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613A - 씨비티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씨비티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613A
KR20050078613A KR1020040006798A KR20040006798A KR20050078613A KR 20050078613 A KR20050078613 A KR 20050078613A KR 1020040006798 A KR1020040006798 A KR 1020040006798A KR 20040006798 A KR20040006798 A KR 20040006798A KR 20050078613 A KR20050078613 A KR 20050078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etwork protocol
cbt
nodes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644B1 (ko
Inventor
양기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64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26Details of "hello" or keep-alive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CBT(core based trees)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은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노드들이 CBT를 구성하는 단계와, 그 구성된 CBT를 통해 각 제 1 노드간에 네트워크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제 1 노드와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노드들간에 설정된 네트워크 터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에 망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씨비티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system of heterogeneous network protocol using core based tree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same}
본 발명은 CBT(core based trees)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망에 위치한 망 운용자가 IP(Internet Protocol)망으로 연결된 다른 OSI망의 시스템들을 제어 및 관리를 위하여 네트워크 터널을 이용하여 IP망으로 연결된 OSI 프로토콜 시스템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망 운용 환경에서, 높은 운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 급속한 성장과 생활화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은 현재의 가장 대표적인 통신 프로토콜로 자리 잡아 거대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송시스템 등, 국내의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에서는 여전히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제안한 OSI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을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채택하고 있다.
OSI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시스템들로 구성된 OSI 네트워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IP망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다. 즉, 도 1에서 시스템 a(1)와 시스템 b(2)가 라우팅 기능이 있는 OSI 프로토콜 스택(OSI-Intermediate System)과 IP 라우팅 기능이 없는 단순한 TCP/IP 프로토콜 스택(IP-End System)을 모두 가진다면, OSI망 A와 B는 시스템 a(1)와 시스템 b(2)가 접속된 IP망을 통하여 연결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OSI망 A에 위치한 망 관리자가 OSI망 B에 대한 망 관리가 가능함으로써, 전송 시스템 등의 망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두 프로토콜인 OSI 프로토콜과 IP 프로토콜간의 연동은 간단하지 않다. 종단간(source to destination) 체크섬(check sum)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구현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제안된 다섯 가지의 TCP/IP 와 OSI간의 연동 방안은 크게 프로토콜 기반 방안과 서비스 기반 방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토콜 기반 방안은 이중 스택,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전송 계층 게이트웨이 방식이 있으며, 서비스 기반 방안으로는 전송 서비스 브리지, 네트워크 터널 방식이 있다.
이중 스택(Dual Stack)을 이용한 방식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프로토콜 스택을 가지는 가장 단순한 방안이다. 즉, OSI 통신 담당 모듈과 IP 통신 담당 모듈이 따로 존재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OSI는 OSI 모듈로 TCP/IP는 TCP/IP 모듈로 통신을 수행하여 서로 간섭 없는 통신이 가능한 방안이다. 이중 스택은 메모리 문제와 비용 문제 등 현실적으로 모든 시스템이 이중 스택을 채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Application Layer Gateway) 노드를 이용한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가 OSI 스택의 응용 프로토콜에서 TCP/IP 스택의 응용 프로토콜로 PDU(protocol data units)를 변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앞서 언급한 이중 스택과는 달리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인접한 시스템에만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가 위치하여 서로 다른 두 프로토콜을 연결시킨다. 이 방안의 장점은 두 프로토콜 스택을 변형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풍부한 OSI의 기능을 상대적으로 단순한 기능을 가진 TCP/IP 스택에 매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체 프로토콜을 다 거쳐 수행되므로 성능 저하로 인한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성능상의 단점도 존재한다.
전송 계층 게이트웨이(Transport Layer Gateway) 노드를 이용한 방식은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와는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계층 게이트웨이에서 TP4 패킷들을 TCP 패킷들로 동적으로 변환한다. 문제점으로는 TP4 패킷들을 TCP 패킷들로 동적으로 변환하는 상당히 복잡한 소프트웨어 메카니즘이 필요하고, 주소 변환 등의 문제와 OSI의 풍부한 서비스에 대한 제공에 큰 어려움이 있다.
전송 서비스 브리지(Transport Service Bridge) 노드를 이용한 방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P4 서비스처럼 TCP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다. 이 방안으로 TCP/IP 네트워크 위에서 OSI 응용들을 구동할 수 있다. 이 방안의 장점은 OSI 하나의 응용 프로토콜만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송 서비스 브리지는 PDU들을 변환하는 것과는 달리, PDU들을 복사하는 라우터이다.
