩시트는 흡수 코어(28)를 효과적으로 트랩핑하기 위하여 섬유 덩어리의 맞은편 면 상에 위치하는 티슈 랩시트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티슈 랩시트는 넥킹되고, 주름잡힐 수 있고(있거나) 인렬 또는 터짐 없이 적어도 한 방향, 예를 들면 측방향 또는 횡-기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도 2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기저귀 팬티(20)는 신체 배설물의 측방향 흐름에 대한 차단층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보유 플랩(5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유 플랩(56)은 흡수 코어(28)의 측면 연부에 인접하게 기저귀 팬티(20)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연부(30)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각 보유 플랩(56)은 대표적으로는 적어도 기저귀 팬티(20)의 가랑이 영역(26)에서 똑 바로 서있는 수직적인 형태를 유지하여 착용자의 몸에 대한 봉합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부착되지 않은 연부를 형성한다. 각 보유 플랩(56)은 흡수 코어(28)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보유 플랩(56)은 신체 배설물을 보다 잘 보유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흡수 코어(28)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각 보유 플랩(56)이 흡수 코어(28)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보유 플랩(56)은 가랑이 영역(26)에서 기저귀 팬티(20)의 측면 연부(30)를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유 플랩(56)은 일반적으로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보유 플랩(56)에 적합한 구성 및 배열이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하고 있는, 1987년 11월 3일에 특허된 엔로(K. Enloe)의 미국 특허 제4,704,116호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라, 허리 연부(32) 및 측면 연부(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신체 배설물의 누출을 막기 위하여 흡수 코어(28)를 지지하고 기저귀 팬티(20)의 연신율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탄성 또는 연신성이다.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 팬티(20)는 가랑이 영역(26)에서 기저귀 팬티(20)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연부(30)에 연결된 한 쌍의 다리 탄성 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54)는 일반적으로 기저귀 팬티(20)으로부터 신체 배설물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시키기 위하여 착용자와의 긍정적인 접촉 관계를 유지하도록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꼭 맞게 하는데 적합하다.
다리 탄성 부재(54)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재료는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공지된다. 예를 들면, 중합체 엘라스토머 재료의 시트, 필라멘트, 스트랜드 또는 리본이 신축된 형태로 외부 커버(42)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탄성 수축력을 외부 커버(42)에 부여하기 위하여 외부 커버(42)가 주름잡혀있을 동안에 외부 커버(42)에 부착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54)는 또한 폴리우레탄,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와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다리 탄성 부재(54)는 기저귀 팬티 제조 공정 동안에 일반적으로 직선 배향으로 길이방향 또는 기계 방향(38)을 따라 외부 커버(42)에 적용될 수 있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다리 탄성 부재(54)는 접착제 결합 기술을 사용하여 외부 커버(42)에 적용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다리 탄성 부재(54)를 외부 커버(4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직선 배향으로 다리 탄성 부재(54)를 적용함으로써, 제조 공정은 단순화되고, 다리 탄성 부재(54)의 대응하는 다리 개구부(35)에 관한 오정렬이 제거되거나 또는 감소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른 기저귀 팬티 섀시가, 기저귀 팬티(20)을 측방향 또는 횡-기계 방향으로 잡아당겨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꼭 맞도록 할 때, 기저귀 팬티 섀시가 측방향 또는 횡-기계 방향에서 일반적으로 연신성이도록 만드는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44) 및(또는) 연신성 외부 커버(42)를 포함하기 때문에, 기저귀 팬티 섀시가 신축되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적절하게 꼭 맞는 만곡을 갖는 다리 탄성 부재(54)를 형성할 때 다리 탄성 부재(54)는 신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직선 다리 탄성 부재(54)는 종래의 매우 곡선형태인 다리 탄성 부재와 관련된 가공처리상의 문제점 없이, 고 만곡을 갖는 종래의 다리 탄성 부재와 같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봉합면을 형성하도록 작용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기저귀 팬티(20)는 착용자 주위에 보다 편안하고 체형에 꼭 맞는 맞음새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면 허리 구역(22) 및 후면 허리 구역(24) 중 적어도 하나에서 허리 연부(32)에 인접하게 겹쳐놓여지는 감합성(fit) 패널(4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감합성 패널(48)은 적어도 한 방향에서, 예를 들면 횡-기계 또는 측방향에서 탄성, 엘라스토머성 또는 연신성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 팬티(20)는 기저귀 팬티(20)의 향상된 외관 및 개선된 연신율을 제공하기 위하여 측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된 기저귀 팬티(20)의 내부 표면(34) 상의 엘라스토머성 감합성 패널(48)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또는 연신성 감합성 패널(48)은 기저귀 팬티(20)가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적절하게 꼭 맞도록 허리 개구부(33)가 조절될 수 있게 한다. 감합성 패널(48)은 또한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서의 기저귀 팬티(20) 및 감합성 패널(48)의 자리잡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흡수 코어(28)가 이동하여 신체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기저귀 팬티(20)에 관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움직임은 흡수 코어(28)가 움직이지만, 착용자 상에서의 기저귀 팬티(20)의 전반적인 자리잡기 및 맞음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된 맞음새는 기저귀 팬티(20)로부터의 감소된 누출, 증가된 안락함 및 미적으로 보다 만족스러운 외관을 가져올 수 있다. 