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396A -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 Google Patents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396A
KR20050079396A KR1020040007643A KR20040007643A KR20050079396A KR 20050079396 A KR20050079396 A KR 20050079396A KR 1020040007643 A KR1020040007643 A KR 1020040007643A KR 20040007643 A KR20040007643 A KR 20040007643A KR 20050079396 A KR20050079396 A KR 2005007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ndy
light emitting
handle
emit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천
Original Assignee
최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천 filed Critical 최병천
Priority to KR102004000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396A/en
Publication of KR2005007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39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유희구 및 그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가지는 몸체의 내부에 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들의 완구나 또는 각종 이벤트용 도구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발광유희구에 막대사탕을 장착함으로써 사탕의 손잡이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탕의 표면으로 투시되는 불빛으로 인하여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emitting play ball and a rod candy having the light-emitting play ball, and more particularly, the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body having a handle so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according to a user's choice, It can be used as a tool for various events, and can also be easily used as a handle of candy by attaching a lollipop to the light emitting sphere, and improve the curiosity or amusement of children due to the light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candy. will be.

이는 빛이 안내되는 안내유도공 및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면서 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도전체의 금속물질이 도포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나사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상향개구되는 너트공과 하부에 손잡이를 가지면서 표면에는 도전체의 물질이 도포되는 판체형의 받침판과; 상기 몸체의 설치공간내에 적층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점등되는 LED램프 및 이에 전원을 공급토록 하는 다수개의 밧데리를 가지는 발광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It is provided with a guide space for guiding light and the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and the body is coated with a metal material of the conductor; A plate-shaped support plate which is screwed with the body and has a nut hole upwardly opened at the center and a handle at the bottom thereof, and a substance of a conductor is coat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a light emitting means having a plurality of batteries arranged to be stack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body and lit by the supply of power, and to supply the power thereto.

Description

발광유희구 및 그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본 발명은 발광유희구 및 그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가지는 몸체의 내부에 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들의 완구나 또는 각종 이벤트용 도구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발광유희구에 막대사탕을 장착함으로써 사탕의 손잡이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탕의 표면으로 투시되는 불빛으로 인하여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emitting play ball and a rod candy having the light-emitting play ball, and more particularly, the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body having a handle so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according to a user's choice, It can be used as a tool for various events, and can also be easily used as a handle of candy by attaching a lollipop to the light emitting sphere, and improve the curiosity or amusement of children due to the light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candy. will be.

일반적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완구는 그 형태나 종류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완구중에서도 발광(發光)기능을 가지는 완구나 사탕도 제안된 바 있다.In general, various kinds of toys that are played by infants and children are proposed and widely used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type, and toys and candy having a light emitting function have also been proposed among these toys.

이의 완구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국내 실용신안공개 공개번호 실1998-24958호를 들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형상으로 된 사탕의 적정위치에 결합공을 형성하여 투명체로 된 손잡이관을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관의 내부에는 절곡 등의 외력에 의해 발광을 하는 발광봉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Looking at an example of the toy there is a 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24958, which combines the handle tube made of a transparent body by forming a coupling hole in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candy of various shapes, Inside is a combination of light-emitting rods that emit light by external forces such as bending.

따라서, 사탕을 먹을 시에는 손잡이관을 파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먹을 수 있고, 사탕완구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내부의 발광봉을 절곡하여 발광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탕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탕을 먹고 난 후에는 팔찌 등의 완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eating candy can be easily eaten while holding the handle tube, when used as candy toys can be used as candy toys in the state of bending the light emitting rod inside to emit light, and also eat candy After that, it can also be used as toys such as bracelet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발광봉의 내부에 충진되는 물질이 환경저해물질일 뿐만 아니라 이의 절곡에 의해 충진물질이 화학반응되어 발광하는 구성임으로써 발광시간이 짧은 단점이 있고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사용후 폐기할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terial filled in the light emitting rod is not only an environmentally harmful material but also a material in which the filling material is chemically reacted by the bending thereof, so that the emission time is short and i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such as polluting the environment if disposed after use.

한편, 유아나 어린이들이 많이 먹는 사탕은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원료로 하는 대표적인 감미료로서, 이 역시 그 형태나 원료, 첨가제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실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애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ndy eaten by infants and children a lot is a representative sweetener using sugar cane or sugar beet as a raw material, this is also variously propo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form, raw materials, additives, etc. are widely used.

