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937A -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 Google Patents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937A
KR20050078937A KR1020040007032A KR20040007032A KR20050078937A KR 20050078937 A KR20050078937 A KR 20050078937A KR 1020040007032 A KR1020040007032 A KR 1020040007032A KR 20040007032 A KR20040007032 A KR 20040007032A KR 20050078937 A KR20050078937 A KR 2005007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obile phone
present
rod
upp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종철
Original Assignee
추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종철 filed Critical 추종철
Priority to KR102004000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937A/ko
Priority to CNU2004200668062U priority patent/CN2749196Y/zh
Priority to CNA2005800037857A priority patent/CN1914813A/zh
Priority to PCT/KR2005/000303 priority patent/WO2005076487A1/en
Publication of KR2005007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05K1/167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incorporating printed resis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폰의 통화부에 장착되며 양 측단부에 레일 샤프트가 각기 장착된 하부 슬라이더, 핸드폰의 수화부에 장착되며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단부 및 레일 샤프트에 양 측단부가 끼워져 결착되는 상부 슬라이더 및 제 1 봉, 제 1 봉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제 1 봉의 내부로 일단부가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봉을 구비하고,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에 제 1 봉 및 제 2 봉의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일단부가 결착되는 포고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slider for protecting LCD panel of hand phone}
본 발명은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핸드폰은 통화를 하기 위하여 액정화면이 설치된 수화부와 키버튼이 설치된 수화부사이에 경첩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1 은 종래의 슬라이딩식 핸드폰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라이딩방식의 핸드폰은 액정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수화부(1)와 핸드폰의 번호키가 설치되어 있는 통화부(5)로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 SK 텔레콤의 스카이 핸드폰과 같은 사용자가 통화하기 위하여 액정화면이 설치되어 있는 수화부(1)를 밀어 올리는 방식의 핸드폰(슬라이딩식 핸드폰)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핸드폰에서 수화부를 밀어 올리는 방식은 내부에 돼지꼬리 모양의 텐션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서, 핸드폰의 수화부(1)를 밀어 올리면 액정이 설치된 수화부(1)가 스프링의 텐션에 의해 갑자기 밀려서 올라가게 되고, 이 때마다 액정화면에 일정한 부하의 충격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결국에는 핸드폰의 액정이 고장이 나거나 계속적인 충격으로 인하여 핸드폰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의 수화부를 밀어 올리거나 내릴 때 상부 슬라이더가 순간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 슬라이더가 순간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수화부에 충격이 가해져 액정화면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슬라이더를 상하로 움직일 때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는, 핸드폰의 통화부에 장착되며 양 측단부에 레일 샤프트가 각기 장착된 하부 슬라이더, 핸드폰의 수화부에 장착되며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단부 및 레일 샤프트에 양 측단부가 끼워져 결착되는 상부 슬라이더 및 제 1 봉, 제 1 봉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제 1 봉의 내부로 일단부가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봉을 구비하고,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에 제 1 봉 및 제 2 봉의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일단부가 결착되는 포고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1 실시례의 사시도로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30)를 밀어 올리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상부 슬라이더(30)를 하부 슬라이더(20)를 따라 밀어 올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하부 슬라이더(20)는 핸드폰의 키버튼이 설치된 보이스(Voice) 입력부가 위치한 핸드폰 통화부(5)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 슬라이더(30)는 액정화면이 설치된 보이스 출력부가 위치된 수화부(1)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 (30)는 핸드폰의 키버튼이 설치된 보이스(Voice) 입력부가 위치한 핸드폰 통화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하부 슬라이더(20)는 액정화면이 설치된 보이스 출력부가 위치된 수화부(1)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하부 슬라이더(20)는 핸드폰의 키버튼이 설치된 통화부(5)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 슬라이더(30)는 액정화면이 설치된 수화부(1)에 고정 설치되는 핸드폰 모델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슬라이더(20)는 상부 슬라이더(30)가 결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좌우 양 측면에 레일 샤프트(22a, 22b)가 끼워진다. 