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038B1 -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038B1
KR100443038B1 KR10-2002-0025109A KR20020025109A KR100443038B1 KR 100443038 B1 KR100443038 B1 KR 100443038B1 KR 20020025109 A KR20020025109 A KR 20020025109A KR 100443038 B1 KR100443038 B1 KR 10044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oor
flow
flui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158A (ko
Inventor
김진관
Original Assignee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038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축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어의 하중 토크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함으로써 도어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는 댐퍼를 구비한다. 상기 댐퍼는, 상기 힌지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중앙부의 통공을 기준으로 구획된 대칭구조의 점성유체가 충진되는 제 1 및 제 2 유체실을 갖춘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의 통공을 통하여 댐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각형 축공을 가지는 환형 몸체 및 이 환형 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유체실의 내주벽 방향으로 그 내주벽과 적정 간극을 유지하도록 연장된 한 쌍의 날개가 구비되고, 이 날개에는 각각 상기 점성유체가 통과하는 제 1 유로 및 이 제 1 유로보다 큰 제 2 유로로 이루어지는 유체통과공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제 1 및 제 2 유로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회전체가 도어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제 1 유로를 폐쇄하여 점성유체의 유동을 억제하고 상기 회전체가 도어 열림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를 연통시킴으로써 점성유체가 원활히 유동하도록 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댐퍼 본체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댐퍼 본체의 통공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 본체의 제 1 및 제 2 유체실에 해당하는 저면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점성유체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이 상기 제 1 유로에서부터 제 2 유로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 댐퍼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HINGE DEVICE HAVING A DAMPER}
본 발명은, 예컨대 김치냉장고 본체에 대하여 도어를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가 한 쪽방향(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도어의 하중 토크에 대한 완충작용, 즉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가 다른 쪽방향(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는 가볍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힌지장치는 유동부재를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김치냉장고에 사용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힌지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힌지장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회전축(20)과, 상기 본체(10) 내에서 상기 회전축(20)이 회전할 때 소요의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토오크발생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양측 개구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1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20)은 상기 커버(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0)의 일측에는 그 양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는 가이드핀(21)이 설치된다.
상기 토오크발생수단(30)은 상기 회전축(20)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핀(21)이 접촉하는 나선형의 캠 그루브를 갖춘 캠(31)과, 상기 캠(3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캠(31)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커버(12)에 지지된 한 쌍의 가이드바(32)와, 상기 회전축(20)의 캠(31)과 커버(1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캠(31)을 일측(도면에서 우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3)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된 일반적인 힌지장치의 상기 본체(10)는 고정부재로써의, 예컨대 김치냉장고 본체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그 일부가 돌출된 회전축(20)은 유동부재로써의, 예컨대 김치냉장고 도어에 결합된다. 도어를 열면, 회전축(2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20)의 가이드핀(21)과 접촉되어 있는 캠(31)은 그의 캠 그루브와 상기 가이드핀(21)의 연관된 동작에 의해 회전축(20)을 따라 스프링(33)의 탄력을 이기면서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열리면,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회전축(20)의 가이드핀(21)은 캠 그루브의 산부분에 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33)은 여전히 캠(31)을 탄력지지하고 있다. 도어를 닫기 위하여 외력을 가하면, 회전축(20)의 가이드핀(21)이 캠 그루브의 산부분을 벗어남과 동시에 도어의 자중과 상기 스프링(33)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힌지장치는 도어가 닫힐 때, 도어의 자중과 스프링(33)의 탄성 복원력이 함께 작용하면서 도어가 급격하게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김치냉장고 본체의 도어 개구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닫게 된다. 이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가 도어와 김치냉장고 본체의상단부에 끼여 부상을 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어가 급격하게 회동하면서 닫히게 됨에 따라 김치냉장고 본체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어, 부품이 파손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회전축이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가볍게 열리도록 함과 아울러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도어의 하중 토오크에 대한 완충작용, 즉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는 댐퍼, 특히 점성유체를 이용한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그리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에 사용되는 회전체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힌지장치 본체 20;회전체
