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108A -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 Google Patents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108A
KR20050080108A KR1020050062842A KR20050062842A KR20050080108A KR 20050080108 A KR20050080108 A KR 20050080108A KR 1020050062842 A KR1020050062842 A KR 1020050062842A KR 20050062842 A KR20050062842 A KR 20050062842A KR 20050080108 A KR20050080108 A KR 20050080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s
agricultural
tray
agricultural products
spe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일
Original Assignee
박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일 filed Critical 박상일
Priority to KR1020050062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108A/ko
Publication of KR2005008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1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또는 압축스치로폼, 종이, 발포수지 등의 소재로 얇게 형성되며 표면에 사과, 배, 감, 참외 등을 비롯한 각종 과일이나 야채 등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서 농산물을 포장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포장용 트레이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적어도 두가지 종류(또는 두가지 이상의 종류)의 다른 상품, 즉 지역의 우수농산물과 그 지역 특산물 또는 농산물 가공식품이나 특산물 가공식품 등을 하나의 트레이에 동시에 진열 포장되게 함으로서 상품성을 극대화시키고, 두가지 상품이 동시에 유통됨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욕구가 더 증장되어 판매가 촉진되게 하며, 이에 따라 농산물 및 특산물 재배농가의 소득 증대와 유통의 단일화를 이룰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표면에 포장 진열하고자 하는 농산물(예컨데, 사과, 배, 감, 포도 등을 비롯한 각종 과일이나 채소류를 말함) 형태에 따른 안착홈과, 그 지역의 특산물(예컨데, 인삼, 더덕, 버섯 등을 비롯하여 지역적 특성에 의해 생산되는 물품이나 식품을 말함)의 형태에 따른 안착홈을 병행 형성하되, 농산물 안착홈과 특산물 안착홈을 혼합형성하거나 병열형성 또는 별도의 격리벽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격리벽을 중심으로 분리하여 안착시키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농산물과 특산물 외에 농산물이나 특산물을 가공하여 제조된 가공식품을 일반 농산물이나 특산물과 함께 포장유통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역의 농가로부터 제철에 생산되는 각종 농산물 및 특산물을 단위농협이나 조합 등에서 전량 구매하여 저장 보관하다가 농한기때 구매 저장된 농산물과 지역특산물을 본 발명의 농산물 트레이에 그 지역 농민들의 손을 빌어 동시에 포장 유통시킴으로서, 농가에서는 농산물 또는 지역특산물을 생산과 동시에 전량 안정적으로 팔 수 있어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되고, 또, 농한기때는 농협이나 조합에 가서 농산물이나 특산물을 포장함으로서 인건비 등의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되어 농가소득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동시에 농산물과 지역특산물의 동시포장으로 인한 유통의 원활함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a packing tray of agriculture products}
본 발명은 농특산물을 포장하는 복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 배, 감 등을 비롯하여 각종 농산물을 진열, 포장하도록 된 트레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트레이에 농산물과 그 지역특산물, 또는 농산물이나 특산물을 가공한 가공식품 등을 혼합, 또는 병열로 함께 진열, 포장할 수 있게 하는 복합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합 트레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농협이나 조합단위로 농가에서 생산된 각종 농산물과 특산물을 전량 구매하여 저온 창고 등에 저장하고, 저장된 농특산물은 농한기 때 상기 복합 트레이에 농민들의 남는 일손을 이용하여 포장, 출하, 유통시킴으로서, 농가에서는 농산물이나 특산물을 재배하여 수확과 동시에 전량 안정적으로 팔아 수익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농한기 때는 남는 일손을 이용하여 포장함으로서 인건비로 인한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함으로서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하며, 더불어 농협이나 조합에서는 진열 포장된 농특산물을 철지난 뒤 고가로 유통시킴으로서 수익을 높이고 판로 또한 안정적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각종 농산물이나 특산물을 포장하는 통상의 트레이는 종이, 또는 압축스치로폼이나 합성수지, 또는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특정한 하나의 상품만을 진열 포장하여 유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트레이에는 농산물이나 특산물 등의 각종 상품을 진열 포장함에 있어서 서로 부딪히거나 굴러다니지 못하도록 다수의 안착홈이 일정한 간격과 거리를 유지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 유통 또는 취급과정에서 상품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도 일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트레이는 농산물 또는 특산물 등을 혼용하여 포장할 수는 없어 농산물과 특산물에 따라 트레이도 그에 맞는 것으로 각각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서 두가지 상품을 동시에 포장 유통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였으며, 더불어 구매자의 입장에서 볼때도 필요한 경우 두가지 상품을 각각 구매하여야 함으로 비용부담이 커짐과 동시에 휴대 운반에 있어서도 번거로움이 크게 발생된다.