감합성 패널(48)은 바람직한 탄성, 엘라스토머성 또는 연신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기저귀 팬티(2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합성 패널(48)은 접착제, 초음파, 및(또는) 열 결합 기술 등을 사용하여 기저귀 팬티(2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감합성 패널(48)은 감합성 패널(48)이 내부 표면(34) 상에 위치하여 일반적으로 각각의 전면 허리 구역(22) 및(또는) 후면 허리 구역(24) 내의 허리 연부(32)와 경계가 접해 있도록 흡수 코어(28)의 측면 연부를 지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감합성 패널(48)을 제조하기 적합한 재료는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SBL) 재료,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재료, 엘라스토머성 필름, 엘라스토머성 포옴 재료 및(또는)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적합한 멜트블로운 엘라스토머성 섬유 웹은 이전에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1987년 5월 5일에 특허허여된 비스네스키 등의 미국 특허 제4,663,220호에 기재되어 있다. 섬유 탄성층에 고정된 부직포 재료로 된 1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적합한 복합 직물의 예는 이전에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1987년 4월 8일에 공개된 테일러 등의 유럽 특허 출원 제EP 0 217 032호에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NBL 재료의 예는 이전에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1993년 7월 13일에 특허허여된 모먼의 미국 특허 제5,226,992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전면 허리 구역(22) 및 후면 허리 구역(24)은 측면 솔기(68)에 의해 섀시(45)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연부(30)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함께 부착된다. 측면 솔기(68)는 바람직하게는 당 업계에 공지된 초음파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다르게는, 또는 초음파 결합 수단 외에, 당 업계에 공지된 다른 적합한 결합 수단, 예를 들면 접착제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각 측면 솔기(68)에서 전면 허리 구역(22)을 후면 허리 구역(24)과 결합시킬 수 있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각 측면 솔기(68)는 허리 개구부(33)로부터 대응하는 다리 개구부(35)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는, 측면 솔기(68) 중 적어도 하나는 허리 개구부(33)과 대응하는 다리 개구부(35)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간헐적인" 또는 "부분적인" 측면 솔기(68)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측면 솔기(68)는 바람직하게는 전면 허리 구역(22)의 측면 연부(30)에서의 외부 커버(42) 및 신체측 라이너(44)를 후면 허리 구역(24)의 대응하는 측면 연부(30)에서의 외부 커버(42) 및 신체측 라이너(44)와 결합시킨다. 상기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외부 커버(42)는 연신성 이중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연신성 외부 표면층(142)은 적합한 부직 재료, 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 재료를 포함하고, 연신성 내부 표면층(143)은 부직 재료에 적층된 적합한 필름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연신성 전면 허리 구역(22)은 연신성 외부 커버(42)의 제1 부분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44)의 제1 부분을 포함한다. 전면 허리 구역은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전면 이어 또는 연부 부분(122) 및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전면 이어 또는 연부 부분(124)을 형성한다. 연신성 후면 허리 구역(24)은 외부 커버(42) 및 신체측 라이너(44)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도 5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후면 이어 또는 연부 부분(126) 및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후면 이어 또는 연부 부분(128)을 형성한다. 제1 측면 솔기(68)는 제1 전면 이어부(122)를 제1 후면 이어부(126)와 결합시키고, 제1 측면 솔기(68)와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측면 솔기(68)는 제2 전면 이어부(124)를 제2 후면 이어부(128)와 결합시킨다. 전면 이어부(122 및 124)를 각각 후면 이어부(126 및 128)과 결합시킨 결과, 허리 개구부(33)에서의 섀시(45)는 약 40% 이상의 적합한 연신율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신율은 약 60% 이상이고, 많은 경우에 연신율은 약 80% 이상이다.
추가적으로, 전면 이어부(122 및 124)를 각각 후면 이어부(126 및 128)에 직접 결합시키면, 측방향 또는 횡-기계 방향에서의 및 길이방향 또는 기계 방향에서의 기저귀 팬티 부품들의 위치맞추기가 개선되고, 따라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논의된 종래의 흡수 용품과 관련된 공정상의 어려움이 감소되거나 또는 제거된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제조 공정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은,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 및 PUB 재료를 포함하는 값비싼 재료에 대한 요구가 없거나 또는 최소화된다.
측면 솔기(68)는 기저귀 팬티(20)을 사용 동안에 착용자의 고관절을 지나 잡아당겨 입거나 또는 벗을 때 기저귀 팬티(20)를 사전체결된 형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측면 솔기(68)는 입는 동안에 꼬이거나 또는 접혀지지 않고 정렬된 전면 이어를 유지하도록 적절한 강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도는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라, 기저귀 팬티(20)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재체결가능한 패스너(60)를 갖는 체결 시스템(59)을 포함한다. 추가로 도 5 및 6을 살펴보면, 패스너(60)는 전면 이어부(122 및 124) 또는 후면 이어부(126 및 128) 중 하나에서, 그의 측면 연부(30)에서 또는 그의 측면 연부(30)로부터 측방향으로 안쪽에서 기저귀 팬티(20)에 직접 영구적으로 결합, 접착되거나 또는 다르게 부착된다. 패스너(60)는 접착제 결합, 음파 결합 및(또는) 열 결합과 같은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기저귀 팬티(20)의 측면 연부(30)에 근접하게 영구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스너(6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 허리 구역(24)에 영구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부착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각 패스너(60)는 연신성 부분(62) 및 허리 크기 조절 수단, 예를 들면 체결 부분(64)을 포함할 수 있다. 연신성 부분(62)은 전면 허리 구역(22) 및(또는) 후면 허리 구역(24) 중 하나에서 측면 연부(30)에 영구적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신성 부분(62)은 예를 들면 초음파 결합 수단에 의해 측면 솔기(68)가 형성될 때, 전면 허리 구역(22)의 측면 연부(30) 및 후면 허리 구역(24)의 대응하는 측면 연부(3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에 부착되거나 또는 결합된다. 연신성 부분(62)에 적합한 재료는 감합성 패널(48)에 적합한 것으로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SBL) 재료, 넥-본디드 라미네이트(NBL) 재료, 엘라스토머성 필름, 엘라스토머성 포옴 재료, 부직 웹과 엘리스토머성 스트랜드, 필라멘트 또는 필름의 라미네이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연신성 부분(62)은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 또는 스트레치-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한다.