이러한 사탕중에서도 막대의 일측 끝단에 구형의 크다란 사탕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일명 막대사탕이 많이 애용되고 있으며, 이는 막대가 손잡이의 기능을 가지는 것임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더불어 사탕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Among these candies, so-called lollipops, in which spherical large candy is formed integrally at one end of the bar, are frequently used. This is because the bar has a function of a handle, which makes the candy larger in convenience and convenience. Because of this, it enjoys steady popularit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막대사탕은 손잡이 기능을 가지는 막대가 비교적 가느다란 단순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파지가 곤란한 등 손잡이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ollipops a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in that the rod having a handle function does not fulfill the function of the handle, such as difficult to grip, as the rod is formed in a relatively thin simple shape.

더욱이, 상기 막대사탕의 막대는 손잡이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사용후에는 단순히 쓰레기로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od of the lollipop has only a function of a handle, so that the curiosity or playfulness of the children is not sufficiently saved, and there is a problem of simply throwing it away after use.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막대의 끝부분에 고리형의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역시 파지력은 약간 향상될지언정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nnular handl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bar has been proposed, but the gripping force may be slightly improv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improve the curiosity or amusement of children. .

또한, 근자에는 사탕, 과자 등은 물론 이들을 포장하는 포장용기를 동물, 식물, 숫자, 글씨 등을 비롯한 다양한 캐릭터의 형태로 형성하여 유아나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it is widely used to improve the curiosity or playfulness of infants and children by forming candy, sweets, etc. as well as packaging containers for packaging them in the form of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animals, plants, numbers and letters. hav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사탕이나 과자의 자체는 물론 포장용기의 형상 및 모양이 투박하고 단순하여 기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shape and shap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s well as the candy or confectionery itself are not clever and simple enough to obtain the expected effe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손잡이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의 내부에 빛을 발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야간 등에 이린이들의 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유희구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various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play that can be used as a toy for children at night by having a light emitting means for emitting light inside a cylindrical body having a handle. In provi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발광유희구에 투명봉을 가지는 막대사탕을 장착하여 사탕의 표면을 통해 빛이 투시되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d candy having a luminescent play that improves the curiosity or playability of the infant or child by mounting a lollipop having a transparent rod to the luminescent play sphere so that light is project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candy. Is i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새로운 개념의 발광유희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손잡이를 일체로 가지는 원판체의 받침판을 갖추어 구성하면서도 이 받침판에는 빛의 유도안내홈을 가지는 몸체를 분해 및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밧데리에 의해 빛을 발하는 LED램프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도안내홈을 통해 빛을 발하도록 하여 완구로 사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providing a light emitting sphere of a new concept, while having a support plate of a disk body having a handle integrally, the support plate is disassembled and assembled with a light guide guide groove At the same time as possible to configure the LED lamp to emit light by the battery inside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used as a toy to shine through the guide guide groove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유희구의 빛 유도안내홈에 막대사탕의 투명봉을 체결함으로써 막대사탕의 손잡이의 기능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사탕의 표면으로 빛이 투시되도록 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unction of the handle of the lollipops by fastening the transparent rod of the lollipops to the light guide guide groove of the light emitting play sphere and the light is projected to the surface of the candy to the curiosity or playfulness of the infant and children It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1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발명에 관한 발광유희구를 표시하고 있고, 부호 200은 상기 발광유희구에 장착되는 막대사탕을 표시하고 있다.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reference numeral 100 denotes a light emitting sp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stick candy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sphere.

상기 본 발명의 발광유희구(100)는 하부에 손잡이(11)를 일체로 가지는 원판체의 받침판(10)과, 상기 받침판(10)에 나사체결되는 원통형의 몸체(20)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20)의 내부에는 빛을 조사토록 하는 발광수단(30)이 구비된다.The light emitting play sphe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plate 10 of a disc body having a handle 11 at the bottom and a cylindrical body 20 screwed to the support plate 10, the body The light emitting means 30 for irradiating light is provided inside the 20.

상기 받침판(10)은 원판체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몸체(20)가 나사체결될 수 있는 너트공(12)이 갖추어 구성되고,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손잡이(11)는 손가락에 끼우거나 파지가 용이하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10 is formed of a disc body, the centr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nut hole 12 that can be screwed to the body 20, the handle 11 is formed integrally at the bottom is fitted to the finger or grip It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o facilitate.

