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305A - Deflection yoke - Google Patents

Deflection yo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305A
KR20050080305A KR1020040008378A KR20040008378A KR20050080305A KR 20050080305 A KR20050080305 A KR 20050080305A KR 1020040008378 A KR1020040008378 A KR 1020040008378A KR 20040008378 A KR20040008378 A KR 20040008378A KR 20050080305 A KR20050080305 A KR 20050080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eflection
screen
magnet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305A/en
Publication of KR2005008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305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 요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으로 스크린부(210)가 마련된 절연체의 코일 세퍼레이터(200)와,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측에 조립되어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편향코일(300)과,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조립되어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직 편향코일(400)와,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코너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마그네트(700)와, 수직 편향코일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lection yoke, and more particularly,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300) which is assembled to the coil separator (200) of an insulator provided with the screen portion (210) in front of the coil separator and forms a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400 which is assembled outside the coil separator to form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a magnet 700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screen portion of the coil separator, and is assembled to surrou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errite core 500 to strengthen.

본 발명은 코일 세퍼레이터의 코너 부분에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인너 핀 언밸런스를 용이하게 개선하였기 때문에 통상의 인너 핀 모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편향 요크의 단가가 절감되고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use of a conventional inner pin module because the magnet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coil separator to easily improve the inner pin unbalance, thereby reducing the unit cost of the deflection yoke and improv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Description

편향 요크{Deflection yoke}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 요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코너 부분에 자석을 설치함으로써 인너 핀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도 인너 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편향 요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lection yo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lection yoke capable of improving an inner pin without using an inner pin module by providing a magnet at a corner portion of a screen portion of a coil separator.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의 동향은 스크린의 평면화, 대형화, 고정세화, 저전력화, 그리고 설치공간을 줄여 효율성을 높이도록 슬림(slim)화를 추구하고 있다. Recently, the trend of the display market is to make the screen flat, large, high definition, low power, and slim to increase the efficiency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디스플레이 장치 중의 하나인 TV수상기나 모니터도 이와 마찬가지로 스크린의 평면화, 대형화, 고정세화, 저전력화, 슬림화 방향으로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강화되는 환경규격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고 유효화면을 대형화할 수 있는 고품질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Similarly, TV receivers and monitors, which are one of the display devices, are being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flat screen, large size, high definition, low power, and slim. In particular, power consumption can be lowered to meet the enhanced environmental standards. There is a demand for a high quality display device capable of enlarging an effective screen.

일반적으로 TV수상기나 모니터를 구성하는 음극선관(cathde ray tube)에는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된 전자빔 편향의 원리가 적용되며, 전자빔을 주사하기 위해서는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수평과 수직 방향의 편향자계를 가하지 않으면 안된다. In general, the principle of electron beam deflection scanned from an electron gun is applied to a cathode ray tube constituting a TV receiver or a monitor, and in order to scan an electron beam, a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is not applied to the neck of the cathode ray tube. Can not be done.

이 편향자계를 만들기 위한 코일을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이라고 말하며, 기본적으로는 상호 직각으로 조합되어 있고,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과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로 구성된 것을 편향 요크라고 말한다.Coils for making this deflection magnetic field are referred to as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coils. Basically, they are combin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the deflection yoke is composed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a ferrite core.

첨부한 도 1에는 종래의 음극선관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1,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is shown.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음극선관은 내면에 삼색으로 발광하는 형광막이 형성된 스크린 패널(1)과, 스크린 패널 후단에 프릿글라스로 융착되어 음극선관의 내부진공을 이루는 펀넬(2)과, 펀넬 후단의 네크부(7) 내에 장착되어 전자빔(4a)(4b)(4c)을 방사하는 전자총(5)과, 전자총에서 방사된 전자빔(4a)(4b)(4c)을 전면 스크린에 좌우상하로 편향시켜 주는 편향 요크(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is,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includes a screen panel (1) having a fluorescent film emitting three colors on its inner surface, a funnel (2) fused with frit glass at the rear end of the screen panel to form an internal vacuum of the cathode ray tube, and a rear end of the funnel. The electron gun 5 mounted in the neck portion 7 to emit electron beams 4a, 4b and 4c, and the electron beams 4a, 4b and 4c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are deflected from side to side on the front screen. The note comprises a deflection yoke 6.