RFC 1006은 TCP 위에서 OSI 전송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종단 간(end-to-end : source to destination)의 체크섬(checksum)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TCP-to-TP4 환경의 예에서는, 전송 서비스 브리지의 출발지에서는 TCP 체크섬을 가지고, 목적지에서는 TP4 체크섬을 가지게 된다.
도 7은 종래의 네트워크 터널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의 연결도이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노드 #a1(3)과 노드 #a(1)는 CLNP를 사용하여 하나의 CLNP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고, 노드 #b(2)와 노드 #b1(4)은 CLNP를 사용하여 또 다른 CLNP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으며, 노드 #a(1)와 노드 #b(2)는 하나의 CBT를 구성하여 IP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네트워크 터널에 형성되어 있다.
CLNP (connectionless network protocol)는 원래 OSI 7계층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면서, TCP/IP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던 일련의 프로토콜 군이다.
노드 a1(3)과 노드 b1(4)은 각각 노드 a(1)와 노드 b(2)와 CLNP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CLNP - Data Link 의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고 있고, 노드 a(1)와 노드 b(2)는 서로간에 IP망을 통해 통신함과 아울러 각각 노드 a1(3)과 노드 b1(4)과 CLNP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Data Link - CLNP - IP- DL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고 있다.
네트워크 터널(Network Tunnel)을 이용한 방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서비스와 같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에, 패킷 레벨 서비스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터널 방안은 전송 계층 대신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즉, OSI CLNP 패킷을 IP 패킷으로 캡슐화한 뒤 IP망을 통과하게 된다.
네트워크 터널(Network Tunnel)은 종단 간(source to destination) 체크섬을 제공하고 높은 투명성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IP 프로토콜과의 매핑 등 실제 구현하기가 어려우며, 망 관리자가 IP망으로 연결된 OSI 프로토콜 시스템들간의 연결을 정적으로 정확히 설정해야 하므로 망 관리자의 운용 편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OSI 프로토콜 시스템과 IP 프로토콜 시스템들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망 운용자의 구성 설정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CBT(core based Trees) 개념을 이용하여 OSI 프로토콜과 IP 프로토콜간의 상호 연동시 편리하게 망운용을 수행하게 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노드들이 CBT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CBT를 통해 각 제 1 노드간에 네트워크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노드들간에 상기 설정된 네트워크 터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며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노드들간에 CBT를 구성하고 그 구성된 CBT를 통해 노드들 상호간에 네트워크 터널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노드들과,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구비하며 제 1 노드에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어 제 1 노드들간에 설정된 네트워크 터널을 이용하여 임의의 제 1 노드에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노드들을 포함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CBT를 이용하여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 노드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 노드(10)는 IP를 지원하는 IP 처리부(11)와, CLNP를 지원하는 CLNP 처리부(12)와, CBT에 의거하여 IP망을 통해 연결된 노드들이 CLNP상에서 마치 단대단으로 연결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PPP 처리부(13)와, 노드간의 CBT를 관리하는 CBT 관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P 처리부(11)는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 노드(10)가 IP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노드(10)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IP 패킷 처리를 수행한다. 즉, CLNP 처리부(12)에서 처리된 CLNP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캡슐화하여 IP망을 통해 다른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 노드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LNP 처리부(12)는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 노드(10)가 CLNP를 통하여 CLNP를 지원하는 노드들과 CLNP 네트워크를 이루므로 그 CLNP를 지원하는 노드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CLNP 패킷 처리를 수행한다. 즉, CLNP 처리부(12) IP 처리부(110)를 통해 다른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 노드로부터 수신된 IP 패킷으로부터 CLNP 데이터를 추출하여 CLNP를 지원하는 노드들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PP 처리부(13)는 CLNP 상에서 IP망으로 연결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노드(10)들이 단대단(point-to-point)으로 연결된 것처럼 동작하기 위한 가상 단대단 인터페이스(Pseudo Point to Point Interface)를 제공한다.
PPP 처리부(13)에서 제공하는 가상 단대단 인터페이스(Pseudo Point to Point Interface)는 CBT 관리부(14)에서 관리하는 CBT에 따라 그 개수가 결정된다. 여기에서는 3개의 가상 단대단 인터페이스(Pseudo Point to Point Interface)를 제공하여 CBT상에서 부모 노드와, 2개의 자식 노드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CBT 관리부(14)는 IP망을 통해 상호간에 연결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노드(10)들을 하나의 CBT로 구성하고, 그 구성된 CBT를 계속적으로 관리한다. PPP 처리부(13)에서 CBT상에서 부모노드, 자식노드로 연결된 노드들간에 가상 단대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CBT 관리부(14)에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노드(10)들을 하나의 CBT로 관리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BT 관리부(14)가 CBT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C(20), B(50), N(10), C1(30), C2(40)는 각각의 노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노드 C(20)가 코아 노드로 동작하고 있고, 노드 B(50) 와 노드 N(10)은 코아 노드인 노드 C(20)의 자식노드이다. 아울러, 노드 N(10)은 노드 C1(30)과 노드 C2(40)를 자식노드로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CBT의 각 노드들은 하나의 부모 노드와 제한적인 수의 자식 노드를 가진다.
