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289A - 홈 네트워크 중의 장치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중의 장치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289A
KR20050084289A KR1020057010829A KR20057010829A KR20050084289A KR 20050084289 A KR20050084289 A KR 20050084289A KR 1020057010829 A KR1020057010829 A KR 1020057010829A KR 20057010829 A KR20057010829 A KR 20057010829A KR 20050084289 A KR20050084289 A KR 20050084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ll
caller
called
protocol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769B1 (ko
Inventor
지앙동 리우
유진 류오
유안이 쟝
징난 후앙
웨이펑 쥬앙
데귀 쟝
얀핀 렌
밍 리
츄앙 멩
샨 지앙
Original Assignee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8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 장치간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 서비스 호출자가 서비스 특징 정보를 통하여 호출되는 서비스 핸들을 획득한 후 획득한 서비스 핸들을 이용하여 호출되는 자에게 서비스 호출 청구를 발송하고,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서비스 호출 청구를 수신한 후 청구 중의 호출되는 서비스 핸들에 근거하여 관련된 서비스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또한 이 서비스가 이미 서비스 호출자와 임대관계를 확립했는가를 판단하며, 만약 그렇지 않으면 종료하고, 만약 반대되는 판단결론을 얻으면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포함한 서비스 호출 회답을 서비스 호출자에게 반송하며,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회답을 수신한 후 회답 중의 호출 서비스 핸들에 근거하여 관련된 서비스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또한 이 호출 서비스가 이미 호출된 자와 임대관계를 확립했는가를 판단하며, 만약 옳다면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가 실제적인 서비스 호출 인터렉션 과정을 시작하고, 만약 반대되는 판단결론을 얻으면 종료한다.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중의 각각의 장치간에서 자원공유를 실현하는 동시에 서비스 호출의 신뢰도를 보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중의 장치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Method to invoke service among devices in home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호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에서 장치간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물질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가정 내의 정보장치, 통신장치, 오락장치, 가정전기기구, 자동화장치, 안전감시장치 등 장치들은 차츰 많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동시에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넷이 가정에 급속히 보급되고, 원격통신 기술이 활기있게 발전하며, 지능장치가 진일보 발전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는 더욱 광범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사람들의 간단하고 원활하며 신뢰할 만한 홈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는 더욱더 강렬해지고 있다. 현재, 이와 관련된 많은 기술용어들이 있는데, 예를 들면 스마트 홈(Smart Home), e-홈(Electronic Home, e-Home), 디지털 패밀리(Digital Family), 네트워크 홈(Network Home), 인텔리전트 홈(Intelligent Home)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홈 네트워크 (Home Network)가 아래와 같은 네 층의 함의를 가지고 있다.
(1) 가정 내의 정보장치, 통신장치, 오락장치, 가정전기기구, 자동화장치, 안전감시장치 등 장치들이 상호 연결 및 상호 통신 그리고 자원공유를 실현하여, 홈 인텔리전트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룬다.
(2)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커뮤니티 및 인터넷과 상호 연결 및 상호 통신을 진행하고, 가정과 외부 환경 사이에서 정보교환을 진행한다.
(3) 가정 내의 설비 및 이에 연결된 네트워크는 반드시 사람들의 안전, 편리, 편안한 감, 건강, 및 녹색 환경보호에 관한 기본 요구를 만족할 수 있어야 하고, 사람들에게 신체와 마음의 쾌락을 느끼는 체험을 갖다 줄 수 있다.