통상적으로, 편향 요크(6)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4a)(4b)(4c)에 수직방향의 편향자계를 가하여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미도시)과, 전자빔(4a)(4b)(4c)에 수평방향의 편향자계를 가하여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 편향코일(미도시)과,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미도시)와,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을 통한 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미도시)로 이루어진다.Typically, the deflection yoke 6 has a vertical deflection coil (not shown) which applies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to the electron beams 4a, 4b and 4c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of the cathode ray tube and deflects the electron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pplying a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to the electron beams 4a, 4b, and 4c,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not shown)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re precisely distinguished and A coil separator (not shown)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a ferrite core (not shown) to strengthen the magnetic field throug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coils.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음극선관에서의 스크린 패널(1)은 종래의 일반적인 브라운관에서 사용되었던 라운드(round)형 패널로서, 스크린 패널(1)이 스크린의 전면을 향해 돌출되게 굴곡되어 있으므로 편향 요크(6)에서 스크린부의 형광면까지의 편향거리가 스크린의 상부나 중앙, 하부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왜곡현상(distortion)이 크게 발생되지 않는다. 즉, 도면을 통해 보면 스크린의 상측으로 발사되는 전자빔(4a)의 편향거리 A와, 스크린의 중앙으로 발사되는 전자빔(4b)의 편향거리 B와, 스크린의 하측으로 발사되는 전자빔(4c)의 편향거리 C의 거리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스크린에서의 왜곡현상이 크게 발생되지 않았던 것이다. The screen panel 1 in the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shown in FIG. 1 is a round panel used in a conventional general cathode ray tube, and the deflection yoke is formed because the screen panel 1 is bent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screen. In (6), the deflection distance from the screen surface to the fluorescent surface does not differ greatly from the top, center, and bottom of the screen, so that distortion does not occur significantly. That is, through the drawings, the deflection distance A of the electron beam 4a proj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the deflection distance B of the electron beam 4b projected to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the deflection of the electron beam 4c proj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Since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s C was not large, the distortion on the screen did not occur much.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의 동향에 따라 최근의 음극선관은 스크린 패널의 평면화를 추고하고 있으며, 평면화로 인해 화면상에서 왜곡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the display market, the cathode ray tube has recently been flattening the screen pane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distortion occurs on the screen due to the flattening.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 2에는 평면형 스크린 패널(11)이 구비된 음극선관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평면 음극선관의 경우는 편향 요크(16)에서 스크린 패널(11)의 형광면까지의 편향거리가 스크린의 상부나 중앙, 하부에서 차이가 나므로 왜곡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스크린 패널(11)이 평면화되면서 스크린의 상측으로 발사되는 전자빔(14a)의 편향거리 A′및 하측으로 발사되는 전자빔(14c)의 편향거리 C′와, 스크린의 중앙으로 발사되는 전자빔(14b)의 편향거리 B′의 거리차이가 크게 발생함으로써, 왜곡현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왜곡으로 인해 스크린의 정면에서는 인너 핀(inner pin)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accompanying FIG. 2 shows an example of a cathode ray tube with a flat screen panel 11. Referring to this, in the case of the planar cathode ray tube, a distortion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 deflection distance from the deflection yoke 16 to the fluorescent surface of the screen panel 11 is different from the top, center, and bottom of the screen. That is, the deflection distance A 'of the electron beam 14a proj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and the deflection distance C' of the electron beam 14c projected to the lower side and the electron beam 14b projected to the center of the screen while the screen panel 11 is flattened. Since a larg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deflection distances B 'occurs, a problem of distortion occurs. In addition, due to the distortion, an inner pin phenomenon occurs at the front of the screen.

일반적으로 편향 요크는 수평 편향코일로 핀쿠션(pincushion)형 자계를 만들어주고, 수직 편향코일로는 바렐형 자계를 만들어주게 되어 전체적으로 화면패턴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라운드형 패널은 브라운관의 곡률 때문에 인너 핀 쿠션 왜곡이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약간 나타나더라도 육안으로는 잘 느끼지 못하지만, 평면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화면의 중앙과 좌우 최외곽지점의 중간 부분에서 종선 핀쿠션 왜곡의 보정이 덜되어 인너 핀이 나타나게 된다. In general, the deflection yoke creates a pincushion type magnetic field with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a barrel type magnetic field with a vertical deflection coil to form a screen pattern as a whole. As described above, a general round panel is formed of a CRT. Because of the curvature, there is little or no inner pin cushion distortion, but it is hard to see with the naked eye.However, in the case of flat CRT, the inner pin appears due to less correction of the vertical pincushion distortion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the middle of the left and right outermost points. .

