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801A - 내화성 글레이징 - Google Patents

내화성 글레이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801A
KR20050084801A KR1020057002161A KR20057002161A KR20050084801A KR 20050084801 A KR20050084801 A KR 20050084801A KR 1020057002161 A KR1020057002161 A KR 1020057002161A KR 20057002161 A KR20057002161 A KR 20057002161A KR 20050084801 A KR20050084801 A KR 20050084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le
aqueous solution
solution
aluminat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211B1 (ko
Inventor
존 리차드 홀란드
데이빗 윌리암 홀덴
스티븐 이안 본드
카리카쓰 수크마르 바르마
Original Assignee
필킹톤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킹톤 피엘씨 filed Critical 필킹톤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50084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11Intumescent layers for fir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intumesc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이온의 혼입에 의해 특성이 부여된 규산염 물유리를 기본으로 하는 내화 중간층을 포함하는 내화성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민산염이,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부분 중화된 용액으로서 혼입된다. 알루미늄의 혼입에 의해, 내화성 및 충격 특성이 개선된 글레이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화성 글레이징{Fire resistant glazing}
실시예 1
알루민산나트륨, 규산나트륨 물유리, 규산칼륨 물유리 및 시트르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다음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 SiO2:Na2O의 중량 비가 2.85:1이고 고형분 함량이 40중량%인, INEOS에서 크리스탈 96(Crystal 96)으로 시판중인 규산나트륨 물유리 용액
(2) SiO2:K20의 중량 비가 1.43:1이고 고형분 함량이 52.4중량%인, INEOS에서 크리스탈 K120(Crystal K120)로 시판중인 규산칼륨 물유리 용액
(3) 고형분 함량이 38.0중량%인, 노르디스크 알루미네이트(Nordisk Aluminate)에서 시판중인 알루민산나트륨 수용액
(4) 글리세롤 - 물 중의 87중량% 용액
(5) 시트르산 - 시약 등급
부분 중화된 알루민산염 용액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시트르산 5중량부를 글리세롤 10중량부에 교반하에 가하여 시트르산을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알루민산나트륨 용액 8.86중량부에 천천히 가하였다. 가하는 과정에서, 용액의 온도를 50℃ 미만으로 유지시켰다. 생성된 용액의 pH는 9.5였다.
크리스탈 96 151.7중량부를 크리스탈 K120 44.3중량부 및 글리세롤 10.5중량부과 혼합시켜서,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물유리 용액을 제조하였다.
부분 중화된 알루민산염 용액을 물유리 용액에 가하였다. 당해 첨가는, 실버손 고전단 믹서(Silverson high shear mixer)를 사용하여 완전히 혼합시키면서, 알루민산염 용액을 천천히 가하여 수행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투명하였으며 실온 보관시 안정적이었다.
이후, 경계면에 모서리 장벽을 갖는 플로트 유리 시트의 표면에 당해 용액을 용액 유리 1㎡당 용액 4kg의 양으로 도포하였다. 유리 시트를 오븐에 넣고 장기간에 걸쳐 조절된 환경하에 용액의 물 함량이 26중량%로 감소할 때까지 건조시켰다. 깊이가 대략 1.3mm인 투명한 중간층이 유리 표면 위에 형성되었다.
모서리 장벽을 절단하고 플로트 유리의 제2 시트(두께: 3mm)를 중간층의 최상단에 위치시켜, 유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당해 적층체 조각의 내화성을 B. S. 476 Part 20/2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당해 적층체 조각의 기계적 충격 성능을 B. S. 6206 Class C에 따라 시험하였다. 2개의 조각에 대한 화염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들은 둘 다 33분 및 30분으로 통과하였다. 4개의 조각에 대한 충격 성능을 시험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적어도 안전하게 통과하였다.
실시예 2
부분 중화된 알루민산염 용액을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SiO2:Na2O의 중량 비가 3.3:1이고 고형분을 37중량% 포함하는 규산나트륨 물유리 용액에 알루민산염 용액을 가하였다. 첨가량은, 규산나트륨 100중량부에 대해 알루민산나트륨 2중량부를 제공할 정도의 양이었다. 용액 중의 규소 대 알루미늄의 원자 비는 대략 56:1이었다.
