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066A - 자동 영상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영상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066A
KR20050081066A KR1020040009311A KR20040009311A KR20050081066A KR 20050081066 A KR20050081066 A KR 20050081066A KR 1020040009311 A KR1020040009311 A KR 1020040009311A KR 20040009311 A KR20040009311 A KR 20040009311A KR 20050081066 A KR20050081066 A KR 20050081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remote controller
viewing distance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066A/ko
Publication of KR2005008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0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청 거리에 따른 자동 영상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영상 조정 방법은, 리모우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와 화면이 구비된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메뉴에서 자동 화질 조정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에서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와 화면 사이의 시청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의 화질, 화면의 크기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와 텔레비젼과의 시청 거리를 측정하여 화질 및 화면 크기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영상 환경이 최적화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영상 조정 방법{image adjusting method}
본 발명은 시청 거리에 따른 자동 영상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텔레비젼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현재 디지털 텔레비젼의 시대가 시작된 현재까지 텔레비젼은 고선명 고화질의 제품을 추구하며 발전해 왔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이란 디지털로 전송하는 텔레비젼 방송의 총칭을 말한다. 미국에선 ATV(Advanced television)라 불리는 차세대 텔레비젼에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으며, 유럽에서는 스웨덴 방송 등의 HD DIVINE, 영국의 SPECTRE, 프랑스 방송의 DIAMOND 등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디지털 텔레비젼은 B-ISDN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동한 차세대 텔레비젼 방식으로 각국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선명도나 밝기, 색상 등의 조정값에 의해 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제품의 메뉴상에 포함시켜서 사용자가 직접 조정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포츠, 영화, 뉴스 등과 같은 몇 가지 특정 장면에 대해서는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적당한 값을 정해서 화질을 고정시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화질이 조정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 제품의 주변 밝기에 대한 센서(sensor)를 장착하여 그것을 통해 화면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게 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화질을 조정한 디지털 텔레비젼은 사용자와 텔레비젼 간의 거리 정보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젼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가 텔레비젼의 화면의 영상 크기를 변화시키는 기능도 사용자와 텔레비젼 간의 거리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지 않고 수동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는 화질 뿐만 아니라 시청 거리에 따른 화면의 사이즈를 수동으로 선택하거나 조정해야 한다.
상기 텔레비젼의 사이즈는 제품이 생산될 때 결정이 되나, 집안의 구조는 거주지가 바뀜에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집안의 구조가 바뀌게 되면 텔레비젼의 시청 거리도 바뀌게 된다.
예를 들어, 처음에 화면 크기가 큰 60인치의 텔레비젼을 구입했다가 시청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면 사용자는 텔레비젼의 시청 거리가 짧아 전체 화면을 한 눈에 볼 수 없으므로 텔레비젼을 시청하는 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최근에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대형화 추세로 화면 사이즈가 큰 텔레비젼을 구입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사용자와 텔레비젼과의 시청 거리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와 텔레비젼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화질 및 화면 크기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화질로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영상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영상 조정 방법은, 리모우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와 화면이 구비된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메뉴에서 자동 화질 조정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에서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와 화면 사이의 시청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의 화질, 화면의 크기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와 화면 사이의 시청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에서 발생된 적외선 신호가 화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시청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의 화질은 선명도 및 밝기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영상 조정 방법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텔레비젼(120)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리모우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110)를 이용하여 사용자(100)와 디지털 텔레비젼(12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110)에서 사용자(100)가 선택하는 키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광부에서 발사된 적외선이 상기 디지털 텔레비젼(120)에서 반사되어 다시 돌아와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110)의 수광부로 돌아오게 함으로써 사용자(100)와 디지털 텔레비젼(120) 사이의 거리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게 된다.
V = S/T
(V : 빛의 속도, S : 시청 거리, T : 적외선이 텔레비젼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상기와 같은 식에 따라 계산된 거리를 이용하여 텔레비젼의 화질을 결정하는 선명도와 밝기, 색 농도 등이 자동으로 설정되게 되는데, 이때의 값은 여러 가지 방법의 측정 결과를 가지고 이미 제품 설계시에 설정되어 텔레비젼 내부에 저장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른 화질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리모우트 콘트롤러를 이용해서 디지털 텔레비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의 메뉴(menu)에 있는 '시청 거리 자동 설정' 메뉴를 온(on)시키고,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에 있는 특정 키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의 발광부에서 출발한 적외선은 텔레비젼에 반사되어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의 수광부로 돌아오게 된다.
이때, 적외선이 반사되어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빛의 속도와 곱함으로써 사용자와 텔레비젼의 거리를 계산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 거리가 먼 경우에는 밝고 고선명의 화질로 최적화하여 먼 거리의 사용자도 최적의 화질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와 텔레비젼의 거리를 측정하여 텔레비젼의 화질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환경에서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른 화면 크기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리모우트 콘트롤러를 이용해서 디지털 텔레비젼의 메뉴(menu)에 있는 '시청 거리 자동 설정' 메뉴를 온(on)시키고,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에 있는 특정 키를 누름과 동시에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의 발광부에서 출발한 적외선은 텔레비젼에 반사되어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의 수광부로 돌아오게 된다.
이때, 적외선이 반사되어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빛의 속도와 곱함으로써 사용자와 텔레비젼의 거리를 계산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와 텔레비젼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화면의 크기를 커지게 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화면 크기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와 텔레비젼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화면의 크기를 작게 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화면 크기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및 화면 크기와 같이 사용자에게 최적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텔레비젼의 메뉴에 있는 '시청 거리 자동 설정'과 같은 메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화면 영상의 최적화 작업이 동작된다.
또한, 화질을 조정하여 영상을 최적화하는 방법과 화면 크기를 조정하여 영상을 최적화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따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각각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영상 조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와 텔레비젼과의 시청 거리를 측정하여 화질 및 화면 크기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영상 환경이 최적화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영상 조정 방법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른 화질을 설정하는 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의 시청 거리에 따른 화면 크기를 설정하는 화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사용자 110 : 리모우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120 : 텔레비젼