또한, 상부 슬라이더(30)는 양 측단이 레일 샤프트(22a, 22b)에 각기 끼워진 상태로 위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레일 샤프트(22a, 22b)는 상부 슬라이더가 움직이기 위한 레일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부 슬라이더(30)의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하여 포고(pogo) 핀(40)이 설치되는데, 포고 핀은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에 각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를 연결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화부(1)를 올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 슬라이더(30)는 하부 슬라이더(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가 수화부를 올리게 되면 상부 슬라이더(30)의 양 측단부가 하부 슬라이더(20)의 레일 샤프트(22a, 22b)를 따라 올라가면서 통화부(5)가 노출되게 된다. 이때, 포고 핀(40)은 일단은 하부 슬라이더(20)에 고정된 채 상부 슬라이더(30)를 따라 다른 일단이 움직이면서 상부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지지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1 실시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단면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슬라이더(20)의 좌우 측면으로는 레일 역할을 하는 레일 샤프트(22a, 22b)가 고정 장착되며, 이를 위하여 레일 샤프트의 양 단부는 하부 슬라이더의 좌우 측면의 양 단부에 결착할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하부 슬라이더(20)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는 포고 핀(40)의 일단(46)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홈(24)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슬라이더(30)는 하부 슬라이더(20)에 장착되는 구성부로서, 구체적으로는 양 측단부가 좌우 레일 샤프트(22a, 22b)를 감싸며 장착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의 양 측단부의 하부로는 하부 슬라이더(20)의 양 측면과 레일 샤프트(22a, 22b)가 끼워질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상부 슬라이더(30)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는 포고 핀 (40)의 나머지 일단(48)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홈(32)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슬라이더(20)와 상부 슬라이더(30)의 각 고정홈(24, 32)은 서로 반대 측면의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하부 슬라이더의 고정홈(24)이 좌측에 형성되면 상부 슬라이더의 고정홈(32)은 우측에 형성하도록 한다. 반대의 경우로 마찬가지이다. 또한, 각 고정홈(24, 32)은 수평방향으로 동일 연장선 상에 형성하지 않도록 하며, 하부 슬라이더(20)의 고정홈(24)이 상부 슬라이더(30)의 고정홈(32) 보다 종방향으로 적어도 윗쪽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부 슬라이더(30)를 아래에서 위로 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의 도 5 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4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름이 서로 다른 두개의 봉(42, 44)으로 이루어지고 지름이 더 큰 제 1 봉(42)의 개방된 일단으로 지름이 작은 제 2 봉(44)의 일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제 1 봉(42)의 내부에는 스프링(43)이 구비되어 제 1 봉의 내부에 삽입된 제 2 봉(44)의 일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제 2 봉(44)이 제 1 봉(4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 1 봉과 제 2 봉의 결합부위에는 걸림턱을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봉(42)의 내부로 제 2 봉(44)의 일부가 출몰하면서 포고 핀(40)의 전체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제 1 봉(42)과 제 2 봉(44) 중 서로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일단부(46, 48)는 각기 하부 슬라이더 및 상부 슬라이더의 각 고정홈(24, 32)에 각기 끼워진다. 이때, 포고 핀의 양 단부(46, 48)는 각 고정홈(24, 32)에 고정되지 않고 끼워짐으로써 고정홈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1 실시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상부 슬라이더(30)를 밀어 올리게 되면 상부 슬라이더가 하부 슬라이더(20)의 레일 샤프트(22a, 22b)를 따라 올라가게 된다. 이때, 포고핀(40)의 일단(46)은 하부 슬라이더(20)의 고정홈(24)에 끼워진채 회전하게 되고 나머지 일단(48)은 상부 슬라이더(30)의 고정홈(32)을 따라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부 슬라이더(30)를 중간 지점까지 밀어 올리는 동안은 양 고정홈(24, 32) 사이의 거리가 포고핀(40)의 길이보다 점차 짧아지므로, 제 1 봉(42)의 내부로 제 2 봉(44)의 일부가 점차 들어가게 되고 제 1 봉 내부의 스프링(43)을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가 갑자기 밀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부 슬라이더(30)가 중간 지점을 통과하면 양 고정홈(24, 32) 사이의 거리가 점차 길어지므로 제 1 봉(42)에 삽입되었던 제 2 봉(44)은 스프링(43)에 의해 밀려서 점차 나오게 되고 포고핀(40)의 길이는 점차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를 중간 지점까지 밀어 올리면 스프링(43)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밀어 올려지게 되고, 스프링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어 올려지므로 수화부(1)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봉(44)은 걸림턱에 의해 제 1 봉(4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므로 상부 슬라이더(30)는 일정 위치까지만 올라가게 되며 하부 