상기 받침판(10)은 후술하겠지만 막대사탕(200)을 체결하여 사용할 경우 사탕이 녹아서 손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파지에 따른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게 된다.The support plate 10 will be described later, but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rod candy 200 to prevent the candy melts and flows down to the hand or to have the convenience of use according to the gripping.

이때, 상기 받침판(10)은 본 발명에서 원판체로 형성하는 것이나, 다른 실시예로서 다각형의 판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기타 나뭇잎, 동식물의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10 is formed of a disc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formed of a polygonal plate body in another embodiment, or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such as the shape of other leaves, animals and plants.

또한, 상기 받침판(1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몸체(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면서 하부에 나사(23)가 형성되어 받침판(10)의 너트공(12)에 나사체결되고, 그 상부에는 빛을 유도안내하는 빛의 유도안내공(21)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유도안내공(21)의 직하부에는 설치공간(22)이 이와 연통되면서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dy 20 screwed to the support plate 1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shape while the screw 23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is screwed into the nut hole 12 of the support plate 10,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At the same time as the guide guide hole 21 of the light to guide the format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guide hole 21, the installation space 22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and lower through.

상기 설치공간(22)은 발광수단(3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도안내공(21)과 함께 몸체(20)의 내부에서 그 내경을 달리하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발광수단(30)이 용이하게 체결되는 것이다.The installation space 22 i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30 is installed, is formed in a multi-stage varying its inner diameter in the interior of the body 20 together with the guide guide hole 21 to be described later ( 30) is easily fastened.

이때, 상기 몸체(20)는 도면에서 보듯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다른 실시예로서 발광유희구의 그 전체적인 형상 및 모양을 감안하여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삼각, 사각 등의 다각봉이나 또는 기타 동,식물 등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body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in another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shape and shape of the light emitting sphere, other shapes, for example, triangular, square, etc.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pper or a plant.

또한, 상기 발광수단(30)은 설치공간(22)의 내부에 상,하 나란히 적층되는 형태로 삽입체결되면서도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유도안내공(21)으로 발하는 LED램프(31)와, 이의 LED램프(31)에 전원을 공급토록 하는 다수 개의 밧데리(3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eans 30 is the LED lamp 31 which emits light to the guide guide hole 21 by the supply of power while being fastened in the form of being stacked side by side in the installation space 22 in the form of stacked, The LED lamp 3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ies 32 to supply power.

상기 LED램프(31)는 설치공간(22)내에서 그 상부의 유도안내공(21)을 향해 삽입설치되어 점등시 유도안내공(21)을 통하여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고, 또한 밧데리(32)는 상기 LED램프(31)의 하부에 다수개가 적층되어 이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e LED lamp 31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uide 22 in the installation space 22 toward the induction guide hole 21 to provide a function of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uction guide hole 21 when turned 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tteries 32 are stacked below the LED lamp 31 to supply power thereto.

한편, 상기 받침판(10)의 너트공(12)을 비롯한 외표면과, 몸체(20)의 설치공간(22)의 내경에는 도전체인 금속이 코팅처리됨으로써 밧데리(32)의 "-" 전원이 LED램프(31)에 원활하게 공급되고, 이와 반면에 "+"의 전원은 LED램프(31)의 직하부에서 밧데리(32)이 직접 접면되어 이를 통해 통전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including the nut hole 12 of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tallation space 22 of the body 20 is coated with a metal, which is a conductor, the "-" power of the battery 32 is LED Smoothly supplied to the lamp 31, on the other hand, the power of the "+" is that the battery 32 is directly contacted and energized through the LED lamp 31 directly below.

그리고, 상기 발광유희구(100)에 장착되는 막대사탕(200)은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막대형으로 이루어지는 투명봉(40)과, 상기 투명봉(4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사탕(50)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d candy 200 mounted on the light emitting ball 10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rod-shaped transparent rod 40 and a candy 50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transparent rod 40. It consists of.

