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807A - 집진기 필터 - Google Patents

집진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807A
KR20050078807A KR1020040006855A KR20040006855A KR20050078807A KR 20050078807 A KR20050078807 A KR 20050078807A KR 1020040006855 A KR1020040006855 A KR 1020040006855A KR 20040006855 A KR20040006855 A KR 20040006855A KR 20050078807 A KR20050078807 A KR 20050078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cloth
dust collec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Priority to KR102004000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807A/ko
Publication of KR2005007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8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 사이즈의 필터에 의해서도 분진의 여과면적을 넓혀서 집진기를 컴팩트하게 구성가능하고,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집진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워(30)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분진을 필터(20)를 통해 걸러내며, 이 필터(20)에 달라붙은 분진은 역방향으로 분출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주기적으로 탈락되도록 된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20)는 그 양단이 개구되도록 통형상으로 말려진 외부여과포(21)와, 이 외부여과포(21)의 하단 개구부(22)에 설치되며 그 중앙에는 개방부(28)가 형성된 하부캡(27)과, 통형상으로 말려져서 상기 하부캡(27)의 개방부(28)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외부여과포(21)의 내측에 설치된 내부여과포(24)와, 이 내부여과포(24)의 상단 개구부(25)에 설치된 상부캡(2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필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집진기 필터{filter fo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사이즈의 필터에 의해서도 분진의 여과면적을 넓혀서 집진기를 컴팩트하게 구성가능하고,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집진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진공 흡입하여 그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집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을 하측으로부터 분진수집실(11), 필터실(13), 탈진실(15), 블로워실(17)로 순차적으로 구획 형성하여, 상기 필터실(13)에는 다수개의 원통형 필터(50)를 수직 설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되고, 상기 탈진실(15)에는 주기적으로 고압의 에어를 역방향으로 분출시키는 에어분사노즐(40)이 구비되어 필터(50)에 달라붙은 분진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50)는 통상 카트리지 백필터라 칭하는 원통형 필터(50)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필터(50)는 도 2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골이 형성되도록 주름진 원통형의 여과포(51)와, 이 여과포(51)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되는 링형상의 테두리부재(53)와, 상기 여과포(51)의 하단 개구부(52)에 설치되는 하부캡(5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집진기는 도 1의 블로워(30)의 작동에 따라 분진이 혼합된 공기를 진공 흡입하면, 이 공기중에 포함된 분진 등의 이물질은 상기 필터(50)를 통과하면서 걸려져서 청정한 공기만 에어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집진기는 일정 주기마다 탈진실(15)의 에어분사노즐(40)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역분출시켜서 필터(50)의 둘레부에 달라붙은 분진을 털어내어 케이스(10) 하측의 분진수집실(11)로 낙하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집진기는 분진이 여과포(51)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집진효율은 필터(50)의 여과면적과 비례하게 되며, 이러한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터(50)의 여과면적을 넓히려면, 필터(50)의 사이즈를 크게 하거나, 필터(50)의 수를 늘릴 수밖에 없어서, 결국 집진기의 사이즈가 필연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집진기는 컴팩트하게 구성하려면 집진효율이 저하되고, 집진효율을 높이려면 집진기의 사이즈가 필연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사이즈의 필터에 의해서도 분진의 여과면적을 넓혀서 집진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거나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집진기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워(30)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분진을 필터(20)를 통해 걸러내며, 이 필터(20)에 달라붙은 분진은 역방향으로 분출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주기적으로 탈락되도록 된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20)는 그 양단이 개구되도록 통형상으로 말려진 외부여과포(21)와, 이 외부여과포(21)의 하단 개구부(22)에 설치되며 그 중앙에는 개방부(28)가 형성된 하부캡(27)과, 통형상으로 말려져서 상기 하부캡(27)의 개방부(28)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외부여과포(21)의 내측에 설치된 내부여과포(24)와, 이 내부여과포(24)의 상단 개구부(25)에 설치된 상부캡(2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여과포(21)와 내부여과포(24)는 길이방향을 따라 골이 형성되도록 주름져서 통형상으로 말려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필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필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필터가 장착된 집진기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집진기는 케이스(10) 내부의 필터실(13)에 다수개의 원통형 필터(20)가 수직 설치되고, 이 필터실(13) 상측의 탈진실(15)에는 고압의 에어를 역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분출시키는 에어분사노즐(40)이 구비되며, 이 탈진실(15) 상측에는 블로워실(17)이 구비된 것 등은 종래와 동일 유사하다. 이때, 상기 필터(20)는 통형상의 외부여과포(21) 내측에 내부여과포(24)가 장착되어 이중의 여과포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여과포(24)의 내측 공간부(24a)는 아래로 개방되며, 외부여과포(21)와 내부여과포(24) 사이의 공간부(23)는 위로 개구되도록 구성되어서, 블로워(30)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공기가 외부여과포(21)의 둘레부와 내부여과포(24)의 내측 공간부(24a)를 통해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여과포(21)는 그 양단이 개구되도록 통형상으로 말려지되, 길이방향을 따라 골이 형성되도록 주름져서 형성된다. 또한, 이 외부여과포(21)의 하단 개구부(22)에는 그 중앙에 개방부(28)가 형성된 원판형의 하부캡(27)이 씌워지고, 이 하부캡(27)에는 후술할 내부여과포(24)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캡(27)은 내외부 여과포(21,24) 사이의 공간부(23)가 하측으로 개구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내부여과포(24)는 그 양단이 개구되도록 통형상으로 말려져서 그 내부공간이 하부캡(27)의 개방부(28)를 통해 하측으로 연통되도록 하부캡(27) 상면에 수직 설치된다. 이러한 내부여과포(24) 역시 외부여과포(21)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골이 구비되도록 주름져서 형성된다.
상기 상부캡(29)은 내부여과포(24) 상단의 개구부(25)에 수평 설치되는 원판형 부재로서, 블로워(30)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공기가 내부여과포(24)를 경유하여 진공 흡입될 수 있도록 내부여과포(24)의 상단 개구부(25)를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블로워(30)의 작동에 따라 분진이 혼합된 공기를 진공 흡입하면, 이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 등의 이물질은 상기 필터(20)를 통과하면서 걸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20)는 블로워(30)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공기가 외부여과포(21)의 둘레부와 내부여과포(24)의 내측공간부(24a)를 통해 동시에 필터링되면서 통과되기 때문에 분진의 여과면적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증가된다. 즉, 상기 필터(20)는 종래와 동일한 직경의 것을 이용하더라도 분진이 걸러지는 여과면적은 외부여과포(21)와 내부여과포(24)를 합한 면적이 되므로, 집진기의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기는 일정 주기마다 에어분사노즐(40)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역분출시켜서 외부여과포(21)의 둘레면과 내부여과포(24)의 내벽면에 달라붙은 분진을 털어내어 케이스(10) 하측의 분진수집실(11)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 유사하다. 이때, 상기 에어분사노즐(40)은 필터(20)의 구조적 특성상 외부여과포(21)와 내부여과포(24) 사이의 공간부(23)로 고압의 에어를 역분출하여 내외부여과포(21)에 달라붙은 분진을 모두 탈락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20)는 종래와 동일한 직경의 것을 이용하더라도 분진이 걸러지는 여과면적은 외부여과포(21)와 내부여과포(24)를 합한 면적이 되기 때문에, 집진효율이 현저히 향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20)를 이용하는 집진기는 컴팩트하게 구성가능할 뿐만 아니라,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필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필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필터가 장착된 집진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20 : 필터
21 : 외부여과포 24 : 내부여과포
27 : 하부캡 29 : 상부캡
30 : 블로워