CBT 관리부(14)는 하나의 노드가 하나의 부모노드와 두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도록 CBT를 구성하고 상호간에 헬로우 패킷을 송수신하여 각 노드간의 연결여부를 감시함으로써 계속적으로 그 CBT를 유지 및 재구성하여 관리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CBT 관리부(14)가 도 9에 도시된 CBT를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BT를 구성하기 위하여 가입하고자 하는 각 노드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변화를 통하여 CBT에 가입이 이루어진다. 상태 변화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이때, 한가지 전제할 것은 CBT에 가입하고자 하는 각 노드들은 망 운용자에 의해 설정된 코어 노드의 IP 주소나 최소한 누가 코어 노드인지를 알고 있는 노드의 IP 주소를 알고 있다는 점이다.
제 1 상태(WhoIsCore)는 누가 코어 노드인지를 검색하는 단계이다.
제 2 상태(WhoAreYourChildren)는 자신이 자식노드로 가입하길 원하는 노드에 해당 노드에 기가입된 자식 노드의 정보를 요청하는 상태이다.
제 3 상태(Ping)는 그 수신한 자식 노드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이다.
제 4 상태(RegisterChild)는 자신이 자식노드로 가입하길 요청한 노드에게 가입을 요청하는 상태이다.
제 5 상태(Established)는 자신이 자식노드로 가입하길 요청한 노드로부터 가입하는 것을 승인받아 해당 노드에 자식노드로 가입하는 상태이다.
임의의 노드가 CBT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우선 코아 노드를 부모 노드로 출발하여, 제 1 상태, 제 2 상태를 통해 부모 노드와 송수신하여 해당 노드의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 정보에 근거하여 제 3 상태에서 핑(ping)을 통하여 부모노드로부터 자신의 거리와 부모노드의 자식노드들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제 4 상태에서 해당 부모 노드에게 자식 노드로서 CBT 가입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부모 노드는 이 메시지에 포함된 가입을 원하는 노드의 위치와 현재 자식 노드의 위치를 비교하여 가입 여부를 결정한다. 부모 노드로부터 다음 단계의 부모 노드에 대한 정보를 실은 거부 응답을 수신할 경우, 다음 단계의 부모 노드를 부모 노드로 하여 제 2 상태, 제 3 상태, 제 4 상태를 반복하여 수행하여 임의의 노드로부터 가입승인을 받으면 제 5 상태를 수행하여 해당 노드에 대하여 자식노드로 CBT에 가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임의의 노드가 CBT에 가입하는 절차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CBT를 최종 형태의 CBT로 하여, 노드 C(20), 노드 B(50), 노드 N(10), 노드 C1(30)으로 구성된 CBT에 노드 C2(40)가 새롭게 가입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CBT에 가입을 원하는 노드 C2(40)는 중계 가능한 최대 자식 수가 2인 코어 노드 C(20)에게 노드 C(20)의 자식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노드 C(20)의 자식노드인 노드 B(50)와 노드 N(10)의 정보를 얻은 다음, 자신과 노드 B(50)와 노드 N(10)과의 거리를 계산한다.
노드 C2(20)는 그 계산값 중 작은 계산값을 나타내는 노드 N(10)과의 거리 계산값과 CBT 가입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코어 노드인 노드 C(20)에게 가입을 요구한다. 노드 C(20)는 노드 C2(20)로부터 수신한 CBT 가입 요구 메시지와 주기적인 헬로우(hello)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한 기존의 자식 노드간 거리 값을 비교한다. 이에 따라 코어 노드인 노드 C(20)는 노드 C2(40)에게 자신의 자식 노드인 노드 N(10)에게 가입할 것을 플러쉬(Flush) 메시지를 전송하여 요청한다.