전면 허리 구역(22) 또는 후면 허리 구역(24) 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연신성 감합성 패널(48)에 직접적으로 패스너(60)를 부착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개선된 착용 범위 및 적용범위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패스너(60)는 대응하는 측면 솔기(68)에서 전면 허리 구역(22) 및 후면 허리 구역(26)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에 결합된다. 패스너(60)의 연신성 부분(62)이 측면 솔기(68)에서 연신성 외부 커버(42)에 결합되기 때문에, 패스너(60)가 예를 들면 부착 패널(66)(하기 논의됨)로부터 연결이 풀어지고, 기저귀 팬티(20)를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재위치시키기 위하여 잡아당길 때, 연신성 외부 커버(42)는 착용자의 엉덩이 및 고관절 주위에 적절한 적용범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패스너(60)와 함께 연장되거나 당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는, 일단 기저귀 팬티(20)가 착용자 상에 위치하면, 대응하는 전면 허리 구역(22) 및 후면 허리 구역(24)에서 추가된 맞음새, 가요성 및 최적의 봉합면을 제공한다.
각 패스너(60)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면 체결 부분(64)은 개선된 맞음새 및 체결의 용이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저귀 팬티(20)의 외부 표면(36)과 직접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다르게는, 도 2-4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 팬티(20)는 기저귀 팬티(20)를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유지하도록 각 패스너(60)가 재체결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기저귀 팬티(20)의 전면 허리 구역(22) 및 후면 허리 구역(24) 중 적어도 하나 내의 외부 커버(42) 상에 위치한 부착 패널(66)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패널(66)은 도 2-4 및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 팬티(20)의 각 허리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재료로 된 단일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부착 패널(66)은 패턴 미결합(PUB) 재료 또는 패스너(60)의 체결 부분(64)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루프-타입 재료를 포함한다.
체결 부분(64)은 측면 솔기(68)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허리 크기 조절 수단을 형성한다. 패스너(60)의 체결 부분(64)은 착용자의 고관절을 에워싸고 허리 개구부(33)의 허리 둘레 치수를 감소시켜 허리 개구부(33)를 착용자의 허리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기저귀 팬티(20)의 전면 허리 구역(22)의 외부 표면(36) 또는 부착 패널(66)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허리 둘레 치수는 허리 개구부(33)의 둘레 또는 원주 측정치이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기저귀 팬티(20)의 사용 동안에 착용자의 허리와 일치해야 한다. 체결 부분(64)이 다르게는 전면 허리 구역(22)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후면 허리 구역(24)의 외부 표면(36) 또는 후면 허리 구역(24) 상에 위치하는 부착 패널(66)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기저귀 팬티(20)는 측면 솔기(68)들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단일 체결 부분(6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스너(60)는 연신성 부분(62) 및 체결 부분(64) 사이에 중간 부분(7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스너(60)가 체결 부분(64) 상에 후크-타입 패스너 엘레멘트를 포함할 때, 중간 부분(76)에는 후크-타입 패스너 엘레멘트가 없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76)은 비탄성 또는 비-연신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패스너(60)의 중간 부분(76)은 연신성 부분(62) 및 체결 부분(64)이 부착되는 힌지(hinge)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부분(76)이 힌지로서 구성될 때, 패스너(60)는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76)에서 더 얇고, 따라서체결 부분(64)을 기저귀 팬티(20)의 외부 표면(36) 또는 부착 패널(66)에 보다 쉽게 부착시키기 위하여 보다 가요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부분(64)은 적합한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패스너, 예를 들면 접착 테이프 탭 패스너, 후크 패스너, 루프 패스너, 머쉬룸 패스너, 스냅, 핀, 벨트 등,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 부분(64)은 다수개의 후크-타입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고, 부착 패널(66) 및(또는) 외부 커버(42)는 상보적인 루프-타입 패스너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귀 팬티(20)의 처음 착용 후에, 재체결가능한 패스너(60)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개구부(33)의 허리 둘레 치수를 조절하기 위한 허리 크기 조절 수단을 제공한다. 기저귀 팬티(20)가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위치할 때, 허리 둘레 치수는 부착 패널(66)로부터 패스너(60)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을 풀거나 또는 분리시키고, 허리 개구부(33)에 대응하여 허리 둘레 치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도록 부착 패널(66)을 따라 측방향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60)를 다시맞물리게 하거나 또는 재체결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기저귀 팬티(20)으로부터 허리 크기 조절 수단을 쉽게 연결을 풀 수 있도록 허리 크기 조절 수단이 비교적 낮은 박리 강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박리 강도 값은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다.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한 시험은 ASTM D1876-72이다. 이 시험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하고 있는, 뢰슬러 등의 미국 특허 제5,176,671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패스너(60)는 일회용의 재체결가능한 사전체결된 기저귀 팬티(20)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저귀 팬티(20)를 착용자 상에 위치시키기 전에 전면 허리 구역(22)의 외부 표면(36) 상에 위치한 부착 패널(66)과 재체결가능하게 맞물린다. 이러한 형태에서, 기저귀 팬티(20)는 착용자의 다리 및 고관절을 지나 잡아당겨 입거나 또는 벗을 수 있다. 기저귀 팬티(20)가 사용 동안에 오염되게 되는 경우, 패스너(60)는 착용자의 의복 또는 다리를 바람직하지 못하게 오염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기저귀 팬티(20)를 쉽게 제거하도록 연결이 풀릴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 팬티(20)는 종래의 배변훈련용 팬츠와 같이 착용자의 고관절을 지나 잡아당겨 입거나 또는 벗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종래의 기저귀 팬티 용품과 유사하게 패스너(60)를 연결을 풀어서 쉽게 시용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패스너(60)는 필요한 경우, 착용자에 대한 기저귀 팬티(20)의 맞음새를 조절하기 위하여 초기 착용 후에 재위치조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패스너(60)는 기저귀 팬티(20)가 착용자 상에 위치하기 전에 후면 허리 구역의 외부 표면(36) 상에 위치하는 부착 패널(66) 또는 후면 허리 구역(24) 의 외부 표면(36)과 패스너(60)가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접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형태에서는, 기저귀 팬티(20)는 기저귀 팬티(20)를 이용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는 임의의 주변 재료 또는 기저귀 팬티(20)의 다른 부품들과 맞물리는 패스너(60) 없이 착용자의 다리 및 고관절을 지나 잡아당겨질 수 있다. 기저귀 팬티(20)의 초기 착용 후에, 패스너(60)는 착용자의 허리에 적절하게 꼭 맞도록 허리 둘레 치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후면 허리 구역(24)으로부터 연결을 풀어, 전면 허리 구역(22)의 외부 표면(36) 또는 부착 패널(66)과 맞물릴 수 있다.
