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851A -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Google Patents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78851A KR20050078851A KR1020040006923A KR20040006923A KR20050078851A KR 20050078851 A KR20050078851 A KR 20050078851A KR 1020040006923 A KR1020040006923 A KR 1020040006923A KR 20040006923 A KR20040006923 A KR 20040006923A KR 20050078851 A KR20050078851 A KR 200500788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eenhouse
- drying
- agricultural products
- concrete weight
- weight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10000002356 Skelet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5 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에 관한 것으로서, 수확된 농산물에 대한 건조 등의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외부의 날씨나 시간에 관계없이 24시간 언제든지 건조작업이 가능토록 하고 보다 위생적이면서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온실은, 내부에는 철근이 배열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면과 별도의 구조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중량체(10); 상기 콘크리트 중량체(10)상에 일체로 설치되며, 비닐 또는 유리(30)가 결합됨으로 온실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골격프레임(20); 상기 콘크리트 중량체(10) 내에 설치되어 내부에 건조를 위한 열기를 공급하는 열원부재(40,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온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거나 또는 수확된 농산물에 대한 건조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위치의 이동이 용이한 온실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 또는 고추 등과 같은 농산물은 유통중의 부패를 막아 보존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수확후 건조처리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건조처리를 위해서는 적당한 일조량, 온도, 습도하에서 장시간 농산물을 외부에 노출시켜 건조하는 자연건조방법이 널리 사용되어왔다.
특히, 고추의 경우에 태양광 하에서 자연건조된 것은 태양초(태양열고추)라고 불리는데, 건조된 고추의 품질이 높아서 시장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농산물 재배농가의 안마당이나 도로변의 공터, 또는 농로 등에 농산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을 이용함으로 인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악영향을 받게되어 비위생적인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수확된 농산물을 야외에 널어놓은 상태에서 날씨가 흐려져 비가 내리게 되면 이를 다시 실내로 이동시켜야 하며, 보일러나 선풍기 등으로 건조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농산물 건조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날씨가 맑은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건조시킴과 함께 날씨가 흐린날 및 야간에도 농산물을 이동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다용도 이동식 온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온실의 이동성을 확보하여 전원주택 등에서 필요에 따라 온실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는 철근이 배열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면과 별도의 구조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중량체; 상기 콘크리트 중량체상에 일체로 설치되며, 비닐 또는 유리가 결합됨으로 온실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콘크리트 중량체 내에 설치되어 내부에 건조를 위한 열기를 공급하는 열원부재;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용 이동식 온실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사시도이고, 도 2는 온실 이동시 상태도이며, 도 3은 설치 상태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열선이 배치된 상태도를 나타낸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용 온실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내부에 철근(미도시)이 배근되어져 일정 체적을 이루는 직사각형상의 콘크리트중량체(10)가 구성되고, 그 상부에는 온실의 전체적인 뼈대를 이루는 골격프레임(20)이 설치되며, 상기 골격프레임(20)에는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위한 비닐 또는 유리(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콘크리트중량체(10) 내에는 건조를 위해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부재로서 온수관(40)이 순환되도록 설치되었으며, 온수관의 입구 및 출구측에는 각각 외부의 보일러본체의 연결관(43)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파이프(41,42)가 돌출 구비되었다.
상기 보일러본체로 부터 열원을 공급받는 열원부재로는 온수관(40) 뿐만 아니라 보일러 연소시 발생되어 배기되는 폐열을 이용하기 위한 배기관이 사용될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콘크리트 중량체(1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 이동식 온실을 이용한 건조작업 및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온실은 하부몸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중량체(10)가 소정 중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콘크리트 양생시 골격프레임(20)이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지지끈 등 별도의 지지수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강풍으로 인해 넘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되며, 콘크리트 중량체(10) 내부에는 온수관(40)이 배열되어져 있으므로 보일러의 가열온도 제어를 통해 온실내부의 건조온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게된다.
즉, 온실 내부에 수확된 농산물을 널어놓거나 또는 별도의 건조대상에 농산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주간에는 별도의 열원동작이 필요없이 태양열을 이용하여 농산물에 대한 건조를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날씨가 흐리거나 야간에 건조작업을 수행코자 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중량체(1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져 있는 입수 연결파이프(41) 및 출수 연결파이프(42)에 각각 연결관(43)을 연결하여 보일러로 부터 온수가 순환되어질 수 있도록 설치하고, 이후 보일러를 가동시키게 되면 일정온도로 데워진 온수가 콘크리트 중량체(10) 내부를 순환하면서 콘크리트 중량체(10)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실 내부에서 주간과 동일한 온도로 농산물을 건조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용 온실을 이용하게 되면 외부 날씨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건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 농산물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됨과 함께, 외부로 부터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어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실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장소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도 3에서와 같이 연결관(43)을 이용하여 건물내의 보일러와 온수 또는 배출공기가 경유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서 온실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실을 나타낸 것으로서, 열원부재로서 전기열선(40')을 설치하고, 그 일단에 플러그(41')를 구비함으로서 콘센트에 접속시킴으로서 전기공급에 따른 발열로서 내부건조를 실시토록 구성시킬 수도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이동식 온실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농산물에 대한 건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상태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이동식 온실은 건조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재배 등의 목적으로도 사용되어질 수 있게된다.