30;토오크 발생수단 100;댐퍼
110;댐퍼 본체 114,115;제 1 및 제 2 유체실
120;회전체 122,123;제 1 및 제 2 날개
124;유체 통과공 124a,124b;제 1 및 제 2 유로
130;플레이트 140;댐퍼 커버
143,144;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 151,152,153;O-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는, 김치냉장고 본체에 설치되며,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양측 개구에 각각 결합되는 관통공을 갖춘 힌지장치 본체; 김치냉장고 도어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커버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소요의 방향으로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토오크 발생수단; 및 상기 회전축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어의 하중 토크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함으로써 도어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는, 상기 힌지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중앙부의 통공을 기준으로 구획된 대칭구조의 점성유체가 충진되는 제 1 및 제 2 유체실을 갖춘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의 통공을 통하여 댐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각형 축공을 가지는 환형 몸체 및 이 환형 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유체실의 내주벽 방향으로 그 내주벽과 적정 간극을 유지하도록 연장된 한 쌍의 날개가 구비되고, 이 날개에는 각각 상기 점성유체가 통과하는 제 1 유로 및 이 제 1 유로보다 큰 제 2 유로로 이루어지는 유체통과공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제 1 및 제 2 유로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회전체가 도어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제 1 유로를 폐쇄하여 점성유체의 유동을 억제하고 상기 회전체가 도어 열림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를 연통시킴으로써 점성유체가 원활히 유동하도록 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댐퍼 본체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댐퍼 본체의 통공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 본체의 제 1 및 제 2 유체실에 해당하는 저면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점성유체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이 상기 제 1 유로에서부터 제 2 유로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 댐퍼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은 도어의 개폐각도를 기준으로 도어 닫힘 각도 30도 위치에서부터 도어 열림 각도 10도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도어 닫힘각 30도 이후에서부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동홈을 통한 점성유체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고 회전체의 날개와 유체실의 내주벽과의 사이 틈새로만 미세한 양의 점성유체가 유동하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인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댐퍼는, 상기 댐퍼 본체 및 댐퍼 커버의 통공 주위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댐퍼 본체와 댐퍼커버와의 접촉부 및 상기 각 가이드와 회전체와의 접촉부에는 액밀 유지를 위한 O-링이 각각 개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댐퍼에 사용되는 점성유체로는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점성유체를 이용한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그리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점성유체를 이용한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에 사용되는 회전체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며, 또한,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댐퍼를 제외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는, 본체(10), 회전축(20), 토오크발생수단(30) 및 댐퍼(1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양측 개구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1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예컨대, 김치냉장고 본체에 매설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전축(20)은 상기 커버(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20)의 일측에는 그 양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는 가이드핀(2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0)은 그 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이 돌출단부는 김치냉장고 도어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가 회동 개폐되면, 상기 회전축(20)도 본체(10) 내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토오크발생수단(30)은 상기 본체(10) 내에서 상기 회전축(20)이 회전할 때 소요의 방향으로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토오크발생수단(30)은 상기 회전축(20)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핀(21)이 접촉하는 나선형의 캠 그루브를 갖춘 캠(31)과, 상기 캠(3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캠(31)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커버(12)에 지지된 한 쌍의 가이드바(32)와, 상기 회전축(20)의 캠(31)과 커버(1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캠(31)을 일측(도면에서 우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3)을 구비한다(도 1 참조).
상기 댐퍼(100)는 상기 회전축(20)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어의 하중 토크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함으로써 도어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는 한편,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가볍게 열리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댐퍼(100)는 댐퍼 본체(110), 회전체(120), 플레이트(130) 및 댐퍼 커버(140)를 구비한다.