또한, 농산물재배 농가나 특산물 재배농가의 경우 각자가 농산물이나 특산물을 재배하여 수확한뒤 판매하거나 계약재배에 의해 재배 및 판매하여야 함으로서, 경우에 따라 각 농가는 이익의 불균형과 원활하게 판매하지 못해 발생되는 재고량으로 인한 폐단을 안을수 밖에 없는 경우도 따르게 되며, 재고시에 이를 저장보관함에 있어서도 많은 비용이 지출될 수 밖에 없어 농가에서는 이중고를 느낄 수 밖에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
한편, 농산물이나 특산물을 재배하는 대부분의 농가의 경우는 농산물과 특산물을 단위 농협이나 조합 등을 이용하여 공동으로 출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상기 농협이나 조합에서는 별도의 인력을 이용하여 이를 포장박스 등에 일일히 담아 포장한 후 출하시키기 때문에 농민이 직접 포장에 참여하는 경우는 드물며, 따라서 농가나 특산물재배 또는 제조자는 농한기때 매우 한가할 수 밖에 없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안정적인 수익의 창출이나 농한기를 이용한 수익의 창출 또한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특히 농산물이나 특산물 또는 농특산물가공식품을 진열, 포장 하도록 된 트레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트레이에 농산물과 특산물을 동시에 혼합 또는 병열로 진열, 포장할 수 있는 복합 트레이를 제공함으로서, 구매자로부터 구매 욕구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농산물과 특산물 또는 농특산물 가공식품이 동시에 유통판매 됨으로서 농산물 재배농가와 특산물재배농가 모두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복합 트레이를 가장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농산물을 재배하는 농가 및 특산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 재배된 농산물 및 특산물을 전량 구매하여 저장보관하고, 농한기 때와 같이 농민 들이 한가할 때를 이용하여 이들 농민들의 손을 빌어 저장 보관된 농산물과 특산물을 트레이에 함께 선별 포장함으로서 농산물 재배농가 및 특산물 재배농가의 수익을 더 올릴 수 있게 유도하려는데도 목적이 있다.
사과, 배, 감, 포도, 메론 등을 비롯한 각종 농산물이나 인삼, 더덕, 버섯 등을 비롯한 각종 특산물을 각각 진열 포장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농산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11)과 특산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11'), 또는 농특산물을 가공하여서 된 가공식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 등을 혼합 형성하거나 또는 병열로 형성하여 복합 트레이(1)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복합 트레이는 전술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1~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격벽부(12)를 형성하게 되면 보다 안정적이고도 깔끔하게 진열 및 포장할 수 있어 상품의 고급화를 부각시킴과 동시에 두가지 상품의 진열 및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복합트레이(1)에 있어서,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산물이나 특산물 모양의 안착홈(11)(11')을 형성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더라도 농산물과 특산물을 선별 진열하거나 포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진열포장되는 농특산물은 귤이나 방울토마토, 더덕이나 인삼 등과 같이 작거나 형태를 특정짓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된다 할 것이며, 특정의 용기(13)에 담은 농산물 가공식품이나 특산물가공식품, 또는 특산물 중 꿀이나 술, 차 등은 복합 트레이의 중앙부분을 비롯한 특정위치에 상기 농특산물 가공식품 포장케이스의 형태를 감안한 안착홈을 형성하여 안착시킬 수도 있다.
