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794A -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794A
KR20050080794A KR1020040008897A KR20040008897A KR20050080794A KR 20050080794 A KR20050080794 A KR 20050080794A KR 1020040008897 A KR1020040008897 A KR 1020040008897A KR 20040008897 A KR20040008897 A KR 20040008897A KR 20050080794 A KR20050080794 A KR 20050080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amping
closing
cylinder body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노하우뱅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하우뱅크(주) filed Critical 노하우뱅크(주)
Priority to KR102004000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794A/ko
Publication of KR2005008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열린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함은 물론이며 닫히는 과정에서 댐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작동에 따라 실린더바디(10)내에서 힌지축(20)과 함께 베인(40)이 피벗되며, 이로 인해 가스가 충전된 압력실(12)의 압력이 높아진다. 그리고 도어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압력실(12)내의 가스 팽창압력으로 인해 베인(40)과 힌지축(20)이 반대방향으로 피벗되며 이것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힌다. 또한,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힌지축(20)과 함께 베인(40)이 피벗되는 과정에서 댐핑부재(50)의 댐핑홀(51)내 공기가 서서히 빠져나가며, 이로 인해 도어의 닫힘 작동이 완충되면서 서서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장치를 출입문용 도어 또는 각종 전자제품 및 산업용 도어에 적용할 경우 에너지 낭비나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닫힘 동작이 댐핑부재(50)를 통해 완충되면서 서서히 진행됨으로써, 도어의 종류 및 적용분야에 따라 도어 닫힘 속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HINGE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된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함은 물론이며 닫히는 과정에서 댐핑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건물 출입구의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거나, 또는 각종 전자제품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해 폭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는 여닫는 방식에 따라 여러 분류의 것이 있으나, 설치 공간 및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여닫이식 도어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여닫이식 도어는 힌지(hinge)를 통해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사용되며, 종래 힌지는 단순히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종래 힌지를 통해 설치된 도어는 여는 동작은 물론이고 닫는 동작 역시 사람에 의해 인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에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즉, 출입을 위해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시 닫지 않는다면 상당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며, 산업용 기계의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도어 상부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도어첵(Door check; 일명 도어 클로저)을 설치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구성, 또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를 통해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구성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첵과 같은 장치들은 상당한 설치 및 유지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은 물론이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힌지장치 자체의 힘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는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댐핑기능을 부여하여 서서히 닫힐 수 있는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과 도어 중 어느 한곳에 장착되되, 양단부가 시일링되는 실린더바디와; 이 실린더바디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피벗 가능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도어프레임과 도어 중 다른 한곳에 장착되는 힌지축과; 이 힌지축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일체로 피벗되되, 실린더바디의 내부공간을 용적이 가변되며 소정압력의 가스가 충전되는 가스 압력실과, 공기실로 양분하기 위해 가장자리가 실린더바디의 내벽과 밀착되는 베인과; 실린더바디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가스 압력실과 공기실을 차단하는 구획부재와; 공기실을 형성하는 베인 측면과 구획부재 측면 사이에 마련되어 도어의 닫힘 속도를 늦추기 위한 댐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실과 인접하는 실린더바디에는 베인의 피벗동작에 따라 공기실로 외부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벤트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댐핑부재는 베인 측면과 구획부재 측면 중 어느 일측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공기실의 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댐핑홀과, 다른 일측에 댐핑홀과 대체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도어의 닫힘 작동 시 댐핑홀에 수용 결합되는 댐핑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댐핑홀과 댐핑돌기의 사이 틈에는 댐핑돌기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댐핑홀내의 공기가 서서히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그루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장치는 도어가 출입구(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미도시)과 도어(미도시)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내부에 가스가 충전(充塡)된 실린더바디(10)와, 이 실린더바디(10)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도어프레임과 도어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는 힌지축(20)을 갖추고 있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린더바디(10)를 도어프레임측에, 힌지축(20)을 도어측에 장착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실린더바디(10)는 고정브래킷(1 ;도 1참조)을 통해 도어프레임측에 견실하게 장착되며, 이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원통형 실린더가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바디(10)의 양단부는 밀폐캡(11)을 통해 견실하게 시일링된다.