(4) 인간을 근본으로 하는 이념을 구현하여, 사용이 간단하고, 안전하고 신뢰도가 높으며,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가격을 적합하게 함으로써, 가정생활의 특점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관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미 다른 특허신청에서 아래와 같은 디지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기하였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시스템은 주로 게이트웨이 11, 하나 이상의 중추망 장치 12 및 다수개의 제어 서브 네트워크 장치 13으로 구성되였고, 그 중 게이트웨이 11은 진일보로 문호 게이트웨이 110 및 제어 게이트웨이 111을 포함한다. 문호 게이트웨이 110 및 제어 게이트웨이 111은 광대역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호연결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홈 네트워크는 중추망과 제어 서브네트워크로 구성되었다. 그 중 문호 게이트웨이 110 및 이에 연결된 가정용 장치가 형성한 네트워크 부분을 중추망이라 부르는데, 중추망은 주로 정보장치, 통신장치, 오락장치 등의 상호연결을 실현한다. 그리고 제어 게이트웨이 111 및 이에 연결된 가정용 장치가 형성한 네트워크 부분을 제어 서브네트워크라고 부르는데, 제어 서브네트워크는 주로 가정전기기구, 자동화장치, 안전감시장치 등의 상호연결을 실현한다. 상기 디지털 홈 네트워크는 홈 네트워크에서 가정용장치의 상호 연결 및 상호 통신 그리고 자원공유를 실현하는데 그 핵심적 사상을 두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문호 게이트웨이, 제어 게이트웨이 및 서버를 통털어 자원관리장치라고 부를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네트워크 자원의 관리에 사용된다.
상기의 네트워크 구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상호 연결과 자원공유는 아래와 같이 실현한다.
모 장치 A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할 것을 신청하는 경우, 이 장치 A는 우선 홈 네트워크에서 자원관리장치를 탐색하고, 찾은 후에 자원관리장치에 향해 로그인 청구를 발송한다. 자원관리장치가 허가한 후, 상기 장치 A와 자원관리장치 사이에서는 안전인증을 기초로하여 연결관계를 확립하는데, 만약 성공적으로 연결하면 상기 장치 A가 네트워크 중의 자원관리장치에서 장치 로그인을 진행하고, 자신의 장치정보를 자원관리장치에 발송한다. 이런 후 장치 A가 다시 자체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자원관리장치에 로그인하고, 자원관리장치는 모든 장치의 로그인정보 및 서비스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여 금후 탐색에 사용하도록 한다.
이미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두 장치가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조작을 주동적으로 발기한 장치 A가 우선 자원관리장치에 장치 탐색 청구를 발송하고, 자원관리장치가 자체가 저장한 장치 로그인 정보 중에 적합한 장치가 있는가를 탐색하며, 만약 있으면 대응되는 정보를 장치 A에 발송하며, 장치 A가 장치B 에 향해 청구를 발송하고, 허가를 받은후, 장치 A가 장치 B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한다. 목전의 조작을 완성한 후, 두 장치 간의 연결을 자동적으로 끊는다.
장치가 네트워크를 떠나는 경우, 이 장치는 장치 로그오프 조작을 진행하고, 자원관리장치에서 자체의 관련 정보를 삭제하는데, 삭제하는 정보에는 장치정보와 서비스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과정에서 자원관리장치가 존재할 수도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만약 자원관리장치가 없으면, 장치 간에서 상호 탐색 과정을 거친 후, 단독적인 협상을 통하여 대등연결을 이루어 통신을 진행한다. 자원관리장치가 있는 경우, 자원관리장치는 정기적으로 장치 아나운싱을 진행하는데 즉 기타 장치에 향해 자신의 장치정보를 아나운싱하고, 기타 자원관리장치 외의 장치도 부동한 경우에 따라 장치 아나운싱을 진행한다.
상기의 조작방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다종다양한 응용은 최종에는 모두 서비스 호출을 통하여 완성된다. 다시 말하면, 홈 네트위크에서 상호 연결 및 상호 통신 그리고 자원공유를 실현하는 데는, 서비스 호출이 매우 관건적인 절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채용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의 개략 표시도이다.
도 2는 서비스 호출의 간단한 실현과정의 간략 표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서비스 호출 과정에서 실현하는 시즌 타임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서비스 호출 과정에서 실현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홈 네트워크에서 장치간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중의 각각의 장치간에서 자원공유를 실현하는 동시에 서비스 호출의 신뢰도를 보증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은 아래와 같이 실현한다.