상기 투명봉(40)은 빛이 쉽게 투시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크리스탈 등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면서도 전술한 발광유희구(10)의 몸체(20)에 형성되는 유도안내홈(21)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봉체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빛이 원활하게 유도되면서 난반사를 일으키도록 나선형의 투시홈(41)이 형성된다.The transparent rod 4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synthetic resin or crystal so that light can be easily seen, but the interference guide type in the guide groove 21 formed in the body 20 of the above-mentioned light-emitting play sphere 10 Consists of a rod so as to be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helical see-through groove 41 to cause diffuse reflection while the light is guided smoothly.

상기 투시홈(41)은 사탕(50)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유도되는 빛을 사탕(50)의 표면을 통해 보다 다양한 형태로 원활하게 투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The see-through groove 41 is provided to the function to be able to smoothly see through the surface of the candy 50 is guided to the light formed and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candy 50 is located.

한편, 상기한 구성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쌍방향의 나선형 투시홈(42)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또한 도7 및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명봉(40)의 전체 표면에 빛을 난반사시키도록 하는 반사물질(43)을 도포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6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formed as a bi-directional spiral perspective groove 42, and also as shown in Figures 7 and 8 transparent rod 40 It may be applied to the reflective material 43 to diffusely reflect light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사탕(50)은 통상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맛과 색상을 지닌 경질의 사탕으로서 구형이나 또는 삼각, 사각 등의 다각형, 그리고 기타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andy 50 is a hard candy having various tastes and colors as usual, and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and various other forms.

특히, 상기 사탕(50)은 그 내부에서 빛이 조사되어 외부로 원할하게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는 바람직할 것이고, 또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In particular, the candy 5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so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inside to be transparently projected to the outside, it is also preferable to be formed in various colors to enhance the effect.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1 및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나 어린이들의 완구 즉, 발광유희구(100)로 사용할 수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as shown in Figures 1 and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can be used as a toy, that is, a light emitting play 100 of the infant or child.

이러한 경우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 체결된 몸체(20)와 받침판(10)을 서로 조여주거나 풀어줌으로써 밧데리(32)의 전원을 LED램프(31)측에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5 by tightening or releasing the screwed body 20 and the backing plate 10 to each other to supply and cut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32 to the LED lamp 31 side.

첨부된 도면의 도5의 (b)는 온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는 몸체(20)와 받침판(10)을 조여준 상태로서, 밧데리(32)의 "+" 전원은 그 직상부의 LED램프(31)와 직접 접면되어 통전됨과 동시에, "-" 전원은 밧데리(32)의 하단부와 받침판(10)의 너트공(12)의 저면과 접촉됨으로써 이들의 표면에 도포된 도전체로 인하여 LED램프(31)로 전달되어 점등되는 것이다.5 (b)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s an on state. In this case, the body 20 and the support plate 10 are tightened, and the "+" power supply of the battery 32 is the LED lamp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At the same time as directly contacting the electric power 31 and the "-" power supply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3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nut hole 12 of the support plate 10, the LED lamp ( 31) will be delivered and turned on.

즉, "-" 전원은 밧데리(32)의 하단부와 접면된 받침판(10)의 너트공(12)을 통해 이와 나사체결된 몸체(20)의 설치공간(22) 내경을 거쳐서 LED램프(31)에 전달된다. That is, the "-" power supply is the LED lamp 31 through the nut hole 12 of the support plate 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32, and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22 of the body 20, which is screwed together. Is passed on.

따라서, 상기 LED램프(31)가 점등되면 이의 불빛은 몸체(20)의 유도안내공(21)을 통해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감을 증대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ED lamp 31 is turned on,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guide hole 21 of the body 20 to increase the curiosity or pleasure of the infant or child.

특히, 야간에 불꽃놀이용이나 각종 이벤트시 여러 기지 신호용, 또는 어린이들의 위치확인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LED램프(31)를 다양한 색으로 발광되게 하거나 또는 점멸되는 불빛으로 형성함으로써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가 있다.In particular, it can be used for fireworks at night or various events at various events, or for locating children, and at this time, the LED lamp 31 is made to emit light in various colors or to form a flashing light. I can double it more.

첨부된 도5의 (a)는 오프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는 사용하지 않은 평상시의 경우로서 몸체(20)와 받침판(10)을 약간 풀어주게 되면 이들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5 (a) shows an off state, and in this case, when the body 20 and the support plate 10 are slightly released as usual, they are kept in a spaced state.

