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838A -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rresting layer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rresting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838A
KR20050084838A KR1020057005931A KR20057005931A KR20050084838A KR 20050084838 A KR20050084838 A KR 20050084838A KR 1020057005931 A KR1020057005931 A KR 1020057005931A KR 20057005931 A KR20057005931 A KR 20057005931A KR 20050084838 A KR20050084838 A KR 20050084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ayer
sheet
acquisition layer
surfac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78105B1 (en
Inventor
준 구도
마사히로 가시와기
마사타카 기노시타
겐이치로 구로다
다쿠야 미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8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1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An absorbent article with a liquid arresting layer (6) interposed between a surface sheet (3) and a liquid absorbing layer (4). The liquid arresting layer (6) is in the form of a water-absorbable sheet (8) three-dimensionally deformed to form longitudinal ribs (6a) raised toward the surface sheet (3)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of the article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ransverse ribs (6b) raised toward the surface sheet (3) and extending transversely of the article. The transverse ribs (6b) are disposed at longitudinally spaced intervals and serve to fasten adjacent longitudinal ribs (6a), with a plurality of recesses (6c) surrounded by the longitudinal ribs (6a) and transverse ribs (6b). At least the longitudinal ribs (6a) contact the upper member, and the bottoms (6d) of the recesses (6c) contact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Description

액 획득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RRESTING LAYER}Absorbent article having a liquid acquisition layer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RRESTING LAYER}

관련 출원의 표시Mark of related application

본 출원은 2002년 12월 5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2-354186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여 출원되고 있다. 상기 일본 특허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개시의 일부로서 원용한다. This application is filed by claiming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2-354186, filed December 5,2002. The disclosure of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is incorporated as part of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기술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여성 성기로부터 배설되는 경혈 등의 흡수에 적합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 시트와 액 흡수층 사이에, 액을 흡수하여 상기 액 흡수층에 부여하는 액 획득층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suitable for absorption of menstrual blood and the like excreted from the female genitali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liquid acquisition layer for absorbing and imparting a liquid 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liquid absorbing layer. .

여성 성기로부터 배설되는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의 일반적인 구조는,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착의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액 흡수층을 갖는 것으로, 통상은 속옷의 가랑이 천의 내면에 상기 이면 시트가 감압 접착층을 통해 접착된 상태로 착용된다. The general structure of an absorbent article that absorbs acupuncture points excreted from the female genitals includes a 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located on the skin side surface, a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located on the wearing side surface, and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Having a liquid absorb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usually wor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otch fabric of the underwear while the back sheet is adhered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이런 유형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면 시트에 일시에 다량의 경혈이 주어지면, 표면 시트에 경혈이 장시간 남게 되어, 가랑이에 습윤감을 주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그래서, 일시에 다량의 액체가 주어졌을 때에, 그 액체를 표면 시트의 아래에서 확산시키거나, 표면 시트 아래에서 유지시키는 고안이 이루어진 것이 있다. In this type of absorbent article, when a large amount of acupuncture points are given to the surface sheet at one time, the acupuncture points are left on the surface sheet for a long time, and the crotch is moistened to give a feeling of discomfort to the wearer. Therefore, when a large amount of liquid is given at one time, there have been devised to diffuse the liquid under the surface sheet or to hold it under the surface sheet.

일본 특허 공개 평6-38998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표면 시트와 액 흡수층 사이에, 액체 반송대가 설치된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6-38998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anitary napkin provided with a liquid carrier between a surface sheet and a liquid absorbing layer.

상기 액체 반송대는 부직포에 오목형의 스크린 패턴을 다수 형성한 것이다. 이 스크린 패턴은 소정 두께의 부직포를 한 쪽의 면으로부터 압축하여 고섬유 밀도부를 형성한 엠보스 패턴 및 상기 부직포를 양면으로부터 압축하여 박막 요소를 형성한 엠보스 패턴이며, 이들 양 엠보스 패턴이 생리용 냅킨의 세로 방향(길이 방향)을 향해서 배열되어 있다. 이 액체 반송대는 표면 시트를 투과한 경혈의 이동을, 상기 박막 요소로 규제하여 상기 고섬유 밀도부를 지나도록 우회시키고, 이에 따라 경혈을 세로 방향으로 확산시켜, 표면 시트에서의 액체 잔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said liquid carrier has provided many concave screen patterns in the nonwoven fabric. The screen pattern is an embossed pattern in which a nonwoven fabric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compressed from one side to form a high fiber density portion, and an embossed pattern in which the nonwoven fabric is compressed from both sides to form a thin film element. It is arranged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napkin. The liquid carrier is intended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menstrual blood penetrating the surface sheet by the thin film element to bypass the high fiber density portion, thereby spreading the menstrual blo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liquid residue on the surface sheet. will be.

다음으로, 일본 특허 공개 2000-140015호 공보(특허문헌 2)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표면 시트와 액 흡수층 사이에, 액 투과성 시트를 개재시킨 것이 개시되어 있다. Nex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40015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disposable diaper in which a liquid permeable sheet is interposed between a surface sheet and a liquid absorbing layer.

상기 액 투과성 시트는 부직포나 종이가 입체적으로 변형되어, 메쉬형으로 연장되는 볼록부에 의해서 구획된 다수의 오목부를 갖고 있다. 이 일회용 기저귀는 한번에 다량의 액이 주어졌을 때에, 상기 액 투과성 시트의 오목부에서 액을 일단 유지함으로써, 액이 기저귀의 면을 따라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liquid-permeable sheet has a plurality of recesses partitioned by convex portions in which a nonwoven fabric or paper is three-dimensionally deformed and extended in a mesh shape. This disposable diaper is intended to prevent the liquid from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diaper by holding the liquid once in the recess of the liquid permeable sheet when a large amount of liquid is given at one time.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액체 반송대는, 표면 시트를 투과한 액을 길이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을 지도 모르지만, 액체 반송대 그 자체의 액체 유지 능력 및 액 투과 능력이 낮기 때문에, 액체 반송대에 다량의 경혈이 주어지면 바로 포화되어 체류하기 쉽다. 즉, 이 액체 반송대는 멜트블로우 부직포 등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한 것이지만, 멜트블로우 부직포는 엠보스 처리후에도 비교적 평탄한 상태 그대로 있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주어진 다량의 액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더구나, 상기 부직포에 엠보스 패턴을 이루는 오목부는 공간 용적이 매우 미소 하기 때문에, 오목부 내에서 액체를 거의 유지할 수 없다. 그렇기는 커녕 멜트블로우 부직포는 멜트블로우 부직포 자체 밀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박막 요소로 액체의 투과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액체의 투과 능력이 낮다. Although the liquid carrier of the said patent document 1 may be able to diffuse the liquid which permeate | transmitted the surfac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the liquid holding capacity and liquid permeability of the liquid carrier itself are low, a large amount of acupuncture points are applied to the liquid carrier. Given that it is easy to stay saturated. In other words, the liquid carrier is formed by forming an embossed pattern on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or the like, but the melt blown nonwoven fabric remains relatively flat even after the embossing treatment, so that a large amount of liquid given locally cannot be maintained. Moreover, since the concave portion forming the embossed pattern on the nonwoven fabric has a very small space volume, it is hard to hold liquid in the concave portion. Rather, the melt blown nonwoven fabric has a high density of the blow blown nonwoven fabric itself, and blocks the permeation of the liquid through the thin film element, so that the liquid permeability is low.

이어서, 특허문헌 2에 기재한 액 투과성 시트는, 3각형의 오목부에 소변을 저장하여, 평면적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메쉬형의 볼록부에 의해 액체의 확산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가 소변으로 인해 곧 포화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 액 투과성 시트를 생리용 냅킨에 적용한 경우, 소변보다 점도가 높은 경혈은 이 오목부 내에 체류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상기 액 투과성 시트의 바람직한 예로서 종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종이로 형성된 액 투과성 시트를 생리용 냅킨에 이용한 경우, 착용자의 가랑이로부터 주어지는 압력에 의해 즉시 오목부가 찌부러져 버리고, 또한, 생리용 냅킨에 위치가 어긋나게 하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액 투과성 시트가 찢어지기 쉽다. Subsequently, the liquid permeable sheet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2 is intended to prevent urine from being stored in a triangular recess and spreading in a planar manner. However, since the diffusion of the liquid is suppressed by the mesh-shaped convex portions, the concave portions immediately become saturated due to the urine. Therefore, when this liquid permeable sheet is applied to a sanitary napkin, menstrual blood with a viscosity higher than urine tends to stay in this recess. Further, in Patent Literature 2, a preferred example of the liquid permeable sheet is formed of paper. However, when the liquid permeable sheet formed of such paper is used for a sanitary napkin, the recess is immediately damaged by the pressure given from the crotch of the wearer. The liquid-permeable sheet tends to be torn when broken, and when a force for shifting the position on the sanitary napkin is applied.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액체가 주어졌을 때에 이것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액 흡수층으로 원활하게 이행시킬 수 있어, 표면 시트에서의 액체 잔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conventional subject.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which can maintain this temporarily when a large amount of liquid is given, can be smoothly transferred 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and can reduce the liquid residue in the surface sheet.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도면으로부터 보다 자세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설명 및 이해를 위한 것이다. Although the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owever, thes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but mere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understanding.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실시 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anitary napkin of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이 속옷의 가랑이 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II-II선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showing a state where the sanitary napkin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the crotch cloth of the underwear.

도 3은 액 투과 구멍의 개공 상태 및 액 획득층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 state of the liquid permeation hole an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도 4는 액 획득층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quid obtaining layer.

도 5A, 도 5B는 도 4의 V-V선의 단면도로서, 도 5A는 일층 구조, 도 5B는 다층 구조를 도시한다,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V-V line of FIG. 4, FIG. 5A shows a single layer structure, and FIG. 5B shows a multi-layer structure.

도 6은 도 4의 VI-VI선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4.

도 7은 액 획득층을 입체로 하기 위한 상부 틀의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old for mak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three-dimensional.

도 8은 액 획득층을 입체로 하기 위한 하부 틀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mold for making a liquid acquisition layer three-dimensional;

도 9는 도 7의 IX-IX선의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7.

도 10은 상부 틀과 하부 틀로 액 획득층을 입체 성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is three-dimensionally formed by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세로로 긴 생리용 냅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vertically-long sanitary napkin as an absorbent article of the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2A는 가압 흡수 시험에 사용하는 아크릴판의 평면도이고, 도 12B는 상기 가압 흡수 시험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It is a top view of the acryl plate used for a pressure absorption test, and FIG. 12B is sectional drawing explaining the said pressure absorption test.

본 발명에서는,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착의 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액 흡수층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 제공되며,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located on the skin side surface, a back sheet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wear, and a liquid absorbing layer located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상기 액 흡수층의 상기 표면 시트를 향하는 표면에 액 획득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액 획득층은 입체적으로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 것이며,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absorption layer facing the surface sheet,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is maintained in a three-dimensionally deformed state,

상기 액 획득층은, 흡수성 시트가 입체적으로 변형된 것으로, 상기 표면 시트를 향해서 볼록형이며 또한,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세로 리브(rib), 및 상기 표면 시트를 향해서 볼록형이며 또한, 물품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리브를 가지고, 상기 가로 리브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인접하는 세로 리브 사이를 잇는 것으로, 상기 세로 리브와 가로 리브로 둘러싸인 복수의 오목부를 만드는 것이며,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is a three-dimensional deformation of the absorbent sheet, is convex toward the surface sheet, longitudinal ribs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ticle, and convex toward the surface sheet, Having transverse ribs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article, the transverse ribs being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ing between adjacent longitudinal ribs to create a plurality of recesses surrounded by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transverse ribs,

적어도 상기 세로 리브가 상부의 부재에 접하고,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가 상기 액 흡수층에 접하고 있는 것이다. At least the longitudinal rib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recess is in contact with the liquid absorbing layer.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표면 시트를 투과한 경혈이 액 획득층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일시적으로 유지되지만, 액 획득층은 흡수성 시트를 입체적으로 변형시켜 그 시트 두께를 늘린 것이기 때문에, 시트 두께를 늘리지 않고서 부직포에 엠보스 패턴이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개개의 오목부의 공간 용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오목부 내에 많은 경혈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흡수성 시트를 변형함으로써 얻어진 오목부의 바닥부가 액 흡수층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 내의 경혈은 흡수성 시트를 투과하여 즉시 액 흡수층으로 이행할 수 있어, 오목부 내에서 장기간 경혈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리브가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 세로 리브가 표면 시트나 액 투과층 등의 상부에 있는 부재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오목부에 유지된 액이 세로 방향을 향해서 안내되어, 가로 방향으로의 확산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경혈은 가로 방향으로의 누출을 일으키는 일 없이 액 흡수층에 침투하기 쉬워진다.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upuncture points penetrating the surface sheet are temporarily held in the recesses formed i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but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is a three-dimensional deformation of the absorbent sheet to increase its sheet thicknes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mbossed pattern is formed on the nonwoven fabric, the volume of the individual concave portions can be increased, and a large amount of menstrual blood can be temporarily maintained in the concave portions. Moreover, since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obtained by deforming the absorbent sheet is in contact with the liquid absorbing layer, the acupuncture points in the concave portion can penetrate the absorbent sheet and immediately migrate 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thereby preventing long-term accumulation of acupuncture points in the concave portion. have. Further, since the longitudinal ribs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ticle, and the longitudinal ribs are in contact with a member located above the surface sheet or the liquid permeable layer, the liquid retained in the recess is guided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ffusion becomes easy to be suppressed. Therefore, the menstrual blood easily penetrates in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without causing leaka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액 획득층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가로 리브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세로 리브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보다 낮은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of this invention can be comprised so that the height dimension from the bottom part of the said recessed part to the top part of the said horizontal rib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dimension from the bottom part of the said recessed part to the top part of the said longitudinal rib.

