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191A -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 - Google Patents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191A
KR20050081191A KR1020050067583A KR20050067583A KR20050081191A KR 20050081191 A KR20050081191 A KR 20050081191A KR 1020050067583 A KR1020050067583 A KR 1020050067583A KR 20050067583 A KR20050067583 A KR 20050067583A KR 20050081191 A KR20050081191 A KR 20050081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veyor
clean bench
hepa filt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868B1 (ko
Inventor
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신아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아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신아씨스템
Priority to KR102005006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86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2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conveyor feeding and discharg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4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the air flow rate increasing with an increase of air-current or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에 관한 것으로, 콘베이어의 일측에 콘베이어 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어 마련된 크린 벤치 프레임; 상기 크린 벤치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일면에는 공기흡입구 및 흡입된 공기로 부터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걸러 주는 프리필터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공기배출용 덕트가 마련된 송풍기 하우징; 상기 송풍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팬과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덕트로 강제 배출하는 송풍기; 상기 덕트 상단에 연결되고, 덕트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콘베이어의 상면에 국지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헤파필터 하우징; 및 상기 헤파필터 하우징의 공기토출구 직전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를 걸러 주는 헤파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의하면, 크린 벤치의 설치 면적 및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청정 작업을 콘베이어 상에서 바로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 능율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필터링 능력의 훼손 없이 헤파필터의 사용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어, 적은 운영 비용으로 크린 벤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CLEAN BENCH COMBINED WITH CONVEYOR}
본 발명은 크린 벤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베이어가 사용하는 크린룸에 콘베이어와 일체로 설치되어, 콘베이어의 구간 중 고도의 청정도가 요구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국지적으로 청정 공기를 투입하여 부분적으로 고도의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에 관한 것이다.
크린 벤치는 크린룸에서 특히 고도의 청정도가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종래, 크린 벤치는 1인 또는 2인의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대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공간과, 공기 정화를 위하여 필요한 헤파 필터, 송풍기(팬과 모터) 등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입체적으로 구비한 케비넷 구조로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크린 벤치는 특히 콘베이어가 설치된 크린룸에 있어서는 콘베이어와 독립적으로 제작 및 설치되어,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콘베이어 상에서 작업이 진행 중인 제조물을 청정 작업 단계에서 크린 벤치로 운반하여야 하고, 크린벤치에서 청정 작업이 종료되면, 다시 콘베이어로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크린 벤치에서는 송풍기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 하면서, 토출 풍속을 감지하여 토출 풍속이 기준치(보통 출구 풍속: 3m/sec)이하로 떨어지면 헤파 필터의 교환 시기로 판단하여, 헤파 필터를 교체해 왔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방식의 크린 벤치 운용은 헤파 필터의 필터링 능력이 아직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헤파 필터를 빈번히 교체하게 하여, 크린 벤치의 유지 비용을 과다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크린 벤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크린룸 내부에서 별도의 설치 공간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면적 및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정 작업을 콘베이어 상에서 바로 진행하여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링 능력의 훼손 없이 헤파 필터의 교체 주기를 늘려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한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는
콘베이어의 일측에 콘베이어 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어 마련된 크린 벤치 프레임;
상기 크린 벤치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일면에는 공기흡입구 및 흡입된 공기로 부터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걸러 주는 프리필터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공기배출용 덕트가 마련된 송풍기 하우징;
상기 송풍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팬과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덕트로 강제 배출하는 송풍기;
상기 덕트 상단에 연결되고, 덕트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콘베이어의 상면에 국지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헤파필터 하우징; 및
상기 헤파필터 하우징의 공기토출구 직전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를 걸러 주는 헤파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기의 모터에는 모터의 속도를 가감할 수 있는 제어부를 연결하고, 상기 공기배출구와 헤파필터사이에는 헤파필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풍압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헤파필터의 배출 공기압이 설정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모터를 가속하여 상기 헤파필터의 배출 공기압이 설정범위내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의 사시도이다.