용액을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혼합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투명하였으며 수 주 보관시 안정적이었다.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액을 플로트 유리 시트 위에 붓고, 건조시키고, 적층하고 내화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화성 사간은 66분이었다.
실시예 3
알루민산염을 더 많은 비율로 사용하여 규산나트륨 100중량부에 대해 알루민산나트륨 3중량부를 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를 반복하였다. 규소 대 알루미늄의 원자 비는 38:1이었다. 생성된 용액은 투명하였으며 수 주에 걸쳐 안정적이었다.
실시예 4
SiO2:Na2O의 중량 비가 3.9:1이고 고형물을 28중량% 포함하는 수용액 형태의 규산나트륨 물유리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부분 중화된 알루민산염 용액의 가해진 양은 규소 대 알루미늄의 원자 비가 96:1가 될 정도로 충분한 양이었다. 용액은 투명하였으며 연장된 기간에 걸쳐 안정적이었다. 당해 용액을 유리 위에서 건조시켜, 투명한 중간층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규소 대 알루미늄의 원자 비가 64:1이 될 정도로 알루민산염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 생성된 용액은 불안정하여, 추가로 시험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SiO2:Na2O의 중량 비가 2.5:1이고 고형물을 41중량% 포함하는 수용액 형태의 규산나트륨 물유리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알루민산염의 가해진 양은 규소 대 알루미늄의 원자 비가 33:1가 될 정도로 충분한 양이었다. 용액은 투명하였으며 70℃에서 2주 동안 보관한 후에도 여전히 투명하였다.
용액을 두께가 3mm 플로트 유리 시트 위에 붓고 건조시켜, 두께가 대략 1.4mm인 투명한 중간층을 형성시켰다. 당해 유리를 제2 플로트 유리 시트로 적층시킨 후에, 실시예 1에 기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적층체의 내화성 및 내충격성을 시험하였다. 내화성 시간은 39분이었다. 당해 적층체는 B. S 6206 class C에 따르는 충격 시험을 안전하게 통과하였다.
본 발명은 알칼리 금속 알루민산염과 규산염 물유리를 포함하는 내화성 글레이징(fire resistant glazing)의 제조에 유용한 신규한 용액, 당해 용액의 제조방법 및 내화성 글레이징에 혼입될 수 있는 당해 용액으로부터의 열팽창성 중간층(intumescent interlayer)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2장의 마주보는 판유리 사이에 샌드위칭된 열팽창성 무기 규산염 중간층이 혼입된 유리 적층체를 필킹톤 그룹(Pilkington group)에서 상표명 파이로스탑(PYROSTOP)과 파이로듀어(PYRODUR)로 시판하고 있다. 이러한 적층체가 화염에 노출되는 경우, 무기 중간층이 열팽창하여 부풀어올라 발포체를 형성한다. 당해 발포체는 판유리를 화염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보호하는 열 절연층을 제공하여, 화염의 확산을 막는 차단층으로서 작용하는 유리 유닛의 구조적 보전성이 장기간 동안 유지된다. 이러한 열팽창성 중간층이 혼입된 유리 적층체가 내화 유리 구조물로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들 적층체는 열팽창성 중간층 하나 이상이 샌드위칭된 2장 이상의 판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열팽창성 중간층을 8장 이하로 포함하는 적층체가 사용되어 왔다. 이들 다층 적층체는 비교적 두꺼우며, 두께에 상응하여 가격이 비싸다.
열팽창성 무기층은 일반적으로 규산나트륨 물유리 또는 규산칼륨 물유리와의 혼합물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층은 일반적으로 물유리(들)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고, 당해 용액을 유리 표면에 도포한 다음, 용액으로부터 과량의 물을 건조시켜 열팽창성 무기층을 생성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미국 특허 제4,190,698호에는 물유리 용액을 건조시켜 수득한 열팽창성 무기층을 포함하는 내화성 글레이징이 기재되어 있다. 당해 문헌의 저자들은 우레아, 다가 알콜, 단당류, 다당류, 인산나트륨, 알루민산나트륨, 붕사, 붕산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를 물유리 용액에 가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는 알루민산염을 물유리 용액에 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원의 출원자들은, 미국 특허 제4,190,698호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루민산나트륨을 물유리 용액에 가하는 것에 의해서는 내화성 글레이징의 제조에 유용한 용액이 제조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용액은 불안정하며 생성 직후에 또는 보관시 침전이 생성된다. 건조된 중간층을 글레이징의 일부로 사용하기 때문에, 당해 용액은 광학적으로 투명해야 한다. 이러한 침전물과 같은 미립자 물질이 존재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본원의 출원자들은, 알루민산염을 물유리와 혼합하기 전에 알루민산염을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으로 부분 중화시킴으로써 내화성 글레이징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알루민산염과 규산염 물유리를 포함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한가지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으로 부분 중화된 수용성 알루민산염 및 알칼리 금속 규산염 물유리를 포함하는, 내화성 글레이징의 제조에 유용한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을 제공한다.