Claims (3)

  1. 리모우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와 화면이 구비된 디지털 텔레비젼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메뉴에서 자동 화질 조정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에서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와 화면 사이의 시청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의 화질, 화면의 크기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영상 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와 화면 사이의 시청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리모우트 콘트롤러에서 발생된 적외선 신호가 화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시청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영상 조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화질은 선명도 및 밝기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영상 조정 방법.
KR1020040009311A 2004-02-12 2004-02-12 자동 영상 조정 방법 KR20050081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311A KR20050081066A (ko) 2004-02-12 2004-02-12 자동 영상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311A KR20050081066A (ko) 2004-02-12 2004-02-12 자동 영상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066A true KR20050081066A (ko) 2005-08-18

Family

ID=3726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311A KR20050081066A (ko) 2004-02-12 2004-02-12 자동 영상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10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458A (ko) * 2012-01-09 201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레이아웃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458A (ko) * 2012-01-09 201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레이아웃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4035B2 (ja) ビデオミックスプログラムガイド
US20060007358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115435A1 (en) Projector and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having multiple image sizes
US8171507B2 (en) Using network server to establish TV setting
US201000202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icture-based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picture display parameter settings of a display device
EP2555512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elevision receiver,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06129627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7417689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on-screen display in digital TV
KR100816916B1 (ko)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20030085926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display settings of a display device
US20170195738A1 (en) Method for adjusting backlight brightness of television and box for adjusting backlight brightness of television
KR20050081066A (ko) 자동 영상 조정 방법
JP4498130B2 (ja) パレンタル・コントロール・チャンネルリストの追跡方法
KR101315415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62032A1 (en) Television system, television, and set top box
KR101387509B1 (ko) 영상 모드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보상 장치 및 방법
WO2005031424A2 (en) Arrangement for projecting images
KR0168579B1 (ko) 텔레비젼의 두화면시청시 빛반사인식에 의한 화면조절장치
KR10120041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CN101764963A (zh) 一种通过光标操作的电视机及遥控器
JPH0898120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KR20070081657A (ko)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72178A (ko) 데이터 방송에 있어서의 데이터 실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16636A (ko) 자동으로 화면의 센터를 조정할 수 있는 텔레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