슬라이더(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부 슬라이더(30)을 내릴 때에도 중간 지점까지는 포고 핀(40)이 짧아지면서 스프링(43)을 압축하게 되고, 상부 슬라이더가 중간 지점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포고 핀(40)이 원래 길이까지 늘어나면서 상부 슬라이더가 자동으로 내려오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가 갑자기 내려오거나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화부(1)에 순간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를 나타낸 도로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핸드폰 슬라이더의 좌우의 하부 슬라이더 및 상부 슬라이더 중 우측에 설치되는 하부 슬라이더(120) 및 상부 슬라이더(130) 만을 도시하였으며, 특히 도 6(a)에서는 상부 슬라이더(13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의 구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7(a)는 하부 슬라이더(120)로부터 분리된 레일 샤프트(122)와 상부 슬라이더(130)를 도시한 도이고, 도 7(b)는 상부 슬라이더(130)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한편, 핸드폰 슬라이더 중 좌측의 하부 슬라이더 및 상부 슬라이더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우측의 하부 슬라이더(120) 및 상부 슬라이더(130)과 단지 대칭되는 구조이므로 도 6 및 도 7 과 이하의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에 대해 살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의 하부 슬라이더(120)는 길쭉한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통화부(5)의 좌우에 각기 설치되며, 측면의 테두리부로는 레일 샤프트(122)가 감싸면서 끼워진다. 레일 샤프트(122)의 외부 측면 중 좌측면, 구체적으로는 좌우에 각기 설치되는 레일 샤프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홈으로 이루어진 제 1 슬라이더 스토퍼(124a) 및 제 2 슬라이더 스토퍼(124b)가 각기 형성된다. 제 1 슬라이더 스토퍼(124a) 및 제 2 슬라이더 스토퍼(124b)는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 슬라이더(130)를 정지시켜 상부 슬라이더의 하부 위치와 상부 위치를 각기 결정짓기 위한 구성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의 상부 슬라이더(130)는 레일 샤프트(122)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구성부로서, 양 측단부가 하부 슬라이더 (120)와 레일 샤프트를 감싸면서 장착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130)의 하부로는 하부 슬라이더(120)와 레일 샤프트(12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상부 슬라이더(130)의 내부로는 스프링(132)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134)이 장착되는데, 이때 볼(134)은 레일 샤프트(122)와 접촉하는 면, 즉 상부 슬라이더 하부의 홈 중 레일 샤프트와의 접촉면으로 적어도 일정 영역이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130)가 레일 샤프트(122)의 슬라이더 스토퍼 (124a, 124b)에 오게 되면 스프링(132)의 탄성에 의해 볼(134)이 밀려나와 홈 형상의 슬라이더 스토퍼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수화부(1)를 내린 상태, 즉 상부 슬라이더(130)를 밀어 올리기 전 상태에서는 상부 슬라이더 내의 볼(134)이 레일 샤프트(122)의 슬라이더 스토퍼 중 하부의 제 1 슬라이더 스토퍼(124a)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수화부 (1)를 밀어 올리면 상부 슬라이더(130)가 밀어 올려지게 되고, 볼(134)은 제 1 슬라이더 스토퍼(124a)의 측면을 따라 안으로 밀려 들어가서 스프링(132)을 압축하게 된다. 상부 슬라이더(130)가 레일 샤프트(122)의 제 2 슬라이더 스토퍼(124b)에 이르기 전에는 볼(134)이 레일 샤프트의 측면에 의해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며, 스프링(132)의 탄성에 의해 볼과 레일 샤프트의 측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갑자기 밀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134)은 레일 샤프트(122)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지나친 마찰력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수화부(1)를 밀어 올리는데 불편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수화부를 밀어 올리는데 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상응하는 정도의 마찰력/저항력만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부 슬라이더(130)가 레일 샤프트(122)를 따라 밀어 올리는 중에 볼 (134)이 제 2 슬라이더 스토퍼(124b)에 위치하게 되면, 스프링(132)에 의해 볼이 밀려나와 제 2 슬라이더 스토퍼(124b)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가 계속 밀어 올려져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 슬라이더의 상단에는 상부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밀어 올린 상부 슬라이더(130)를 밀어 내릴 때에도 볼(134)이 제 2 슬라이더 스토퍼(124b)의 측면을 따라 밀려 들어가서 스프링(132)을 압축하게 되고, 제 1 슬라이더 스토퍼(124a)에 위치하게 되면 볼이 다시 스프링에 의해 밀려 나와 제 1 슬라이더 스토퍼에 걸리게 되어 상부 슬라이더가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하부 슬라이더의 하단에 상부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부 슬라이더(130)를 정해진 위치까지 밀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상부 슬라이더의 이동 중에는 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해 볼(134)과 레일 샤프트(122)의 측면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갑자기 올려지거나 내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화부(1)에 순간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3 실시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3 실시례는 좌우에 길쭉한 바 모양으로 구비되는 하부 슬라이더(220)와 좌우의 하부 슬라이더에 각기 양 측단부가 결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 슬라이더(230)를 구비한다. 