이와 같이 구성하면, 만일 오목부 내에 일시에 다량의 경혈이 주어졌다고 하여도, 이 경혈이 낮은 가로 리브를 넘어서 세로 방향으로 늘어선 오목부를 따라서 이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 방향으로의 확산(즉, 세로 리브를 넘어선 확산)을 방지하기 쉽다. In this configuration, even if a large amount of acupuncture points are given at one time in the concave portion, since the acupuncture points can move along the concave portion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yond the low horizontal ribs, the transverse diffusion (that is, the vertical length) Spread beyond the ribs) is easy to prevent.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상기 오목부는 가로 방향보다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For this purpose, each of the recesses preferably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ath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오목부의 공간 용적이 8∼80 mm3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volume of one recessed part is 8-80 mm <3> .

공간 용적이 상기 범위내이면, 점도가 높은 체액인 경혈이 액 획득층을 투과할 때까지의 사이, 오목부가 충분한 양의 경혈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경혈이 단시간에 주어졌다고 하여도, 이 경혈이 오목부로부터 넘치는 일이 적어져, 경혈이 표면 시트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경혈이 가로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f the space volume is in the above range, the concave portion can maintain a sufficient amount of menstrual blood until the menstrual blood with high viscosity fluid penetrates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Therefore, even if a large amount of acupuncture points are given in a short time, the acupuncture points are less likely to overflow from the concave portions, and the acupuncture points can be prevented from returning to the surface sheet and the acupuncture points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v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 획득층을, 상기 흡수성 시트가 입체적으로 변형될 때의 인장 응력의 집중에 의해 섬유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 저밀도 부분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In this invention, the said liquid acquisition layer can be made to have the low density part which the space | interval between fibers widened by concentration of the tensile stress when the said water absorbing sheet is deformed three-dimensionally.

상기 액 획득층에서 섬유 밀도가 부분적으로 낮아져 있으면, 오목부 내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경혈을 즉시 액 흡수층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If the fiber density is partially lowered i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the menstrual blood temporarily held in the recess can be immediately transferred 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 획득층을, 상기 세로 리브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may have a width wider than that of the longitudinal ribs and a flat portion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평탄부는 입체 형상으로 성형할 때의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받지 않는 영역이며, 강도가 저하되지 않고 있다. 또한, 섬유 밀도가 원래의 시트재 그대로이고, 세로 리브 등에 비해서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조립할 때에, 이 평탄부를 유지하여 액 획득층을 조립 공정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리브 등에 비하여 낮은 밀도를 갖는 평탄부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이 평탄부는 경혈이 가로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산 방지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평탄부는 액 획득층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지만, 상기 확산 방지대로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평탄부는 액 획득층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탄부가 액 획득층의 전후 단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The flat portion is a region which is not subjected to the tensile force or the compressive force when mold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strength is not lowered. Further, the fiber density remains the original sheet material, and the density is lower than that of the longitudinal ribs or the like. 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absorbent article, the flat portion can be held to supply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to the granulation step. In addition, since the flat portion having a lower density than the longitudinal ribs or the like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lat portion can function as a diffusion barrier for preventing the menstrual blood from sprea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though this flat part may be provided in any position of a liquid acquisition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flat part i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a liquid acquisition layer in order to exhibit the function as the said diffusion prevention strip effectively. Moreover, the flat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ront-back end of a liquid acquisition layer.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 획득층이 복수 장의 흡수성 시트가 겹쳐져 함께 입체적으로 변형된 것이어도 좋다. 이들 흡수성 시트끼리를 부분적으로 접착하여도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may be one in which a plurality of absorbent sheets are stacked and three-dimensionally deformed together. You may partially adhere these absorbent sheets.

액 획득층을 복수 장의 흡수성 시트로 구성하면, 기본중량(basis weight)을 높게 할 수 있어 액의 흡수 유지 능력이 높아지고, 또한, 세로 리브나 가로 리브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입체적인 변형은 액 획득층의 오목부의 벽부에 밀도의 저하나 균열을 일으키지만, 이 벽부가 다층 구조이면, 이러한 밀도의 저하나 균열이 1곳에서만 생기는 일이 없어져, 상기 벽부의 강도의 극단적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이 습윤 상태로 되었을 때에도, 오목부의 형상을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bsorbent sheets, the basis weight can be increased, the absorption retention ability of the liquid can be increased, and the strength of the longitudinal ribs and the horizontal ribs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 causes a decrease in density and cracks in the wall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However, if the wall portion is a multilayer structure, such decrease in density and cracks do not occur at only one place, and the strength of the wall portion is extremely extreme. The fall of phosphorus can be prevented. Therefore, even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in a wet state, the shape of the recess can always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측정하였을 때, 상기 액 획득층의 건조시의 인장 파단 강도가 25 mm폭당 2.5 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in this invention, when meas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le breaking strength at the time of drying of the said liquid acquisition layer is 2.5 N or more per 25 mm width.

상기 강도 및 적합한 흡수성을 액 획득층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흡수성 시트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도를 가지면, 착용자의 신체로부터의 압력을 받어도 입체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 오목부의 공간 용적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impart the strength and suitable absorbency 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the absorbent sheet is preferably formed of cellulose fibers and synthetic resin fibers. Having the above-mentioned strength makes it easy to maintain a three-dimensional shape even under pressure from the wearer's body, and can maintain the space volume of the recess for a long tim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준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을 상술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시키기 위해 수많은 구체적 세부를 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체적 세부 없이도 본 발명을 이룰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이다. 또한, 본 발명이 무의미하게 불명료한 것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공지의 구조에 관해서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는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explained in full detail in preferable embodiment based on this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addition, in order to avoid that this invention may become meaninglessly obscure, a well-known structure is not shown in detail.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여성의 질구로부터 배설되는 경혈을 흡수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생리용 냅킨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2개의 표면 중 착용자의 가랑이를 향하는 표면을 피부측 표면으로 하고, 반대측의 표면은 그 외측에 착의가 착용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착의측 표면이라 표현한다.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anitary napkin whose main purpose is to absorb menstrual blood excreted from vaginal openings of women. The surface facing the wearer's crotch of the two surfaces of the absorbent article is the skin side surface, and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is expressed as the wear side surface regardless of whether the wear is worn on the outside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세로 방향 중심선이란 용어는, 흡수성 물품을 가로 방향으로 이분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을 세로 방향으로 이분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가로 방향 기준선으로 하고 있지만, 가로 방향 기준선이란 이러한 중심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여성이 취침시에 착용하는 데에 적합한 세로 방향으로 긴 흡수성 물품으로서, 날개부가 전방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서는 착용 중에 질구에 닿는 부분에서의 세로 방향의 중심을 지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가로 방향 기준선으로 한다. The term longitudinal centerline as used herein means a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dividing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1st Embodiment, although the lin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divides an absorbent art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de into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a horizontal reference line is not limited to this centerline. For example, a longitudinally long absorbent article suitable for women to wear at bedti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wherein the w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front portion, and transversely across the longitudinal center at the portion touching the vaginal opening during wearing; The lin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용 냅킨(1)을 피부측 표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생리용 냅킨이 속옷의 가랑이 천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II-II선(가로 방향 기준선)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생리용 냅킨의 중앙 영역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액 획득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도 5B는 도 4를 V-V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4를 VI-V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anitary napkin 1 with the skin side surface facing upward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tate in which the sanitary napkin of FIG. 1 is attached to the crotch fabric of the underwear.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entral region of the sanitary napk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quid obtaining layer, and FIG. 5A and FIG. 5B a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생리용 냅킨(1)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등거리를 두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측 가장자리(1a)와 좌측 가장자리(1b)를 가지고, 가로 방향 기준선(Ox-Ox)으로부터 전후로 등간격을 둔 볼록 곡선 형상의 전방 가장자리(1c) 및 후방 가장자리(1d)를 갖고 있다. The sanitary napkin 1 has a right edge 1a and a left edge 1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equidistant distance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y-Oy), and from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Ox-Ox). It has the front edge 1c and the rear edge 1d of the convex curve shape which are equally spaced back and forth.

상기 우측 가장자리(1a)와 좌측 가장자리(1b)는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을 포함하는 세로 방향의 소정 길이 범위에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고, 이 돌출 부분에서 날개부(1A, 1A)가 형성되어 있다. The right edge 1a and the left edge 1b protrude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 predetermined length r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ing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Ox-Ox, and wings 1A and 1A ar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It is.

도 2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생리용 냅킨(1)은 착의측 표면에 나타나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와, 피부측 표면에 나타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3)를 갖고 있다. 상기 이면 시트(2)와 상기 표면 시트(3) 사이에는 액 흡수층(4)이 개재하고 있다. 표면 시트(3)의 아래에는 액 투과층(5)이 설치되고, 액 투과층(5)과 상기 액 흡수층(4) 사이에 액 획득층(6)이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the sanitary napkin 1 has a liquid-impermeable back sheet 2 appearing on the surface of the wearer side and a liquid-permeable surface sheet 3 appearing on the skin-side surface. . A liquid absorbing layer 4 is interposed between the back sheet 2 and the surface sheet 3.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is provided below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provided between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nd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생리용 냅킨(1)은 적어도 표면 시트(3)와 상기 액 흡수층(4)이 국부적으로 가압 및 가열되어, 피부측 표면에 나타나는 압축 홈(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압축 홈(10)은 가열 롤을 이용한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액 흡수층(4)과 표면 시트(3)가 겹쳐진 상태에서, 액 흡수층(4)의 표면에 평활 면의 가열 롤이 닿게 되고, 표면 시트(3)의 표면에 엠보스 패턴의 볼록부를 갖는 가열 롤이 맞닿아, 가압 및 가열되어 압축 홈(10)이 형성된다. As for the sanitary napkin 1, at least the surface sheet 3 and the said liquid absorbing layer 4 are locally pressurized and heated, and the compression groove | channel 10 which appears in the skin side surface is formed. That is, this compression groove 10 is formed by embossing using a heating roll. In the state where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and the surface sheet 3 overlap, the heating roll of the smooth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and the heating has the convex portion of the emboss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sheet 3. The roll abuts, is pressed and heated to form a compression groove 10.

상기 압축 홈(10)에서는, 상기 액 흡수층(4) 및 표면 시트(3)가 거의 필름형으로 압착된 고밀도 압축부, 및 필름형으로는 되어 있지 않지만 압축 홈(10) 이외의 영역보다 액 흡수층(4)이 고밀도로 된 중밀도 압축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밀도 압축부와 중밀도 압축부를 갖는 압축 홈(10)이, 생리용 냅킨(1)의 피부측 표면이 이면 시트(2) 측으로 움푹 패인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In the compressed groove 10,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and the surface sheet 3 are compressed to almost a film form, and a liquid absorbing layer than a region other than the compressed groove 10, although it is not a film. (4) The high density medium-density compression parts are alternately formed. The compressed groove 10 having the high density compression portion and the medium density compression portion is formed as a groove in which the skin side surface of the sanitary napkin 1 is recessed toward the back sheet 2 sid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 홈(10)은 부호 11∼16으로 표시되는 각 압축 홈으로 구분된다. As shown in Fig. 1, the compression grooves 10 are divided into respective compression groove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11 to 16.

세로 방향 중심선(Oy-Oy)으로부터 우측과 좌측으로 등거리를 둔 위치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압축 홈(11, 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압축 홈(11, 11)은 가로 방향 기준선(Ox-Ox) 부분에서 그 대향 간격이 좁아지도록,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볼록측이 향하게 되는 원호 곡선으로 되어 있다. 상기 내측 압축 홈(11)과 내측 압축 홈(11)은 전방 연결 압축 홈(12)과 후방 연결 압축 홈(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방 연결 압축 홈(12)은 전방 가장자리(1c)에 볼록측이 향하게 되는 곡선 형상이며, 후방 연결 압축 홈(13)은 후방 가장자리(1d)에 볼록측이 향하게 되는 곡선 형상이다.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positions equidistant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y-Oy to the right and the left.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re arcuate curves in which the convex side is directed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y-Oy so that the opposing interval becomes narrow i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Ox-Ox portion. The inner compression groove 11 and the inner compression groove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ront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 12 and a rear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 13. The front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 12 has a curved shape with the convex side facing the front edge 1c, and the rear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 13 has a curve shape with the convex side facing the rear edge 1d.

상기 내측 압축 홈(11, 11)과 상기 전방 연결 압축 홈(12)과의 경계로부터, 전방 가장자리(1c)를 향해서 전방 연장 압축 홈(14, 14)이 더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이 전방 연장 압축 홈(14, 14)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좌우로 등거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압축 홈(11, 11)과 상기 후방 연결 압축 홈(13)과의 경계로부터, 후방 가장자리(1d)를 향해서 후방 연장 압축 홈(15, 15)이 더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이 후방 연장 압축 홈(15, 15)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좌우로 등거리로 배치되어 있다.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nd the front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 12, the front extension compression grooves 14 and 14 extend further toward the front edge 1c. The front extension compression grooves 14 and 14 are arranged equidistant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y-Oy. In addition, the rear extension compression grooves 15 and 15 extend further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nd the rear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 13 toward the rear edge 1d. The rearward extension compression grooves 15 and 15 are arranged equidistant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y-Oy.

상기 내측 압축 홈(11, 11), 전방 연결 압축 홈(12), 후방 연결 압축 홈(13), 전방 연장 압축 홈(14, 14) 및 후방 연장 압축 홈(15, 15)은 전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압축 홈(11, 11), 전방 연결 압축 홈(12) 및 후방 연결 압축 홈(13)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의 피부측 표면의 소정 범위가 둘러싸이고, 이 둘러싸인 범위가 중앙 영역(20)으로 되어 있다. 이 중앙 영역(20)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에 대하여 좌우 대칭 형상이며, 또한, 가로 방향 기준선(Ox-Ox)에 대하여도 전후로 대칭 형상이다.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the front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s 12, the rear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s 13, the front extension compression grooves 14 and 14, and the rear extension compression grooves 15 and 15 are all formed continuously. It is. In additio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skin-side surface of the sanitary napkin 1 is surrounded by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the front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s 12 and the rear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s 13, and the enclosed range. Is the central region 20. The central region 20 has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y-Oy), and is also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Ox-Ox).