첨부한 도 3은 종래의 평면 타입 패널에서 발생되는 인너 핀 현상이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인너 핀(inner pin) 현상이라 하는 것은 도면에서 실선으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브라운관에 나타나는 화상이 스크린의 중앙과 최외곽 지점의 중간 부분에서 화면의 내측으로 휘어지는 핀쿠션 디스토션(pincushion distortion)을 의미한다.FIG. 3 illustrates an inner pin phenomenon occurring in a conventional flat panel. In general, an inner pin phenomenon refers to a pincushion distortion in which an image appearing in a CRT is bent into the inside of the screen at a middle portion of the center and the outermost point of the screen, as shown by a solid line in the drawing. .

즉, 인너 핀 현상이 발생하면 스크린의 중앙과 상하부의 편향거리 차이에 의해 화상이 내측으로 휘어져 보이므로 화면의 질을 떨어뜨려서 고품질의 브라운관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nner pin phenomenon occurs, the image is bent inwar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flectio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creen, so that the quality of the screen may be degraded, and thus a high quality CRT may not be provided.

따라서, 도 3에서 점선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화면의 종선이 스크린의 상부와 중앙, 하부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수직선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refore,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s in FIG. 3,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lines of the screen appear in a vertical line shape so as to connect the top, center, and bottom of the screen in a straight line.

이러한 인너 핀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편향 요크에서 부가적인 회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회로를 인너 핀 모듈(inner pin module)이라고 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inner pin phenomenon, conventionally, an additional circuit is used in the deflection yoke, which is called an inner pin module.

즉, 인너 핀 모듈은 핀쿠션(pincushion)형 자계를 만들어주는 수평 편향코일에 종선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도록 인너 핀 현상을 없앨 수 있는 부가적인 회로를 말한다.In other words, the inner pin module is an additional circuit that can eliminate the inner pin phenomenon to compensate for vertical pincushion distortion in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that creates a pincushion type magnetic field.

첨부된 도 4에는 일반적인 인너 핀 모듈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4 is an example of a typical inner pin module.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인너 핀 모듈은 중간부분에 위치한 코어(20)에는 수직 보정코일(21)이 권선되어 구비되고, 수직 보정코일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코어(22)(24)에는 서로 역 방향의 자계가 발생되도록 권선된 수평 보정코일(23)(25)이 구비되며, 수평 보정코일이 권선된 코어에는 외측에 영구자석(26)(27)이 부착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this, in general, the inner pin module is provided with a vertical correction coil 21 wound around a core 20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cores 22 and 24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correction coil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correction coils 23 and 25 are wound so as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and the cores to which the horizontal correction coils are wound are provided such that permanent magnets 26 and 27 are attach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구성된 인너 핀 모듈은 수직 보정코일(21)과 수평 보정코일(23)(25)의 상호 인덕턴스(inductance)에 의한 유도기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수평 보정코일이 핀쿠션(pincushion)형 자계를 만들어줌으로써 종선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 inner pin modu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by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by mutual inductance of the vertical correction coil 21 and the horizontal correction coil 23 and 25, so that the horizontal correction coil creates a pincushion type magnetic field. Vertical pincushion distortion can be corrected.

즉, 영구자석(26)(27)에 의해 화살표(F1) 방향으로 고정 자계가 발생되고, 이 상태에서 수평 보정코일(23)(25)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한 쪽의 수평 보정코일(23)에서 발생되는 자계는 화살표(F2)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자계와 반대 방향으로 발생되고, 다른 쪽의 수평 보정코일(25)에서 발생되는 자계는 화살표(F3)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자계와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된다.That is, when a fixed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1 by the permanent magnets 26 and 27, and current flows in the horizontal correction coils 23 and 25 in this state, one horizontal correction coil 23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at) is gen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xed magnetic field as indicated by arrow F2,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at the other horizontal correction coil 25 is the same as the fixed magnetic field as indicated by arrow F3. Is caused by.

