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343A -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 Google Patents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343A
KR20050081343A KR1020040009544A KR20040009544A KR20050081343A KR 20050081343 A KR20050081343 A KR 20050081343A KR 1020040009544 A KR1020040009544 A KR 1020040009544A KR 20040009544 A KR20040009544 A KR 20040009544A KR 20050081343 A KR20050081343 A KR 2005008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elevating
lifting
conn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목
임만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343A/ko
Publication of KR2005008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물의 승강을 위한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를 개시한 것이다. 개시한 저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저장실 내부의 저장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구비하며, 승강장치는 저장실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판과, 승강판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가 형성된 이송나사와, 이송나사의 일단에 결합되어 이송나사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이송나사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각각 나사결합 되어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진퇴하는 제1 및 제2이송부재와, 일단이 승강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1이송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와, 일단이 승강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2이송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STORAGE CONTAINER WITH ELEVATOR}
본 발명은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개방형 저장고 내부의 저장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의 저장고로는 상부의 덮개가 회동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된 김치저장고가 있다. 김치저장고는 김치의 냉장보관을 위한 냉각수단을 갖춘 것으로 김치 등을 수납하기 위한 상부 개방형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저장고는 저장실의 개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저장실의 깊이가 깊은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장실 하부에 보관된 저장용기를 꺼낼 때 허리를 심하게 굽혀야 하는 등 저장용기의 수납이 불편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저장고의 저장실 내부에 승강장치를 마련하여 내부의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19026호에 개시된 김치냉장고의 저장물 승강장치가 그 예이다. 이 김치냉장고의 승강장치는 저장용기의 탑재를 위해 저장실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선반과, 다수의 선반을 지지하는 골격을 이루도록 다수의 선반 양단에 결합되며 롤러를 통해 지지된 가이드부재와, 다수의 선반과 함께 승강하도록 각 선반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Rack)과, 랙과 치합된 상태에서 랙을 승강시키도록 저장실의 양측 상부에 설치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 승강장치는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랙이 승강할 때 저장용기를 탑재한 선반이 승강함으로써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승강장치는 저장용기를 상승시킬 때 선반, 가이드부재, 랙 등이 저장용기와 함께 저장실 상부로 상승하여 저장고의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저장용기의 수납과정에서 사용자가 상승한 가이드부재에 부딪힐 수 있는 등 사용상의 불편이 있었다.
또한 이 승강장치는 다수의 선반, 부피가 큰 가이드부재,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랙, 그리고 승강구동부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까다롭고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저장실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좋고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비하여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 아니라 적은 에너지원으로 큰 상승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 내부의 저장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저장실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가 형성된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나사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나사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각각 나사결합 되어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진퇴하는 제1 및 제2이송부재와, 일단이 상기 승강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이송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와, 일단이 상기 승강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이송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나사의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와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이송나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를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에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핀이 진입하여 진퇴가 안내될 수 있도록 그 양쪽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단부가 상기 승강판의 하면 중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의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단부가 상기 승강판의 둘레부분과 인접하는 하면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판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와 상기 각 연결부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사방 모서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면이 곡면으로 된 안내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판의 사방 모서리에는 상기 안내레일의 외면에 대응하여 지지되는 승강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본체의 벽에 매입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상의 상부개방형 김치저장고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저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는 저장실(11)이 형성된 본체(10)와, 저장실(11)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12)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외상(13)과 내상(14)사이에 발포단열재가 채워지는 통상의 단열벽체로 이루어지고, 덮개(12)도 이처럼 단열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본체(10)의 내상(14) 외면에는 저장실(11)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냉매배관으로 된 증발기(15)와, 김치의 숙성을 위한 것으로 통상의 전열선으로 된 히터(16)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하부에는 압축기(17), 응축기(18), 냉각팬(19)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저장실(11)과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기계실(20)이 마련된다.