상기 댐퍼 본체(110)는 상기 힌지장치 본체(10)의 일측 커버(12)에 결합되며, 일측이 막힌 일정길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폐쇄면의 중앙부에는 통공(111)이 형성되며, 그 내부 공간은 그 주벽의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설되는 제 1 및 제 2 벽체(112)(113)에 의해 대칭구조의 제 1 및 제 2 유체실(114)(115)로 구획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실(114)(115)에는 점성유체가 충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성유체로서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점성유체는 소정의 점도를 가지는 다른 어떠한 오일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댐퍼 본체(110)의 개방면 가장자리에는 실링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11)의 주위에는 제 1 가이드(117)가 형성된다. 한편, 도시예에서는 댐퍼 본체(110)의 외관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외관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외관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 내부의 제 1 및 제 2 유체실(114)(115)은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체(120)는 상기 댐퍼 본체(110)의 통공(111)을 통하여 댐퍼 본체(1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이 회전체(120)의 환형 몸체(121)에는 그 중앙부에 회전축(20)이 결합되는 각형 축공(121a)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어의 회동 개폐에 따라 상기 회전축(2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체(120)도 회전축(20)과 함께 댐퍼 본체(110)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몸체(121)의 대략 반대방향의 양측에는 이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122)(123)가 형성된다. 이 날개(122)(123)의 단부는 유체실의 내주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 날개의 단부와 유체실의 내주벽과의 사이에는 일정 간극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댐퍼 본체(110) 내에서 상기 회전체(1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틈새를 통하여 점성유체의 유동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날개(122)(123)에는 회전체(120)의 회전시 점성유체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유체통과공(124)이 각각 형성된다. 이 유체통과공(124)은 일정크기의 제 1 유로(124a)와 이보다 큰 제 2 유로(124b)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점성유체는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체(120)가 회전할 때는 제 1 유로(124a)로부터 제 2 유로(124b)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체(120)가 회전할 때는 제 2 유로(124b)로부터 제 1 유로(124a)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130)는 상기 회전체(120)의 각 날개(122)(123)에 형성된 유체통과공(124)의 제 1 유로(124a)와 제 2 유로(124b)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개재된다. 이 플레이트(130)는 상기 제 1 유로(124a)는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나, 제 2 유로(124b)는 개방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20)가 도어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점성유체가 제 2 유로(124b)로부터 제 1 유로(124a)를 향하여 유동하기 때문에, 플레이트(130)는 제 1 유로(124a)로 밀착하여 제 1 유로(124a)를 폐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점성유체가 유체통과공(124)을 통하여 유동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체(120)가 도어 열림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점성유체가 제 1 유로(124a)로부터 제 2 유로(124b)를 향하여 유동하기 때문에, 플레이트(130)는 제 2 유로(124b)으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유체통과공(124)이 점성유체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개방된다. 이러한 플레이트(130) 및 상기 유체통과공(124)의 작용에 의해 회전체(12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점성유체의 유동량 및 유동속도가 달라지게 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도어가 닫힐 때 도어의 하중토오크에 의한 제동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상기 댐퍼 커버(140)는 상기 댐퍼 본체(110)를 밀폐하도록 댐퍼 본체(110)에 결합된다. 이 댐퍼 커버(140)의 중앙부에는 상기 댐퍼 본체(110)의 통공(111)에 대응하는 통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41)의 주위에는 상기 회전체(120)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14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댐퍼 본체(110)에 형성된 제 1 가이드(117)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142)와 마찬가지로 회전체(12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댐퍼 커버(140)의 내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댐퍼 본체(110)의 유체실에 해당하는 저면에는 상기 회전체(120)의 회전시 점성유체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143)(144)가 각각 형성된다. 