전면 이어 부분(122 및 124)가 각각 후면 이어 부분(126 및 128)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는 개선된 맞음새를 가져온다. 예를 들면,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서의 맞음새를 조절하기 위하여 보호자가 패스너(60)를 당길 때, 연신성 후면 허리 구역(24), 뿐만 아니라 연신성 전면 허리 구역(22)이 착용자의 엉덩이 및 고관절의 적절한 적용범위를 제공하도록 횡기계 방향으로 연장된다. 대조적으로, 신축성 이어 패널에 결합된 비탄성 또는 비-연신성 재료로 만들어진 부착 부품을 갖는 종래의 기저귀 팬티가 신축될 때, 이어 패널이 신축하여 패스너가 부착 부품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후면 허리 구역 및 전면 허리 구역은 착용자의 엉덩이 및 고관절의 적절한 적용범위를 제공하도록 횡-기계 방향으로 신축 또는 연장되지 못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의 연신성 허리 구역(22, 24)을 잡아당길 때, 직선 다리 탄성재(54)는 기저귀 팬티 섀시가 신축될 때 신축되어 착용자의 다리의 만곡과 일치하여,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적당한 봉합면을 제공한다.
<실시예 1>
연신성 외부 커버(42)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44)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전면 연부 부분을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68)에서 연신성 외부 커버(42)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44)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후면 연부 부분과 결합시켜 허리 개구부(33)를 형성하는 섀시(45)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팬티(20)의 5개의 샘플(샘플 1-5)을 제조하였다. 패스너(60)의 연신성 부분(62)이 각 측면 솔기(68)에서 전면 연부 부분 및 후면 연부 부분 사이에서 결합된다. 연신성 부분(62)은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전체결된 용품을 위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형태를 갖는 5개의 샘플(샘플 6-10)을 얻었다. 종래의 일회용 흡수 용품은 용품의 전면 허리 구역에 부착된 패턴 미결합 재료를 포함하는 비-연신성 부착 패널을 포함하였다. 부착 패널은 전면 허리 구역의 외부 표면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면 허리 구역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전면 이어부를 형성한다. 종래의 일회용 흡수 용품은 후면 허리 구역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연부 부분에 결합된 연신성 후면 이어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체결 부품이 각 이어 패널에 부착되었다. 부착 패널의 각 전면 이어부가 지그-재그 결합 패턴을 갖는 수동 결합을 사용하여 후면 이어 패널의 측방향으로 중심 부분에서 대응한 연신성 후면 이어 패널에 결합되었다. 따라서, 각 종래의 샘플은 전면 허리 구역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면 허리 구역의 측면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대응하는 후면 이어 패널에 결합된, 전면 허리 구역 상에 위치한 비연신성 부착 패널을 포함하였다. 후면 이어 패널은 지그-재그 결합 패턴을 갖는 0.03 결합을 사용하여 부착 패널에 피동적으로 결합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하였다.
각 샘플이 연신성 외부 커버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전면 허리 구역을 연신성 외부 커버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후면 허리 구역에 연결시키는 측면 솔기를 갖는,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의 5개의 샘플(샘플 1-5)을 흡수 용품의 5개의 샘플(샘플 6-10)과 비교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1 내지 5 각각에 대하여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샘플 6 내지 10 각각에 대하여 하기 측정을 행하였다. 샘플 1 내지 5의 경우, 측면 솔기로부터 대향하는 측면 솔기까지 초기 허리 측정치 및 최종 허리 측정치를 측정하였다. 샘플 6 내지 10의 경우, 부착 패널을 제1 후면 이어 패널의 중심 부분에 연결시키는 수동 결합 패턴으로부터 부착 패널을 제2 후면 이어 패널의 중심 부분에 연결시키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수동 결합까지 초기 허리 측정치 및 최종 허리 측정치를 측정하였다.
"초기 허리 측정치"는 후면 허리 구역을 섀시를 신축시키지 않고서 전면 허리 구역과 접촉시킬 때,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들(본 발명) 또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수동 결합 패턴들(종래의 흡수 용품) 사이의 후면 허리 구역의 측정치이다.
"최종 허리 측정치"는 기저귀 팬티 또는 흡수 용품을 4단계 유아 모델 상에 위치시킬 때,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들(본 발명) 또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수동 결합 패턴들(종래의 흡수 용품) 사이의 후면 허리 구역의 측정치이다. 4단계 유아 모델은 약 22 파운드 내지 약 37 파운드 체중의 유아의 허리 둘레를 모의하는 허리 둘레를 갖는다.
"연신율"은 최종 허리 측정치와 초기 허리 측정치 사이의 차를 초기 허리 측정치로 나누고, 그 결과에 100을 곱하여 계산된다.
표 1 및 2에 나타낸 측정치를 살펴볼 때,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의 평균 초기 허리 측정치는 종래의 흡수 용품의 평균 초기 허리 측정치와 유사하다(각각 128.60 ㎜ 및 128.0 ㎜). 그러나, 기저귀 팬티(20)의 평균 최종 허리 측정치는 종래의 흡수 용품의 평균 최종 허리 측정치보다 상당히 더 크다(각각 215.00 ㎜ 및 131.80 ㎜). 연신성에 있어서의 큰 불일치의 결과로, 기저귀 팬티(20)의 평균 연신율은 종래의 흡수 용품의 평균 연신율보다 상당히 더 크다(각각, 67% 및 3%).