수용성 알루민산염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알루민산염, 예를 들면, 알루민산리튬, 알루민산칼륨, 알루민산세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루민산나트륨이다. 또한, 다른 수용성 알루민산염, 특히 알루민산알루미늄 및 알킬 암모늄 알루미네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카복실산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α-하이드록시 카복실산이다. 바람직한 카복실산의 예에는 타르타르산, 말산, 글루콘산, 락트산, 사카린산이 포함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물유리는 바람직하게는 규산나트륨 물유리이다. 바람직한 규산나트륨 물유리는, SiO2:Na2O의 중량 비가 적어도 1.6:1, 예를 들면, 2.0: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1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85:1인 규산나트륨 물유리이다. SiO2:Na2O의 중량 비가 2.0:1 내지 4.0:1 사이에서 가변적인 규산나트륨 물유리 용액을 시판용 제품으로서 구입할 수 있다. 특히, SiO2:Na2O의 중량 비가 2.0:1, 2.5:1, 2.85:1, 3.0:1 및 3.3:1인 용액을 시판용 제품으로서 구입할 수 있다. 이들 구입할 수 있는 물유리 용액을 블렌딩하여, 임의의 특정한 SiO2:Na2O의 중량 비를 갖는 물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SiO2:Na 2O의 중량 비가 2.0:1, 2.5:1 및 2.85:1인 규산나트륨 물유리는 알루민산염을 더 많은 비율로 혼입시킬 수 있어서 양호한 내화성과 양호한 내충격성이 조합된 유리를 형성시킨다. SiO2:Na2O의 중량 비가 더 큰, 예를 들면, 3.0:1, 3.3:1 또는 3.9:1인 규산나트륨 물유리는 알루민산염을 적은 비율로 혼입시켜서 내화성이 비교적 우수하나 내충격성은 상대적으로 불량한 내화 유리를 형성시킨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내화성 글레이징은 SiO2:Na2O의 중량 비가 2.5:1 내지 3.0:1인 규산나트륨 물유리로부터 제조된다.
또한, 규산칼륨 물유리와 규산리튬 물유리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들 물유리는 규산나트륨 물유리를 부분적으로 대체하는 대체물로서 사용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유리 용액에서 나트륨 대 칼륨 및/또는 리튬의 몰 비는 적어도 2:1일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물유리 용액은 규산나트륨 물유리와 규산칼륨 물유리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혼합물에서 나트륨 이온 대 칼륨 이온의 몰 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1이다. 규산칼륨 물유리를 사용하는 경우, SiO2:K20의 중량 비 범위가 1.43:1 내지 2.05:1인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용액은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열팽창성 중간층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로 제안된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에는 글리세롤, 글리세린, 글리세린의 유도체 또는 당이 포함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 본원의 용도에 바람직한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은 글리세롤이다.
본 발명의 용액이 열팽창성 중간층의 제조에 유용하려면, 본 발명의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안정적이여야 하며, 건조 후에 유용한 열팽창성 중간층이 형성되어야 한다. 당해 용액의 안정성은 용액의 조성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에 영향을 받는다. 임의의 특정 용액의 유용성은 실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존재하는 알루민산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용액의 안정성은 감소한다. 그러나, 중간층의 내화성은 존재하는 알루민산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에 혼입되는 알루민산염의 양은 이들 2가지 특성 사이에서 절충될 것이다. 규소 대 알루미늄의 몰 비는 100:1 내지 20:1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20:1 내지 35:1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 내지 32:1 범위이다.