저장실(11)의 내부에는 김치 등이 담긴 저장용기(2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저장용기(21)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승강장치(30)가 설치된다. 이 승강장치(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실(1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31)과, 승강판(31)의 하부 즉 저장실(11)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2)과, 이 지지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나사(33)와, 이송나사(33)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를 포함한다. 또한 승강장치(30)는 이송나사(33)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이송부재(35,36)와, 하단이 제1 및 제2이송부재(35,36)에 각각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상단이 승강판(31)의 하면 중앙부에 각각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연결링크(37,38)를 포함한다.
승강판(31)은 저장실(11)의 내부와 대응하는 직사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판(31)은 그 상부에 무거운 저장용기(21)가 탑재되더라도 변형이 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구비하는 금속재 패널이나 하면에 다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된 수지재의 패널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 승강판(31)은 사방 모서리부분이 저장실(11) 내부의 사방 모서리부분에 승강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저장실(11) 내부의 사방 모서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외면이 돌출하는 곡면형상으로 된 안내레일(39)이 마련되고, 승강판(31)의 사방 모서리에는 안내레일(39)의 외면에 대응하여 지지되는 승강안내홈(40)이 형성된다. 이때 승강안내홈(40)은 승강판(31)의 사방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41)에 형성된다. 이는 승강안내홈(40)의 상하 길이가 길어져서 승강판(31)이 수평상태로 승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저장실(11)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2)은 저장실(11)의 길이가 긴 쪽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구비하며 그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송나사(33)는 지지프레임(32)의 내부에 수용되며 그 양단이 지지프레임(32)의 양쪽 단부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구동모터(34)는 지지프레임(32)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이송나사(33)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벽에 매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구동모터(34)가 동작할 때 지지프레임(32)에 지지된 이송나사(33)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이송나사(33)가 지지프레임(32) 내에 수용됨으로써 지지프레임(32)을 통해 보호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송나사(33)는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왼나사부(33a)와 오른나사부(3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이송부재(35,36)는 이송나사(33)의 왼나사부(33a)와 오른나사부(33b) 외면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이는 구동모터(34)의 동작에 의해 이송나사(3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및 제2이송부재(35,36)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 및 제2연결링크(37,38)는 각각의 상단이 승강판(31)의 하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연결부재(4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재(42)는 복수의 고정나사(48) 체결을 통해 승강판(31)과 결합되고, 제1 및 제2연결링크(37,38)의 상단은 연결부재(42)와 각 연결링크(37,38)를 관통하는 두 상부연결핀(43)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부연결핀(43)은 각 연결링크(37,38)와 연결부재(42)를 연결한 상태에서 한쪽 단부가 통상의 리벳 방식으로 변형됨으로써 분리가 방지된다.
또한 제1연결링크(37)는 제1이송부재(35)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연결핀(44)을 통해 제1이송부재(35)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제2연결링크(38)는 제2이송부재(36)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하부연결핀(44)을 통해 제2이송부재(36)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또 지지프레임(32)의 양쪽 측면에는 그 내부의 두 이송부재(35,36)가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홈(45)이 형성되고, 두 연결링크(37,38)와 두 이송부재(35,36)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핀(44)이 안내홈(45)에 진입한 상태에서 진퇴가 안내된다.