이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143)(144)는 각각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143)(144)는 상기 회전체(120)의 각 날개(122)(123)에 형성된 유체통과공(124)의 제 1 유로(124a)에부터 제 2 유로(124b)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20)가 도어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143)(144)의 넓은 폭 쪽에서부터 좁은 폭 쪽으로 회전체가 회전하므로, 상기 유동홈(143)(144)을 통하여 유동하는 점성유체의 양은 점점 작아지게 되며, 반대의 경우는 회전체(120)가 제 1 및 제 2 유동홈(143)(144)의 좁은 폭 쪽에서부터 넓은 폭 쪽으로 회전하므로, 유동홈을 통하여 유동하는 점성유체의 양이 점점 많아지게 된다. 부연하면, 도어가 닫힐 때는 상기 유동홈을 통한 유체의 유동이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회전체의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도어가 열릴 때는 유동홈을 통한 유체의 유동이 점점 커지기 때문에, 회전체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143)(144)은 도어의 개폐 각도를 기준으로 도어 닫힘 각도 30도 위치에서부터 도어 열림 각도 10도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어 닫힘각 30도 이후에서부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143)(144)을 통한 점성유체의 유동은 일어나지 않게 되며, 점성유체는 날개(122)(123)의 단부면과 유체실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만 미세한 양이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120)의 회전속도는 매우 느리게 제어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도어를 닫을 때, 닫히기 직전의 대략 30도 위치에서부터 아주 서서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댐퍼 본체(110)에 마련된 실링홈(116)에는 댐퍼 본체(110)에 밀폐 결합되는 댐퍼 커버(140)와의 액밀 유지를 위한 O-링(151)이 개재되며, 상기 댐퍼 본체(110) 및 댐퍼 커버(140)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가이드(117)(142)와 회전체(120)와의 접촉부에도 액밀 유지를 위한 O-링(152)(153)이 각각 개재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의 기본적인 작용은 앞서 설명한 일반적인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즉,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0)이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 때, 토오크발생수단(30)의 작용에 의해 도어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일반적인 작용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어가 닫힐 때 댐퍼(100)가 도어의 하중 토오크에 의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도어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는 점이 상이한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체(120)도 회전축(20)과 같이 댐퍼 본체(110) 내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체(120)의 정방향 회전을 도어가 열리는 방향의 회전으로, 그리고, 역방향 회전을 도어가 닫히는 방향의 회전으로 한다.
도 3은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열면, 회전체(120)는 정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체실(114)(115)의 점성유체는 회전체(120)의 날개(122)(123) 단부와 유체실의 내주벽과의 틈새, 날개의 유체통과공(124), 그리고, 댐퍼 커버(14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143)(144) 모두를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체의 유동은 유체통과공(124) 내의 플레이트(130)가 제 2 유로(124b)측으로 위치되어 있어 유체통과공(124)이 개방되어 있고, 또한, 회전체(120)의 회전이 제 1 및 제 2 유동홈(143)(144)의 좁은 폭에서부터 넓은 폭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유체의 유동량은 회전체가 회전할수록 점점 많아지게 되며, 따라서, 도어는 아무런 제동력을 받지 않고 가볍게 열리게 된다.
한편, 도어를 닫기 시작하면, 회전체(1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에도 회전체(120)의 날개(122)(123) 단부면과 유체실 내주벽과의 사이 틈새로 유체는 여전히 유동하게 되나, 날개(122)(123)의 유체통과공(124)는 그 내부에 있는플레이트(140)가 제 1 유로(124a)측으로 위치되면서 유체통과공(124)을 막고 있으므로 유체통과공(124)을 통한 유체의 유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회전체(120)가 역방향, 즉, 유체 유동으로 보아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143)(144)의 넓은 폭 쪽에서부터 좁은 폭 쪽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상기 유동홈을 통한 유체의 유동은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점점 작아지게 된다. 즉, 유체의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회전체의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따라서, 도어의 닫힘이 서서히 이루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도어가 닫힘각 30도 근처에 오면,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동홈을 통한 유체의 유동은 없으며, 유체는 날개의 단부와 유체실 내주벽과의 사이 틈새로만 미세하게 유동하게 된다. 즉, 도어의 하중 토오크에 대한 완충력이 이 부분에서 최대로 되면서 도어의 닫힘 속도가 매우 완만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급격하게 닫힘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손 부상을 일소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에 의해 본체가 충격을 받는 일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도어가 급격하게 닫히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손이 본체의 도어 개구에 끼이게 되는 경우에도 부상을 당할 우려가 없다. 또한, 도어가 본체에 대하여 서서히 닫히게 되므로, 본체에 충격을 주는 일이 없어 본체 및 부품이 파손될 우려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양단으로 돌출된 회전축을 갖는 힌지;