후면 허리 구역에서의 연신율(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
샘플 # 초기 허리 측정치(㎜) 최종 허리 측정치(㎜) 연신율(%)
1 128 215 68
2 127 218 72
3 129 224 74
4 131 208 59
5 128 210 64
평균 128.60 215.00 67
표준편차 1.52 6.40 6
후면 허리 구역에서의 연신율(종래의 흡수 용품)
샘플 # 초기 허리 측정치(㎜) 최종 허리 측정치(㎜) 연신율(%)
6 128 134 5
7 127 129 2
8 124 126 2
9 130 134 3
10 131 136 4
평균 128.00 131.80 3
표준편차 2.74 4.15 1
<실시예 2>
연신성 외부 커버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44)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전면 허리 구역을 연신성 외부 커버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후면 허리 구역과 연결시키는 측면 솔기를 갖는,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의 1개의 샘플(샘플 1)을, 각 종래의 샘플이 전면 허리 구역 상에 위치하고 이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면 허리 구역의 측면 부분에 결합된 대응하는 후면 이어 패널에 결합된 비-연신성 부착 패널을 갖는,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종래의 흡수 용품의 10개의 샘플(샘플 2-11)과 비교하였다. 후면 이어 패널은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지그-재그 결합 패턴을 갖는 0.03 결합을 사용하여 측방향으로 중심 부분에서 부착 패널에 피동적으로 결합된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1에 대하여 및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샘플 2 내지 11 각각에 대하여 하기 인장력 측정을 행하였다. 샘플 1 내지 11의 경우, 초기 허리 둘레 측정치 및 최종 허리 둘레 측정치를 측정하였다. 도 7 및 8은 각각 샘플 1 및 샘플 2-11에 대하여, 70 그램에서의 초기 허리 둘레 측정치 및 1400 그램에서의 최종 허리 둘레 측정치 사이에서 측정한 몇몇 허리 둘레 측정치를 나타낸다.
"초기 허리 둘레 측정치"는 흡수 용품이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위치하여 유지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장력을 나타내기 위하여 70 그램으로 설정된 장력을 갖는, 기저귀 팬티(20) 또는 흡수 용품의 허리 구역에서의 둘레의 측정치이다.
"최종 허리 둘레 측정치"는 최대의 편안한 장력을 나타내기 위하여 1400 그램으로 설정된 장력을 갖는, 기저귀 팬티(20) 또는 흡수 용품의 허리 구역에서의 둘레의 측정치이다.
"착용 범위"는 최종 허리 둘레 측정치와 초기 허리 둘레 측정치 사이의 차이이다.
도 7 및 8에 대응하고 표 3 및 4에 나타낸 측정치를 살펴볼 때,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의 평균 초기 허리 둘레 측정치는 종래의 흡수 용품의 평균 초기 허리 둘레 측정치와 유사하다(각각 420.4 ㎜ 및 422.6 ㎜). 그러나, 기저귀 팬티(20)의 평균 최종 허리 둘레 측정치는 종래의 흡수 용품의 평균 최종 허리 둘레 측정치보다 상당히 더 크다(각각 592.9 ㎜ 및 515.2 ㎜). 연신성에 있어서의 큰 불일치의 결과로, 기저귀 팬티(20)의 평균 착용 범위는 종래의 흡수 용품의 평균 착용 범위보다 상당히 더 크다(각각, 172.5 ㎜ 및 92.6 ㎜).
착용 범위(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
샘플 # 초기 허리 둘레 측정치(㎜) 최종 허리 둘레 측정치(㎜) 착용 범위(㎜)
1 420.4 592.9 172.5
평균 420.4 592.9 172.5
표준편차 0.0 0.0 0.0
착용 범위(종래의 흡수 용품)
샘플 # 초기 허리 둘레 측정치(㎜) 최종 허리 둘레 측정치(㎜) 착용 범위(㎜)
2 422.0 502.3 80.3
3 423.3 517.9 94.6
4 421.4 528.7 107.3
5 419.3 515.3 96
6 420.6 518.8 98.2
7 425.3 520.7 95.4
8 425.4 517.0 91.6
9 423.0 521.9 98.9
10 426.1 511.8 85.7
11 419.3 497.7 78.4
평균 422.6 515.2 92.6
표준편차 2.5 9.2
<실시예 3>
연신성 외부 커버(42)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44)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전면 연부 부분을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 솔기(68)에서 연신성 외부 커버(42)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44)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후면 연부 부분과 결합시켜 허리 개구부(33)를 형성하는 섀시(45)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팬티(20)의 5개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패스너(60)의 연신성 부분(62)이 각 측면 솔기(68)에서 전면 연부 부분 및 후면 연부 부분 사이에서 결합된다. 연신성 부분(62)은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흡수 용품의 5개의 샘플을 얻었다. 종래의 일회용 흡수 용품은 용품의 전면 허리 구역에 부착된 패턴 미결합 재료를 포함하는 비-연신성 부착 패널을 포함하였다. 부착 패널은 전면 허리 구역의 외부 표면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면 허리 구역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전면 이어부를 형성한다. 종래의 일회용 흡수 용품은 후면 허리 구역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연부 부분에 결합된 연신성 후면 이어 패널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체결 부품이 각 후면 이어 패널에 부착되었다. 부착 패널의 각 전면 이어부가 지그-재그 결합 패턴을 갖는 종래의 수동 결합을 사용하여 후면 이어 패널의 측방향으로 중심 부분에서 대응하는 연신성 후면 이어 패널에 결합되었다.