도1 및 도 2의 도면에는 편의상 생략하되었지만, 콘베이어 롤러(3) 상부에는 롤러(3)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는 콘베이어 벨트가 구비되고, 그 콘베이어 벨트 상부에 제조물이 놓여 이동하면서 각 작업 공정을 거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은 크린 벤치를 콘베이어(1)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콘베이어(1) 벨트 상면에 직접 국지적인 청정 구역을 형성할 수 있게 한 점에 있다.
콘베이어(1)는 콘베이어 롤러(3)와, 상기 콘베이어 롤러(3)를 바닥으로 부터 일정한 높이 만큼 유지하면서 지지하고 작업 도구 등을 거칠할 수 있는 콘베이어 프레임(5)과, 상기 콘베이어 롤러(3)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는 콘베이어 벨트(미도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크린 벤치 프레임(6)을 콘베이어(1)의 일측에 콘베이어 프레임(5)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크린 벤치 프레임(6) 상부에 공기 통로(7, 12, 13, 15, 21a ~ 21c), 송풍기(11) 및 필터(9, 17a ~ 17c)를 구비한다.
즉, 상기 크린 벤치 프레임(6) 상에는, 일면에 공기흡입구(7)가 통공되고, 상면에 공기배출용 덕트(13)가 마련된 송풍기 하우징(12)과, 상기 덕트(13)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콘베이어(1)의 상면에 국지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토출구(21)가 형성된 헤파필터 하우징(12)을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 하우징(12) 내부에는 상기 공기흡입구(7)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덕트(13)로 강제 배출하는 송풍기(11)를 마련한다. 상기 송풍기(11)는 팬과 모터로 구성되며, 모터로는 회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모터는 극변환모터(pole change moter)를 사용하여 회전 속도를 단계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의 회전 속도 증가는 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고 팬의 회전 속도 증가는 풍속을 증가시켜, 헤파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압을 증가시킨다.
상기 송풍기 하우징(12)의 공기흡입구(7)에는 흡입된 공기로 부터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걸러 주는 프리필터(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헤파필터 하우징(12)의 공기토출구(21a, 21b, 21c) 직전에는 미세 먼지를 걸러 주는 헤파필터(17a, 17b, 17c)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송풍기를 회전시키면 상기 송풍기 하우징(12)의 공기흡입구(7)를 통과하여 프리필터(9)에서 부유물이 걸러진 공기는 송풍기(11) 및 덕트(13)를 경유한 후, 헤파필터(17a, 17b, 17c)에 의하여 미세 먼지까지 제거되고, 공기토출구(21a, 21b, 21c)로 부터 배출되어 콘베이어 상부의 일정 영역을 청정상태로 유지 시켜 준다.
상기 헤파필터(17a, 17b, 17c)는 미세 먼지가 누적되면, 동일한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배출되는 공기량이 점점 줄어 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헤파필터(17a, 17b, 17c)에 미세 먼지가 많이 끼어 풍압이 설정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면, 송풍기(11)의 모터 속도를 높여 풍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 데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송풍기(11)의 모터에는 모터의 속도를 가감할 수 있는 제어부(23)를 연결하고, 상기 공기배출구(21a, 21b, 21c)와 헤파필터(17a, 17b, 17c)사이에는 헤파필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3)에 출력하는 풍압센서(19)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헤파필터(17a, 17b, 17c)의 배출 공기압이 설정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모터를 가속하여 상기 헤파필터(17a, 17b, 17c)의 배출 공기압이 설정범위내로 유지되게 콘트롤하게 된다. 특히 상기 송풍기(11)의 모터로 상술한 바와 같이 극변화모터(pole change motor)를 사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연적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계단식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크린룸 내부에서 별도의 설치 공간 없어도 크린 벤치의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면적 및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정 작업을 콘베이어 상에서 바로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 능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링 능력의 훼손 없이 헤파필터의 사용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어, 적은 운영 비용으로 크린 벤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보호 범위를 여기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이에 균등한 모든 실시예에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베이어(conveyor) 3 : 콘베이어 롤러
5 : 콘베이어 프레임 6 : 크린벤치 프레임
7 : 공기흡입구 9 : 프리필터(pre-filter)
11 : 송풍기 12 : 송풍기 하우징
13 : 덕트(duct) 15 : 헤파필터 하우징(HEPA filter housing)