따라서, 이렇게 발생되는 자계에 의해 중간 부분에는 화면 사이즈가 작게 되고, 좌우의 센터부에는 화면 사이즈가 동등하게 되어 화면상에는 중간 좌우의 인너 핀 왜곡 현상이 보정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is way makes the screen size smaller in the middle part, the screen sizes are equal in the center parts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inner pin distortion of the middle left and right is corrected on the screen.

그러나, 이와 같이 인너 핀을 보정하기 위해 별도의 인너 핀 모듈을 사용하게 되면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when using a separate inner pin module to correct the inner pins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st of the product increased.

즉, 음극선관 기술이 LCD와의 무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품질을 개선시키고 단가를 절감시켜야 되는데, 인너 핀 모듈을 사용하게 되면 단가가 상승하게 되어 제품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survive the infinite competition with LCD, cathode ray tube technology must improve the quality and reduce the unit price. However, when the inner pin module is used, the unit price increases and the product competitiveness decrease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코너 부분에 자석을 설치하여 인너 핀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도 화면상의 인너 핀 언밸런스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편향 요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install a magnet at the corner of the screen portion of the coil separator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pin unbalance on the screen without using the inner pin module. To provide one deflection yok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는 전방으로 스크린부가 마련된 절연체의 코일 세퍼레이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측 둘레에 조립되어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편향코일;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 둘레에 조립되어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직 편향코일;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코너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자계를 변화시켜 인너 핀 언밸런스 특성을 개선하는 마그네트; 및 수직 편향코일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il separator of the insulator provided with a screen portion forward;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assembled around the inner side of the coil separator to form a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A vertical deflection coil assembl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coil separator to form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Magnets installed at corners of the screen portion of the coil separator to change magnetic fields to improve inner pin unbalance characteristics; And a ferrite core assembled to surrou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to reinforce the deflection magnetic field.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측면에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agnet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portion of the coil separator.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의 일부분은 상기 수평 편향코일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ortion of the magne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extend further forward tha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이때, 상기 마그네트의 연장된 부분의 길이는 전체 마그네트의 길이의 20%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magnet is preferably composed of 2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entire magnet.

또한, 상기 마그네트는 스크린부에 설치될 때 수평선에 대해 25°내지 35°의 범위 내에서 어느 하나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agnet is preferably installed inclined so as to have any one angle in the range of 25 ° to 35 °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when installed in the screen por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howing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100)는 코일 세퍼레이터(200)와, 이 코일 세퍼레이터(200)의 내측 및 외측 둘레에 마련되어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각각 형성하는 수평 편향코일(300) 및 수직 편향코일(400)과,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의 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50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is, the deflection yok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il separator 200 and horizontal deflection coils 300 formed around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coil separator 200 to form a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and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respectively. )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400 and a ferrite core 500 for enhancing the magnetic field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coils.

코일 세퍼레이터(200)는 수직 및 수평 편향코일의 위치를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을 이루게 하는 것으로, 음극선관의 스크린면 측으로는 스크린부(210)가 형성되고, 음극선관의 전자총부 측으로는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네크부(220)가 형성된다.The coil separator 200 distinguishes the position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eflection coils and at the same time electrically insulates them. The screen unit 210 is formed on the screen side of the cathode ray tube, and the electron gun side of the cathode ray tube. A cylindrical neck portion 220 coupled to the electron gun is formed.

그리고, 스크린부(210)의 4개의 코너 부분에는 각각 자계를 변화시켜 인너 핀 언밸런스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마그네트(700)가 설치된다.In addition, magnets 700 ar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screen unit 210 to change the magnetic field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pin unbalance.

여기서, 마그네트(700)는 스크린부(210)의 내측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크린부의 내측면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마그네트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magnet 70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manner tha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unit 210. However, it may be installed by forming a separate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portion and inserting a magnet in the groove.