홈 네트워크 중의 설비 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아래의 절차들을 포함한다.
a. 서비스 호출자가 서비스 특징 정보를 통하여 호출되는 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획득한 후, 획득한 서비스 핸들을 이용하여 호출되는 자에게 서비스 호출 청구를 발송하고,
b. 호출되는 자(피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청구정보를 수신한 후, 청구정보 중의 호출되는 서비스 핸들에 근거하여 호출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또한 이 호출되는 서비스가 이미 서비스 호출자와 임대관계를 확립했는가를 판단하며, 만약 옳다면(예) 호출 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포함한 서비스 호출 회답 정보를 서비스 호출자에게 반송하고 절차 c를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아니요) 현재(본) 절차를 종료한다.
c.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서비스 호출 회답정보를 수신한 후, 회답정보 중의 호출 서비스 핸들에 근거하여 자체에 이러한 서비스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또한 이 호출 서비스가 호출된 자와 이미 임대(전용) 관계를 확립했는가를 판단하며, 만약 옳으면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가 실제적인 서비스 호출 인터렉션 과정을 시작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 과정을 종료한다.
서비스 호출자 프로토콜 스택과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 사이에서 임대관계를 확립했다고 확인하면, 상기 방법은 진일보로 아래의 절차를 포함하는데, 즉 상기 호출되는 서비스의 목전 호출 수량이 이 호출되는 서비스의 제어 임계값을 초과하는 가를 판단한 후, 만약 옳다고 판단했으면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호출 거절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다고 판단했으면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호출 허가로 설정한다.
상기 방법은 진일보로 아래의 절차를 포함하는데, 즉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로그인에서 성공한 후 이 서비스를 식별하는 유일한 서비스 핸들을 획득한다.
상기 방안에서, 절차 a에서의 상기 서비스 핸들의 획득은 진일보로 아래의 절차를 포함하는데, 즉
a1. 서비스 호출자가 우선 호출되는 서비스에 관한 특징 설명에 근거하여, 로컬 프로토콜 스택에서 이 호출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가를 탐색하고, 만약 존재하면 상기 호출되는 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반송하고 탐색 과정을 종료하며,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아래의 절차 a2를 진행한다.
a2. 서비스 호출자가 호출되는 서비스에 관한 특징 묘사에 근거하여, 기타 홈 네트워크 장치에 이 호출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가를 탐색하고, 만약 존재하면 상기 호출되는 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반송하고 이 호출되는 서비스가 소속하는 자를 호출되는 자로 설정하며,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탐색 절차를 종료한다.
절차 c에서 상기의 실제적인 서비스 호출의 인터랙션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서비스 호출 과정을 포함하고, 각각의 기본 서비스 호출 과정은 진일보로 아래의 절차를 포함하는데, 즉
c1. 서비스 호출자가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과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을 경과하여 호출되는 자에게 서비스 호출 청구 메시지를 발송한다.
c2. 호출되는 자가 상기 청구를 수신한 후, 또 다시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과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을 경과하여 서비스 호출 회답 메시지를 반송하는데, 이러한 회답 메시지에는 호출자가 필요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그 중,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과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은 각각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 호출 청구 콜백 함수와 서비스 호출 회답 콜백 함수를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 청구와 서비스 호출 회답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서비스 호출 청구 콜백 함수와 서비스 호출 회답 콜백 함수는, 서비스 로그인을 진행할 때 목전 로그인 서비스에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로컬 프로토콜 스택에 전달한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한 홈 네트워크의 장치 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에서는, 이 방법이 서비스 로그인, 서비스 탐색 및 서비스 임대와 결합하고 또한 각각의 서비스가 정식적으로 호출되기 전에 우선 이 서비스에 대한 사용이 가능한가를 검점하기에, 즉 이미 로그인 했는가, 임대관계를 확립했는가, 병행 발송 제어에 부합되는가 등등을 진행하기에, 서비스 호출 조작의 안전성, 신뢰성 및 협조성을 충분히 보증하였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일 간단한 서비스 호출 과정을 서술하면 아래와 같다. 즉 서비스 호출자가 호출되는 자에 향해 서비스 호출 청구 메시지를 발송하고, 이 청구가 호출자 프로토콜 스택 및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을 경과하여 호출되는 자에게 전송된다. 호출되는 자가 청구를 수신한 후, 또 다시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 및 호출자 프로토콜 스택을 경과하여 서비스 호출 회답 메시지를 반송하는데, 이 메시지에는 호출자가 필요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실제 응용에서, 도 2가 도시한 과정은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조작을 진행하는 중의 단지 일차의 인터랙션 과정에 불과하고, 이 과정을 일차 기본 서비스 호출 과정이라 부를 수 있으며,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 사이에서 여러 차의 기본 서비스 호출 과정을 통해서야만 일차의 완정한 서비스 호출을 완수할 수 있다.