각 샘플이 연신성 외부 커버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전면 허리 구역을 연신성 외부 커버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하는 기저귀 팬티(20)의 후면 허리 구역에 연결시키는 측면 솔기를 갖는,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의 5개의 샘플을, 각 종래의 샘플이 전면 허리 구역 상에 위치하고 이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면 허리 구역의 측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대응하는 후면 이어 패널에 결합된 비-연신성 부착 패널을 갖는, 종래의 흡수 용품의 5개의 샘플과 비교하였다. 후면 이어 패널은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지그-재그 결합 패턴을 갖는 0.03 결합을 사용하여 부착 패널에 피동적으로 결합된다.
초기 적용 후의 다리 탄성재 만곡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샘플을 4단계 유아 모델 상에 위치시켰다. 4단계 유아 모델은 약 22 파운드 내지 약 37 파운드 체중의 유아의 허리 둘레를 모의하는 허리 둘레를 갖는다.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및 종래의 용품의 기저귀 팬티의 샘플 1 내지 5 각각에 대하여 하기 측정을 행하였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 팬티 또는 용품의 횡-방향 측정을 행하였다.
표 5에 나타낸 측정치를 살펴볼 때,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20)의 평균 횡방향 측정치는 종래의 흡수 용품의 평균 횡방향 측정치보다 상당히 더 크다(각각 195.00 ㎜ 및 169.80 ㎜). 연신성에 있어서의 큰 불일치의 결과로, 기저귀 팬티(20)에 대한 초기 적용 후의 평균 다리 탄성재 만곡은 종래의 흡수 용품의 초기 적용 후의 평균 다리 탄성재 만곡보다 상당히 더 크다.
전면 허리 구역이 후면 허리 구역에 수동 결합되어 표면들을 연결시키는, 직선 다리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의 샘플은, 후면 이어 패널의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부착 부품의 패턴 미결합 재료에 연결시키는 수동 결합 및 매우 곡선형태의 다리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종래의 용품보다 더 양호한 다리 탄성 만곡을 생성시켰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후면 허리 구역 내에서의 최상의 가장 효과적인 다리 탄성재 영역은, 매우 곡선형태의 다리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종래의 용품에 비하여, 직선 다리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의 경우에 25 ㎜ 더 큰 횡방향 폭 측정치를 야기시켰다.
후면 허리 구역에서의 연신율%의 다리 탄성재 만곡(종래의 흡수 용품과 비교한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
샘플 # 종래의 흡수 용품의 횡방향 측정치(㎜) 본 발명의 기저귀 팬티의 횡방향 측정치(㎜)
1 175 196
2 166 198
3 168 192
4 168 193
5 172 196
평균 169.80 195.00
표준편차 3.63 2.45
본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다리 탄성 부재를 갖는 본 발명의 사전체결된 기저귀 팬티는 곡선형태의 다리 탄성 부재를 갖는 종래의 흡수 용품에 비하여 보다 양호한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서의 맞음새를 제공한다. 추가로, 종래의 흡수 용품의 제조 공정 동안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곡선형태의 다리 탄성 부재를 사용하기 보다는, 본 발명의 사전체결된 기저귀 팬티에 사용된 것과 같은 직선 다리 탄성 부재의 사용에 의해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다.
앞의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그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태양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며, 예시의 목적으로 많은 세부사항들이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이 추가의 실시태양들을 가질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특정 세부사항들이 본 발명의 기본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상당히 변화될 수 있음이 당 업계의 통상의 숙련인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24)

  1. 연신성 외부 커버;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
    전면 허리 구역, 후면 허리 구역, 및 전면 허리 구역 및 후면 허리 구역 중간의 가랑이 구역을 갖는, 외부 커버 및 신체측 라이너에 의해 형성되는 섀시;
    전면 허리 구역의 제1 연부 부분을 후면 허리 구역의 제1 연부 부분과 결합시키는 제1 측면 솔기;
    전면 허리 구역의 제1 연부 부분 및 후면 허리 구역의 제1 연부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에 결합된 연신성 부분을 갖는 제1 패스너;
    전면 허리 구역의 제2 연부 부분을 후면 허리 구역의 제2 연부 부분과 결합시키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측면 솔기; 및
    전면 허리 구역의 제2 연부 부분 및 후면 허리 구역의 제2 연부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에 결합된 연신성 부분을 갖는 제2 패스너
    를 포함하고, 상기 섀시가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고, 약 40%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성 외부 커버가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된 일회용 기저귀 팬티.
  3. 제1항에 있어서, 연신성 외부 커버와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솔기 및 제2 측면 솔기 각각이 허리 개구부로부터 대응하는 다리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솔기 및 제2 측면 솔기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허리 개구부와 대응하는 다리 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성 외부 커버가 이중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성 외부 커버가 연신성 외부 표면층 및 연신성 내부 표면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성 외부 표면층이 스펀본드 부직 재료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성 내부 표면층이 필름 재료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스너의 연신성 부분 및 제2 패스너의 연신성 부분이 각각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가 약 60%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가 약 70%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 팬티.
  13. 제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1 직선 다리 탄성 부재 및 다수개의 제2 직선 다리 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들이 각각 착용자의 대응하는 다리의 만곡과 일치하는 다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연신성 외부 커버와 함께 연신성인 일회용 기저귀 팬티.