내측 압축 홈(11, 11)의 좌우 양 외측에는 외측 압축 홈(16, 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압축 홈(16, 16)은 상기 가로 방향 기준선(Ox-Ox)을 중심으로 하여 세로 방향의 전후의 소정 길이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압축 홈(16, 16)은 상기 내측 압축 홈(11, 11)과 서로 닮은 곡선 형상이며, 내측 압축 홈(11, 11)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다. Outer compression grooves 16 and 16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These outer compression grooves 16 and 16 are formed in the range of predetermined length before and aft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ing on the said horizontal reference line Ox-Ox. The outer compression grooves 16 and 16 have a curved shape similar to those of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n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 투과층(5)은 세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띠 형상이며, 그 양측 가장자리(5a, 5a)는 내측 압축 홈(11, 11)과 중복되는 일 없이, 상기 내측 압축 홈(11, 1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액 투과층(5)은 전방 연결 압축 홈(12)을 넘어 전방 가장자리(1c)까지 연장되어 있고, 또한, 후방 연결 압축 홈(13)을 넘어 후방 가장자리(1d)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연결 압축 홈(12)과 후방 연결 압축 홈(13)의 일부에서, 표면 시트(3)와 상기 액 투과층(5) 및 액 흡수층(4)이 함께 압축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has an elongated strip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s edges 5a and 5a do not overlap with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nd the inner side thereof. It is located inside the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Further,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extends beyond the front connecting compression grooves 12 to the front edge 1c, and extends beyond the rear connecting compression grooves 13 to the rear edge 1d. Thus, in part of the front connecting compression groove 12 and the rear connecting compression groove 13, the surface sheet 3,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nd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are compressed together.

상기 액 획득층(6)은 장방형이며, 양측 가장자리(6h, 6h)는 가로 방향 기준선(Ox-Ox) 부근에서, 상기 내측 압축 홈(11, 11)으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방 가장자리(6i)와 후방 가장자리(6j)는 전방 연결 압축 홈(12) 및 후방 연결 압축 홈(13)으로부터 세로 방향 내측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압축 홈(11, 11)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3)와 액 획득층(6) 및 액 흡수층(4)이 함께 압축되어 있다.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rectangular, and both edges 6h and 6h are located outward from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near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Ox-Ox. Further, the front edge 6i and the rear edge 6j are located longitudinally inward from the front connecting compression groove 12 and the rear connecting compression groove 13. Therefore, in the part of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the surface sheet 3,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nd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are compressed together.

상기 중앙 영역(20)에는 다수의 액 투과 구멍(25)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 투과 구멍(25)이, 표면 시트(3)를 관통하여 액 투과층(5)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 투과 구멍(25)이, 표면 시트(3)로부터 액 투과층(5)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 투과층(5)의 측방 가장자리(5a, 5a)으로부터 벗어나는 부분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3)에만 액 투과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liquid permeation holes 25 are regularly arranged in the central region 20. As shown in FIG. 3,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urface sheet 3 to reach the liquid permeation layer 5, and preferably,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is provided. It is formed through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from the surface sheet 3. Moreover, in the part which deviates from the side edge 5a, 5a of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is formed only in the said surface sheet 3. As shown in FIG.

상기 액 투과 구멍(25)의 개공 면적은 0.2∼8 mm2이며, 이 실시 형태와 같이 원형인 경우, 액 투과 구멍(25)의 직경이 0.5∼3.2 mm이다. 인접하는 액 투과 구멍(25)의 중심간 거리는 1.5∼8 mm이다.The opening area of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is 0.2 to 8 mm 2 , and when it is circular as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is 0.5 to 3.2 mm.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adjacent liquid permeation holes 25 is 1.5 to 8 mm.

상기 표면 시트(3)와 액 투과층(5)은 열융착이 가능한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표면 시트(3)와 액 투과층(5)이 겹쳐진 상태에서, 표면 시트(3)로부터 액 투과층(5)측을 향해서 가열된 바늘 또는 핀을 찔러 넣어 빼냄으로써 액 투과 구멍(25)이 형성된다. 이 때 액 투과 구멍(5)의 내면 및 그 주위에서는, 표면 시트(3)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섬유와, 액 투과층(5)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섬유가 서로 융착된다. 이에 따라, 액 투과 구멍(25)의 개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액 투과층(5)에 의해서 액 투과 구멍(25)의 개공 주위가 보강된다. 또한, 표면 시트(3)와 액 투과층(5)이 열융착되기 때문에, 표면 시트(3)와 액 투과층(5)을 접착제로 접착할 필요가 없어져, 접착제에 의해서 액의 투과가 저해되는 일이 없다.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contain thermoplastic fibers which can be heat-sealed. In the state where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overlap,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is formed by inserting a heated needle or pin from the surface sheet 3 towar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side. do. At this time, the thermoplastic fiber contained in the surface sheet 3 and the thermoplastic fiber contained in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re fused toge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quid permeation hole 5 and its periphery. Thereby, the opening shape of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can be maintained, and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is reinforced by the liquid permeation layer 5. Moreover, since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re heat-sealed, it is not necessary to adhere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with an adhesive, and the permeation of liquid is inhibited by the adhesive. There is no work.

상기 표면 시트(3)는 에어스루 부직포로 형성된다. 이 에어스루 부직포는 심부가 산화티탄을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초부가 폴리에틸렌(PE)인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를 이용하여, 이 섬유를 열풍에 의해서 접합한 것으로, 기본중량은 15∼60 g/m2 정도이다. 또한, 표면 시트(3)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복합 합성 섬유 중 대부분은 친수성 유제가 코팅되고, 나머지는 발수성 유제가 코팅되어, 이들이 혼합된 것으로, 발수성 유제가 코팅된 섬유의 혼합율은 10∼30 질량%이다. 표면 시트(3)에 발수성 유제가 코팅된 섬유를 상기 범위의 혼합율이 되도록 균일하게 포함시킴으로써 표면 시트(3)에 주어진 경혈이 표면 시트(3) 내에서 지나치게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경혈은 주로 액 투과 구멍(25)을 투과하여 액 흡수층(4)에 주어지게 된다.The surface sheet 3 is formed of an air through nonwoven fabric. This air-through nonwoven fabric is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ontaining titanium oxide in the core portion, and the fiber is bonded by hot air using a core sheath type synthetic synthetic fiber in which the super portion is polyethylene (PE). About 60 g / m 2 . In addition, most of the composite synthetic fibers constituting the surface sheet 3 is coated with a hydrophilic emulsion, the rest is coated with a water-repellent emulsion, these are mixed, the mixing ratio of the fiber coated with a water-repellent emulsion is 10 to 30 mass %to be. By uniformly including the fiber coated with the water-repellent emulsion in the surface sheet 3 so as to have a mixing ratio within the above range, the acupuncture points given to the surface sheet 3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excessively diffused in the surface sheet 3, Mainly, the liquid penetrating hole 25 penetrates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다만, 상기 표면 시트(3)는 액 투과 구멍(25) 이외의 영역에서도 경혈을 액 투과층(5)을 향해서 투과시킬 수 있다. 표면 시트(3)에 이러한 액 투과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표면 시트(3)의 밀도는 0.12 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하한은 0.025 g/cm3 정도이다.However, the surface sheet 3 can transmit the menstrual blood towar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even in a region other than the liquid permeable hole 25. In order to impart such a liquid permeation function to the surface sheet 3, it is preferable that the density of the surface sheet 3 is 0.12 g / cm <3> or less, and the minimum is about 0.025 g / cm <3> .

액 투과층(5)은 심부가 폴리프로필렌(PP)이고 초부가 폴리에틸렌(PE)인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된 에어스루 부직포로 형성된다. 액 투과층(5)의 에어스루 부직포는 모든 섬유가 친수성 유제로 코팅되어 있다. 즉, 발수성 유제가 코팅된 섬유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액 투과층(5)은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를 복수 장 겹쳐 구성되어 있으며, 예컨대 1장의 에어스루 부직포가 2장 겹침 3장 겹침 혹은 4장 겹침이 되도록 접어 포개어진 것이 사용된다. 1장의 에이스루 부직포의 기본중량은 15∼50 g/m2 정도이며, 액 투과층(5) 전체의 기본중량은 30∼150 g/m2 정도면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0 g/m2이다.The liquid permeable layer 5 is formed of an air through nonwoven fabric formed of a core sheath composite synthetic fiber having a core portion polypropylene (PP) and a super portion polyethylene (PE). In th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of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ll fibers are coated with a hydrophilic emulsion. That is, no fiber coated with a water repellent emulsion is includ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air through nonwoven fabrics, and for example, on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is folded and folded so that two sheets are stacked three sheets or four sheets. Is used. The basis weight of one aceru nonwoven fabric is about 15 to 50 g / m 2 , and the basis weight of the entire liquid permeable layer 5 may be about 30 to 150 g / m 2 , more preferably 50 to 100 g / m 2 . m 2 .

액 투과층(5)의 기본중량을 표면 시트(3)의 기본중량보다 크게 함으로써, 기본중량 및 밀도가 낮은 표면 시트(3)를 보강할 수 있어, 표면 시트(3)에 과대한 주름이 생기거나 액 투과 구멍(25) 부분에서 파열을 일으키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By making the basis weight of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larger than the basis weight of the surface sheet 3, the surface sheet 3 with a low basis weight and a low density can be reinforced, and excessive wrinkles arise in the surface sheet 3 Or rupture of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can be prevented.

액 투과층(5)의 섬유 밀도는 표면 시트(3)의 섬유 밀도보다 낮아, 0.016∼0.08 g/cm3이다. 예컨대, 표면 시트(3)는 섬도가 2.2 dtex인 섬유로 구성되고, 액 투과층(5)은 섬도가 4.4 dtex인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액 투과층(5)의 밀도는 표면 시트(3)보다 낮고, 액 투과층(5)이 섬도가 큰 섬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 투과층(5)은 쿠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폭의 범위에 상기 액 투과층(5)을 설치함으로써, 이 범위가 착용자의 신체에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다.The fiber density of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is lower than the fiber density of the surface sheet 3 and is 0.016 to 0.08 g / cm 3 . For example, the surface sheet 3 is composed of fibers having a fineness of 2.2 dtex,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is composed of fibers having a fineness of 4.4 dtex. Since the density of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is lower than that of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is formed of fibers with a large fineness,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can exhibit cushioning properties. Therefore, by providing the said liquid permeable layer 5 in the range of a constant width centering on a longitudinal center line (Oy-Oy), this range can contact a wearer's body smoothly.

상기 액 획득층(6)은 액의 흡수 기능과 투과 기능 및 형상 유지성을 갖는 흡수성 시트(8)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부형(賦形)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시트(8)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합성 수지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로서 화학 펄프가 사용되고, 합성 수지 섬유로서 심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초부가 폴리에틸렌(PE)인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가 사용된 에어레이드 부직포(에어레이드 펄프)이다. 이 에어레이드 부직포는 상기 섬유가 공간 속에서 적층되어 웹이 형성되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젼 등의 바인더가 주어져 바인더 함유량 5∼20 질량%의 시트로 된 것이다.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three-dimensionally shaped as shown in FIG. 4 by an absorbent sheet 8 having a liquid absorption function, a transmission function, and shape ret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absorbent sheet 8 contains cellulose fiber and synthetic resin fiber. In this embodiment, an airlaid nonwoven fabric (airlaid) in which chemical pulp is used as the cellulose-based fiber, and a core sheath composite synthetic fiber having a core par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a super value polyethylene (PE) is used as the synthetic resin fiber. Pulp). In this airlaid nonwoven fabric, the fibers are laminated in a space to form a web, and a binder such as an emulsion of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given to form a sheet having a binder content of 5 to 20% by mass.

액 획득층(6)에 흡수된 경혈을 원활하게 액 흡수층(4)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수성 시트(8)에는, 섬유의 합계에 대하여 상기 화학 펄프가 20 질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입체 형상을 경혈을 포함한 습윤 상태에서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섬유의 합계에 대하여 상기 합성 수지 섬유도 20 질량% 이상, 상기 흡수성 시트(8)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수성 시트를 형성하는 화학 펄프와 합성 수지 섬유의 질량비의 바람직한 범위는 80:20∼20:80이다. In order to smoothly transfer the menstrual blood absorbed by the liquid obtaining layer 6 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the absorbent sheet 8 preferably contains 20 mass% or more of the chemical pulp to the total of the fibers. . In addition, in order to be able to mainta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shown in FIG. 4 in the wet state including acupuncture poi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synthetic resin fiber is also contained in the said absorptive sheet 8 20 mas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total fiber. . That is, the preferable ranges of the mass ratio of the chemical pulp and synthetic resin fiber which form an absorbent sheet are 80: 20-20: 80.

액 획득층(6)을 도 4에 도시한 입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위해서, 흡수성 시트(8)의 기본중량은 20∼20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중량이 이 범위인 흡수성 시트(8)로서,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단층 구조로 이용하여도 좋고, 혹은 2층, 3층 구조로 접어 포개어도 좋다.In order to be able to hold | maintai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n the three-dimensional state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weight of the absorbent sheet 8 is 20-200 g / m <2> . As the absorbent sheet 8 having a basis weight in this range, the airlaid nonwoven fabric may be used in a single layer structure, or may be folded in a two or three layer structure.

도 4의 입체 형상으로 된 액 획득층(6)의 건조시의 인장 파단 강도는, X 방향과 Y 방향의 쌍방에 있어서 폭 25 mm당 2.5 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장 파단 강도는 폭 25 mm에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된 액 획득층(6)의 시편의 각각을, 100 mm의 척-대-척(chuck-to-chuck)간 거리로 유지하여, 상기 척 사이를 100 mm/분으로 넓혔을 때에 측정되는 최대 하중이다. 또한, 상기 액 획득층(6)에 후에 설명하는 인공 경혈을 흡수시킨 습윤 상태에서 측정한 습윤시의 인장 파단 강도는 상기 건조시의 인장 파단 강도의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le breaking strength at the time of drying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FIG. 4 is 2.5 N or more per 25 mm in width in both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This tensile breaking strength maintains each of the specimens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elongated in the X and Y directions at a width of 25 mm at a chuck-to-chuck distance of 100 mm. , The maximum load measured when the chuck is widened to 100 mm / minut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le strength at break measured in the wet state in which the artificial menstrual blood is absorbed i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described later is 20% or more of the tensile strength at drying, and more than 30%. desirable.