본 발명의 용액의 유용형에 영향을 미치는 2번째 중요한 인자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에 대한 실리카의 중량 비이다. 실리카 비율이 증가하면 용액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알칼리 금속에 대한 실리카의 중량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당해 중량비에 의해, 화염 시험시에 이러한 중간층이 혼입된 글레이징의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인자인, 건조된 중간층의 유동점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카 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중량 비 범위는 2:1 내지 4: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 내지 4:1이다.
본 발명의 용액은 투명해야 한다. 본 발명의 용액은, 이후에 건조되어 안정적인 투명한 열팽창성 층이 형성되는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각종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알루민산염을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으로 부분 중화시키는 단계를 제1 단계로서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화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용액을 알루민산염 수용액에 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과량의 물이 존재함으로써 본 발명의 규산염 용액이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임의의 경우 과량의 물은 열팽창성 중간층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추가의 하중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의 제조에 상용성일 만큼의 높은 함량으로 알루민산염 용액은 고형분을 함유한다. 부분 중화된 알루민산염 용액은 통상적으로 고형물을 20 내지 45중량%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 카복실산 용액을 고형물로서의 알루민산염에 가할 수 있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당해 염은 용액으로서 가할 수 있다. 당해 용액은 수용액일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용액이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경우,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을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 알루민산염을 부분 중화시키기 위해 사용된 생성된 용액에 용해시킬 수 있다.
산 용액을,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pH가 9.0 내지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이 될 때까지 알루민산염 용액에 계속 가한다. 중화는 완전히 혼합시키면서,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게, 바람직하게는 온도를 50℃ 미만으로 유지시키면서 수행해야 한다.
수용성 알루민산염, 하이드록시 카복실산 및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용액은 신규하며,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부분 중화된 알루민산염 용액을, 알칼리 금속 규산염 물유리를 포함하는 용액에 가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용액을 형성시킬 수 있다. 알루민산염의 물유리와의 혼합은 임의의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도록 조절된 방식으로 수행해야 한다. 완전 혼합시키면서, 알루민산염을 조절된 속도로 물유리에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알루민산염, 하이드록시 카복실산,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 규산염 물유리를 포함하는 생성된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은 신규하며,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부분 중화된 알루민산염을 물유리 용액이 함유된 하이드록시카복실산과 혼합시킴으로써 생성된 용액이 신규한 것으로 사료된다.
생성된 용액은 공지되어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내화성 글레이징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현재의 한가지 공정에서, 유리 표면에 용액을 보유하는 모서리 장벽(edge barrier)이 제공된 유리 시트의 표면에 용액을 도포할 수 있다. 사용되는 용액의 양은 건조된 중간층의 목적하는 두께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임의의 특히 두꺼운 중간층의 제조에 필요한 용액의 양은 통상적인 실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당해 용액을 주의깊게 조절된 온도 조건 및 습도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기포 및 다른 광학적 결함이 없는 투명한 투광성 중간층의 제조를 확실하게 한다. 건조된 중간층은 일반적으로 물을 10 내지 35중량% 포함한다. 건조된 중간층의 알루미늄 함량 범위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이다. 본원의 출원인들은, 알루미늄이 존재함으로써, 중간층이 혼입된 글레이징의 성능이 이의 내화성 및 이의 기계적 내충격성 측면에서 향상됨을 밝혀냈다.
건조된 중간층의 두께 범위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mm이다. 보다 두꺼운 중간층을 형성시키는 데에는 장시간의 건조시간이 요구되어, 불리해진다. 보다 얇은 중간층은 단시간의 건조시간 동안 제조할 수 있다. 각각 비교적 얇은(두께: 0.5 내지 1.0mm) 중간층을 갖는 유리 시트 2장을 서로 마주보게 하여 접촉시켜, 두께가 1.0 내지 2.0mm인 열팽창성 중간층을 갖는 적층체를 형성시킴으로써, 보다 두꺼운 중간층을 갖는 유리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두께가 다양한 평탄한 유리 시트를 본 발명의 적층체에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두께가 2.0 내지 4.0mm 소다 석회 플로트 유리(float glass)의 시트를 사용한다. 점토와 같은 적합한 물질로부터 형성된 모서리 장벽을 유리 모서리에 제공하여, 물유리 용액을 유리 표면 위에 보유시킬 수 있다.