그리고 힌지축(20)은 실린더바디(10)의 내부공간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며, 양단부는 고정브래킷(2;도 1참조)을 통해 도어측에 견실하게 장착된다. 따라 힌지축(20)을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 "3"은 고정브래킷(2)과의 결합을 위해 힌지축(20) 양단부에 끼워져 결합된 부시이다.
또한, 실린더바디(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힌지축(20)의 중도 외주에는 일체로 피벗되는 베인(40)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된다. 이 베인(40)은 가장자리가 실린더바디(10)의 내벽과 밀착됨으로써, 후술하는 구획부재(30)와 함께 실린더바디(10)의 내부공간을 용적이 가변되는 가스 압력실(12)과, 공기실(13)로 양분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실린더바디(10)의 내부에는 가스 압력실(12)과 공기실(13)의 연통이 차단되도록 내면(32)이 힌지축(20) 외주와 항상 밀착되는 구획부재(3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바디(10)의 내부공간은 힌지축(20)과 함께 피벗(pivot)되는 베인(40)과, 고정 배치된 구획부재(30)를 통해 용적이 가변되는 가스 압력실(12)과 공기실(13)로 양분 구획되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구획부재(30)는 실린더바디(10)의 내부, 즉 실린더바디(10)의 내벽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구획부재(30)의 외면에는 실린더바디(10)의 벽면과 밀착되어 가스 압력실(12)과 공기실(13)의 연통을 차단하는 시일(31)이 배치된다. 또한, 구획부재(30)의 내면(32)은 소정의 곡률면으로 이루어지며, 회전하는 힌지축(20) 외주와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획부재(30)의 내면(32)에도 역시 힌지축(20) 외주와의 틈새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33)이 마련된다.
그리고 베인(4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20)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어서, 힌지축(20)과 함께 일체로 피벗되게 된다. 이 베인(40)의 가장자리는 실린더바디(10)의 내벽과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힌지축(20)과 함께 베인(40)의 회전동작으로 실린더바디(10)의 내부공간은 용적이 가변되는 가스 압력실(12)과 공기실(13)로 양분된다. 또한, 가스 압력실(12)에는 소정압력의 질소가스가 충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가스 압력실(12)에는 최대용적상태에서 대략 1 ~ 2 kgf/cm2 정도의 가스압력을 유지하도록 질소가스를 충전하였다. 가스 압력실(12)의 최대 용적상태는 도어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이며, 도어가 개방되면서 힌지축(20)과 함께 베인(40)이 피벗되면 압력실(12) 용적이 점차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베인(40)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공기실(13)의 용적을 최소화하며 구획부재(30)와 근접하게 배치되는데, 이것은 도어의 닫힘 시 실린더바디(10) 내부공간에서 가스 압력실(12)의 용적을 최대로 구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공기실(13)에는 벤트홀(14)을 통해 힌지축(20)의 피벗동작에 따라 외부공기가 출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벤트홀(14)은 공기실(13)과 연통되도록 실린더바디(10)에 천공된다. 이에 따라 도어의 개방으로 힌지축(20)이 피벗 동작함과 동시에 가스 압력실(12)의 용적은 줄어드는 반면에 공기실(13)의 용적은 점차 커지게 되는데, 이 때 공기실(13)로는 벤트홀(14)을 통해 외부공기가 들어가게 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실(13)을 이루는 구획부재(30) 측면과 베인(40) 측면 사이에는 도어의 닫힘속도를 늦추기 위한 댐핑부재(50)가 마련된다. 즉, 댐핑부재(50)는 공기실(13)을 형성하는 구획부재(30)의 일측면에 마련된 댐핑홀(51)과, 도어의 닫힘 작동 시 댐핑홀(51)에 수용 결합되도록 베인(4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댐핑돌기(52)를 갖추고 있어서, 도어의 닫힘 시 댐핑홀(51)내의 공기를 압축하면서 댐핑돌기(52)가 수용된다.
즉, 댐핑홀(51)은 공기실(13)을 형성하는 구획부재(30)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것으로, 여기에는 도어의 개방작동 시 벤트홀(14)을 통해 유입된 공기 일부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댐핑돌기(52)는 공기실(13)을 형성하는 베인(40)의 일측면에 댐핑홀(51)과 대체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것으로, 도어의 닫힘 작동 시 댐핑홀(51)에 수용 결합되게 된다.