상기 범위에 기본중량 및 인장 파단 강도를 갖는 것이면, 액 획득층(6)은 건조시 및 습윤시에 있어서, 입체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되어, 액 획득층(6)의 오목부에 의해서 반복해서 주어지는 경혈을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기본중량 및 인장 파단 강도를 갖는 것이면, 액 획득층(6)은 상기 에어레이드 부직포 이외의 것이어도 좋다. As long as it has a basis weight and tensile breaking strength in the said range,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becomes easy to maintain a three-dimensional shape at the time of drying and wet, and is repeatedly given by the recessed part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Can function to maintain acupuncture points.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may be other than the said airlaid nonwoven fabric as long as it has a basis weight and tensile breaking strength in the said range.

예컨대, 펄프만을 바인더로 접합한 에어레이드 부직포여도 좋다. 혹은,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합성 수지 섬유를 워터제트로 교락시킨 스펀레이스 부직포여도 좋다.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인 펄프와 레이온의 적어도 한 쪽을 주체로 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와, 합성 수지 섬유를 주체로 하는 에어스루 부직포를 워터제트 처리나 히트시일로 일체화한 복합 시트여도 좋다. 상기 스펀레이스 부직포는 마찬가지로, 포인트본드 부직포, 혹은 스펀본드 부직포와 일체화하여도 좋다. 혹은, 상기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개공 필름에 접합하여도 좋다. For example, the airlaid nonwoven fabric which bonded only pulp with a binder may be sufficient. Alternatively, a spunlace nonwoven fabric may be obtained in which cellulose fibers and synthetic resin fibers are entangled with a water jet. Alternatively, a composite sheet in which a spunlace nonwoven fabric mainly composed of pulp and rayon, which are cellulose fibers, and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mainly composed of synthetic resin fibers, may be integrated with a water jet treatment or a heat seal. Similarly, the spunlace nonwoven fabric may be integrated with a point bond nonwoven fabric or a spunbond nonwoven fabric. Alternatively, the spunlace nonwoven fabric may be bonded to the apertured film.

또한, 액 획득층(6)을 다종의 섬유로 형성하는 경우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이, 액 투과층(5)을 향하는 측에서 액 흡수층(4)을 향하는 측보다 높게 된 것을 사용하면, 액 투과층(5)으로부터 액 획득층(6)으로 경혈을 끌어넣기 쉬워진다. 반대로, 액 흡수층(4)을 향하는 측에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함유율을 높게 하면, 액 흡수층(4)으로 경혈을 이행시키기 쉬워진다. In the case where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formed of various kinds of fibers, when the content rate of the cellulose fibers is higher than the side facing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from the side facing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cupuncture points are easily drawn from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in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On the contrary, when the content rate of a cellulose fiber is made high on the side toward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it will become easy to transfer acupuncture points to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 획득층(6)은 표면 시트(3)에 볼록측이 향하도록 변형한 세로 리브(6a)와, 마찬가지로 표면 시트(3)에 볼록측이 향하도록 변형한 가로 리브(6b)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 리브(6a)는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가로 방향(X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위치하여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로 리브(6b)는 인접하는 세로 리브(6a)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로 리브(6b)는 열을 이루며, 각 열에서 가로 리브(6b)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열 사이에서는, 인접하는 가로 리브(6b)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하나의 열의 가로 리브(6b)와, 그 이웃의 열의 가로 리브(6b)가 번갈아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has the vertical rib 6a deformed so that the convex side may face the surface sheet 3, and the horizontal rib deformed so that the convex side may face the surface sheet 3 similarly. The rib 6b is formed. The vertical ribs 6a extend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Y direction), are positioned at equal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direction), and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ribs 6b are formed to connect adjacent longitudinal ribs 6a. The horizontal ribs 6b form a row, and in each row, the horizontal ribs 6b are form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between adjacent rows, adjacent horizontal ribs 6b are not positioned on the same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such that horizontal ribs 6b of one row and horizontal ribs 6b of adjacent rows are alternately positioned. It is.

상기 세로 리브(6a)와 가로 리브(6b)로 둘러싸인 부분에서 액 획득층(6)은 액 흡수층(4)을 향해 움푹 패여 있고, 세로 리브(6a)와 가로 리브(6b)로 구획된 이들의 오목부가 6c로 표시되어 있다. 이 오목부(6c)는 X 방향보다 Y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긴 형상이다. 이와 같이, 액 획득층(6)에는 다수의 상기 오목부(6c)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In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longitudinal ribs 6a and the horizontal ribs 6b,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recessed toward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and those divided into the longitudinal ribs 6a and the horizontal ribs 6b are The recess is marked 6c. This recessed part 6c is a longitudinally long shape longer in a Y direction than an X direction. In this manner, a plurality of the recesses 6c are regularly arranged i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액 획득층(6)은 양측 가장자리(6h, 6h)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폭 치수(Wa)의 범위가 평탄부(6f, 6f)로 되어 있다. 이 평탄부(6f, 6f)에는 상기 오목부(6c)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평탄부(6f, 6f)는 후술하는 폭 치수를 갖는 세로 리브(6a)보다 폭이 넓다. 구체적으로는, 평탄부(6f)의 폭 치수(Wa)는 세로 리브(6a)의 폭 치수의 1.2∼10 배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배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액 획득층(6)의 양측부에 평탄부(6f, 6f)가 형성되어, 평탄부(6f)와 평탄부(6f)에서 끼워진 전체 영역에 상기 오목부(6c)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혹은, 액 획득층(6)의 양단부에, 전방 가장자리(6i) 및 후방 가장자리(6j)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방 가장자리(6i)와 후방 가장자리(6j)로부터의 평탄부의 폭 치수는 가로 리브(6b)의 폭 치수의 1.2∼10 배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배이다.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has flat portions 6f and 6f having a constant width dimension Wa inward from both side edges 6h and 6h. The recesses 6c are not formed in these flat portions 6f and 6f. The flat portions 6f and 6f are wider than the vertical ribs 6a having the width dimension described later. Specifically, the width dimension Wa of the flat portion 6f is preferably 1.2 to 10 times the width dimension of the longitudinal rib 6a, and more preferably 2 to 5 times. In this embodiment, the flat parts 6f and 6f are formed in both sides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nd the said recessed part 6c is regular in the whole area | region sandwiched between the flat part 6f and the flat part 6f. Are arranged. Alternatively, flat portion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ward from the front edge 6i and the rear edge 6j. In this case, the width dimension of the flat portion from the front edge 6i and the rear edge 6j is preferably 1.2 to 10 times the width dimension of the horizontal rib 6b, more preferably 2 to 5 times.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6c)의 하면으로부터 세로 리브(6a)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h1)는 오목부(6c)의 하면으로부터 가로 리브(6b)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h2)보다 높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로 리브(6a)의 꼭대기부가, 상기 액 투과층(5)의 하면에 접하여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6c)의 하면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액 흡수층(4)의 상면에 접착되어 있다. 즉, 각각의 세로 리브(6a)의 꼭대기부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액 투과층(5)에 접하고 있으며, 각각의 오목부(6c)의 하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액 흡수층(4)에 접하고 있다. 또한, 액 획득층(6)의 상기 평탄부(6f, 6f)도 액 투과층(5)의 하면에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height dimension h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 6c to the top of the longitudinal rib 6a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 6c to the top of the horizontal rib 6b. It is higher than the height dimension h2. As shown in FIG. 3, the top of the longitudinal rib 6a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with a hot melt adhesiv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 6c is attached to the hot melt adhesive. It adhere | attach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by this. That is, the top of each longitudinal rib 6a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abuts on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nd the bottom surface of each recess 6c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placed on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I'm in contact. Further, the flat portions 6f and 6f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re also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with a hot melt adhesive.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액 획득층(6)의 하면과, 액 흡수층(4)의 상면의 일부에 랜덤하게 도공되어 있어, 액 투과층(5)으로부터 액 획득층(6)으로의 경혈의 침투와, 액 획득층(6)으로부터 액 흡수층(4)으로의 경혈의 침투가, 상기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The hot melt adhesive is randomly co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nd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so that menstrual blood penetrates from the liquid transmission layer 5 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Penetration of menstrual blood from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nto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is prevented from being inhibited by the hot melt adhesive.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 리브(6b)의 꼭대기부는 세로 리브(6a)의 꼭대기부보다 낮기 때문에, 가로 리브(6b)의 적어도 일부의 것은 그 꼭대기부가 액 투과층(5)에 접착되어 있지 않고, 그 가로 리브(6b)의 꼭대기부와 액 투과층(5)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op of the horizontal rib 6b is lower than the top of the vertical rib 6a, at least a part of the horizontal rib 6b is not adhered to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 minute gap is formed between the top of the horizontal rib 6b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후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상기 액 획득층(6)은, 평탄한 흡수성 시트(8)를 성형 롤로 사이에 끼워 입체 형상으로 부형한 것이다. 이 입체 형상으로 부형할 때에, 오목부(6c)의 벽부(6e)에 인장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이 벽부(6e)에서는 섬유끼리를 분리하는 힘이 작용하여, 이 벽부(6e)에, 세로 리브(6a)의 꼭대기부와 가로 리브(6b)의 꼭대기부 및 오목부(6c)의 바닥부(6d)보다 섬유 밀도가 낮은 저밀도 부분이 생긴다. 또한, 상기 벽부(6e)에는 상기 응력의 집중에 의해 균열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또한, 세로 리브(6a)의 꼭대기부와 오목부(6c)의 바닥부(6d)에서는, 흡수성 시트(8)를 형성하고 있는 섬유가 가압되어, 이 부분에서는 섬유 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평탄부(6f)에는 성형시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평탄부(6f)는 세로 리브(6a)의 꼭대기부 및 오목부(6c)의 바닥부(6d)보다 밀도가 낮아지고 있다. As described later,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shap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by sandwiching the flat absorbent sheet 8 between the forming rolls. When shaping in this three-dimensional shape, since a tensile stress concentrates on the wall part 6e of the recessed part 6c, the force which isolate | separates fibers from this wall part 6e acts, and this wall part 6e is lengthwise. A low density portion having a lower fiber density than the top of the rib 6a and the top of the transverse rib 6b and the bottom 6d of the recess 6c is produced. In addition, cracks may occur in the wall portion 6e due to concentration of the stress. In addition, at the top part of the vertical rib 6a and the bottom part 6d of the recessed part 6c, the fiber which forms the absorbent sheet 8 is pressed, and the fiber density is high in this part. 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at the time of shaping | molding does not act on the flat part 6f, the flat part 6f is lower in density than the top part of the longitudinal rib 6a and the bottom part 6d of the recessed part 6c. .

또한, 액 획득층(6)의 평균 밀도는 표면 시트(3) 및 액 투과층(5)보다 높고, 그 아래의 액 흡수층(4)의 섬유 밀도보다 낮다. 액 획득층(6)의 세로 리브(6a)가 액 투과층(5)에 접하고, 오목부(6c)의 바닥부(6d)가 액 흡수층(4)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밀도 구배에 의해, 경혈은 표면 시트(3)로부터 액 투과층(5)을 지나서 액 획득층(6)으로 이행하기 쉽고, 또한, 액 획득층(6)으로부터 액 흡수층(4)으로 이행하기 쉽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액 획득층(6)의 오목부(6c)의 벽부(6e)에 섬유가 떨어진 혹은 균열이 생긴 저밀도 부분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6c)에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 경혈은 빠르게 액 흡수층(4)으로 이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average density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higher than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nd lower than the fiber density of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thereunder. Since the longitudinal rib 6a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in contact with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nd the bottom part 6d of the recess 6c is in contact with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according to the density gradient, Acupuncture points tend to migrate from the surface sheet 3 past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nd also easily transfer from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to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density portion in which the fiber is dropped or cracked exists in the wall portion 6e of the recess 6c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the recess 6c is temporarily stopped. The acupuncture points can be quickly transferred 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경혈이, 액 투과층(5)으로부터 액 획득층(6)으로 빠르게 이행하고, 또한, 액 획득층(6)으로부터 액 흡수층(4)으로 신속히 주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액 획득층(6)의 평균 밀도는 0.05∼0.25 g/cm3이 바람직하며, 이 액 획득층(6)의 아래에 위치하는 액 흡수층(4)의 섬유 밀도는 0.07∼0.25 g/cm3이 바람직하다.In order for the acupuncture points to rapidly transfer from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nd to be rapidly given from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to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the average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averaged. density is the fiber density of the liquid absorbent layer (4) positioned under the 0.05~0.25 g / cm 3 are preferred,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preferably 0.07~0.25 g / cm 3.

상기 세로 리브(6a)의 (1/2)·h1의 높이 위치에서의 폭 치수는 2∼10 mm, 바람직하게는 2∼6 mm이며, 가로 리브(6b)의 (1/2)·h2의 높이 위치에서의 폭 치수는 2∼10 mm, 바람직하게는 2∼6 mm이다. 또한, 액 획득층(6)의 높이(h1)는 1.3∼5 mm이다. 표면 시트(3)를 투과한 경혈을 오목부(6c)에서 충분히 고이게 할 수 있기 위해서는, 하나의 상기 오목부(6c)의 (1/2)·h2의 높이 위치에서의 개구 면적은 5∼20 mm2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오목부(6c)의 공간 용적{상기 면적×(높이(h1)-흡수성 시트의 두께)}는 8∼80 mm3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idth dimension at the height position of (1/2) -h1 of the said longitudinal rib 6a is 2-10 mm, Preferably it is 2-6 mm, and of (1/2) -h2 of the horizontal rib 6b The width dimension at the height position is 2 to 10 mm, preferably 2 to 6 mm. In addition, the height h1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1.3 to 5 mm. In order that the acupuncture points which permeate | transmitted the surface sheet 3 can be made high enough in the recessed part 6c, the opening area in the height position of (1/2) -h2 of one said recessed part 6c is 5-2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m <2> ,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volume of the recessed part 6c (the area X (thickness (h1)-thickness of a water absorbent sheet)) is 8-80 mm <3> .