이렇게 마그네트(700)를 설치할 때, 마그네트(700)의 일부분은 수평 편향코일(300)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되게 구성되어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마그네트(700)의 연장된 부분의 길이(L1)가 전체 마그네트의 길이(L)의 20% 이하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실험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연장된 부분의 길이(L1)가 전체 길이(L)의 20% 이상이 되면 컨버젼스의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When installing the magnet 700 in this way, a portion of the magnet 700 should be configured to extend further forward tha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300, preferably the length (L1)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magnet 700 is entirely It should consist of 20% or less of the length (L) of the magne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determined by experi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are deteriorated when the length L1 of the extended portion becomes 20% or more of the total length L.

또한, 마그네트(700)는 스크린부(210)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그 경사각이 수평선에 대해 25°내지 35°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magnet 700 should be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screen unit 210, preferably, the inclination angle is formed to be within the range of 25 ° to 35 °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코일 세퍼레이터(200)의 내측 둘레에는 상,하측으로 구분되는 수평 편향코일이 밀착되도록 조립되고, 외측 둘레에는 좌,우측으로 구분되는 수직 편향코일(400)이 밀착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편향코일은 가열용융식 접착제(600)를 통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gain, the inner side of the coil separator 200 is assembled so that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divided into the upper, lower close contact, and the outer side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400 divided into the left and right are assemb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 And the deflection coil is fixed so as not to flow through the hot melt adhesive (600).

또한, 코일 세퍼레이터(200)의 외측 둘레에는 수직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500)가 수직 편향코일(400)을 감싸도록 조립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il separator 200 is assembled with a ferrite core 500 to strengthen the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to surrou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400.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Now, the effect of 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will be described.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하였을 때에 화면상에 나타나는 인너 핀 현상 및 실험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타낸 비교도이다.7 is a comparison diagram illustrating the inner pin phenomenon and the experimental data which appear on the screen when 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and when it is applied.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S)상에서 c 라인부분은 -0.4mm 정도의 스팩(spec)이 형성되고, d 라인부분은 -1.0mm 정도의 스팩이 형성된다. 따라서 평균 스팩은 -0.7mm로 나타나게 된다.Referring to this, when 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as shown in (A) of FIG. 7, the c line portion is formed with a spec of about −0.4 mm on the screen S. The d line portion has a specification of about -1.0 mm. Therefore, the average specification is -0.7mm.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적용하였을 때에는 코일 세퍼레이터에 부착된 마그네트에 의해 자계가 변화되면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S)상에서 c 라인부분은 +0.2mm 정도의 스팩이 형성되고, d 라인부분은 -0.6mm 정도의 스팩이 형성된다. 따라서 평균 스팩은 -0.2mm로 나타나게 된다.However, when 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the magnetic field is changed by the magnet attached to the coil separator, as shown in FIG. 7B, the c line part has a +0.2 mm specification. Is formed, and the d line part is formed with a specification of about -0.6 mm. Therefore, the average specification is expressed as -0.2 mm.

이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이 마그네트를 코일 세퍼레이터에 부착하였을 때 평균 스팩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실험적인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적용하면 통상의 인너 핀 모듈회로를 구비하지 않고도 인너 핀 언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Thus, when the magnet is attached to the coil separato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rmed by the experimental data that the average specification is remarkably reduced. Therefore, when 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inner pin module circuit is not provided without the usual inner pin module circuit. Pin unbalance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이하게 인너 핀 언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고, 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재료비 절감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rove the inner pin unbalance, reduce the material cost thereof, and have a price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material cost reduction.

또한, 평균 스팩이 -0.2mm를 유지할 정도로 인너 핀 품질에 있어서도 우수하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Moreover, it turns out that it is excellent also in inner pin quality so that an average specification maintains -0.2 m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코일 세퍼레이터의 코너 부분에 마그네트를 설치하여 인너 핀 언밸런스를 용이하게 개선하였기 때문에 통상의 인너 핀 모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편향 요크의 단가가 절감되고 제품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use of a normal inner pin module because the magnet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coil separator to easily improve the inner pin unbalance, thus reducing the unit cost of the deflection yoke and improv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It is effectiv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can grow up easily.