Claims (2)

  1. 블로워(30)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분진을 필터(20)를 통해 걸러내며, 이 필터(20)에 달라붙은 분진은 역방향으로 분출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 주기적으로 탈락되도록 된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20)는 그 양단이 개구되도록 통형상으로 말려진 외부여과포(21)와, 이 외부여과포(21)의 하단 개구부(22)에 설치되며 그 중앙에는 개방부(28)가 형성된 하부캡(27)과, 통형상으로 말려져서 상기 하부캡(27)의 개방부(28)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외부여과포(21)의 내측에 설치된 내부여과포(24)와, 이 내부여과포(24)의 상단 개구부(25)에 설치된 상부캡(2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여과포(21)와 내부여과포(24)는 길이방향을 따라 골이 형성되도록 주름져서 통형상으로 말려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필터.
KR1020040006855A 2004-02-03 2004-02-03 집진기 필터 KR20050078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855A KR20050078807A (ko) 2004-02-03 2004-02-03 집진기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855A KR20050078807A (ko) 2004-02-03 2004-02-03 집진기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807A true KR20050078807A (ko) 2005-08-08

Family

ID=3726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855A KR20050078807A (ko) 2004-02-03 2004-02-03 집진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88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334B1 (ko) * 2007-06-22 2008-01-03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집진기용 필터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334B1 (ko) * 2007-06-22 2008-01-03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집진기용 필터백
WO2009002010A1 (en) * 2007-06-22 2008-12-31 Sinsungplant Co., Ltd. Filter bag for use in dust coll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186B1 (ko) 초미세먼지 제거용 공조시스템의 여과포 세척장치 및 여과포 세척방법
JP4333812B2 (ja) 電気掃除機
RU2257832C2 (ru) Пылесборник для пылесоса
RU2234233C2 (ru) Решеточный узел циклонного пылесборника пылесоса
KR100718282B1 (ko) 핸들형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998260B2 (en) Cyclone silencer of cleaner and dust removing device having the same
JP2008229279A5 (ko)
KR102498701B1 (ko) 사이클론과 필터백을 이용한 초음파 탈진구조의 멀티집진장치
KR100462837B1 (ko) 전기청소기
RU2003115095A (ru)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ий фильтр для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имеющий такой фильтр
CN1502294A (zh) 真空吸尘器用集尘过滤器及带有该过滤器的真空吸尘器
CA2397038C (en) Grill assembly for a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101252587B1 (ko) 집진기용 필터 카트리지
KR20050078807A (ko) 집진기 필터
CN100509114C (zh) 两级空气过滤器
KR200407392Y1 (ko) 이중필터 구조 집진기
CN208320338U (zh) 一种防爆袋式除尘设备
CN1629551A (zh) 空气净化器
KR100544095B1 (ko) 집진기
KR200342520Y1 (ko) 집진기
JPH08141326A (ja) 旋回流を用いた除塵装置
CN213760903U (zh) 一种新型汽水分离器
CN211676837U (zh) 一种滤芯自清理的净化装置
CN220215309U (zh) 一种可清洁高效旋风除尘器
KR20030094873A (ko) 싸이클론 집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