또한, 하나의 오목부(6c)의 (1/2)·h2의 높이 위치에서의 종횡비(즉, Y 방향의 치수의 X 방향의 치수에 대한 비)는 1.1∼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7,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이다. 종횡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액 획득층(6)에서 획득한 경혈을 세로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가로 방향으로 확산이 증대될 우려가 생기며, 또한 종횡비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가로 리브(6b)끼리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어져, 대퇴부 등으로부터 가로 방향을 향하는 압축력을 받았을 때에, 가로 방향으로의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할 수 없다. In addition, the aspect ratio (that is, the ratio of the dimension in the Y direction to the dimension in the X direction) at the height position of (1/2) · h2 of one concave portion 6c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1 to 10. Preferably it is 1.5-7, Most preferably, it is 2-5. If the aspect ratio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function of guiding the acupuncture points obtained i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wer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iffu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creased, and if the aspect ratio exceeds the above range, the horizontal rib ( 6b) The space | interval between each other becomes wide too much, and when sufficient compressive force toward a horizontal direction is received from a thigh part etc., sufficient elastic restoring force in a horizontal direction cannot be exhibited.

이 액 획득층(6)에서는, 가로 리브(6b)가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생리용 냅킨(1)에 대하여, 전방 가장자리(1c)와 후방 가장자리(1d)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또한, 피부측 표면이 오목이 되도록 만곡하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액 획득층(6)은 이 변형에 추종하여 만곡하기 쉬워진다. 특히 오목부(6c)의 종횡비가 상기 범위내이면, 액 획득층(6)이 상기 방향으로 만곡하기 쉬워진다. 생리용 냅킨(1)의 만곡 변형에 액 획득층(6)이 추종함으로써, 액 획득층(6)과 액 투과층(5)과의 계면의 박리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In this liquid acquisition layer 6, horizontal ribs 6b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applied to the sanitary napkin 1 when a bending force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edge 1c and the rear edge 1d approach and the skin side surface is concave. It follows thi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becomes easy to bend. When the aspect ratio of the recessed part 6c is especially in the said range,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will become easy to bend in the said direction. By follow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to the curvature deformation of the sanitary napkin 1, peeling of the interface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becomes difficult to occur.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리브(6b)는 가로 방향(X 방향)을 향해 번갈아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 획득층(6)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을 향해서 만곡하기 쉬워진다. 또한, 가로 리브(6b)의 높이(h2)가 세로 리브(6a)의 높이(h1)보다 낮기 때문에, 액 획득층(6)은 측방 가장자리(6h와 6h)가 서로 접근하고 게다가 피부측을 향하는 면이 오목형이 되는 방향으로도 변형하기 쉬워진다. As shown in FIG. 4, since the horizontal ribs 6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directio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easy to b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Further, since the height h2 of the horizontal ribs 6b is lower than the height h1 of the vertical ribs 6a,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has the side edges 6h and 6h approaching each other and further facing the skin side. It becomes easy to deform also in the direction where a surface becomes concave.

상기 액 흡수층(4)은 분쇄 펄프, 머서화 펄프, 크로스링크 펄프 등의 펄프의 집합체에,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아크릴아미드, 무수말레산 등의 합성 흡수 중합체나, 전분, 셀룰로오스 등의 천연계의 흡수 중합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펄프 및 상기 합성 흡수 중합체 등이, 친수성의 티슈 페이퍼로 둘러싸인 것이 사용된다.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is a synthetic absorbent polymer such as polyacrylate, polyacrylamide, maleic anhydride, or natural absorbent such as starch, cellulose, or the like in aggregates of pulp such as pulverized pulp, mercerized pulp, and crosslinked pulp. As the polymer is contained, one in which pulp, the synthetic absorbent polymer and the like are surrounded by hydrophilic tissue paper is used.

상기 이면 시트(2)는 액체 불투과성이고 또한, 통기성의 시트이며, 미세한 통기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PE) 필름, 혹은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등이다. 예컨대, 플라스틱 시트에 CaCO3, BaSO4 등의 무기 필러를 혼합시켜 연신 처리함으로써, 미세한 통기공이 필름에 적절히 분산되어 형성되어, 통기성이 향상된다. 필름은 두께가 15∼50 ㎛ 정도이다.The back sheet 2 is a liquid impermeable and breathable sheet, and is a polyethylene (PE) film or a polypropylene (PP) film having fine ventilation holes. For example, by mixing an inorganic filler such as CaCO 3 , BaSO 4, or the like into a plastic sheet and stretching the fine sheet, fine air holes are suitably dispersed and formed in a film, thereby improving air permeability. The film is about 15-50 micrometers in thicknes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측 표면의 좌우 양측에는 불투액성 시트(30, 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1A, 1A)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시트(30, 30)가 이면 시트(2) 위에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세로 방향 중심선(Oy-Oy)으로부터 좌우로 등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불투액성 시트(30, 30)가 2장 겹침으로 접어 포개어지고, 그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32)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32)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과의 사이에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여 생리용 냅킨(1)을 만곡시켜, 그 결과 생리용 냅킨(1)의 전후의 중간 부분에서, 불투액성 시트(30, 30)가 기립하여 샘 방지벽(31, 31)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impermeable sheets 30 and 30 are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skin side surface. In the wing parts 1A and 1A, the impervious liquid sheets 30 and 30 are bonded to the back sheet 2 with a hot melt adhesive. At an equidistant side-to-side distance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y-Oy), the impermeable sheets 30 and 30 are folded in two stacks, and an elastic member 3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bonded thereto. . By the elastic member 32, an elastic con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1 to bend the sanitary napkin 1, and as a result, before and after the sanitary napkin 1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mpermeable sheets 30 and 30 stand up to form the leakage preventing walls 31 and 31.

상기 불투액성 시트는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혹은 이들을 적층한 복합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The impervious sheet is formed of a spunbond nonwoven fabric, a meltblown nonwoven fabric, or a composite nonwoven fabric laminated therewith.

액 흡수층(4)의 기본중량은 중앙 영역(20)에 있어서 가장 크다. 내측 압축 홈(11, 11)과 외측 압축 홈(16, 16)에 의해 끼워진 부분의 기본중량은 상기 중앙 영역(20)보다 작다. 그 이외의 부분의 액 흡수층(4)의 기본중량은 내측 압축 홈(11, 11)과 외측 압축 홈(16, 16)에 의해 끼워진 부분과 동등하거나 혹은 조금 작게 되어 있다. The basis weight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is the largest in the central region 20. The basis weight of the portion sandwiched by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nd the outer compression grooves 16 and 16 is smaller than the central region 20. The basis weight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in other portions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portion sandwiched by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nd the outer compression grooves 16 and 16.

중앙 영역(20)에서의 액 흡수층(4)의 바람직한 기본중량은 400∼1200 g/m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1000 g/m2이다. 상기 내측 압축 홈(11, 11)과 외측 압축 홈(16, 16)에 의해 끼워진 부분의 바람직한 기본중량은 300∼900 g/m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600 g/m2이다. 또한, 그 외의 부분의 액 흡수층(4)의 바람직한 기본중량은 200∼700 g/m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500 g/m2이다.The preferred basis weight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in the central region 20 is 400 to 1200 g / m 2 , more preferably 500 to 1000 g / m 2 . The preferred basis weight of the portion sandwiched by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nd the outer compression grooves 16 and 16 is 300 to 900 g / m 2 , and more preferably 350 to 600 g / m 2 . Moreover, the preferable basis weight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of other parts is 200-700 g / m <2> , More preferably, it is 300-500 g / m <2> .

그 결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영역(20)에서 두께가 커지고, 중앙 영역(20)에서는, 피부측 표면이 착용자의 신체를 향해서 크게 팽창된 형상이 된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 thickness becomes large in the center area | region 20, and in the center area | region 20, the skin side surface becomes a shape expanded large toward the wearer's body.

중앙 영역(20)의 길이, 즉 전방 연결 압축 홈(12)과 후방 연결 압축 홈(13)의 세로 방향의 간격은 50 mm 이상이다. 도 2에 도시한 가로 방향 기준선(Ox-Ox) 상에서의 중앙 영역(20)의 폭 치수(W1)는 여성의 성기의 폭에 따라서 결정된다. 여성의 가랑이의 폭의 평균은 30 mm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폭 치수(W1)는 15∼5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한, 20∼4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central region 20, that is, the longitudinal gap between the front linkage compression groove 12 and the rear linkage compression groove 13, is at least 50 mm. The width dimension W1 of the central region 20 o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Ox-Ox shown in FIG. 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emale genitalia. Since the average width of the crotch of a woman is about 30 mm, the width dimension W1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50 mm,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40 mm.

이 생리용 냅킨(1)을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할 때에는, 이면 시트(2)의 외면에 설치된 감압 접착제를, 도 2에 도시한 가랑이 천(26)의 내면에 접착하고, 날개부(1A, 1A)를 가랑이 천(26)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도록 하여, 속옷의 외면을 향해서 구부려, 날개부(1A, 1A)의 착의측 표면에 설치된 감압 접착제를 가랑이 천(26)의 외면에 접착한다. When attaching the sanitary napkin 1 to the wearer's bod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sheet 2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otch cloth 26 shown in FIG. 1A) is wound around both edges of the crotch fabric 26, and is bent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ea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vided on the wear-side surface of the wing portions 1A and 1A is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rotch fabric 26.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생리용 냅킨(1)은 중앙 영역(20)이 착용자의 신체를 향해서 부풀어 있기 때문에, 이 중앙 영역(20)이 질구에 밀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상기 중앙 영역(20)의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3)는 저밀도의 에어스루 부직포이며, 그 아래에는 부피가 큰 에어스루 부직포의 액 투과층(5)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앙 영역(20)이 착용자의 신체에 부드럽게 접촉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2, the sanitary napkin 1 is easily in close contact with the vaginal opening because the central region 20 is swollen toward the wearer's body. The surface sheet 3 located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central region 20 is a low density air through nonwoven fabric, and a liquid permeable layer 5 of a bulky air through nonwoven fabric is provided thereunder. For this reason, the central region 20 can smoothly contact the wearer's body.

질구로부터 배설된 경혈은 주로 중앙 영역(20)에 주어진다. 표면 시트(3)는 저밀도의 부직포이기 때문에, 경혈은 표면 시트(3) 내에 침투 가능하다. 그러나 표면 시트(3)에 발수성 유제를 코팅한 섬유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3)에서의 경혈의 확산은 억제되어 있다. 표면 시트(3) 아래에 위치하는 액 투과층(5)은 에어스루 부직포로 내부에 공극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경혈은 중력에 의해서 액 투과층(5)의 공극 속을 통과하여, 그 아래에 위치하는 액 획득층(6)으로 낙하한다. 다만, 중앙 영역(20)에 주어진 경혈의 대부분은 액 투과 구멍(25) 속을 빠르게 통과하여, 직접 액 획득층(6)을 향해 낙하한다. Acupuncture points excreted from the vaginal opening are mainly given in the central region 20. Since the surface sheet 3 is a low density nonwoven fabric, menstrual blood can penetrate into the surface sheet 3. However, since the fiber coated with the water-repellent emulsion is contained in the surface sheet 3, the diffusion of menstrual blood in the surface sheet 3 is suppressed. Since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positioned below the surface sheet 3 has voids inside the air through nonwoven fabric, the menstrual blood passes through the voids of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by gravity and is located below it. It falls 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made. However, most of the menstrual blood given to the central region 20 passes quickly through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and falls directly toward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액 획득층(6)으로 낙하한 경혈은 이 액 획득층(6)을 형성하는 흡수성 시트(8)로 흡수되고, 또한, 그 아래에 위치하는 액 흡수층(4)에 주어진다. 표면 시트(3)에 일시에 많은 경혈이 주어지면, 이 경혈이 액 투과 구멍(25)을 투과하여 액 획득층(6)으로 낙하하지만, 이 경혈은 액 획득층(6)의 오목부(6c) 내에 즉시 고인다. 따라서, 경혈의 배설량이 많아도, 이것이 표면 시트(3)나 액 투과층(5)에 긴 시간 체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중앙 영역(20)의 피부측 표면이 건조에 가까운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장착자의 가랑이에 습윤감이나 후덥지근한 느낌을 주기 어렵게 되어 있다. The menstrual blood which has fallen 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absorbed by the absorbent sheet 8 form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nd is given to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positioned below it. When a large amount of acupuncture points are given to the surface sheet 3 at one time, the acupuncture points penetrate through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and fall 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but this acupuncture points are recessed portions 6c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 Immediately accumulate. Therefore, even if the amount of excretion of acupuncture points is large, this does not stay in the surface sheet 3 or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for a long time. Accordingly, the skin-side surface of the central region 20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close to dryness, and it is difficult to give a wet feeling or a muggy feeling to the crotch of the wearer.

액 획득층(6)의 오목부(6c)에 주어진 경혈은 오목부(6c)의 바닥부(6d)으로부터, 또한, 오목부(6c)의 벽부(6e)에서의 저밀도 부분 혹은 파손 부분으로부터 액 흡수층(4)으로 빠르게 도입된다. 또한, 공간 용적 이상의 양으로 오목부(6c)의 몇 개인가에 경혈이 주어지면, 이 경혈은 비교적 낮은 가로 리브(6b)를 넘어서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6c)로 이행해 나간다. 또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각 오목부(6c)의 양측부를 구획하는 세로 리브(6a)는 그 꼭대기부가 액 투과층(5)에 접촉하여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액 획득층(6)에 있어서 경혈이 가로 방향으로 확산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다량으로 주어진 경혈은 세로 방향으로 늘어선 오목부(6c)로 순차 이행하면서 액 흡수층(4)에서 흡수되어 가게 된다. The menstrual blood given to the recessed portion 6c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discharged from the bottom portion 6d of the recessed portion 6c and from the low density portion or the broken portion at the wall portion 6e of the recessed portion 6c. It is rapidly introduced into the absorbent layer 4. In addition, when a few of the concave portions 6c are given to the concave portion 6c in an amount greater than the volume of space, the acupuncture points move beyond the relatively low transverse ribs 6b to the concave portions 6c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the longitudinal ribs 6a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artition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recesses 6c are bonded 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because their top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and adhered to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Therefore, menstrual blood is difficult to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acupuncture points given in large quantities are absorbed by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while sequentially moving to the recesses 6c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액 획득층(6)의 좌우 양측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6f, 6f)로 되며, 이들은 세로 리브(6a)보다 섬유 밀도가 낮다. 따라서, 액 획득층(6)을 가로 방향(X 방향)으로 전해지는 경혈이 존재하여도, 상기 평탄부(6f, 6f)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새는 것에 대한 불안을 저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become flat portions 6f and 6f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are lower in fiber density than the longitudinal ribs 6a. Therefore, even if the acupuncture points which transmit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to a horizontal direction (X direction) exist, it can block by the said flat part 6f, 6f. Therefore, the anxiety about leak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reduced.