모서리 장벽은 일반적으로 건조 공정의 완결시 절단하여, 한쪽 면에 건조된 중간층을 갖는 유리 시트에서 제거한다. 제2 유리 시트를 중간층의 최상단에 위치시켜,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2 유리 시트는 이의 하나의 표면 위에 열팽창성 중간층을 갖는 적층체일 수 있다. 2개의 내화 중간층들이 서로 접촉되어 존재하도록 제2 시트를 제1 시트 위에 고정시켜, 비교적 두꺼운 중간층을 갖는 적층체를 제조한다. 중간층이 이의 상단부 표면 위에 존재하도록 제2 시트를 고정시키고, 이어서 제3 유리 시트를 제2 중간층의 최상단에 제공하여, 3장의 판유리 사이에 2개의 중간층을 갖는 적층체를 제조한다. 중간층을 8개나 갖는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공정으로서, 본 발명의 용액을 기판 표면 위에 붓고 건조시켜, 투광성 필름 형태로 기판으로부터 제거하기에 충분하도록 상당히 강한 팽창성 내화 중간층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당해 필름을 2장의 유리 시트 사이에 위치시켜, 내화 유리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각종 기판을 이러한 형태의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의 예에는 유리 시트, 금속 시트 및 중합체 물질, 예를 들면, PTFE 및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이 있다. 기판이 투명하고 투광성인 경우, 예를 들면, 기판이 한쪽 면에 건조된 중간층을 갖는 투명한 중합체 필름인 경우, 기판을 유리 적층체에 혼입시켜, 건조된 중간층을 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이 내화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Claims (27)

  1. 알칼리 금속 규산염 물유리, 수용성 알루민산염 및 하이드록시 카복실산을 포함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알루민산염이 알칼리 금속 알루민산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성 알루민산염이 알루민산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이 α-하이드록시 카복실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5. 제4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이 타르타르산, 말산, 글루콘산, 락트산, 사카린산 및 시트르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6. 제5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이 시트르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규산염 물유리의 SiO2:M20(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다) 중량 비가 2.0:1 내지 4.0:1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8. 제7항에 있어서, 규산나트륨 물유리의 SiO2:Na2O 중량 비가 2.5:1 내지 3.0:1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규산칼륨 물유리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10. 제9항에 있어서, 규산칼륨의 SiO2:K20 중량 비가 1.43:1 내지 2.05:1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나트륨 이온 대 칼륨 이온의 몰 비가 적어도 2:1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소 대 알루미늄의 몰 비 범위가 20:1 내지 35:1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13. 제12항에 있어서, 규소 대 알루미늄의 몰 비가 25:1 내지 32:1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카 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중량 비가 2:1 내지 4:1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이 글리세롤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수용액.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용액을 조절된 조건하에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열팽창성 중간층.
  18. 제17항에 있어서, 물을 10 내지 35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열팽창성 중간층.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알루미늄을 0.1 내지 5.0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열팽창성 중간층.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층의 두께가 0.5 내지 2.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열팽창성 중간층.
  21. 표면에 제17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투명한 열팽창성 중간층을 갖는, 유리 시트.
  22. 제17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하나 이상의 투명한 열팽창성 중간층과 2개 이상의 유리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된 글레이징.
  23. 수용성 알루민산염,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및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
  24. 제23항에 있어서, 알루민산염이 알루민산나트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이 시트르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이 글리세롤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범위가 9.0 내지 11.0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투명한 용액.
KR1020057002161A 2002-08-10 2003-08-06 내화성 글레이징 KR101076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218672.4A GB0218672D0 (en) 2002-08-10 2002-08-10 Fire resistant glazings
GB0218672.4 2002-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801A true KR20050084801A (ko) 2005-08-29
KR101076211B1 KR101076211B1 (ko) 2011-10-25

Family

ID=994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161A KR101076211B1 (ko) 2002-08-10 2003-08-06 내화성 글레이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50255323A1 (ko)
EP (1) EP1558536B1 (ko)
JP (1) JP4445857B2 (ko)
KR (1) KR101076211B1 (ko)
CN (1) CN100455531C (ko)
AU (1) AU2003249079A1 (ko)
CA (1) CA2494194A1 (ko)
GB (1) GB0218672D0 (ko)
RU (1) RU2292375C2 (ko)
WO (1) WO20040148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3020D0 (en) * 2000-09-20 2000-11-01 Pilkington Plc Production of fire resistant laminates
MX2008001169A (es) * 2005-07-26 2008-03-18 Ineos Silicas Ltd Composiciones acuosa que forma gel de aluminosilicato.