또한, 온실 내부에 건조대를 설치하여 해가있는 낮에는 건조대를 외부에 설치하고, 흐린날이나 밤시간에는 건조대를 온실내부에 설치하여 내부 건조를 실시할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이동식 온실은, 날씨와 시간에 관계없이 흐린날씨나 야간에도 수확된 농산물에 대한 건조를 실시할 수 있게되며 외부와 차단된 온실내에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보다 위생적이면서도 개선된 건조효율을 나타내는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온실의 이동성을 확보하여 전원주택 등의 분양시 원하는 세대에 일정 기간동안 본 발명의 온실을 제공함으로서 누구나 용이하게 농산물의 수확 및 건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온실 하부를 일정 중량을 이루는 콘크리트 중량체로 구성함으로서 온실의 내구성 강화는 물론 강풍이 불더라도 안정적인 본체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온실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이동식 온실을 지게차로 이동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이동식 온실의 배관 연결설치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열선이 설치된 온실 외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 중량체 20 : 골격프레임
30 : 유리 40 : 온수관
40': 전기열선 41,42 : 연결파이프
43 : 연결관
Claims (4)
- 내부에는 철근이 배열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면과 별도의 구조체를 이루는 콘크리트 중량체(10);상기 콘크리트 중량체(10)상에 일체로 설치되며, 비닐 또는 유리(30)가 결합됨으로 온실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골격프레임(20);상기 콘크리트 중량체(10) 내에 설치되어 내부에 건조를 위한 열기를 공급하는 열원부재(40,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열원부재로는 보일러 본체로 부터 순환되는 온수관(40) 또는 배기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중량체(10)의 일측에는 외부 보일러 본체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연결파이프(41,4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열원부재로는 전기열선(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6923A KR20050078851A (ko) | 2004-02-03 | 2004-02-03 |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6923A KR20050078851A (ko) | 2004-02-03 | 2004-02-03 |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2537U Division KR200350465Y1 (ko) | 2004-02-03 | 2004-02-03 |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78851A true KR20050078851A (ko) | 2005-08-08 |
Family
ID=3726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6923A KR20050078851A (ko) | 2004-02-03 | 2004-02-03 |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7885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52477A1 (en) * | 2017-02-17 | 2018-08-23 | Ceres Greenhouse Solutions Llc | Energy efficient greenhouse |
DE102021113166A1 (de) | 2020-05-20 | 2021-11-25 | Baumhöver Frischgeflügel GmbH & Co. KG | Mobile Vorrichtung und Verfahren |
DE202021102774U1 (de) | 2021-05-20 | 2022-08-23 | Baumhöver Frischgeflügel GmbH & Co. KG | Mobile Vorrichtung für den mobilen Einsatz eines landwirtschaftlichenBauwerks wie eines Gewächshauses |
-
2004
- 2004-02-03 KR KR1020040006923A patent/KR200500788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52477A1 (en) * | 2017-02-17 | 2018-08-23 | Ceres Greenhouse Solutions Llc | Energy efficient greenhouse |
US11006586B2 (en) | 2017-02-17 | 2021-05-18 | Ceres Greenhouse Solutions Llc | Energy efficient greenhouse |
DE102021113166A1 (de) | 2020-05-20 | 2021-11-25 | Baumhöver Frischgeflügel GmbH & Co. KG | Mobile Vorrichtung und Verfahren |
DE202021102774U1 (de) | 2021-05-20 | 2022-08-23 | Baumhöver Frischgeflügel GmbH & Co. KG | Mobile Vorrichtung für den mobilen Einsatz eines landwirtschaftlichenBauwerks wie eines Gewächshaus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00568B (zh) | 生态环保能源综合建筑大楼 | |
CN204929810U (zh) | 具有光伏发电功能的农业大棚 | |
JP2011182657A (ja) | 植物栽培ハウス | |
CN107801529A (zh) | 一种大棚种植加热取暖结构 | |
Chikaire et al. | Solar energy applications for agriculture | |
CN1963112A (zh) | 有机生态园林住宅系统 | |
CN203027816U (zh) | 球形温室大棚 | |
CN104089416B (zh) | 一种可提供阳光大棚储热和换气功能的太阳能热水器系统 | |
KR20050078851A (ko) |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
CN203775790U (zh) | 一种双向调温节能日光温室 | |
CN205682013U (zh) | 一种多功能温室大棚 | |
CN206611879U (zh) | 一种智能温室大棚 | |
KR200350465Y1 (ko) | 농산물용 다용도 이동식 온실 | |
KR100967557B1 (ko) | 집열장치가 구비된 비닐하우스 | |
CN2230500Y (zh) | 组合式双层连栋塑管调温大棚 | |
CN210124149U (zh) | 一种农业技术推广用种植大棚 | |
CN204663063U (zh) | 一种利用荒沟、沟槽建设的集约化种养殖立体温室大棚 | |
CN210928839U (zh) | 一种温度可控的节能型新能源育苗大棚 | |
CN207201488U (zh) | 种养循环一体棚 | |
CN204069939U (zh) | 一种内设沼气池的立体种植日光大棚 | |
Aroonsrimorakot et al. | Application of solar energy technology in agricultural farm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review article | |
CN2048280U (zh) | 多功能组装式植物微型立体培育室 | |
CN206227062U (zh) | 分布式光伏智能反季节秀珍菇大棚 | |
CN110810272A (zh) | 光农互补型智能水禽养殖设施及养殖场 | |
CN207151344U (zh) | 一种半地下式阴阳温室大棚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