가령 액 획득층(6)의 양측 가장자리(6h, 6h)를 향하여, 혹은 거기를 넘어서 더욱 가로 방향으로 경혈이 이행하였다 하여도, 이 경혈은 내측 압축 홈(11, 11), 혹은 외측 압축 홈(16, 16)에 의해서 멈추어지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1)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액이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For example, even if the menstrual blood has migrated further to the sides 6h and 6h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or beyond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menstrual blood is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or the outer compression grooves ( Since it stops by 16, 16, it can suppress the leakage of a liquid from the sanitary napkin 1 to a horizontal direction effectively.

액 획득층(6)을 형성하는 흡수성 시트(8)는 합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경혈을 흡수한 습윤 상태에 있어서도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용자의 가랑이에서 중앙 영역(20)에 작용하는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도 4에 도시한 원래의 입체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세로 리브(6a)와 가로 리브(6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 획득층(6)은 탄성 복원 기능이 우수하다. Since the absorbent sheet 8 form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contains synthetic resin fiber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three-dimensional shape even in a wet state in which menstrual blood is absorbed. 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acting on the central region 20 in the crotch of the wearer is removed, the original three-dimensional shape shown in FIG. 4 can be restored. In particular, since the vertical ribs 6a and the horizontal ribs 6b are provided,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excellent in the elastic restoring function.

다음으로, 상기 생리용 냅킨(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id sanitary napkin 1 is demonstrated.

우선, 액 획득층(6)을 도 4에 도시한 입체 형상으로 부형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First, the process of shap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nto the three-dimensional shape shown in FIG. 4 is demonstrated.

도 7은 액 획득층(6)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틀(4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하부 틀(5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상부 틀(40)의 IX-IX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old 40 for form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mold 50.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the upper mold 40.

도 7에 도시한 상부 틀(40)에는, 열을 이루는 볼록부(41)와, 상기 볼록부(41)의 인접하는 열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1)와 홈부(42)는 함께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41)의 각 열에는 세로 방향(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41)와 오목부(43)가 세로 방향으로 교호하고 있다. 볼록부(41)의 열의 하나에 배치된 오목부(43)는 거기에 인접하는 볼록부(41)의 열에 배치된 인접하는 오목부(43)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인접하는 볼록부(41)의 열 사이에서는 상기 오목부(43)가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 In the upper mold 40 shown in FIG. 7, a convex portion 41 forming a row and a groove portion 42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rows of the convex portion 41 are formed. The convex part 41 and the groove part 42 ar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together, and ar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each row of the convex portions 41, recesses 43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convex portions 41 and the concave portions 43 altern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cessed part 43 arrange | positioned at one of the rows of the convex part 41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adjacent recessed part 43 arrange | positioned at the row of the convex part 41 adjacent to it. In other words, the concave portions 43 are alternately arranged between the rows of the adjacent convex portions 41.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볼록부(41)의 세로 방향의 대향 단부(41a)는 둥글게 되고, 상기 홈부(42)의 저면(42a)으로부터 상기 볼록부(41)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H1)는 상기 저면(42a)으로부터 상기 오목부(43)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H2)보다 높게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vertically opposed end portions 41a of the convex portions 41 are rounded, and the height from the bottom face 42a of the groove portion 42 to the top of the convex portion 41 is increased. The dimension H1 is higher than the height dimension H2 from the bottom face 42a to the top of the recess 43.

도 8에 도시한 하부 틀(50)에는, 볼록 라인부(51)와, 인접하는 볼록 라인부(51)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 라인부(51)와 홈부(52)는 서로 평행하게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부 틀(40)의 볼록부(41)는 하부 틀(50)의 홈부(52)와 동일한 피치로 가로 방향(X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In the lower mold 50 shown in FIG. 8, the groove part 52 located between the convex line part 51 and the adjacent convex line part 51 is formed. The convex line part 51 and the groove part 52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convex portions 41 of the upper mold 40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direction) at the same pitch as the grooves 52 of the lower mold 50.

상기 상부 틀(40)의 짝이 되는 면과 하부 틀(50)의 짝이 되는 면이,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의 초부의 폴리에틸렌의 융점보다 낮은 120℃ 정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틀(40)과 하부 틀(50) 사이에 흡수성 시트(8)가 끼워진다. 상부 틀(40)과 하부 틀(50)은 볼록부(41)가 홈부(52)에 들어가고, 볼록 라인부(51)가 홈부(42)로 들어가도록 조합된다. 다만, 상부 틀(40)의 볼록부(41)의 꼭대기부와 하부 틀(50)의 홈부(52)의 저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클리어런스가 유지되고, 하부 틀(50)의 볼록 라인부(51)의 꼭대기부와, 상부 틀(40)의 홈부(42)의 저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클리어런스가 유지되도록, 짝을 이룬 상태에서 상부 틀(40)은 하부 틀(50)에 눌려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The mating surface of the upper mold 40 and the mating surface of the lower mold 50 are heated to about 120 ° 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polyethylene at the beginning of the heart sheath composite synthetic fiber, as shown in FIG. 10. As such, the absorbent sheet 8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mold 40 and the lower mold 50. The upper mold 40 and the lower mold 50 are combined such that the convex portion 41 enters the groove portion 52 and the convex line portion 51 enters the groove portion 42. However, a slight clear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top of the convex portion 41 of the upper mold 40 and the bottom of the groove portion 52 of the lower mold 50, and the convex line portion of the lower mold 50 ( The upper mold 40 is not pressed against the lower mold 50 in a mated state such that a slight clear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top of 51 and the bottom of the groove 42 of the upper mold 40. It is.

그 결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틀(50)의 볼록 라인부(51)에 의해서 세로 리브(6a)가 형성되고, 상부 틀(40)의 볼록부(41)에 의해서 오목부(6c)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틀(40)의 오목부(43)에 의해서 흡수성 시트(8)가 가볍게 가압되어, 이 오목부(43)에 의해서 상기 가로 리브(6b)가 형성된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 the longitudinal ribs 6a are formed by the convex line portions 51 of the lower mold 50, and the concave portions are formed by the convex portions 41 of the upper mold 40. 6c) is formed. In addition, the absorbent sheet 8 is lightly pressed by the recessed portion 43 of the upper mold 40, and the horizontal rib 6b is formed by the recessed portion 43.

또한, 상부 틀(40)의 양측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44, 44)이 형성되고, 하부 틀(50)의 양측부에도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53, 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44, 44)과 평면(53, 53)과의 사이에서는, 흡수성 시트(8)가 가압되지 않은 채로, 상기 평탄부(6f, 6f)가 형성된다. In addition, planes 44 and 4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mold 40, and planes 53 and 53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mold 50. . Between the planes 44 and 44 and the planes 53 and 53, the flat portions 6f and 6f are formed without the absorbent sheet 8 being pressed.

짝이 되는 상태에서 클리어런스를 남기도록 설치되고 또한, 복합 합성 섬유의 융점보다 약간 낮은 온도로 가열된 상부 틀(40)과 하부 틀(50) 사이에, 흡수성 시트(8)가 끼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흡수성 시트(8)가 성형되기 때문에, 액 획득층(6)에는 섬유가 완전히 용융·고화되어 액 투과를 방해하는 필름형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복합 합성 섬유가 연화될 정도의 온도로 가열됨으로써, 성형후에 도 4에 도시한 입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absorbent sheet 8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mold 40 and the lower mold 50 which are installed to leave a clearance in the mated state and heated to a temperature slightly below the melting point of the composite synthetic fiber. In this way, since the absorbent sheet 8 is molded, there is no film-like portion i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which completely melts and solidifies the fiber and hinders liquid permeation. In addition, the composite synthetic fibers are heated to a temperature that softens, thereby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shown in FIG. 4 after molding.

액 획득층(6)의 오목부(6c)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볼록부(41)에 의해서 가압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흡수성 시트(8)의 오목부(6c)의 벽부(6e)를 형성하는 부분에 X 방향과 Y 방향의 쌍방의 인장 응력이 집중된다. 따라서, 오목부(6c)의 벽부(6e)에서 섬유의 간격이 넓어지고, 또한, 장소에 따라서는 균열이 발생한다. 이 때,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는 볼록 라인부(51)에 의해서 가압하여 세로 리브(6a)를 형성함으로써, 세로 리브(6a)의 꼭대기부에서는 섬유 밀도를 높게 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오목부(6c)의 바닥부(6d)의 섬유 밀도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리브(6b)의 꼭대기부의 섬유 밀도도, 상기 벽부(6e)보다 높아진다. Since the recesses 6c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re formed by being pressed by the protrusions 4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cesses 6c of the absorbent sheet 8 Tensile stresses in both the X and Y directions are concentrated in the portion forming the wall portion 6e. Therefore, the space | interval of a fiber becomes wide in the wall part 6e of the recessed part 6c, and a crack arises depending on a place. At this time, by pressing the convex line portion 51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the longitudinal ribs 6a, the fiber density can be made high at the top of the longitudinal ribs 6a, and the concave portion 6c is likewise. The fiber density of the bottom part 6d of () can also be made high. In addition, the fiber density at the top of the transverse rib 6b is also higher than the wall 6e.

액 획득층(6)을 양산할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상부 틀(40)은 Y 방향이 둘레 방향이고 X 방향이 축 방향이 되도록 롤 표면에 형성되고, 도 8에 도시한 하부 틀(50)도, Y 방향이 둘레 방향이고 X 방향이 축 방향이 되도록 롤 표면에 형성된다. 양 롤이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대향한다. 롤 사이에 흡수성 시트(8)가 공급되어 액 획득층(6)이 형성된다. When mass-produc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the upper mold 40 shown in FIG. 7 is formed on the roll surface such that the Y direction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X direction is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ower mold 50 shown in FIG. ) Is also formed on the roll surface such that the Y direction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X direction is the axial direction. Both rolls face with clearance. The absorbent sheet 8 is supplied between the rolls to form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생리용 냅킨(1)의 제조 공정은 표면 시트(3)와 액 투과층(5)을 겹쳐, 상기 액 투과 구멍(2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액 투과층(5)의 하면에 액 획득층(6)의 세로 리브(6a) 및 평탄부(6f, 6f)를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한다. 또한, 액 획득층의 오목부(6c)의 하면을 액 흡수층(4)에 핫멜트 접착제로 접착한다. 표면 시트(3), 액 투과층(5), 액 획득층(6) 및 액 흡수층(4)을 겹친 상태에서, 압축 홈(10)을 형성한다. 그 후에, 적층체의 하면에 이면 시트(2)를 겹쳐 접착하여, 상기 불투액성 시트(30)를 피부측 표면에 나타나도록 적층체로 접착한다.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nitary napkin 1 overlaps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permeation layer 5, and forms the said liquid permeation hole 25. As shown in FIG. Next, the vertical ribs 6a and the flat portions 6f and 6f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r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with a hot melt adhesive. Fur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 6c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is bonded 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with a hot melt adhesive. In the state where the surface sheet 3,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nd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overlap, the compressed groove 10 is formed. Thereafter, the back sheet 2 is laminated and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aminate, and the impermeable sheet 30 is bonded to the laminate so as to appear on the skin side surface.

또한, 오목부(6c)의 벽부(6e)와는 달리, 액 획득층(6)의 양측부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6f, 6f)는 섬유 사이 거리를 넓이지 않고서 형성되어 있고,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며, 게다가 밀도가 균일하다. 따라서, 생리용 냅킨(1)의 조립 공정에서는, 예컨대 흡인 벨트에 상기 평탄부(6f, 6f)를 흡인하여, 입체 형상을 유지한 채로 액 획득층(6)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Moreover, unlike the wall part 6e of the recessed part 6c, the flat part 6f, 6f which extends longitudinally in the both sides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formed without extending the distance between fibers, It has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and the density is uniform. Therefore, in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sanitary napkin 1, it is possible to convey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for example, by sucking the flat parts 6f and 6f on a suction belt and maintaining a three-dimensional shape.

상기 액 획득층(6)은 1장의 흡수성 시트(8)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복수 장의 흡수성 시트(8)를 겹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B는 2장의 흡수성 시트(8A와 8B)를 겹쳐 액 획득층(6)을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2장의 흡수성 시트(8A와 8B)의 각각은 상기 흡수성 시트(8)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may be formed of one absorbent sheet 8, but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absorbent sheets 8 with each other. FIG. 5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formed by superimposing two absorbent sheets 8A and 8B. Each of the two absorbent sheets 8A and 8B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absorbent sheet 8.

상술한 바와 같이, 액 획득층(6)을 입체 형상으로 할 때에, 오목부(6c)의 벽부(6e)에 장력이 작용하여 섬유의 간격이 넓어지고, 장소에 따라서는 균열이 형성된다. 다만, 복수 장의 흡수성 시트를 겹쳐 액 획득층(6)을 형성하면, 각 벽부(6e)에 있어서의 저밀도 부분 또는 파손 부분이 시트에 의해서 다른 위치가 된다. 따라서, 오목부(6c)의 벽부(6e)의 전체의 강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체압이 작용하여 평탄한 상태로 찌부러뜨려진 후에, 원래의 입체 형상으로 복원하기 쉬워진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tension is applied to the wall portion 6e of the concave portion 6c to widen the spacing of the fibers, and cracks are formed depending on the place. However, when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absorbent sheets, the low-density portion or the damaged portion in each wall portion 6e become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sheet. Therefore,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whole wall part 6e of the recessed part 6c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excessively, and it is easy to restore | restore to an original three-dimensional shape after body pressure acts and it crushes in a flat state.