이외, 홈 네트웨크에서는 서비스의 동적 변화에 적응하고 안전성 등을 만족하기 위하여서는, 서비스 호출이 반드시 서비스 로그인, 서비스 탐색, 서비스 권한 부여, 서비스 임대 등 조작과 결합할 것이 필요하다. 그 중, 서비스 로그인과 서비스 탐색을 결합하여 서비스의 동적 변화에 적응할 수 있고, 서비스 권한 부여와 서비스 임대를 결합하여 안전성 요구에 적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홈 네트워크 중의 서비스 호출은 아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이 하나의 서비스로서 운행하려면 우선 반드시 서비스 로그인을 진행해야 하고, 서비스 로그인을 통하여 서비스의 명칭, 유형 등 정보를 본 말단의 프로토콜 스택에 알려, 서비스의 집중 관리와 서비스 탐색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서비스 로그인이 성공한 후, 본 말단의 프로토콜 스택은 역시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게 하나의 서비스 핸들을 반송하는데, 이 서비스 핸들은 이 서비스를 유일하게 식별하고, 금후의 서비스 탐색, 서비스 권한 부여, 서비스 임대 및 서비스 호출에서 모두 이 서비스 핸들을 사용하게 된다.
서비스 로그인을 진행할 때, 응용 프로그램은 본 말단 프로토콜 스택에 기타 일부 정보를 전달하는데, 그 중 서비스 호출에 관련되는 내용은 아래 두가지가 있다.
a. 서비스 호출 청구 콜백 함수.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호출되는 서비스에 발송할 서비스 호출 청구를 수신한 후, 이 함수를 호출하여 실제적인 서비스 호출 조작을 진행한다.
b. 서비스 호출 회답 콜백 함수.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서비스 호출 결과를 호출자 프로토콜 스택에 피드백하고, 호출자 프로토콜 스택은 이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후, 이 함수를 호출하여 실행 결과를 서비스 호출자에게 통지한다.
2) 서비스 호출하는 대상을 확정하기 위하여, 서비스 호출자는 탐색 청구에서 탐색하려는 서비스의 명칭 및 유형 등 정보를 탐색하고, 서비스 탐색을 진행한다. 서비스 호출자 프로토콜 스택은 주어진 정보에 근거하여 이미 로그인 된 서비스 범위에서 탐색하는데, 만약 대응되는 서비스를 찾았으면 이미 찾아낸 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서비스 호출자에게 발송한다. 서비스 호출자는 서비스 호출 과정에서 호출되는 서비스의 호출 핸들만 지적하면 되고, 구체적 메시지의 발송과정은 프로토콜 스택이 완성한다.
3) 안전 전송의 각도에서 볼때, 각각의 서비스는 모두 각자의 안전 속성이 있는데, 서비스를 안전 속성에 근거하여 개방 서비스와 개인 서비스로 나눈다. 여기에서 말하는 개방 서비스는 누구든지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가리키고, 개인 서비스는 서비스 소유자의 허가가 있어야 만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가리킨다.
4) 호출되는 서비스의 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동일한 서비스를 동시에 호출하는 수량에 대해 제한하여야하므로 홈 네트워크에 병행 발송 제어가 존재한다. 즉 동일한 서비스가 동시에 호출되는 차수를 제어하는데, 이러한 제어 조작은 서비스 임대를 통하여 완성한다. 그러기에 서비스 호출자가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기 전에 또 서비스 임대를 진행해야 하며, 서비스 임대가 성공한 후에야만 서비스 호출이 가능하다. 그 구체적 과정은 아래와 같다. 즉 서비스 호출자가 서비스 임대 청구를 호출되는 자에게 발송하고, 호출되는 서비스가 이 청구를 수신한 후 자신의 최대 병행 발송 지지수와 상기 서비스의 목전 사용정황에 근거하여 이 서비스를 임대할 것인가에 대해 판단하며, 만약 목전 사용수가 이미 최대 병행 발송 지지수에 도달했다면 서비스 임대를 거절하고, 그렇지 않으면 서비스 임대를 허가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에서의 병행 발송 제어를 실현한다.