레일 샤프트(222), 슬라이더 스토퍼(224b), 스프링(232) 및 볼(234)의 구성 및 기능은 도 6 및 도 7 을 통해 설명한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살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4 실시례를 나타낸 도로서,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4 실시례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4 실시례의 정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4 실시례는 좌우 양 측단에 레일 샤프트(242)가 각기 장착되는 하부 슬라이더(240)와 하부 슬라이더의 좌우 레일 샤프트에 양 측단이 결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 슬라이더(230)를 구비한다.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4 실시례는 도 8 에 도시한 제 3 실시례 중 좌우의 하부 슬라이더(220)를 상호 연결한 실시례로서, 하부 슬라이더(240)를 보다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다. 레일 샤프트(242), 슬라이더 스토퍼(244b), 상부 슬라이더(230), 스프링(232) 및 볼(234)의 구성 및 기능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5 실시례를 나타낸 도로서,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5 실시례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5 실시례의 측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5 실시례는 하부 슬라이더(320)가 일정 각도로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폴더형 핸드폰에서 볼 수 있듯이 수화부(1)는 통화부(5)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때 사용자가 핸드폰을 얼굴에 밀착시킬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슬라이더(320)를 일정 각도 휘어진 형태로 형성하고 상부 슬라이더 (330)가 하부 슬라이더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 핸드폰의 수화부 (1)를 밀어 올렸을 때 수화부와 통화부 사이에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부 슬라이더(320), 레일 샤프트(322), 슬라이더 스토퍼(324a, 324b) 및 상부 슬라이더(330)의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은 도 6 및 도 7 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좌우의 하부 슬라이더(320) 및 상부 슬라이더(330) 중 좌측의 하부 슬라이더 및 상부 슬라이더만을 도시하였으며, 우측의 하부 슬라이더와 상부 슬라이더는 이와 대칭된 구조를 가지므로 도면에의 도시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6 실시례를 나타낸 도로서,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6 실시례의 정면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6 실시례의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6 실시례는 일정 각도 휘어진 형상으로 이루며 통화부(5)의 좌우에 각기 고정 설치되는 하부 슬라이더(320)와 좌우의 하부 슬라이더에 양 측단부가 결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 슬라이더(340)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6 실시례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제 5 실시례의 좌우의 상부 슬라이더를 상호 연결한 실시례이다. 하부 슬라이더(320), 레일 샤프트(322), 슬라이더 스토퍼(324a, 324b) 및 상부 슬라이더(340)의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은 도 6 및 도 7 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는, 상부 슬라이더가 상하로 움직일 때 갑자기 움직임으로 인해 수화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슬라이더의 하부 슬라이더 상의 상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 사이에 포고 핀을 장착하는 경우 포고 핀 내의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상부 슬라이더가 순간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슬라이더가 일정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밀어 올려지거나 내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포고 핀이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더 스토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부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볼이 스프링에 의해 밀려 나와 제 1 슬라이더 스토퍼 또는 제 2 슬라이더 스토퍼에 걸리게 되므로 상부 슬라이더의 상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상부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슬라이더를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도중에는 압축된 스프링에 의해 볼과 레일 샤프트의 측면 사이에 마찰력/저향력이 발생하므로 상부 슬라이더가 순간적으로 밀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는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도 1 은 종래의 슬라이딩식 핸드폰의 일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1 실시례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1 실시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1 실시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2 실시례의 구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3 실시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4 실시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5 실시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슬라이더의 제 6 실시례를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120, 220, 240, 320 : 하부 슬라이더
30, 130, 230, 330, 340 : 상부 슬라이더