복수 장의 흡수성 시트는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 장의 흡수성 시트가 전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섬유끼리의 융착에 의해 접착할 수 있다. 혹은, 흡수성 시트를 접착제로 접착하여도 좋다. 도 7∼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한 틀을 이용하여 액 획득층(6)을 입체 형상으로 할 때에, 틀의 열에 의해 흡수성 시트를 필름형으로 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으로 접착할 수 있다. 또는, 액 획득층(6)의 입체 형상으로의 부형 전에, 복수의 흡수성 시트를 도트형의 접착부로 열접착하여도 좋다. The plurality of absorbent sheets may be partially bonded to each other. When the plurality of absorbent sheets contain all the thermoplastic fibers, the fibers can be bonded by fusion of the fibers. Alternatively, the absorbent sheet may be bonded with an adhesive. As shown in FIGS. 7-10, when mak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three-dimensional shape using the heated mold, the absorbent sheet can be adhere | attached by the pressure which does not become a film form by the heat of a mold. .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absorbent sheets may be thermally bonded with a dot-shaped adhesive portion before shap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복수 장의 흡수성 시트를 접합할 때에, 그 접합 부위는 세로 리브(6a), 가로 리브(6b), 오목부(6c)의 벽부(6e), 오목부의 바닥부(6d) 중 어느 것이면 된다. 혹은 접합 부위가, 상기 모든 부분에 랜덤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적어도 오목부(6c)의 벽부(6e)에 있어서 액 흡수 시트끼리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joining a plurality of absorbent sheets, the joining site may be any one of the longitudinal rib 6a, the horizontal rib 6b, the wall portion 6e of the recess 6c, and the bottom portion 6d of the recess. Or the joining site may be formed in all the said parts at random.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id absorption sheets are bonded to at least the wall portion 6e of the recessed portion 6c.

세로 리브(6a)와 가로 리브(6b)의 부분에 접착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세로 리브(6a)와 가로 리브(6b)의 골격 구조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부(6c)의 벽부(6e)에서는, 섬유 밀도가 극단적으로 낮아져 있지만, 벽부(6e)에 접착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형상 유지를 위해 오목부(6c)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오목부(6c)의 바닥부(6d)에 접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바닥부(6d)에서 밀도를 높게 할 수 있어, 그 결과, 액 획득층(6)에 주어진 경혈을 오목부(6c)의 바닥부(6d)에 집중시켜 액 흡수층(4)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f the adhesion part is provided in the part of the longitudinal rib 6a and the horizontal rib 6b,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longitudinal rib 6a and the horizontal rib 6b can be strengthened. As described above, in the wall portion 6e of the concave portion 6c, the fiber density is extremely low. However, if the adhesive portion is provided in the wall portion 6e, the rigidity of the concave portion 6c is increased to maintain the shape. Can be. In addition, when the adhesion part is provided in the bottom part 6d of the recessed part 6c, the density can be made high in the bottom part 6d, As a result, the menstrual blood given to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recessed. It becomes possible to concentrate on the bottom part 6d of 6c, and to give it to the liquid absorption layer 4.

도 1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 실시 형태의 생리용 냅킨(10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조의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sanitary napkin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art of the structure same as embodiment shown in FIG. 1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 생리용 냅킨(100)은 취침중 등에 사용하는 데에 알맞은 롱 타입이며, 세로 방향(Y 방향)의 전체 길이 치수는 거의 200∼450 mm이고, 양측 가장자리(1a, 1b)는 날개(1A, 1A)의 후방 위치로부터 후방 가장자리(1d)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넓어지도록 팽창된 형상으로 되어, 착용자의 둔부에 맞닿는 후방 플랩(1B, 1B)이 형성되어 있다. This sanitary napkin 100 is a long type suitable for use during bedtime and the like. The total length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is almost 200 to 450 mm, and both edges 1a and 1b are formed of wings 1A, From the rear position of 1A to the rear edge 1d, the shape is expanded so as to gradually widen, and rear flaps 1B and 1B are formed to abut the buttocks of the wearer.

피부측 표면에는 내측 압축 홈(11, 11)이 형성되며, 전방 부분(11A, 11A), 변곡부(11B, 11B) 및 후방 부분(11D, 11D)을 갖고 있다. 전방 부분(11A, 11A)은 세로 방향 중심선(Oy-Oy)을 향해서 볼록형의 원호 곡선 패턴이다. 내측 압축 홈(11, 11)의 대향 간격은 변곡부(11B, 11B)에서 최대가 된다. 후방 부분(11D, 11D)은 후방 가장자리(1d)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서로 근접하며, 후방 연결 압축 홈(13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The inner side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re formed in the skin side surface, and have the front part 11A, 11A, the inflection part 11B, 11B, and the back part 11D, 11D. The front portions 11A and 11A are convex arc curved patterns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s Oy-Oy. The opposing space | interval of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becomes the largest in inflection part 11B, 11B. The rear portions 11D and 11D are gradually close to each other as they face the rear edge 1d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ar connecting compression groove 13A.

내측 압축 홈(11, 11), 전방 연결 압축 홈(12) 및 후방 연결홈(13A)에서 둘러싸인 부분이 중앙 영역(20)이다. 중앙 영역(20)은 상기 전방 부분(11A, 11A)에서 끼워진 부분이, 질구에 대향하는 전방 중앙 영역(20A)이며, 변곡부(11B, 11B)에서 끼워진 부분이, 회음부에 대향하는 중간 중앙 영역(20B)이며, 후방 부분(11D, 11D)에서 끼워진 부분이, 항문과 둔부의 홈에 대향하는 후방 중앙 영역(20D)이다.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the front connection compression grooves 12 and the rear connection grooves 13A is the central region 20. The center area | region 20 is the front center area | region 20A which the part fitted in the said front parts 11A and 11A opposes the vaginal opening, and the middle center area which the part fitted in the inflection parts 11B and 11B opposes the perineum part. 20B, and the part fitted in back part 11D, 11D is the back center area | region 20D which opposes the groove of an anus and a buttocks.

또한, 내측 압축 홈(11, 11)의 전방 부분(11A, 11A)의 좌우 양 외측에는 도 1과 같은 외측 압축 홈(16, 16)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압축 홈(11, 11)의 후방 부분(11D, 11D)의 좌우 외측에는 후방 외측 압축 홈(17, 17)이 형성되어, 후방 가장자리(1d)의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compression grooves 16 and 16 shown in FIG. 1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front portions 11A and 11A of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Rear outer compression grooves 17 and 17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rear portions 11D and 11D of the inner compression grooves 11 and 11,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side the rear edge 1d.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액 투과층(5)이 전방 가장자리(1c)로부터 후방 가장자리(1d)에 걸쳐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중앙 영역(20)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입체 형상의 액 획득층(6)이 설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is formed in a band form from the front edge 1c to the rear edge 1d, and is provided in the center region 20 in the same solid as that shown in FIG. 4.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of the shape is provided.

이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영역(20)의 길이, 즉 전방 연결 압축 홈(12)으로부터 후방 연결 압축 홈(13A)까지의 세로 방향의 간격이 120∼350 mm이며, 상기 액 획득층(6)은 적어도 질구에 대향하는 부분인 전방 중앙 영역(20A)에 설치된다. 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 획득층(6)이 전방 중앙 영역(20A)과, 회음부에 대향하는 중간 중앙 영역(20B)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center region 20, that is, the longitudinal gap from the front coupling compression groove 12 to the rear coupling compression groove 13A is 120 to 350 mm, and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It is provided in the front center area | region 20A which is a part which opposes at least the vaginal opening.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1,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may be provided over the front center region 20A and the middle center region 20B facing the perineal region.

실시예Example

이하의 각 층을 형성한다.Each layer below is formed.

(a) 표면 시트(3)(a) surface sheet (3)

산화티탄을 섬유 질량의 1.1%의 비율로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심부, 폴리에틸렌이 초부인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섬도 2.2 dtex, 섬유 길이 44 mm)로 형성한 에어스루 부직포로, 기본중량이 25 g/m2인 것을 이용하였다. 이하의 측정에서는 표면 시트(3)가 폭 130 mm, 길이 200 mm, 무게 0.637 g이었다.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made of a sheath type composite synthetic fiber (fineness 2.2 dtex, fiber length 44 mm) in which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ntaining titanium oxide at a ratio of 1.1% of the fiber mass is formed at the core and polyethylene at the beginning, and the base weight is 25 g. / m 2 was used. In the following measurement, the surface sheet 3 was 130 mm in width, 200 mm in length, and 0.637 g in weight.

(b) 액 투과층(5)(b) liquid permeable layer (5)

심부가 폴리프로필렌이고 초부가 폴리에틸렌인 단면이 편심 형상인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섬도 4.4 dtex, 섬유 길이 50 mm)의 에어스루 부직포(기본중량 20 g/m2, 평균 두께가 1.75 mm, 평균 밀도가 0.0175 g/cm3)를 이용하였다. 이 원단을 3장 겹침으로 접어 포갠 것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측정에서는 액 투과층(5)이 폭 100 mm, 길이 200 mm, 무게 0.415 g이었다.Air through nonwoven fabric (core weight 20 g / m 2 , average thickness 1.75 mm, average density of eccentric composite synthetic fibers (fineness 4.4 dtex, fiber length 50 mm), eccentric in cross-section with a core part polypropylene and a super part polyethylene) 0.0175 g / cm 3 ) was used. The fabric was folded into three layers and used. In the following measurement,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was 100 mm in width, 200 mm in length, and 0.415 g in weight.

(c) 액 투과 구멍(25)(c) liquid permeation hole (25)

상기 표면 시트(3)와 액 투과층(5)을 겹쳐, 100℃의 핀을 갖는 롤과, 상기 핀이 들어가는 구멍을 갖는 70℃ 롤로, 표면 시트(3)로부터 액 투과층(5)을 관통하는 액 투과 구멍(25)을 형성하였다. 액 투과 구멍(25)의 개구 직경은 2 mm, 피치는 Y 방향으로 5.5 mm, X 방향으로 3.5 mm의 배열로 하였다.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overlap with each other, and a roll having a fin of 100 ° C. and a 70 ° C. roll having a hole into which the pin enters, and penetrates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from the surface sheet 3.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was formed. The opening diameter of the liquid permeation hole 25 was 2 mm, and the pitch was 5.5 mm in the Y direction, and 3.5 mm in the X direction.

(d) 액 획득층(6)(d) liquid acquisition layer (6)

화학 펄프를 60 질량%, 심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초부가 폴리에틸렌인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섬도 1.7 dtex, 섬유 길이 13 mm)를 26 질량%,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젼 접착제를 14 질량% 포함하는 에어레이드 부직포(에어레이드 펄프)로, 기본중량이 40 g/m2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 원단을 2장 겹침으로 접어 포갠 것을 흡수성 시트(8)로서 사용하였다. 이하의 측정에서는 액 획득층(6)이 폭 50 mm, 길이 100 mm, 무게 0.205 g이었다.60 mass% of chemical pulp, 26 mass% of core sheath-type composite synthetic fibers (fineness 1.7 dtex, fiber length 13 mm) having a core par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super-addition polyethylene, and 14 mass% of an emulsion adhesive o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s the airlaid nonwoven fabric (airlaid pulp), a basis weight of 40 g / m 2 was used. The fabric was folded into two stacks and used as the absorbent sheet 8. In the following measurement,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was 50 mm in width, 100 mm in length, and 0.205 g in weight.

표 1의 비교예 1은 상기 흡수성 시트(8)를 입체로 변형시키는 일 없이, 그대로 액 획득층(6)으로서 사용하였다. 건조 상태의 상기 흡수성 시트(8)의 5회 측정의 평균 두께는 0.928 mm이었다.The comparative example 1 of Table 1 was used as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s it is, without deforming the said water absorbing sheet 8 in three dimension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ve measurements of the absorbent sheet 8 in a dry state was 0.928 mm.

입체로 성형하기 전의 상기 흡수성 시트(8)의 평균 밀도는 0.075 g/cm3이었다. 액 획득층(6)이 입체 형상으로 된 후에 측정한 Y 방향과 X 방향의 건조시의 인장 파단 강도는 각각 3.46 N/25 mm 및 2.83 N/25 mm이었다.The average density of the absorbent sheet 8 before molding in three dimensions was 0.075 g / cm 3 . Tensile strength at break in drying in the Y and X directions measured after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had become three-dimensional was 3.46 N / 25 mm and 2.83 N / 25 mm, respectively.

상기 흡수성 시트(8)를 입체 성형하여 액 획득층(6)을 얻었다. 세로 리브(6a)의 h1/2의 높이에서의 폭 치수를 3 mm, 가로 리브(6b)의 h2/2의 높이에서의 폭 치수를 2.5 mm, h2/2의 높이 위치에서의 오목부(6c)의 개구 면적을 15 mm2로 하였다.The absorbent sheet 8 was three-dimensionally formed to obtain a liquid acquisition layer 6. Width dimension at height of h1 / 2 of longitudinal rib 6a is 3 mm, width dimension at height of h2 / 2 of horizontal rib 6b is 2.5 mm and recessed portion 6c at height position of h2 / 2 ), The opening area was set to 15 mm 2 .

다만, 표 1에 나타내는 비교예 2, 실시예 1∼실시예 8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40)과 하부 틀(50)의 클리어런스를 변화시켜, 건조 상태에서의 액 획득층(6)의 두께(도 6의 h1)를 변화시켰다. However, in each of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s 1 to 8 shown in Table 1, the clearance between the upper mold 40 and the lower mold 50 was changed to allow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to be dried. The thickness of (h1 of FIG. 6) was changed.