상기의 각종 조건을 기초로 한 서비스 호출의 구체적 실현과정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아래의 절차를 포함한다.
절차 401: 어느 한 서비스를 호출하는 경우, 서비스 호출자가 우선 호출되는 서비스가 대응하는 핸들을 탐색하고, 서비스 핸들을 획득한 후, 서비스 호출자가 호출되는 자에게 서비스 호출 청구를 발송한다.
서비스 호출 청구를 발송하는 동시에, 서비스 호출자는 또한 구체적 호출 정보를 포함한 완충 구역 어드레스 및 데이터 길이를 로컬 프로토콜 스택에 전달하고,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은 호출되는 자의 서비스 핸들에 근거하여 호출정보를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에 전달한다.
각 종류의 서비스는 서비스가 소속되는 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모두 소속되는 장치와 홈 네트워크의 자원 관리 장치에서 서비스 로그인을 진행하는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다. 로그인이 성공한 후, 각각의 서비스는 모두 자체의 서비스 핸들이 있고, 서비스 로그인 회답에는 목전 로그인 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서비스 호출 과정에서 반드시 호출자의 서비스 핸들과 호출되는 자의 서비스 핸들을 명확히 지적함으로써, 서비스 핸들을 이용하여 메시지 인터랙션을 완성할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호출자의 서비스 핸들과 호출되는 자의 서비스 핸들은 아래와 같이 탐색한다. 즉 A 서비스가 B 서비스를 호출하는 경우, A 서비스가 서비스 호출자에 소속되고, B 서비스가 호출되는 자에 소속된다고 가정한다. 사전에 A 서비스는 B 서비스의 존재를 모르고 단지 자신이 탐색하려는 서비스의 특징만 알고있으므로, 서비스 호출자는 서비스 특징에 관한 묘사를 통하여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에 B 서비스가 존재하는 가를 탐색하는데, 만약 존재하면 B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반송한 후 A 서비스와 B 서비스 사이에서 계속 통신을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서비스 특징에 관한 묘사를 통하여 기타 홈 네트워크 장치에서 B 서비스가 존재하는 가를 탐색한다. 만약 존재하면, B 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반송하고, B 서비스가 소속한 자를 호출되는 자로 정하며, 만약 홈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에 전부 B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번 탐색과정을 종료한다.
절차 402~404: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서비스 호출 청구를 수신한 후, 서비스 호출 청구 중의 서비스 핸들에 근거하여 이미 로그인된 서비스에서 대응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가를 탐색하는데,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서비스 호출자에게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에러표시 코드 B_E_SERVICE_NOT_EXIST 정보를 반송하고 서비스 호출자가 이 에러표시 코드를 수신한 후 이번 호출 과정을 종료하며, 만약 그렇지 않으면 절차 405를 진행한다.
절차 405~406: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목전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 서비스 사이에서 임대관계를 확립했는가를 판단하는데, 만약 확립하지 않았다면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자에게 서비스 임대 에러를 표시하는 에러표시 코드 B_E_SERVICE_RENT_DENIED 정보를 반송하고 서비스 호출자가 이 에러표시 코드를 수신한 후 이번 호출 과정을 종료하며, 만약 그렇지 않으면 절차 407을 진행한다.
절차 407: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서비스 호출 회답 형식으로 서비스 호출자에게 발송하고, 즉 서비스 호출자가 이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다고 허가하는 지시를 반송하고, 호출된 자의 프로토콜 스택은 서비스 호출 회답을 획득한 후 이것을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에 반송한다.
절차 408~412: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은 서비스 호출 회답을 수신한 후, 서비스 핸들에 근거하여 서비스 탐색 및 임대관계에 관한 검점을 진행하는데, 만약 이 양자 중 임의의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면, 즉 목전 호출 서비스를 아직 찾지 못했거나 또는 호출되는 자와 호출 서비스 사이에서 임대관계를 확립하지 않은 경우, 이 회답 메시지를 버리고, 아무런 처리도 진행하지 않는다. 만약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절차 413을 진행한다.