  14. 연신성 외부 커버;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
    연신성 외부 커버와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
    전면 허리 구역, 후면 허리 구역, 및 전면 허리 구역 및 후면 허리 구역 중간의 가랑이 구역을 갖는, 연신성 외부 커버, 흡수 코어 및 연신성 신체측 라이너에 의해 형성되는 섀시;
    허리 개구부, 제1 다리 개구부 및 제2 다리 개구부를 형성하는, 전면 허리 구역의 제1 연부 부분을 후면 허리 구역의 제1 연부 부분과 결합시키는 제1 측면 솔기 및 전면 허리 구역의 제2 연부 부분을 후면 허리 구역의 제2 연부 부분과 결합시키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측면 솔기;
    제1 측면 솔기에 관하여 결합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하는 연신성 부분을 갖는 제1 패스너 및 제2 측면 솔기에 관하여 결합된 넥-본디드 라미네이트 재료를 포함하는 연신성 부분을 갖는 제2 패스너; 및
    연신성 외부 커버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한 부착 패널
    을 포함하고, 제1 패스너 및 제2 패스너가 각각 부착 패널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체결부를 갖는 일회용 흡수 용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솔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허리 개구부와 제1 다리 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2 측면 솔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허리 개구부와 제2 다리 개구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회용 흡수 용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대응하는 제1 다리의 만곡과 일치하는 제1 다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연신성 외부 커버와 함께 연신성인 다수개의 제1 직선 다리 탄성 부재, 및 착용자의 대응하는 제2 다리의 만곡과 일치하는 제2 다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연신성 외부 커버와 함께 연신성인 다수개의 제2 직선 다리 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용품.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가 허리 개구부에서 약 50%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일회용 흡수 용품.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패널이 흡수 용품의 전면 허리 구역 및 후면 허리 구역 중 하나의 일부분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일회용 흡수 용품.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패널이 흡수 용품의 후면 허리 구역의 일부분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일회용 흡수 용품.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패널이 패턴 미결합 재료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 용품.
  21. 흡수 용품의 횡 방향으로 연신성인 외부 커버;
    횡방향으로 연신성이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커버에 결합된 신체측 라이너;
    외부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
    제1 전면 이어부 및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전면 이어부를 갖는, 외부 커버의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연신성 전면 허리 구역;
    제1 후면 이어부 및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후면 이어부를 갖는, 외부 커버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연신성 후면 허리 구역;
    제1 전면 이어부와 제1 후면 이어부 사이에 위치한 연신성 제1 패스너;
    제1 전면 이어부의 외부 커버, 연신성 제1 패스너 및 제1 후면 이어부의 외부 커버를 결합시키는 제1 측면 솔기;
    제2 전면 이어부와 제2 후면 이어부 사이에 위치한 연신성 제2 패스너; 및
    제2 전면 이어부의 외부 커버, 연신성 제2 패스너 및 제2 후면 이어부의 외부 커버를 결합시키고, 제1 측면 솔기와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측면 솔기
    를 포함하고, 외부 커버, 신체측 라이너 및 흡수 코어가 허리 개구부를 형성하고 허리 개구부에서 약 50% 이상의 연신율을 갖는 섀시를 형성하는 흡수 용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스너 및 제2 패스너 각각이 전면 허리 구역에 관하여 재체결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흡수 용품.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가 연신성 외부 표면층 및, 연신성 외부 표면층에 적층된 연신성 내부 표면층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성 외부 표면층이 스펀본드 부직 재료를 포함하고, 연신성 내부 표면층이 필름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KR1020057009631A 2002-12-13 2003-08-08 착용 동안 연신성 내부 및 외부 표면의 연신성이 증가되는흡수 용품 KR200500851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19,084 2002-12-13
US10/319,084 US20040116888A1 (en) 2002-12-13 2002-12-13 Absorbent article having increased extension of extensible inner and outer facings during w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189A true KR20050085189A (ko) 2005-08-29

Family

ID=3250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631A KR20050085189A (ko) 2002-12-13 2003-08-08 착용 동안 연신성 내부 및 외부 표면의 연신성이 증가되는흡수 용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116888A1 (ko)
EP (1) EP1569591A1 (ko)
KR (1) KR20050085189A (ko)
AR (1) AR042134A1 (ko)
AU (1) AU2003259077A1 (ko)
MX (1) MXPA05005560A (ko)
WO (1) WO2004054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7326B2 (ja) * 2002-03-29 2008-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512288B2 (en) * 2006-08-23 2013-08-20 Medtronic Minimed, Inc. Infusion medium delivery device and method with drive device for driving plunger in reservoir
US8221379B2 (en) 2005-06-17 2012-07-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tear resistance and softness
US7785309B2 (en) 2005-08-31 2010-08-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with biaxially stretchable inner layer
US7870652B2 (en) 2005-12-22 2011-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ers having improved comfort
BRPI0620320A2 (pt) * 2005-12-22 2011-11-08 Procter & Gamble fechos com rigidez relativa
US20080021432A1 (en) * 2005-12-22 2008-01-24 Kline Mark J Relative stiffness fasteners
CN101511312B (zh) * 2006-09-25 2013-09-11 Sca卫生用品公司 束带吸水服装和方法
US20080141839A1 (en) * 2006-12-13 2008-06-19 Van Gompel Paul T Method of manufacturing pleated disposable garment
US20080147025A1 (en) * 2006-12-13 2008-06-19 Van Gompel Paul T Pleated disposable garment
JP2010527687A (ja) * 2007-05-21 2010-08-19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改善されたフィット性を備える吸収用品
EP2048488A1 (en) * 2007-10-11 2009-04-1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evaluation of absorption behaviour of absorbent articles
CA2692891C (en) * 2010-02-25 2012-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CA2693130C (en) * 2010-02-25 2012-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CA2692679C (en) * 2010-02-25 2013-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CA2692638C (en) 2010-02-25 2011-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JP6460976B2 (ja) * 2015-12-28 2019-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3513A (en) * 1982-02-24 1984-04-17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thermoplastic fiber webs and method of making
US4731066A (en) * 1984-03-30 1988-03-15 Personal Products Company Elastic disposable diaper
US5176668A (en) * 1984-04-13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designed for absorbing body fluids
CA1341430C (en) * 1984-07-02 2003-06-03 Kenneth Maynard Enloe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US4610682A (en) * 1985-07-25 1986-09-09 Kopp Yvette B Disposable diaper
US4663220A (en) * 1985-07-30 1987-05-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olefin-containing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into elastomeric products including microfibers
US4895569A (en) * 1986-09-03 1990-01-23 Kimberly-Clark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for a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a tailored seam
US4798603A (en) * 1987-10-16 1989-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hydrophobic transport layer
US4981747A (en) * 1988-09-23 1991-01-0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4965122A (en) * 1988-09-23 1990-10-23 Kimberly-Clark Corporation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5226992A (en) * 1988-09-23 1993-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5176671A (en) * 1988-12-20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for disposable diaper with disposability feature
US5269776A (en) * 1989-03-24 1993-12-14 Paragon Trade Brands, Inc. Disposable diaper with refastenable mechanical fastening system
US5100399A (en) * 1989-12-08 1992-03-31 Sue Janson Baby's diaper of adjustable size
US5114781A (en) * 1989-12-15 1992-05-19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MY106077A (en) * 1990-05-09 1995-03-31 Kao Corp Disposable diapers.