또한, 댐핑홀(51)과 댐핑돌기(52)의 사이틈에는 댐핑돌기(52)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댐핑홀(51)내의 공기가 서서히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그루브(5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그루브(53)는 좁고 긴 세장형 홈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댐핑홀(51)의 벽면에 형성되어 공기실(13)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댐핑홀(51)을 구획부재(30)의 일측면에, 댐핑돌기(52)는 베인(40)의 일측면에 각각 구성하였지만, 댐핑홀(51)과 댐핑돌기(52)의 구성 위치를 상호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댐핑홀(51)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안내하는 그루브(53) 역시 댐핑돌기(52)의 외면에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압력실(12) 내용적은 최대인 반면에 공기실(13) 용적은 최소인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가스 압력실(12)에는 질소가스가 소정압력으로 충전된 상태이기 때문에, 힌지축(20)은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핸들(미도시)을 잡고 도어를 밀어 개방하면(도 5의 화살표 A 방향 참조), 힌지축(20)과 함께 베인(40)이 실린더바디(10) 내부에서 피벗됨에 따라 가스 압력실(12) 용적은 줄어드는 반면 공기실(13) 용적은 점차로 커진다. 따라서 가스 압력실(12)의 질소가스 압력은 점차로 높아지며, 공기실(13)로는 벤트홀(14)을 통해 외부공기가 들어온다. 이 때, 도어가 소정각도(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0도 정도로 구성하였음) 이상 개방되면 댐핑돌기(52)는 댐핑홀(51)을 완전하게 빠져나간다.
한편, 통상적으로 도어핸들(미도시)은 힌지장치가 부설된 도어의 반대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가스 압력실(12)의 가스압력이 점차 높아지더라도 지렛대 원리에 의해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손을 놓으면, 가스 압력실(12)의 질소가스 팽창압력에 의해 힌지축(20)과 함께 베인(40)은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피벗된다. 즉, 외력이 없어지면 가스 압력실(12)의 질소가스 팽창압력으로 인해 힌지축(20)과 함께 베인(40)이 역방향으로 피벗되며, 이로 인해 가스 압력실(12) 용적이 다시 커지면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힌다. 이 때, 힌지축(20)과 함께 베인(40)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피벗되는 과정에서 공기실(13) 공기는 점차적으로 벤트홀(14)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한편, 도 7과 같이, 도어가 소정각도 이내로 닫히는 과정에서(화살표 B방향 참조) 베인(40)의 댐핑돌기(52)는 구획부재(30)측 댐핑홀(51)에 수용된다. 따라서 댐핑홀(51)내의 공기가 순간적으로 압축되며, 이것에 의해 힌지축(20)과 베인(40)의 피벗동작이 서서히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가스 압력실(12)의 가스 압력이 지속적으로 미치기 때문에, 댐핑돌기(52)는 댐핑홀(51)내로 서서히 수용되며, 댐핑홀(51)내의 공기는 그루브(53)를 통해 공기실(13), 벤트홀(14)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결국, 도어의 닫힘 작동 시 댐핑부재(50)가 저항요소로 작용하며, 이것에 의해 힌지축(20)의 역방향 피벗동작, 즉 도어의 닫힘 작동이 서서히 진행된다.