이와 같이 코아 노드인 노드 C(20)로부터 가입거절을 받은 노드 C2(40)는 노드 C(20)의 자식노드인 노드 N(10)에게 노드 N(10)의 자식 노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노드 N(10)으로부터 자식 노드인 C2(40)의 정보를 얻어 자신과 노드 C2(40)와 노드 N(10)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 거리 계산값과 CBT 가입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노드 N(10)에게 가입을 요구한다. 노드 N(10)은 노드 C2(40) 로부터 수신한 CBT 가입 요구 메시지와 주기적인 헬로우(hello)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한 기존의 자식 노드인 C1(30)간 거리 값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노드 N(10)은 노드 C2(40)에게 자신의 자식 노드로 가입할 것을 플러쉬(Flush) 메시지를 전송하여 허락한다. 이에 따라 노드 C2(40)는 노드 N(10)에 자식노드로 가입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CBT에서 노드 C(20), 노드 N(10), 노드 C1(30), 노드 C2(40)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프로토콜 스택간의 연결을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노드는 PPP 처리부(13)에 의해 세 개의 단대단 인터페이스(Pseudo Point to Point Interface)를 제공함을 볼 수 있다. 즉, 각각의 노드는 부모 P2P, 자식1 P2P, 자식2 P2P의 단대단 인터페이스(Pseudo Point to Point Interface)을 통하여 CBT에 의하여 각 노드를 IP망으로 연결하도록 한다.
따라서, 노드 N(10)을 기준으로 하여 각 노드간의 연결을 살펴보면, 노드 N(10)의 부모 P2P는 노드 N(10)의 부모 노드인 노드 C(20)의 자식2 P2P에 연결되어 있고, 노드 N(10)의 자식1 P2P는 노드 N(10)의 자식 노드인 노드 C1(30)의 부모 P2P에 연결되어 있고, 노드 N(10)의 자식2 P2P는 노드 N(10)의 자식 노드인 노드 C2(40)의 부모 P2P에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CBT에서의 부모 노드와 자식 노드는 각각 IP 네트워크 터널을 통해 IP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위 CLNP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PDU(Protocol Data Unit)에 대하여, CBT상에서의 해당 시스템의 IP를 찾아 IP 패킷으로 캡슐화(encapsulation)한 뒤 IP 계층으로 전송한다. 하위 IP 모듈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단대단 데이터 형태로 상위 CLNP로 전달한다. IP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용이하기 위하여 UDP 계층을 이용하거나 소켓(socket)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노드 #1(3)과 노드 #2(10)는 CLNP를 사용하여 하나의 CLNP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고, 노드 #3(20)과 노드 #4(4)는 CLNP를 사용하여 또 다른 CLNP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으며, 노드 #2(10)와 노드 #3(20)은 하나의 CBT를 구성하여 IP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네트워크 터널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노드 #1(3)과 노드 #4(4)는 각각 노드 #2(10)와 노드 #3(20)과 CLNP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TP4 - CLNP - Data Link 의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고 있고, 노드 #2(10)와 노드 #3(20)은 서로간에 IP망을 통해 통신함과 아울러 각각 노드 #1(3)과 노드 #4(4)와 CLNP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Data Link - CLNP - PPP - CBT - IP- DL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노드 #2(10)와 노드 #3(20)은 하나의 CBT에 의해 상호간에 네트워크 터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드 #1(3)이 노드 #2(10) 및 노드 #3(20)을 경유하여 노드 #4(4)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노드 #1(3)이 데이터를 노드 #2(10)까지만 전송하면, 노드 #2(10)와 노드 #3(20)을 연결하는 IP망에서 어떠한 경로를 거치는 간에 상관없이 노드 #3(20)에 데이터가 전송되고 이어 노드 #4(4)에 까지 데이터가 전송된다.
즉, 이미 노드 #2(10)와 노드 #3(20)은 하나의 CBT에 의해 상호간에 네트워크 터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드 #2(10) 또는 노드 #3(20)에 CLNP를 통하여 연결된 CLNP 지원 노드들은 IP망에서의 연결과 상관없이 IP망을 통해 연결된 또 다른 CLNP망의 CLNP 지원 노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망관리자는 하나의 CLNP망에서 IP망을 통해 연결된 다른 CLNP망의 노드에 대하여 경로를 설정하거나, 기설정된 경로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해당 노드들에게 코아 노드의 변경정보만 전달해주면 해당 노드들은 각각 그 변경된 코아 노드정보에 근거하여 새로운 CBT를 구성하게 되고, 그 구성된 CBT에 의거하여 해당 노드들간에 새로운 네트워크 터널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망 운용자는 IP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OSI망을 감시 운용하기 위하여 IP망에 접속한 OSI 시스템들에게 CBT 구성을 위한 코아(Core) 노드의 정보만을 설정하면 되어, 망 운용에 있어서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CBT를 구성 운용함으로써 OSI 프로토콜의 경로 재설정이 동적으로 이루 망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확장성이 뛰어난 CBT를 이용함으로써 OSI 프로토콜 시스템들의 분포에 대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도 1은 IP망으로 연결된 OSI 망의 예시도.