즉, 밧데리(32)의 하단부와 받침판(10)의 너트공(12) 저면이 이격되어 밧데리(32)의 "-" 전원은 차단됨으로써 LED램프(31)는 소등되는 것이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3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nut hole 12 of the support plate 10 are spaced apart so that the "-" power of the battery 32 is cut off, the LED lamp 31 is turned off.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발광유희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자체만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20)의 유도안내공(21)에 막대사탕(200)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play ball 100 us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by itself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can be used by fastening the rod candy 200 to the guide guide hole 21 of the body 20.

즉, 첨부된 도면의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0)의 유도안내공(21)에 막대사탕(200)의 투명봉(40)을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체결한 상태에서 LED램프(31)를 온작동하게 되면, 이의 램프에서 발광되는 불빛은 투명봉(40)을 거쳐 나선형으로 형성된 투시홈(41)을 따라 사탕(50)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to 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ED lamp in the state in which the transparent rod 40 of the stick candy 2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uide hole 21 of the body 20 by interference fit When 31 is turned 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is irradiated to the surface of the candy 50 along the see-through groove 41 spirally formed through the transparent rod 40.

따라서, 투명 또는 불투명, 그리고 다양한 무늬나 색상 등으로 형성되는 사탕(50)의 표면을 통하여 불빛이 투시됨으로써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아나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감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Therefore, the light is project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candy 50 formed in transparent or opaque, and various patterns or colors, thereby creating a unique atmosphere and increasing curiosity or playfulness of the infant or the child.

특히, 이러한 막대사탕(200)은 사탕(50)을 먹는 동안은 물론이고, 먹고난 후에는 발광유희구(100)로 사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막대사탕(200)만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lollipops 200 can be used not only during the eating of the candy 50, but also after the eating, as well as the light emitting ball 100, and can be used separately to buy the lollipops 200 separately.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손잡이를 가지는 몸체의 내부에 발광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불빛이 조사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들의 완구나 또는 이벤트용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means inside the body having a handle is formed so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 toy or an event tool for infants and children.

즉, 야간에 불꽃놀이용이나 또는 각종 이벤트시 여러 기지 신호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의 위치확인용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not only can be used for fireworks at night or various signals at various events, but also can be used for positioning children.

또한, 본 발명의 발광유희구에 막대사탕을 장착함으로써 사탕의 손잡이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탕의 표면을 통하여 빛이 투시됨으로써 독특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어린이들의 호기심 내지는 유희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lollipop to the light emitting play 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as the handle of the candy, light is project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candy to produce a unique atmosphere as well as curiosity or playfulness of children It will have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도 1은 본 발명 발광유희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 emitting 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발광유희구에 막대사탕을 장착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d candy mounted o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도2의 분리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도 4는 본 발명 도2의 단면구성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도 5 (a)(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Figure 5 (a) (b)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도6 to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발광유희구 200:막대사탕100: light emitting sphere 200: candy bar

10:받침판 11:손잡이10: support plate 11: handle

12:너트공 20:몸체12: Nut ball 20: Body

21:유도안내공 22:설치공간21: guide guide 22: installation space

30:발광수단 31:LED램프30: light emitting means 31: LED lamp

32:밧데리 40:투명봉32: battery 40: transparent rod

41,42:투시홈 43:반사물질41, 42: see-through groove 43: reflective material

50:사탕50: Candy

Claims (5)