절차 413: 만약 서비스 호출자의 서비스 탐색 및 임대관계의 검점을 전부 통과했으면,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 사이에서 진정한 서비스 호출 과정을 시작한다. 뒤에 따르는 서비스 호출 과정에서,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과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은 각기 자체가 제공하는 서비스 호출 콜백 함수를 이용하여 호출 청구와 회답 메시지를 처리한다. 이 서비스 호출 콜백 함수는 서비스 호출 청구 콜백 함수와 서비스 호출 회답 콜백 함수를 포함하는데, 이 서비스 호출 콜백 함수는, 서비스 로그인을 진행할 때 목전 로그인 서비스에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로컬 프로토콜 스택에 전달한 것이다.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 사이에서는 적어도 일차의 기본 서비스 호출 과정의 인터랙션을 진행하고, 일차의 완정한 서비스 호출을 완성하면 서비스 호출을 종료한다.
상기의 절차에서,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자가 이미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자 사이에서 임대관계를 확립했다고 확정한 후, 이 방법에서는 진일보로 병행 발송 제어를 진행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호출되는 서비스의 목전 호출 수량이 이 호출되는 서비스의 제어 임계값을 초과하는 가를 판단한 후, 만약 옳다고 판단했으면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호출 거절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다고 판단했으면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호출 허가로 설정한다.
상기의 기본 서비스 호출 과정에 관한 설명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비스 호출과정에서 임대관계를 검점함으로, 권한을 부여하지 않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서비스 호출의 안전성을 보증한다.
상기 절차에서, 서비스 호출 청구와 서비스 호출 회답의 메시지 형식은 아래의 표 1 및 표 2에서 표시한 바와 같다. 그 중, 표 1은 서비스 호출 청구 메시지의 구체적 형식에 관한 것인데, 필드명칭, 필드내용, 필드유형 및 이 필드의 수치확정범위를 포함하고, 표 2는 서비스 호출 회답 메시지의 구체적 형식에 관한 것인데, 여기에서도 필드명칭, 필드내용, 필드유형 및 이 필드의 수치확정범위를 포함한다.
표1, 표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메시지의 앞의 여섯개 필드는 동일하다. 즉 첫번째 필드는 메시지 유형이고, 두번째 필드는 메시지 일련번호인데 이러한 일련번호는 메시지의 중복 전송 및 회답 메시지와 청구 메시지 간의 메시지 대응에 사용되며, 세번째 부터 여섯번째 필드는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의 지정 서비스에 사용된다.
실제 응용에서, 서비스 호출 청구 메시지와 서비스 호출 회답 메시지는 XML 언어로써 실현한다. 본 발명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발송한 실제 호출 데이터를 즉 예를 들면 호출하려는 서비스의 내용 또는 기능에 관한 묘사 등을,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단순 목적 엑세스 프로토콜(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을 가하는 방식에 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순 형식의 데이터에 대하여 즉 어느 한 서비스를 호출하든지 반드시 써넣어야 하는 통용 데이터, 예를 들면 호출되는 서비스의 기본메시지에 대하여서는 호출되는 동작명칭, 동작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명칭, 및 파라미터 값을 지정(확정)하는 방식을 통하여 호출 메시지를 전달한다. 기타 형식의 데이터에 관해서는, 데이터가 일반적인 2진 시스템 데이터로써 전송되고, 데이터의 구체적 함의는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 사이에서 해석하며, 프로토콜 스택은 단지 전송만 책임진다.