EA013608B1 (ru) * 2005-11-25 2010-06-30 Агк Флэт Гласс Юроп Са Огнестойкое остекление
GB0621568D0 (en) * 2006-10-31 2006-12-06 Pilkington Group Lt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ire resistant glazings
GB0621573D0 (en) * 2006-10-31 2006-12-06 Pilkington Group Ltd Metal cross linking agents in cast in place interlayers
DE102007002867B8 (de) * 2007-01-15 2008-06-26 Pilkington Deutschland Ag Brandschutzverglasung
CH704939B1 (de) * 2008-03-10 2012-11-15 Akzo Nobel Chemicals Int Bv Lichtdurchlässiges Hitzeschutzelement mit aluminat- oder boratmodifiziertem Siliziumdioxid.
EP2111977A1 (fr) * 2008-04-25 2009-10-28 AGC Flat Glass Europe SA Vitrage anti-feu
GB0915349D0 (en) 2009-09-03 2009-10-07 Pilkington Group Ltd Fire resistant glazings
EP2305603B1 (de) 2009-10-05 2014-04-23 Cognis IP Management GmbH Aluminium-haltige Wasserglaslösungen
GB0922503D0 (en) 2009-12-23 2010-02-10 Pilkington Group Ltd Fire resistant glazings
GB201115511D0 (en) 2011-09-08 2011-10-26 Pilkington Group Ltd Fire resistant glazing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04388A (en) * 1977-08-03 1981-12-09 Bfg Glassgroup Fire screening panels
GB2226024B (en) * 1988-12-16 1992-06-10 Tioxide Group Plc Organo-metallic compounds
US5216100A (en) * 1989-12-18 1993-06-01 Coatex S.A. Non-toxic stabilizing agent for aqueous suspensions of sodium silico-aluminates
JP2987885B2 (ja) 1990-06-19 1999-12-06 三菱化学株式会社 薄片状黒鉛微粒子の製造方法
DE69233756D1 (de) * 1991-07-18 2009-04-02 Mitsui Chemicals Inc Härtbare Zusammensetzungen, wässrige Gel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Anwendung dieser Gele
GB9918251D0 (en) * 1999-08-04 1999-10-06 Pilkington Plc Fire resistant glazings
GB0006443D0 (en) * 2000-03-18 2000-05-10 Pilkington Plc Fire resistant glazings
GB0023020D0 (en) * 2000-09-20 2000-11-01 Pilkington Plc Production of fire resistant laminates
US6816988B2 (en) 2001-08-31 2004-11-09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inimal-time bit-error-rate te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5531C (zh) 2009-01-28
EP1558536A2 (en) 2005-08-03
CA2494194A1 (en) 2004-02-19
WO2004014813A3 (en) 2004-03-25
US20090317618A1 (en) 2009-12-24
KR101076211B1 (ko) 2011-10-25
AU2003249079A1 (en) 2004-02-25
RU2292375C2 (ru) 2007-01-27
JP2005538015A (ja) 2005-12-15
US9789667B2 (en) 2017-10-17
WO2004014813A2 (en) 2004-02-19
RU2005106365A (ru) 2005-09-10
US20050255323A1 (en) 2005-11-17
GB0218672D0 (en) 2002-09-18
EP1558536B1 (en) 2015-03-18
JP4445857B2 (ja) 2010-04-07
CN1675138A (zh)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9667B2 (en) Fire resistant glazing
US7947384B2 (en) Fire resistant glazings
US7282092B2 (en) Fire resistant glazings
EP1322465B1 (en) Production of fire resistant laminates
WO2013034921A1 (en) Fire resistant glazings
CZ298863B6 (cs) Transparentní protipožární zasklívací dílec
EP1027405B1 (en) Heat-swellabl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