빛이 안내되는 안내유도공 및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면서 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도전체의 금속물질이 도포되는 몸체와;A guide space for guiding the light and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nstalled are formed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a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and a body on which a metal material of the conductor is applied; 상기 몸체와 나사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상향개구되는 너트공과 하부에 손잡이를 가지면서 표면에는 도전체의 물질이 도포되는 판체형의 받침판과;A plate-shaped support plate which is screwed with the body and has a nut hole upwardly opened at the center and a handle at the bottom thereof, and a substance of a conductor is coated on the surface thereof; 상기 몸체의 설치공간내에 적층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점등되는 LED램프 및 이에 전원을 공급토록 하는 다수개의 밧데리를 가지는 발광수단;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희구.And a light emitting means having a plurality of batteries arranged to be stack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body and to be turned on by the supply of power, and to supply the power thereto. 빛이 안내되는 안내유도공 및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면서 하부의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도전체의 금속물질이 도포되는 몸체와;A guide space for guiding the light and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nstalled are formed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a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and a body on which a metal material of the conductor is applied; 상기 몸체와 나사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상향개구되는 너트공과 하부에 손잡이를 가지면서 표면에는 도전체의 물질이 도포되는 판체형의 받침판과;A plate-shaped support plate which is screwed with the body and has a nut hole upwardly opened at the center and a handle at the bottom thereof, and a substance of a conductor is coated on the surface thereof; 상기 몸체의 설치공간내에 적층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점등되는 LED램프 및 이에 전원을 공급토록 하는 다수개의 밧데리를 가지는 발광수단과;Light emitting means having a plurality of batteries configured to be stacked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body and to be turned on by the supply of power and to supply the power thereto; 상기 몸체의 안내유도공에 삽탈가능토록 구비되는 빛이 원활하게 투시되는 투명체의 투명봉 및 이 투명봉에 일체로 형성되는 사탕을 가지는 막대사탕: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Lollipops having a luminescent play b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parent bar of the transparent body that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uide of the body and a lollipop having a can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nsparent ba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투명봉(40)은 사탕(50)이 체결되는 상단부에 나선형의 투시홈(4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The transparent rod 40 is a candy bar having a light emitting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helical see-through groove 41 in the upper end to which the candy 50 is fasten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투명봉(40)은 사탕(50)이 체결되는 상단부에 쌍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나선형의 투시홈(4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The transparent rod 40 is a candy rod having a light emitting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piral see-through groove 42 overlapping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at the upper end to which the candy 50 is fastened.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투명봉(40)의 표면에 빛의 난반사를 위한 반사물질(43)을 도포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Lollipops having a light emitting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by applying a reflective material 43 for diffuse reflection of light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rod (40).
KR1020040007643A 2004-02-05 2004-02-05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KR200500793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643A KR20050079396A (en) 2004-02-05 2004-02-05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643A KR20050079396A (en) 2004-02-05 2004-02-05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825U Division KR200348318Y1 (en) 2004-02-05 2004-02-05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396A true KR20050079396A (en) 2005-08-10

Family

ID=3726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643A KR20050079396A (en) 2004-02-05 2004-02-05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939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89B1 (en) * 2008-04-23 2010-10-26 장언수 Lighting device
KR20180002177U (en) * 2017-01-06 2018-07-16 김환중 Lamp for cheer
KR20200050242A (en) 2018-11-01 2020-05-11 원문수 Light emitting stick and light emitting candy including the same
KR20200050240A (en) 2018-11-01 2020-05-11 원문수 Light emitting stick and light emitting candy includ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89B1 (en) * 2008-04-23 2010-10-26 장언수 Lighting device
KR20180002177U (en) * 2017-01-06 2018-07-16 김환중 Lamp for cheer
KR20200050242A (en) 2018-11-01 2020-05-11 원문수 Light emitting stick and light emitting candy including the same
KR20200050240A (en) 2018-11-01 2020-05-11 원문수 Light emitting stick and light emitting candy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816B1 (en) Illuminated novelty confection
US7775848B1 (en) Hand-held fan and object holder
US20030162470A1 (en) Aerodynamic flying disk having light sticks in the rim
US20020126507A1 (en) Luminescent lollipop
WO2014018438A1 (en) Reversibly deformable interactive package components
CN101511437A (en) Amusement device
US7211282B2 (en) Pinwheel lollipop
US5971829A (en) Motorized ice cream cone
US6471364B1 (en) Chemiluminescent lollypop
US5957746A (en) Device for holding and rotating candy
KR20050079396A (en)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US20040043694A1 (en) Illuminated flying disc
US20060263491A1 (en) Toy candy dispensing assembly with tongs
KR200348318Y1 (en) Light-emitting plaything and loaf sugar having such plaything
US10898016B1 (en) Illuminated dome scene cup
US5609340A (en) Toy set of fishing play
KR200476042Y1 (en) luminous stick
US20030068412A1 (en) Gyro pop
JPH05153911A (en) Luminescent confectionery
US20060286283A1 (en) Luminous candy
CN220875803U (en) Milk-flavored lollipop
CN217533805U (en) Article storage device
US4988099A (en) Moving character action game
JP3182303U (en) Luminous toys
CN202425539U (en) Irradiative candy c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