이러한 승강장치(30)의 구성은 구동모터(34)에 의해 이송나사(33)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두 이송부재(35,36)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두 연결링크(37,38)의 하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승강판(31)의 상승이 이루어지고, 이송나사(33)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두 이송부재(35,36)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두 연결링크(37,38)의 하단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승강판(31)의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저장용기(21)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이러한 승강장치(30)는 구동모터(34)에 의한 이송나사(33)의 회전운동이 제1 및 제2이송부재(35,36)와 제1 및 제2연결링크(37,38)를 통해 승강판(31)의 승강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큰 상승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즉 소용량의 구동모터(34)를 채용하여 이송나사(33)를 회전시키더라도 큰 상승력을 발휘할 수 있어 무거운 저장용기(21)를 쉽게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실시 예는 상술한 예와 달리 승강판(31)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연결링크(37,38)의 상단부가 승강판(31)의 둘레부분과 인접하는 하면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 승강판(31)의 하면 양측에는 제1 및 제2연결링크(37,38)와의 연결을 위한 두 연결부(51,52)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은 이송나사(33)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이송부재(35,36)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승강판(31)의 하강이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이송부재(35,36)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승강판(31)의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는 저장실 내부의 저장물을 승강시키는 승강판이 저장실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미관상 좋고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장치가 이송나사, 두 이송부재, 두 연결링크 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구성이 단순하고 부피가 작아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 의한 이송나사의 회전운동이 제1 및 제2이송부재와 제1 및 제2연결링크를 통해 승강판의 승강운동으로 변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큰 상승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소용량의 구동모터를 채용하여 이송나사를 회전시키더라도 큰 상승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구동모터의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갖춘 김치저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갖춘 김치저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저장실,
12: 덮개, 30: 승강장치,
31: 승강판, 32: 지지프레임,
33: 이송나사, 34: 구동모터,
35: 제1이송부재, 36: 제2이송부재,
37: 제1연결링크, 38: 제2연결링크,
39: 안내레일, 40: 승강안내홈,
42: 연결부재, 43: 상부연결핀,
44: 하부연결핀, 45: 안내홈.

Claims (9)

  1.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 내부의 저장물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저장실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가 형성된 이송나사와, 상기 이송나사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나사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나사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 각각 나사결합 되어 상기 이송나사의 회전에 의해 진퇴하는 제1 및 제2이송부재와, 일단이 상기 승강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이송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와, 일단이 상기 승강판의 하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이송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장방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나사의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와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이송나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를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에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이송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핀이 진입하여 진퇴가 안내될 수 있도록 그 양쪽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단부가 상기 승강판의 하면 중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단부가 상기 승강판의 둘레부분과 인접하는 하면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와 상기 각 연결부가 연결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부의 사방 모서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면이 곡면으로 된 안내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판의 사방 모서리에는 상기 안내레일의 외면에 대응하여 지지되는 승강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가 상기 본체의 벽에 매입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KR1020040009544A 2004-02-13 2004-02-13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KR20050081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544A KR20050081343A (ko) 2004-02-13 2004-02-13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544A KR20050081343A (ko) 2004-02-13 2004-02-13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343A true KR20050081343A (ko) 2005-08-19

Family

ID=3726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544A KR20050081343A (ko) 2004-02-13 2004-02-13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13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082A (ko) * 2017-06-20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180138083A (ko) * 2017-06-20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200044489A (ko) * 2018-10-19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082A (ko) * 2017-06-20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180138083A (ko) * 2017-06-20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200044489A (ko) * 2018-10-19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1837B1 (en) Bottom drawer type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device
KR102579883B1 (ko) 냉장고
JP4190461B2 (ja) 冷却貯蔵庫
US20060049726A1 (en) Showcase
CN203629195U (zh) 冰箱可调搁物架及冰箱
US8104852B2 (en) Refrigerator
US7669944B2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KR20050081343A (ko)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CN211120242U (zh) 一种具有升降层架的冰箱
KR20050081349A (ko)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KR100583196B1 (ko)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KR20050082330A (ko)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KR20090012064U (ko) 선반조립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470477B1 (ko) 김치저장고의 승강장치
KR20050081344A (ko) 김치 냉장고
CN113932531B (zh) 冰箱
KR101291209B1 (ko) 선반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50081347A (ko)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KR200365675Y1 (ko)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KR100222987B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 조절 장치
CN219433567U (zh) 制冷设备
KR20050081340A (ko) 김치냉장고
KR20050097188A (ko)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CN220750483U (zh) 冰箱
CN219160699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