또한, 벤트홀(14)을 통해 공기실(13) 공기가 빠져나가는 속도를 제어하여도, 도어의 닫힘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공기실(13) 공기가 빨리 빠져나가게 구성하면 도어 닫히는 속도가 빨라지며, 공기실(13) 공기가 서서히 빠져나가게 구성하면, 도어 닫힘 작동 역시 서서히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도어 힌지장치에 적용한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고정브래킷(1)(2) 구조를 달리하여 냉장고 도어 등과 같은 각종 가전제품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압력실(12)에는 질소가스 이외에 헬륨가스 등을 충전하여도 본 발명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작동에 따라 실린더바디내에서 힌지축과 함께 베인이 피벗되며, 이로 인해 가스가 충전된 압력실의 압력이 높아진다. 그리고 도어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압력실내의 가스 팽창압력으로 인해 베인과 힌지축이 반대방향으로 피벗되며 이것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힌다. 또한,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힌지축과 함께 베인이 피벗되는 과정에서 댐핑부재의 댐핑홀내 공기가 서서히 빠져나가며, 이로 인해 도어의 닫힘 작동이 완충되면서 서서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장치를 출입문용 도어 또는 각종 전자제품 및 산업용 도어에 적용할 경우 에너지 낭비나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닫힘 동작이 댐핑부재를 통해 완충되면서 서서히 진행됨으로써, 도어의 종류 및 적용분야에 따라 도어 닫힘 속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도어용 힌지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Ⅳ방향에서 본 힌지축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장치의 개방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장치의 닫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실린더바디 12..압력실
13..공기실 14..벤트홀
20..힌지축 30..구획부재
40..베인 50..댐핑부재
51..댐핑홀 52..댐핑돌기
53..그루브

Claims (4)

  1. 도어프레임과 도어 중 어느 한곳에 장착되되, 양단부가 시일링되는 실린더바디(10)와;
    상기 실린더바디(10)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피벗 가능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도어프레임과 도어 중 다른 한곳에 장착되는 힌지축(20)과;
    상기 힌지축(20)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일체로 피벗되되, 실린더바디(10)의 내부공간을 용적이 가변되며 소정압력의 가스가 충전되는 가스 압력실(12)과, 공기실(13)로 양분하기 위해 가장자리가 상기 실린더바디(10)의 내벽과 밀착되는 베인(40)과;
    상기 실린더바디(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스 압력실(12)과 공기실(13)을 차단하는 구획부재(30)와;
    상기 공기실(13)을 형성하는 상기 베인(40) 측면과 구획부재(30) 측면 사이에 마련되어 도어의 닫힘 속도를 늦추기 위한 댐핑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13)과 인접하는 실린더바디(10)에는 상기 베인(40)의 피벗동작에 따라 상기 공기실(14)로 외부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벤트홀(14)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50)는;
    상기 베인(40) 측면과 구획부재(30) 측면 중 어느 일측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상기 공기실(13)의 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댐핑홀(51)과,
    다른 일측에 상기 댐핑홀(51)과 대체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도어의 닫힘 작동 시 상기 댐핑홀(51)에 수용 결합되는 댐핑돌기(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홀(51)과 댐핑돌기(52)의 사이 틈에는 상기 댐핑돌기(52)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댐핑홀(51)내의 공기가 서서히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그루브(5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KR1020040008897A 2004-02-11 2004-02-11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KR20050080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97A KR20050080794A (ko) 2004-02-11 2004-02-11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897A KR20050080794A (ko) 2004-02-11 2004-02-11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794A true KR20050080794A (ko) 2005-08-18

Family

ID=3726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897A KR20050080794A (ko) 2004-02-11 2004-02-11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7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851B1 (ko) * 2005-06-10 2013-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완충장치 및 이를 갖춘 가전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851B1 (ko) * 2005-06-10 2013-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완충장치 및 이를 갖춘 가전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3471B2 (ja) 自動閉鎖式のドアその他特にガラスドアその他のための蝶番構造物および該構造物を備えた集成体
KR100915101B1 (ko)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KR100431073B1 (ko) 도어 힌지
KR20080077714A (ko) 제동기능이 구비된 힌지장치
KR20050080794A (ko)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KR20050080793A (ko) 자동닫힘 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KR100447081B1 (ko) 스톱퍼수단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KR20050080796A (ko) 자동닫힘 및 댐핑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KR100585277B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KR102245965B1 (ko) 완충수단을 구비한 도어힌지
KR100447079B1 (ko) 도어용 힌지장치
KR200202044Y1 (ko) 도어 개폐장치
KR100447080B1 (ko) 도어용 힌지장치
US10920476B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20050097736A (ko) 자동닫힘 기능을 갖춘 도어용 힌지장치
KR200194674Y1 (ko) 여닫이 문용 경첩
KR100284872B1 (ko) 유압식크로져와 스프링식크로져 및 그것들을 구비한 도어의 경첩
CN112576129A (zh) 旋转门用铰链装置
KR102217051B1 (ko) 스톱퍼를 구비한 도어 힌지
KR100187204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 장치
KR100443038B1 (ko)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KR200380537Y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KR200390088Y1 (ko) 힌지 움직임 방지 리브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힌지조립체
KR200272856Y1 (ko) 도어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