    상기 힌지의 일단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회전축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어의 하중 토크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함으로써 도어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힌지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중앙부의 통공을 기준으로 구획된 대칭구조의 점성유체가 충진되는 제 1 및 제 2 유체실을 갖춘 댐퍼 본체;
    상기 댐퍼 본체의 통공을 통하여 댐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각형 축공을 가지는 환형 몸체 및 이 환형 몸체의 양단부에서 상기 유체실의 내주벽 방향으로 그 내주벽과 적정 간극을 유지하도록 연장된 한 쌍의 날개가 구비되고, 이 날개에는 각각 상기 점성유체가 통과하는 제 1 유로 및 이 제 1 유로보다 큰 제 2 유로로 이루어지는 유체통과공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제 1 및 제 2 유로 사이에 유동 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회전체가 도어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제 1 유로를 폐쇄하여 점성유체의 유동을 억제하고 상기 회전체가 도어 열림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를 연통시킴으로써 점성유체가 원활히 유동하도록 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댐퍼 본체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댐퍼 본체의 통공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 본체의 제 1 및 제 2 유체실에 해당하는 저면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점성유체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이 상기 제 1 유로에서부터 제 2 유로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 댐퍼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홈은 도어의 개폐각도를 기준으로 도어 닫힘 각도 30도 위치에서부터 도어 열림 각도 10도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에 의해 도어 닫힘각 30도 이후에서부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동홈을 통한 점성유체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본체 및 댐퍼 커버의 통공 주위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댐퍼 본체와 댐퍼 커버와의 접촉부 및 상기 각 가이드와 회전체와의 접촉부에는 액밀 유지를 위한 O-링이 각각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유체는 실리콘 오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10-2002-0025109A 2002-05-07 2002-05-07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KR10044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109A KR100443038B1 (ko) 2002-05-07 2002-05-07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109A KR100443038B1 (ko) 2002-05-07 2002-05-07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158A KR20030087158A (ko) 2003-11-13
KR100443038B1 true KR100443038B1 (ko) 2004-08-04

Family

ID=3238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109A KR100443038B1 (ko) 2002-05-07 2002-05-07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383B1 (ko) * 2011-10-20 2014-02-10 쿠쿠전자주식회사 회전각도별 댐핑조절장치 및 그가 구비된 전기조리기
KR101784173B1 (ko) * 2017-02-14 2017-10-12 (주)힌지코리아 회전식 도어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158A (ko) 200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044B1 (ko) 회전댐퍼및그댐퍼를이용한덮개개폐장치
KR100915101B1 (ko)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KR20120124938A (ko) 로터리타입 댐퍼
KR100443038B1 (ko) 댐퍼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KR102126768B1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EP3798399A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100431073B1 (ko) 도어 힌지
KR20080077714A (ko) 제동기능이 구비된 힌지장치
KR101784173B1 (ko) 회전식 도어 구동 장치
US10920476B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100585277B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KR910019561A (ko) 절첩식 베드용 댐퍼
KR102180274B1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CN112576129A (zh) 旋转门用铰链装置
KR102073633B1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20070059745A (ko) 로터리 오일댐퍼
KR102225392B1 (ko) 회전도어용 힌지장치
KR102091472B1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200380537Y1 (ko) 프리스톱 및 슬로우다운 힌지장치
KR930010633B1 (ko) 도어 클로저
CN218407029U (zh) 阻尼铰链
KR200457143Y1 (ko) 피아노 건반 덮개용 댐핑장치
KR100967230B1 (ko) 힌지용 댐퍼
KR200272856Y1 (ko) 도어 힌지
KR20090072628A (ko) 회전식 오일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