40 : 포고(pogo) 핀

Claims (1)

  1. 핸드폰의 통화부에 장착되며 양 측단부에 레일 샤프트가 각기 장착된 하부 슬라이더;
    상기 핸드폰의 수화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양 측단부 및 상기 레일 샤프트에 양 측단부가 끼워져 결착되는 상부 슬라이더; 및
    제 1 봉, 상기 제 1 봉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제 1 봉의 내부로 일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봉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와 상기 상부 슬라이더에 상기 제 1 봉 및 상기 제 2 봉의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일단부가 결착되는 포고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
KR1020040007032A 2004-02-03 2004-02-03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KR20050078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32A KR20050078937A (ko) 2004-02-03 2004-02-03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CNU2004200668062U CN2749196Y (zh) 2004-02-03 2004-06-08 滑动式连接手机接听部和通话部的滑板
CNA2005800037857A CN1914813A (zh) 2004-02-03 2005-02-02 以滑动方式连接移动电话的呼叫部与接听部的滑块
PCT/KR2005/000303 WO2005076487A1 (en) 2004-02-03 2005-02-02 Slider for connecting a calling part with a receiving part of a mobile phone in sliding 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32A KR20050078937A (ko) 2004-02-03 2004-02-03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499A Division KR100579664B1 (ko) 2005-10-05 2005-10-05 핸드폰용 슬라이딩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937A true KR20050078937A (ko) 2005-08-08

Family

ID=3572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032A KR20050078937A (ko) 2004-02-03 2004-02-03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78937A (ko)
CN (2) CN2749196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47B1 (ko) * 2006-05-24 2007-05-25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 힌지 장치
CN101472431B (zh) * 2007-12-27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开合机构
CN101969751A (zh) * 2009-07-27 2011-02-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移机构
CN114711521A (zh) * 2022-04-26 2022-07-08 歌尔股份有限公司 可穿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417Y1 (ko) * 2003-06-09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200338942Y1 (ko) * 2003-10-18 2004-01-16 주식회사 한빛정밀 휴대폰
KR200338941Y1 (ko) * 2003-10-18 2004-01-16 주식회사 한빛정밀 휴대폰
KR20050056784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417Y1 (ko) * 2003-06-09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200338942Y1 (ko) * 2003-10-18 2004-01-16 주식회사 한빛정밀 휴대폰
KR200338941Y1 (ko) * 2003-10-18 2004-01-16 주식회사 한빛정밀 휴대폰
KR20050056784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4813A (zh) 2007-02-14
CN2749196Y (zh)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3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50044996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50078937A (ko)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KR10084443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46369B1 (ko) 핸드폰의 통화부와 수화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연결하는슬라이더
KR20070008363A (ko) 다단 슬라이딩 유닛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70000599U (ko) 슬라이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100719518B1 (ko) 휴대 단말기용 심플형 슬라이드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0710319B1 (ko) 반자동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폰
KR100579664B1 (ko) 핸드폰용 슬라이딩 유닛
KR200326418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101033478B1 (ko)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 부재
KR10096655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35990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100964146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712188B1 (ko)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0617146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6329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100714230B1 (ko)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5012038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051410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1006230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20035057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