총적으로, 상기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홈 네트워크 중의 장치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비스 호출자가 서비스 특징 정보를 통하여 호출되는 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획득한 후, 획득한 서비스 핸들을 이용하여 호출되는 자에게 서비스 호출 청구를 발송하고,
    b.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청구정보를 수신한 후, 청구정보 중의 호출되는 서비스 핸들에 근거하여 호출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또한 이 호출되는 서비스가 이미 서비스 호출자와 임대관계를 확립했는가를 판단하며, 만약 옳다면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포함한 서비스 호출 회답 정보를 서비스 호출자에게 반송하고 절차 c를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번 과정을 종료하며,
    c.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이 서비스 호출 회답정보를 수신한 후, 회답정보 중의 호출 서비스 핸들에 근거하여 자체에 이러한 서비스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또한 이 호출 서비스가 호출된 자와 이미 임대관계를 확립했는가를 판단하며, 만약 옳다면 서비스 호출자와 호출되는 자가 실제적인 서비스 호출 인터렉션 과정을 시작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번 과정을 종료한다는
    상기한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중의 설비 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로그인에서 성공한 후 이 서비스를 식별하는 유일한 서비스 핸들을 획득하는 절차를 진일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중의 설비 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절차 a에서의 상기 서비스 핸들의 획득은
    a1. 서비스 호출자가 우선 호출되는 서비스에 관한 특징 묘사에 근거하여, 로컬 프로토콜 스택에서 이 호출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가를 탐색하고, 만약 존재하면 상기 호출되는 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반송하고 탐색 과정을 종료하며,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아래의 절차 a2를 진행하며,
    a2. 서비스 호출자가 호출되는 서비스에 관한 특정 묘사에 근거하여, 기타 홈 네트워크 장치에 이 호출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가를 탐색하고, 만약 존재하면 상기 호출되는 서비스의 서비스 핸들을 반송하고 이 호출되는 서비스가 소속하는 자를 호출되는 자로 설정하며,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탐색 과정을 종료한다는
    상기한 절차를 진일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중의 설비 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절차 c에서 상기의 실제적인 서비스 호출의 인터랙션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서비스 호출 과정을 포함하고, 각각의 기본 서비스 호출 과정은 진일보로 아래의 절차 즉
    c1. 서비스 호출자가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과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을 경과하여 호출되는 자에게 서비스 호출 청구 메시지를 발송하며,
    c2. 호출되는 자가 상기 청구를 수신한 후, 또 다시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과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을 경과하여 서비스 호출 회답 메시지를 반송하는데, 이러한 회답 메시지에는 호출자가 필요로하는 정보가 포함된다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중의 설비 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서비스 호출자의 프로토콜 스택과 호출되는 자의 프로토콜 스택은 각각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 호출 청구 콜백 함수와 서비스 호출 회답 콜백 함수를 이용하여 서비스 호출 청구와 서비스 호출 회답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중의 설비 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서비스 로그인을 진행할 때, 목전 로그인 서비스에 대응되는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서비스 호출 청구 콜백 함수와 서비스 호출 회답 콜백 함수를 로컬 프로토콜 스택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중의 설비 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 호출자 또는 호출되는 자가, 호출자가 이미 호출되는 자와 임대관계를 확립했다고 확인한 후, 상기 방법은 진일보로 아래의 절차 즉, 상기 호출되는 서비스의 목전 호출 수량이 이 호출되는 서비스의 제어 임계값을 초과했는 가를 판단한 후, 만약 초과했다고 판단하면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호출 거절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다고 판단하면 호출되는 자가 서비스 호출 결과를 호출 허가로 설정하는 절차를 진일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중의 설비 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KR1020057010829A 2002-12-20 2003-06-30 홈 네트워크의 장치들 간에 서비스를 호출하는 방법 KR100706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2158016.2 2002-12-20
CNB021580162A CN1173524C (zh) 2002-12-20 2002-12-20 在家庭网络中设备间进行服务调用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289A true KR20050084289A (ko) 2005-08-26
KR100706769B1 KR100706769B1 (ko) 2007-04-12

Family

ID=3207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829A KR100706769B1 (ko) 2002-12-20 2003-06-30 홈 네트워크의 장치들 간에 서비스를 호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18714B2 (ko)
EP (1) EP1575216B1 (ko)
JP (1) JP4220471B2 (ko)
KR (1) KR100706769B1 (ko)
CN (1) CN1173524C (ko)
AU (1) AU2003246153A1 (ko)
RU (1) RU2291582C2 (ko)