비교예 2는 상기 두께가 1.192 mm이기 때문에, 오목부(6c)의 공간 용적은 {15×(1.192-0.928)}=3.96 mm3이었다. 같은 식으로 계산하면, 실시예 1∼8 중에서 가장 두께가 작은 실시예 2에서는 공간 용적이 8.61 mm3, 가장 두께가 큰 실시예 8에서는 공간 용적이 32.64 mm3이었다. 즉, 실시예 1∼8에서의 오목부의 공간 용적은 8.61∼32.64 mm3이었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2, since the said thickness was 1.192 mm, the space volume of the recessed part 6c was {15 * (1.192-0.928)} = 3.96 mm <3> . In the same manner, the space volume was 8.61 mm 3 in Example 2 having the smallest thickness among Examples 1 to 8, and 32.64 mm 3 in Example 8 having the largest thickness. That is, the space volume of the recessed part in Examples 1-8 was 8.61-32.64 mm <3> .

(e) 액 흡수층 4(e) Liquid absorbing layer 4

화학 펄프 8 g, 흡수성 중합체 0.15 g을 균일하게 혼합시키고, 폭 70 mm, 길이 200 mm 밀도이고 0.069 g/cm3의 적층체로 하여, 15 g/m2의 티슈페이퍼로 둘러싼 것을 액 흡수층(4)으로 하였다.8 g of chemical pulp and 0.15 g of absorbent polymer were uniformly mixed, and a laminate of 0.069 g / cm 3 having a density of 70 mm in width and 200 mm in length and surrounded by 15 g / m 2 of tissue paper was applied 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It was made.

(1) 두께의 측정(1) measurement of thickness

건조시와 습윤 상태의 가압후에 다이에가가쿠세이끼세아사쿠쇼사 제조의 UF-60A로 두께를 측정하였다. The thickness was measured by UF-60A by the Daiegaku Chemical Co., Ltd. product after the pressurization at the time of drying and wet conditions.

(2) 드립(drip)성 시험(2) drip test

표 1의 비교예 1∼2, 실시예 1∼8의 각각의 액 획득층(6)을 용적이 50 ml인 비이커의 개구부에 고정한다. 액 획득층(6)의 중앙부로부터 상측으로 5 mm 떨어진 곳에서, 오토 뷰렛을 이용하여 인공 경혈을 3 ml/분의 유량으로 연속적으로 낙하시킨다. 그리고, 낙하를 시작하고 나서, 맨 처음에 비이커 내에 인공 경혈의 최초의 한 방울이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단위는 초). Each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s 6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2 and Examples 1 to 8 of Table 1 is fixed to an opening of a beaker having a volume of 50 ml. 5 mm away from the center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artificial acupoints are continuously dropped at a flow rate of 3 ml / min using an auto burette. Then, after starting the drop, the time until the first drop of artificial menstrual blood dropped in the beaker first was measured (unit is seconds).

여기서, 인공 경혈은 4 리터의 이온 교환수에, 글리세린 300 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나트륨염을 30 g, 염화나트륨 40 g을 첨가하여 교반하여 용액을 얻어, 이 용액을 식용 적색(food red)으로 착색한 것을 사용하였다. Here, artificial menstrual blood is stirred by adding 300 g of glycerin, 30 g of sodium salt of carboxymethylcellulose, and 40 g of sodium chloride to 4 liter of ion-exchanged water to obtain a solution, and coloring the solution with food red. One was used.

(3) 가압 흡수 시험(3) pressure absorption test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한 시험대(61) 위에, 액 흡수층(4), 액 획득층(6) 및 액 투과층(5)과 표면 시트(3)가 일체로 된 것을 이름을 든 순으로 겹친다. 적층체 위에 도 12A에 도시한 치수의 아크릴판(62)을, 그 개구부(62a)가 적층체의 중앙에 일치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개구부(62a)의 전후에 각각 900 g의 추(63, 63)를 얹는다. 아크릴판의 자중은 115 g이었다. As shown in Fig. 12B, on the flat test bench 61,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the liquid acquiring layer 6, and the liquid permeable layer 5 and the surface sheet 3 are integrally named. Overlap The acrylic plate 62 of the dimension shown in FIG. 12A is provided on a laminated body so that the opening part 62a may match the center of a laminated body. And 900 g of weights 63 and 63 are mounted before and behind the opening part 62a, respectively. The weight of the acrylic plate was 115 g.

상기 인공 경혈을, 오토 뷰렛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62a) 내에, 95 ml/분의 유량으로 부여한다. 1회째에는 인공 경혈 3 ml을 부여하고, 액을 공급하기 시작하고 나서, 개구부(62a)에 있어서 표면 시트(3)의 표면에 액이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초)을 측정한다. 표면 시트(3)의 표면에서 1회째에 부여한 액이 없어지고 나서 30초 경과한 후에, 인공 경혈 4 ml을 부여하여 같은 식으로 하여 침투 시간을 측정한다. 2회째의 액이 표면 시트(3)의 표면으로부터 없어진 후에, 5분간 경과한 후, 인공 경혈 3 ml을 부여하여, 같은 식으로 하여 침투 시간을 측정한다. The artificial menstrual blood is applied to the opening 62a at a flow rate of 95 ml / min using an auto burette. At the first time, 3 ml of artificial acupuncture points are given, and the time (seconds) from the start of supplying the liquid until the liquid disappears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sheet 3 in the opening portion 62a is measured. After 30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first liquid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sheet 3 disappeared, 4 ml of artificial menstrual blood was applied and the penetration tim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fter the second liquid disappears from the surface of the surface sheet 3, after 5 minutes, 3 ml of artificial acupuncture points are applied, and the penetration time i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마지막으로 공급한 액이 표면 시트(3)의 표면으로부터 없어진 후의, 1분 경과후에, 아크릴판(62)과 추(63, 63)를 벗겨, 액 획득층(6)의 두께를 측정한다. (가압 흡수 시험후의 두께/부형후의 건조 상태에서의 두께)×100을 두께 변화율(%)로 하여 계산하였다. After 1 minute has elapsed since the liquid finally supplied from the surface of the surface sheet 3 is peeled off, the acrylic plates 62 and the weights 63 and 63 are peeled off, and the thickness of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measured. (Thickness in the dry state after thickness / shaping | molding after a pressure absorption test) was computed as thickness change rate (%).

측정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로부터, 각 실시예 1∼8에서는, 드립성, 가압 흡수성 시험에서의 액 투과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om Table 1, it was confirmed in Examples 1 to 8 that the liquid permeability in the drip property and the pressure absorbency test was good.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관해서 도시 및 설명을 하였지만, 전술한 것과 그리고 그 외의 여러 가지 변경, 생략, 추가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 시트(3)와 액 획득층(6)의 사이에 액 안내층(5)이 배치되었지만, 액 안내층(5)을 설치하지 않고서 상기 액 획득층(6)이 직접 표면 시트(3)에 접하는 것이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진술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기재한 특징에 관하여, 그것이 둘러싸는 범위내 및 균등한 범위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its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and other modifications, omissions, and addi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liquid guide layer 5 wa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the said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not provided without providing the liquid guide layer 5; It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sheet 3.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nd with respect to the feature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ll possible embodiments that may be embodied within the scope and equivalents thereof encompassed therein. It will inclu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시에 다량으로 액이 주어졌을 때에, 이것을 표면 시트의 아래에서 유지하고 나서, 액 흡수층으로 즉시 흡수시킬 수 있어, 표면 시트에서의 액 잔류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arge amount of liquid is given at a time, the liquid can be immediately absorbed by the liquid absorbing layer after being kept under the surface sheet, and the liquid remaining in the surface sheet can be prevented.

Claims (8)

피부측 표면에 위치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3), 착의측 표면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2), 및 상기 표면 시트(3)와 상기 이면 시트(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액 흡수층(4)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The 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3 located on the skin side surface, the back sheet 2 located on the wearing side surface, and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 sheet 3 and the back sheet 2. I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상기 액 흡수층(4)의 상기 표면 시트(3)를 향하는 표면에 액 획득층(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액 획득층(6)은, 입체적으로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 것이며,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facing the surface sheet 3, and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maintained in a three-dimensionally deformed state, 상기 액 획득층(6)은, 흡수성 시트(8)가 입체적으로 변형된 것으로, 상기 표면 시트(3)를 향해 볼록형이며 또한,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세로 리브(6a), 및 상기 표면 시트(3)를 향해 볼록형이며 또한, 물품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리브(6b)를 가지고, 상기 가로 리브(6b)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인접하는 세로 리브(6a) 사이를 잇는 것이고, 상기 세로 리브(6a)와 가로 리브(6b)로 둘러싸인 복수의 오목부(6c)를 만드는 것이며,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ncludes a longitudinal rib 6a in which the absorbent sheet 8 is three-dimensionally deformed, convex toward the surface sheet 3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ticle, and It has convex toward the surface sheet 3 and has transverse ribs 6b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article, wherein the transverse ribs 6b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djacent longitudinal ribs 6a ), To make a plurality of recesses 6c surrounded by the vertical ribs 6a and the horizontal ribs 6b, 적어도 상기 세로 리브(6a)가 상부의 부재에 접하고, 상기 오목부(6c)의 바닥부(6d)가 상기 액 흡수층(4)에 접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At least the longitudinal rib (6a)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member, and the bottom (6d) of the recess (6c) is in contact with the liquid absorbing layer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c)의 바닥부(6d)로부터 상기 가로 리브(6b)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h2)가, 상기 오목부(6c)의 바닥부(6d)로부터 상기 세로 리브(6a)의 꼭대기부까지의 높이 치수(h1)보다 낮은 것인 흡수성 물품. The height dimension h2 from the bottom part 6d of the said recessed part 6c to the top part of the said horizontal rib 6b is determined from the bottom part 6d of the said recessed part 6c. An absorbent article, which is lower than the height dimension h1 to the top of the longitudinal rib 6a.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오목부(6c)는 가로 방향보다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것인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each of the recesses (6c) extends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오목부(6c)의 공간 용적이 8∼80 mm3인 것인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space of one recessed portion (6c) is 8 to 80 mm 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 획득층(6)은, 상기 흡수성 시트(8)가 입체적으로 변형될 때의 인장 응력의 집중에 의해 섬유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 저밀도 부분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said liquid acquisition layer (6) has a low density portion in which the spacing between fibers is widened by concentration of tensile stress when the absorbent sheet (8) is three-dimensionally de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 획득층(6)에는, 상기 세로 리브(6a)보다 넓은 폭(Wa)을 가지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평탄부(6f)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The liquid absorbing layer (6)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quid obtaining layer (6) is formed with a flat portion (6f) having a width (Wa) wider than that of the longitudinal ribs (6a) and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t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 획득층(6)은, 복수 장의 흡수성 시트(8A, 8B)가 겹쳐져 함께 입체적으로 변형된 것인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liquid obtaining layer (6)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absorbent sheets (8A, 8B) and being three-dimensionally deform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측정하였을 때, 상기 액 획득층(6)의 건조시의 인장 파단 강도가 25 mm폭당 2.5 N 이상인 것인 흡수성 물품. 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when meas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ensile strength at break in drying the liquid acquisition layer (6) is 2.5 N or more per 25 mm width.
KR1020057005931A 2002-12-05 2003-12-02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rresting layer KR10107810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4186 2002-12-05
JP2002354186A JP4323787B2 (en) 2002-12-05 2002-12-05 Absorbent article having a liquid acquisition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838A true KR20050084838A (en) 2005-08-29
KR101078105B1 KR101078105B1 (en) 2011-10-28

Family

ID=3246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931A KR101078105B1 (en) 2002-12-05 2003-12-02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rresting layer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4323787B2 (en)
KR (1) KR101078105B1 (en)
CN (1) CN100450465C (en)
AU (1) AU2003284530A1 (en)
MY (1) MY131925A (en)
TW (1) TWI231202B (en)
WO (1) WO200404999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7039B2 (en) * 2006-01-25 2011-08-24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054962B2 (en) * 2006-11-06 2012-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EP2189562B1 (en) * 2007-08-28 2014-11-12 Kao Corporation Shaped sheet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5210032B2 (en) * 2008-04-23 2013-06-12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2011120654A (en) * 2009-12-08 2011-06-23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5132798B2 (en) * 2011-06-09 2013-01-30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779251B2 (en) * 2018-04-20 2020-1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JP2020014663A (en) * 2018-07-25 2020-01-3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CN109771144B (en) * 2019-01-10 2021-06-11 贵州卡布婴童用品有限责任公司 Multi-convex-point type water permeabl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4251A (en) * 1978-12-31 1980-07-17 Uni Charm Corp Article for treating body fluid
JP3016978B2 (en) * 1991-11-11 2000-03-0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Absorbent article with rapid liquid transport zone
CN1240125A (en) * 1998-06-03 2000-01-05 尤妮佳股份有限公司 Body liquid absorption articles
JP3883308B2 (en) * 1998-11-09 2007-02-21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2002140015A (en) * 2000-11-01 2002-05-17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23787B2 (en) 2009-09-02
CN100450465C (en) 2009-01-14
WO2004049998A1 (en) 2004-06-17
TWI231202B (en) 2005-04-21
TW200423910A (en) 2004-11-16
AU2003284530A1 (en) 2004-06-23
JP2004181087A (en) 2004-07-02
MY131925A (en) 2007-09-28
CN1694668A (en) 2005-11-09
KR101078105B1 (en)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234B1 (en) Absorbent article
US7132585B2 (en)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cquisition layer
TWI708597B (en) Absorbent articles
KR100904473B1 (en) Elongated absorbent article
KR101088257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ible axes
JP4855533B2 (en) Absorbent articles
KR100804562B1 (en) A sanitary napkin
KR101078109B1 (en) Elongated absorbent article
JP4754528B2 (en) Absorbent articles
CN109152679B (en) Absorbent article
KR101013481B1 (en) Absorbent article
JP2004141619A (en) Absorptive article
JP4127494B2 (en) Absorbent articles
WO2017030136A1 (en) Absorbent article
KR101013477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 recovery section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275421B2 (en) Absorbent articles
KR101078105B1 (en)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rresting layer
JP5924897B2 (en) Absorbent articles
JP2008018048A (en) Absorbent article
KR102631170B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101225A (en) Absorbent article
JP2009142413A (en) Absorbent article
JP2019154650A (en) Absorbent article
TWM583285U (en) Absorptive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