US5106385A (en) * 1990-08-23 1992-04-21 Aware Diaper, Inc. Adjustable diaper and method of folding same
US5176672A (en) * 1990-11-13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cket-like diaper or absorbent article
US5221274A (en) * 1991-06-13 1993-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
US5151092A (en) * 1991-06-13 1992-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
US5234423A (en) * 1991-06-13 1993-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waist feature and enhanced absorbency
EP0588916B2 (en) * 1991-06-13 2001-08-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astening system providing dynamic elasticized waistband fit
ZA92308B (en) * 1991-09-11 1992-10-28 Kimberly Clark Co Thin absorbent article having rapid uptake of liquid
US5192606A (en) * 1991-09-11 1993-03-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liner which exhibits improved softness and dryness, and provides for rapid uptake of liquid
US5246433A (en) * 1991-11-21 1993-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ized disposable training pa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244482A (en) * 1992-03-26 1993-09-14 The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Post-treatment of nonwoven webs
JP3350094B2 (ja) * 1992-05-22 2002-11-2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伸縮性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JP3096152B2 (ja) * 1992-05-22 2000-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SE508450C2 (sv) * 1992-11-11 1998-10-05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rtikel jämte sätt för framställning härav
JP3177341B2 (ja) * 1993-05-19 2001-06-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US5968029A (en) * 1993-08-03 1999-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DE69417057T2 (de) * 1993-11-19 1999-07-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 artikel mit multidirektionalen dehnbaren seitenflügeln
US5997521A (en) * 1993-11-19 1999-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side panels
US5899895A (en) * 1993-11-19 1999-05-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side panels
CA2116081C (en) *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US5554145A (en) * 1994-02-28 1996-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zone structural elastic-like film web extensible waist feature
ATE174209T1 (de) * 1994-04-29 1998-12-15 Procter & Gamble Verschlussvorrichtung für wegwerfhöschen mit elastischen taillenbanden
US5531732A (en) * 1994-06-14 1996-07-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fit disposable training pant or incontinence garment having disposable means
SE506612C2 (sv) * 1996-05-31 1998-01-19 Moelnlycke Ab Elastiskt laminat för ett absorberande alster, sätt att framställa det elastiska laminatet samt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det elastiska laminatet
US5843056A (en) * 1996-06-21 1998-1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mposite breathable backsheet
EP0839507A1 (en) * 1996-10-30 1998-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pening tab for disposable pull-on diapers
US5989236A (en) * 1997-06-13 1999-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djustable waist feature
US6702801B2 (en) * 1998-05-07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with an extensible backsheet
US6036805A (en) * 1998-06-19 2000-03-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n asborbent article with prefastened side panels
US6287287B1 (en) * 1998-06-19 2001-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passive side bonds and adjustable fastening systems
US6368444B1 (en) * 1998-11-17 2002-04-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ross-directional stretching of polymeric film and other nonwoven sheet material and materials produced therefrom
US6551294B1 (en) * 1999-12-17 2003-04-22 Kimberly-Clark Worldwid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tretch panel and an integrated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US6524293B1 (en) * 1999-12-17 2003-0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efasten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tretch panel
US6454752B1 (en) * 2000-03-17 2002-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e-fastened adjustable mechanical fastener garment
US6552245B1 (en) * 2000-05-03 2003-04-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tensible outer cover and an extensible bodyside liner
US6395115B1 (en) * 2000-05-16 2002-05-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 garment with dual refastenable sides and butt seams
US20020165517A1 (en) * 2001-03-01 2002-1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efastened diaper/pant for infants with improved fit range
US20020148557A1 (en) * 2001-04-13 2002-10-17 Kimberly-Clark Worlwide, Inc. Method of assembling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9591A1 (en) 2005-09-07
US20040116888A1 (en) 2004-06-17
MXPA05005560A (es) 2005-07-26
WO2004054492A1 (en) 2004-07-01
AU2003259077A1 (en) 2004-07-09
AR042134A1 (es)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6366B2 (en) Convertible diaper/pant with ease of application
US7473818B2 (en) Product seal of dissimilar materials
KR100803471B1 (ko) 탈착가능한 이음매 및 접혀포개진 패스닝 영역을 갖는팬티형 일회용 흡수용품
US7198621B2 (en) Attachment assembly for absorbent article
KR100837491B1 (ko) 간단한 체결 특징부를 갖는 예비체결된 흡수 용품
KR100738793B1 (ko) 떼어낼 수 있는 약한 선 및 체결구를 갖는 팬티형 일회용흡수 용품
KR101225840B1 (ko) 여러개의 체결구를 갖는 일회용 가먼트
AU2006262567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front fastening assembly
US20020165517A1 (en) Prefastened diaper/pant for infants with improved fit range
US20020165518A1 (en) Convertible prefastened diaper/pant with reduced leakage when applied as a pant
JP2003516807A (ja) 延伸パネルを有する予め固定された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20050084132A (ko) 형태화된 전방 및 후방 이어를 가진 흡수성 물품
KR20050085189A (ko) 착용 동안 연신성 내부 및 외부 표면의 연신성이 증가되는흡수 용품
KR100954022B1 (ko) 최적 다리 구멍 형상을 갖는 흡수 팬티 가먼트
US20050148985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waist feature
KR100822589B1 (ko) 팬티형 일회용 흡수 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