WO (1) WO20040578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221B1 (ko) * 2006-06-07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간의 서비스 요청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9635B2 (ja) * 2006-02-17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を構成する方法、通信システム
KR101614945B1 (ko) * 2008-08-20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US8325893B2 (en) * 2008-11-24 2012-12-04 Ringcentral, Inc. Click-to-call attack prevention
CN104065684B (zh) * 2013-03-21 2019-03-08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和终端设备
CN103401912B (zh) * 2013-07-24 2016-03-16 江苏物联网研究发展中心 基于普适计算的服务自组网方法
CN103945002B (zh) * 2014-05-05 2017-05-31 瞄财网络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普适计算的高效服务管理方法
CN104392011B (zh) * 2014-10-31 2017-10-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指标计算方法及装置
CN105681137A (zh) * 2014-11-20 2016-06-15 北京海尔广科数字技术有限公司 用于服务调用的方法和设备
CN104935484A (zh) * 2015-05-28 2015-09-23 北京海尔广科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网关调用家电服务的方法及装置
RU2619082C1 (ru) * 2016-05-05 2017-05-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ьюЛабс"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абонентов при встречных вызова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5081010A (zh) * 2021-03-16 2022-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布式的访问控制方法、相关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8211B1 (en) * 1998-12-28 2002-07-09 Ericsson Inc. Adaptive call screening method
US7739407B1 (en) 1999-12-29 2010-06-15 Nokia Siemens Networks Oy Systems for customizing behaviors and interfaces in service invocations
US6917976B1 (en) * 2000-05-09 2005-07-12 Sun Microsystems, Inc. Message-based leasing of resour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6922685B2 (en) 2000-05-22 2005-07-26 Mci,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artitioned data resources
EP1168856A1 (en) 2000-06-27 2002-01-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all handling in an intelligent network
US7085805B1 (en) 2000-07-07 2006-08-01 Sun Microsystems, Inc. Remote device management in grouped server environment
JP2002094543A (ja) 2000-09-18 2002-03-29 Sony Corp 携帯情報機器、携帯情報機器アクセス装置、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アクセス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221B1 (ko) * 2006-06-07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간의 서비스 요청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저장 매체
US8645487B2 (en) 2006-06-07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requesting services of network devices, network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2772A (zh) 2004-03-17
EP1575216A4 (en) 2009-02-25
CN1173524C (zh) 2004-10-27
RU2005122114A (ru) 2006-01-27
AU2003246153A1 (en) 2004-07-14
EP1575216A1 (en) 2005-09-14
EP1575216B1 (en) 2014-01-01
US20060140373A1 (en) 2006-06-29
WO2004057800A1 (fr) 2004-07-08
JP4220471B2 (ja) 2009-02-04
RU2291582C2 (ru) 2007-01-10
KR100706769B1 (ko) 2007-04-12
JP2006510320A (ja) 2006-03-23
US7218714B2 (en) 200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279B1 (ko) 네트워크 중에서 장치간 자동 탐색을 진행하는 방법
RU2291581C2 (ru) Способ равноправ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устройств в динамически работающих домашних сетях
CN101123548B (zh) 一种即时通讯中的信息服务方法及系统
CN105723788A (zh) 用于在m2m通信系统中进行订阅和通知的方法及其设备
CN107667550A (zh) 无线通信系统中通过轮询信道来处理请求的方法及其设备
CN104956649A (zh) 呼叫没准备好的终端
KR20050084289A (ko) 홈 네트워크 중의 장치간에서 서비스 호출을 진행하는 방법
CN106790251A (zh) 用户接入方法和用户接入系统
CN106357654A (zh) 远程过程调用方法、装置及通信系统
CN107659903A (zh) 用于实现 VoLTE 业务自动开通的方法和系统
Kanter An open service architecture for adaptive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CN108696858A (zh) 一种基于手机号码建立社交关系的方法和系统
EP14849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elecommunication number based on presence
Cisco 1 - Introduction
CN100389584C (zh) 一种用于应用服务器的安全能力的协商方法
CN213426203U (zh) 一种内外网临时通讯系统
CN112804729B (zh) 基于B-TrunC的实时信息获取方法及装置
CN112351007A (zh) 一种内外网临时通讯系统及通讯方法
EP1702413A2 (en) Mobile connection broker
CN117768924A (zh) 一种网络容灾方法、装置、客户端和业务控制点
ITAQ20000018A1 (it) Rete virtuale di calcolatori realizzata mediante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