17a, 17b, 17c : 헤파필터 19 : 풍압센서
21a, 21b, 21c : 공기토출구 23 : 제어부

Claims (2)

  1. 콘베이어(1)의 일측에 콘베이어 프레임(5)과 일체로 결합되어 마련된 크린 벤치 프레임(6);
    상기 크린 벤치 프레임(6) 상에 배치되고, 일면에는 공기흡입구(7) 및 흡입된 공기로 부터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걸러 주는 프리필터(9)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공기배출용 덕트(13)가 마련된 송풍기 하우징(12);
    상기 송풍기 하우징(12) 내부에 구비되고 팬과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흡입구(7)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덕트(13)로 강제 배출하는 송풍기(11);
    상기 덕트(13) 상단에 연결되고, 덕트(13)로 부터 흡입된 공기를 콘베이어(1)의 상면에 국지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토출구(21)가 형성된 헤파필터 하우징(12); 및
    상기 헤파필터 하우징(12)의 공기토출구(21a, 21b, 21c) 직전에 설치되어 미세 먼지를 걸러 주는 헤파필터(17a, 17b, 1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1)의 모터에는 모터의 속도를 가감할 수 있는 제어부(23)를 연결하고, 상기 공기배출구(21a, 21b, 21c)와 헤파필터(17a, 17b, 17c)사이에는 헤파필터로 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3)에 출력하는 풍압센서(19)를 구비하여, 상기 헤파필터(17a, 17b, 17c)의 배출 공기압이 설정범위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모터를 가속하여 상기 헤파필터(17a, 17b, 17c)의 배출 공기압이 설정범위내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
KR1020050067583A 2005-07-26 2005-07-26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 KR10064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583A KR100641868B1 (ko) 2005-07-26 2005-07-26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583A KR100641868B1 (ko) 2005-07-26 2005-07-26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191A true KR20050081191A (ko) 2005-08-18
KR100641868B1 KR100641868B1 (ko) 2006-11-02

Family

ID=3726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583A KR100641868B1 (ko) 2005-07-26 2005-07-26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91B1 (ko) * 2007-01-16 2008-05-07 조연제 크린 벤치의 필터 교환주기 검출방법
KR101294121B1 (ko) * 2012-08-16 2013-08-08 한동석 훈연 배기 장치
KR101522028B1 (ko) * 2013-06-26 2015-05-21 한동석 훈연 배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82Y1 (ko) 2008-04-04 2010-11-08 박성태 에어 크린룸용 에어 크리닝 유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91B1 (ko) * 2007-01-16 2008-05-07 조연제 크린 벤치의 필터 교환주기 검출방법
KR101294121B1 (ko) * 2012-08-16 2013-08-08 한동석 훈연 배기 장치
KR101522028B1 (ko) * 2013-06-26 2015-05-21 한동석 훈연 배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868B1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58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JP5379798B2 (ja) 省エネルギー機能を持つ知能型換気制御システム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RU2633256C2 (ru) Локальный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KR101874419B1 (ko) 공기정화장치
KR100641868B1 (ko) 콘베이어 일체형 크린 벤치
KR20170057028A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2003525112A (ja) 空気濾過装置及び空気を濾過する方法
KR101013379B1 (ko) 공기청정기
KR20180023205A (ko) 엘리베이터용 송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3310006U (zh) 空调室内机
RU26058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увания очищенного воздуха
CN214370636U (zh) 一种无尘车间空气净化系统
JP2004286436A (ja) 空気流速制御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清浄室空調システム
KR100519301B1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JP3518438B2 (ja) クリーンルーム設備
CN107420983A (zh) 带有净化功能的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4320136B2 (ja) 空気清浄化装置
KR100669026B1 (ko) 공기정화장치
JP2005171476A (ja) 精紡位置のための吸込みシステムを備えた精紡機の運転法及び精紡位置のための吸込みシステムを備えた精紡機
US20220219288A1 (en) Air circulation system and final polis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443973A (zh) 多分解式分离型空调的室内机
KR200151098Y1 (ko) 장비 부착용 공기 청정장치
CN220707599U (zh) 一种节能新风除湿机
KR101923149B1 (ko)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