또, 격벽부(12)를 형성한 복합 트레이(1)의 경우에는 트레이를 다수장 적층시킬 때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격벽부(12)를 ""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에 바닥에 놓았을 때 수평을 이룰 수 있게 구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 트레이(1)는 농산물과 그 지역특산물을 하나의 트레이에 동시에 진열 포장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즉, 하나의 트레이에 사과나 배, 감 등을 비롯한 농산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11)과 각종 특산물을 진열 포장시킬 수 있는 안착홈(12)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11)(11')은 그 위치를 혼용하여 형성하거나 좌우 또는 상하로 병열 형성하거나, 격벽부(12)를 중심으로 좌 우 또는 상하로 나누어 형성함으로서 농산물과 특산물을 하나의 트레이에 동시에 진열 포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소비자, 즉 구매자의 구매 특성에 따라 두가지 상품을 동시에 팔수 있게되고, 또, 소비자는 두가지 상품을 동시에 구입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농가에서 특산물을 따로 구매하여 함께 포장한다거나 또는 특산물을 취급하는 자가 농산물을 구매하여 함께 포장할 수도 있지만, 이러할 경우에는 인력이 낭비되는 부분도 없지 않기에 농산물과 특산물을 단위농협이나 조합에서 농특산물 재배농가로부터 전량 구매하여 저장하다가 제철이 지난 뒤 농한기때 농민들의 일손을 이용하여 대가를 지급하고 포장하면 되며, 따라서 농산물재배농가나 특산물재배농가에서는 생산판매에 따른 수익과 포장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이중으로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농산물과 특산물, 또는 농산물이나 특산물을 가공하여서 된 가공식품 등을 하나의 복합 트레이(1)에 함께 진열 포장함으로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크게 충족시킴과 동시에 농산물이나 특산물에 대한 균일한 판매를 도울 수 있게 되며, 더불어 농산물과 특산물의 유통시스템을 개선함으로서 농특산물을 재배하는 농가에 고소득을 보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통이 단일화되어 상품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복합 트레이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복합 트레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복합 트레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복합 트레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복합 트레이의 측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이용하여 상자에 포장한 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Claims (2)

  1. 사과, 배, 감, 포도, 메론 등을 비롯한 각종 농산물이나 인삼, 더덕, 버섯 등을 비롯한 각종 특산물을 각각 진열 포장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농산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11)과 특산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11') 또는 농특산물가공식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 등을 혼합형성하거나 또는 병열로 형성하여 복합트레이(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농산물 트레이의 소정위치에 격벽부(12)를 ""형, 또는 ""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격벽부를 중심으로 농산물 안착홈(11)과 특산물 안착홈(11') 또는 농특산물가공식품을 안착시키는 안착홈으로 구분 형성하여 하나의 트레이에 농산물과 특산물 또는 농특산물 가공식품을 동시에 진열 포장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KR1020050062842A 2005-07-12 2005-07-12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KR20050080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42A KR20050080108A (ko) 2005-07-12 2005-07-12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42A KR20050080108A (ko) 2005-07-12 2005-07-12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627U Division KR200403607Y1 (ko) 2005-07-13 2005-07-13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08A true KR20050080108A (ko) 2005-08-11

Family

ID=3726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842A KR20050080108A (ko) 2005-07-12 2005-07-12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1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9006A (zh) * 2023-01-06 2023-07-11 广东亨济药业有限公司 一种人参压制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9006A (zh) * 2023-01-06 2023-07-11 广东亨济药业有限公司 一种人参压制机
CN116409006B (zh) * 2023-01-06 2023-09-08 广东亨济药业有限公司 一种人参压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ad et al. Postharvest quality assurance of fruits
Toivonen et al. Postharvest care and the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Pantastico et al. Postharvest handling of tropical vegetable crops
KR20050080108A (ko)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KR200403607Y1 (ko)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
CN103632445A (zh) 一种生鲜农产品自动售货机及栽培销售模式
Hathurusinghe et al. A Study on value chain of Pineapple and Banana in Sri Lanka
Ladaniya Postharvest management of citrus fruit in south Asian countries
Watson Importing root crops from the South Pacific Islands for New Zealand markets
Gordon et al. Food safety and quality systems implementation along value chains
Singh et al. Enhancing global competitiveness of Indian apple: investigating the value chain perspective
Wong The effects of SPS and TBT measures on banana and pineapple trade in Ecuador
Sebeko Assessment of Postharvest loss for perishable produces from Wholesalers to consumers
Handy et al. Evolving marketing channels reveal dynamic US produce industry
ASIA Packaging in Fresh Produce Supply Chains in Southeast Asia
Jussaume The Japanese Food Distribution System
US20210107697A1 (en) Ship-to-display-container
Islam Analyzing the Packaging Practice of Agricultural Product: A Study on Selected Districts in the North Bengal
Carey Containers in common use for fresh fruits and vegetables
Kumar Strategic planning for export promotion of litchi
Zealand Pacific Islands
Hutt Marketing fruit and truck crops
Blackstone et al. Food habits of consumer groups in small towns of Alabama that affect farmers' markets
Maheshwari et al. Opportunities for Value addition in Horticulture for Hortipreneurs
Mitchell PREPACKAGING-A MARKETING INNOVATION-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OHIO APPLE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