도 1은 일반적인 라운드형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음극선관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thode ray tube equipped with a general round screen panel;

도 2는 일반적인 평면형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음극선관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thode ray tube equipped with a general flat screen panel;

도 3은 일반적인 평면형 스크린 패널에서 나타나는 인너 핀 현상을 보여준 정면도,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nner pin phenomenon occurring in a general flat screen panel;

도 4에는 일반적인 인너 핀 모듈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inner pin modu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나타낸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적용하였을 때에 화면상에 나타나는 인너 핀 현상 및 실험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타낸 비교도.Figure 7 is a comparison diagram show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inner pin phenomenon and the experimental data appearing on the screen when and when 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1: 스크린 패널 2: 펀넬1: screen panel 2: funnel

4a, 4b, 4c: 전자빔 5: 전자총4a, 4b, 4c: electron beam 5: electron gun

6: 편향 요크 7: 네크부6: deflection York 7: neck

11: 스크린 패널 14a, 14b, 14c: 전자빔11: screen panel 14a, 14b, 14c: electron beam

16: 편향 요크 20, 22, 24: 코어16: deflection yoke 20, 22, 24: core

21: 수직 보정코일 23, 25: 수평 보정코일21: Vertical correction coil 23, 25: Horizontal correction coil

26, 27: 영구자석26, 27: permanent magnet

100: 편향 요크 200: 코일 세퍼레이터100: deflection yoke 200: coil separator

210: 스크린부 220: 네크부210: screen portion 220: neck portion

300: 수평 편향코일 400: 수직 편향코일300: horizontal deflection coil 400: vertical deflection coil

500: 페라이트 코어 600: 접착제500: ferrite core 600: adhesive

700: 마그네트 S: 화면700: Magnet S: Screen

Claims (5)

전방으로 스크린부가 마련된 절연체의 코일 세퍼레이터;A coil separator of the insulator provided with a screen portion forward;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측 둘레에 조립되어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편향코일;A horizontal deflection coil assembled 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il separator to form a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 둘레에 조립되어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직 편향코일;A vertical deflection coil assembl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il separator to form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코너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자계를 변화시켜 인너 핀 언밸런스 특성을 개선하는 마그네트; 및Magnets installed at corners of the screen portion of the coil separator to change magnetic fields to improve inner pin unbalance characteristics; And 상기 수직 편향코일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Deflection yok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errite core is assembled to surrou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to strengthen the deflection magnetic fiel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그네트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측면에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The magnet is a deflection yoke,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portion of the coil sepa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그네트의 일부분은 상기 수평 편향코일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And a portion of the magnet is configured to extend further forward tha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마그네트의 연장된 부분의 길이는 전체 마그네트의 길이의 20% 이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And wherein the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magnet consists of 20%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entire magn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그네트는 스크린부에 설치될 때 수평선에 대해 25°내지 35°의 범위 내에서 어느 하나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When the magnet is installed in the screen portion, the deflection yok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clined to have any one angle in the range of 25 ° to 35 °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KR1020040008378A 2004-02-09 2004-02-09 Deflection yoke KR200500803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378A KR20050080305A (en) 2004-02-09 2004-02-09 Deflection y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378A KR20050080305A (en) 2004-02-09 2004-02-09 Deflection yo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305A true KR20050080305A (en) 2005-08-12

Family

ID=3726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378A KR20050080305A (en) 2004-02-09 2004-02-09 Deflection yo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30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4163A (en) Colour kinescope
JP2003059430A (en) Projection type cathode-ray tube device having diametrally different neck
KR100467830B1 (en) Deflection yoke and method improving inner pin using thereof
KR20050080305A (en) Deflection yoke
KR100411694B1 (en) Color cath0de ray tube
JP2001155661A (en) Deflection yoke
KR100498978B1 (en) H-Coil for Deflection Yoke
US6822382B2 (en) Deflection yoke
US6894430B2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355448B1 (en) Deflection Yoke of Broun tube
US7015634B2 (en) Projection type cathode ray tube device
US7629754B2 (en)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KR200258828Y1 (en) Ferrite core of deflection yoke
KR100313378B1 (en) Deflection yoke core of cathode-ray tube
US7012359B2 (en) Color cathode-ray tube
KR20040051995A (en) Inner pin modulator
KR20040051994A (en) Inner Pin Module in Display Apparatus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KR20020049517A (en) Deflection yoke
JP2001332189A (en) Deflection yoke
KR20040105936A (en) Cathode ray tube
JP2006236696A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KR20030067062A (en) Deflection Yoke for CRT
KR20060098949A (en) Horizontal deflection coil
KR20050080307A (en) H-coil and deflection yoke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