도 2는 OSI망과 IP망의 프로토콜 비교도.
도 3은 종래의 이중 스택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의 연결도.
도 4는 종래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게이트웨이 노드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의 연결도.
도 5는 종래의 트랜스포트 계층 게이트웨이 노드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의 연결도.
도 6은 종래의 트랜스포트 서비스 브리지 노드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의 연결도.
도 7은 종래의 네트워크 터널을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의 연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지원 노드의 구성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BT 관리부가 CBT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CBT 관리부가 도 9에 도시된 CBT를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CBT에서 노드 C, 노드 N, 노드 C1, 노드 C2간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프로토콜 스택간의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15)

  1.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노드들이 CBT(core based tree)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된 CBT를 통해 각 제 1 노드간에 네트워크 터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노드에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제 2 노드들이 상기 제 1 노드들간에 설정된 네트워크 터널을 이용하여 임의의 제 1 노드에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다른 제 2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BT를 구성하는 단계는,
    CBT에 가입하고자 하는 임의의 제 1 노드가 코어 노드에 기가입된 자식 노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 노드로부터 임의의 자식 노드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 1 노드가 자신과 상기 수신된 각 자식 노드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최소의 결과값을 갖는 코어 노드의 자식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입 요구 메시지와 함께 상기 코어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 노드가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전송된 가입 요구 메시지 및 자식 노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자식 노드와 노드의 계산 결과값을 기가입된 자식 노드간의 계산 결과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노드를 해당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자식 노드로 가입시켜 CBT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노드 및 상기 제 1 노드가 부모노드, 자식 노드, 형제 노드와 주기적으로 헬로우 패킷을 송수신하여 해당 노드의 상태를 확인하여 그 상태값에 따라 상기 구성된 CBT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IP이고,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OSI 프로토콜인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OSI 프로토콜은, CLNP인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노드는 코어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코어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 1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노드는 두개의 자식노드를 허용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8.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노드들간에 CBT를 구성하고 그 구성된 CBT를 통해 노드들 상호간에 네트워크 터널을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노드들과,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노드에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노드들간에 설정된 네트워크 터널을 이용하여 임의의 제 1 노드에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노드들을 포함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BT는,
    CBT에 가입하고자 하는 임의의 제 1 노드가 코어 노드에 기가입된 자식 노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코어 노드로부터 임의의 자식 노드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 1 노드가 자신과 상기 수신된 각 자식 노드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최소의 결과값을 갖는 코어 노드의 자식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입 요구 메시지와 함께 상기 코어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코어 노드가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전송된 가입 요구 메시지 및 자식 노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자식 노드와 노드의 계산 결과값을 기가입된 자식 노드간의 계산 결과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노드를 해당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 또는 자식 노드로 가입시켜 구성된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BT는,
    상기 코어 노드 및 상기 제 1 노드가 부모노드, 자식 노드, 형제 노드와 주기적으로 헬로우 패킷을 송수신하여 해당 노드의 상태를 확인하여 그 상태값에 따라 재구성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IP이고,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OSI 프로토콜인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OSI 프로토콜은, CLNP인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노드는 코어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거나, 코어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 1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노드는 두개의 자식노드를 허용하는 CBT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제 1 노드들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제 2 노드들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한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구성된 CBT에 의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 프로토콜상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제 1 노드들이 단대단으로 연결된 것처럼 동작하게 하도록 가상 단대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가상 단대단 처리부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제 1 노드들을 하나의 CBT로 구성하고 노드간의 CBT를 관리하는 CBT 관리부를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KR1020040006798A 2004-02-02 2004-02-02 씨비티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KR100602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98A KR100602644B1 (ko) 2004-02-02 2004-02-02 씨비티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98A KR100602644B1 (ko) 2004-02-02 2004-02-02 씨비티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613A true KR20050078613A (ko) 2005-08-05
KR100602644B1 KR100602644B1 (ko) 2006-07-19

Family

ID=3726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798A KR100602644B1 (ko) 2004-02-02 2004-02-02 씨비티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6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644B1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7277B (zh) 提供合并多点链路的逻辑聚合点对点数据链路
KR20040097296A (ko) 멀티클러스터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클러스터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클러스터를연결하기 위한 브리지
US8917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network communications among a plurality of networks
US20030196118A1 (en) Service control network and its control method
CN110771117B (zh) 一种采用面向id的网络的会话层通信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Cisco Bridging and IBM Networking Overview
KR100602644B1 (ko) 씨비티를 이용한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스템 및 그시스템간의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