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080A -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080A
KR20050078080A KR1020040006188A KR20040006188A KR20050078080A KR 20050078080 A KR20050078080 A KR 20050078080A KR 1020040006188 A KR1020040006188 A KR 1020040006188A KR 20040006188 A KR20040006188 A KR 20040006188A KR 20050078080 A KR20050078080 A KR 2005007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hritis
pharmaceutical composition
elm
joint
b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현
Original Assignee
김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판현 filed Critical 김판현
Priority to KR102004000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080A/ko
Publication of KR2005007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0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다릅나무 및 느릅나무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식물성 기름 0.5 wt%와 구리염 1wt%를 첨가하여 조성한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Description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RTHRITIS AND METHOD FOR MAKING}
본 발명은 관절염, 특히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으로는 주로 류머티스성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으로 분류할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의 활막에 만성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관절액을 분비하고 관절에서 생기는 노폐물을 흡수하여 처분하는 얕은막으로 이루어진 활막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다. 활막의 염증이 6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은 때로는 수년 혹은 수십년을 지속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보통 손목과 손가락에 잘 생기지만 이외도 팔꿈치, 어깨, 목턱, 엉덩이, 무릎, 발목, 및 발가락 등에도 생길 수 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의 다른 특징으로는 관절염이 대칭적으로 온다는 것이다. 즉 오른쪽 손가락 관절에 관절염이 있으면 왼쪽 손가락 관절에도 관절염이 온다는 것이다. 또 다른 류마티스 관절염의 특징은 관절 외 증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발열, 피부의 발진과 결절, 체중감소, 피곤감, 폐심장 및 눈의 염증성 변화등 관절 이외의 염증성 변화등 합병증이 생기는 것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걸릴 수 있지만 주로 30대와 40대에서 잘생기며 여자의 경우 남자보다 3배정도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정확하게 얼마나 있는지는 조사되지 않았으나 대략 전체 인구의 1% 정도가 류마티스 관절염을 않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고 있다. 바이러스, 리켓티아, 혹은 박테리아 등의 세균과 콜라겐, 면역글로불린등 몸안에 존재하는 항원들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그 어느것도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킨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일단 류마티스 관절염이 시작되면 활막조직에서 혈액으로부터 여러가지 염증세포들이 모여들고 활막세포들도 번식해 나가 끊임없이 염증이 진행된다. 염증세포들로 이루어진덩어리를 판누스(pannus)라고 하는데,이 판누스가 연골도 파괴하고 관절의 변형도 가져오며 관절 주위에 있는 뼈도 약하게 만든다. 이 판누스를 관절경을 이용하여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방법도 이용되고있다. 이러한 염증의 결과 관절에는 여러가지 변화가 오게 되는 바, 관절이 붓고 아프며, 관절의 운동범위가 제한을 받게 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관절을 움직이지 않고 있으면 특히 아침에 일어날 때에 관절이 뻣뻣함을 느끼게 되는데, 이 현상을 경직현상이라고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이러한 경직현상이 30분 이상 지속되는것이 보통이다. 이경직시간이 오래 지속될수록 염증이 심하다고 할수 있다. 경직현상은 관절의 염증의 결과로 발생한 염증액이 관절에 축적이 되어 혹은 관절이 움직이지 않았을 때 관절액이 굳어지는 현상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관절염의 결과로 관절의 기능이 떨어지고 일상 생활에 필요한 활동 등의 제한이 올수 있다. 즉 침상에서 일어나고 세면을 하고 요변을 보고, 옷을 갈아있고 보행해서 다른곳으로 이동하고 하는 등의 일상생활의 수행능력에 제한을 받을 수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만성염증성 관절염으로 유병기간이 길어질수록 그리고 관절염이 심할수록 후유장애를 남긴다. 또 관절염의 염증이 심하여 움직이지 않으면 관절이 경직되기 쉽다. 심하게 움직이면 염증이 더욱 심해서 관절의 운동과 휴식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한다.
관절염치료에 있어서 약물치료는 가장 핵심적인 치료로 류마티스관절염의 발병원인이 밝혀지면서, 면역억제 및 조절 작용을 하는 약물이 치료에 도입되었다. 류마티스 관절염에 사용되는 치료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NSAID), 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 항류마티스 약물(Antirheumatic drugs or disease modifying antirheumatc drugs)등이 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의 경우 류마티스 질환에서 가장 많이 투여되며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약물이다. 아스피린이 가장 먼저 개발된 약물로써 약 100년전부터 이미 사용되어 왔고 이후 다양한 종류의 항염제가 개발되어 시판중이며 흔히 진통제라고 알려져 있다. 간혹 관절염 환자 중에는 진통제의 복용을 꺼리는 환자들이 있으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관절염의 경우에는 항염작용을 위해 반드시 투여되는 약물이기도하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상용하면, 위장과출혈 및 궤양과 같은 위장관계 부작용이 흔하여 주의가 필요하다.
아스피린의 경우에는 COX 효소에 대해서 비가역적으로 억제효과를 보이지만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함염제들의 경우에는 가역적으로 억제한다. 그리고 이 효소에 대한 억제하는 효과가 클수록 항원반응 효과가 큰것은 아니다. 프로스타클란딘은 염증작용을 매개한는 것 이외에 생리적인 현상에도 관여하며 특히 위점막에서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고 위점액의 분비를 촉진하며, 신혈관을 확장하여 체액이 감소하는 경우에 신혈류량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를 투여하면 하염증효과뿐만 아니라 위장이나 신장에서의 프로스타글란딘의 효과마저 억제되어 위장관 궤양이나 신장에 대한 독성을 보일 수 있다. 이들 항염제들을 항염증 효과가 뚜렷하여 류마티스 질환에 광범위하게 투여되나, 장기간투여하게 되는 경우 위장관의 합병증으로 위장관출혈과 같은 위험한 상황에 이르기까지도 한다. COX 효소를 두가지종류가 있는데 COX1은 위점막이나 신장에서 생리적 작용에 관여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는 효소이며, COX 효소는 염증을 매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에 관여하다.
만성관절염 환자들이 장기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위장관의 합병증 외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의 부작용으로, 신장에 대한 부작용으로 기준의 신장질환이 있는 경우나 이뇨제 복용 및 간질환이 있는 경우 신독성이 증가한다. 또 고혈압 환자에서는 혈압상승을 보이기도 한다. 또 간에 대한 독성으로는 검사상 간기능수치의 증가를 보이며, 이외에 발진.천식의 약화 가려움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장기간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약물과의 병합투여로 인한 약물 상호작용이나 부작용이 올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 또는 골관절염이라고도 하는 만성 관절염은 중년기나 장년기 성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체중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의 관절 연골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관절면의 뼈가 과잉 성장된 상태이다. 이 질환의 경우에는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가 1차적으로 일어난다. 질환이 진행되면 연골하골의 경화, 관절 주변에 골의 과잉 형성, 관절의 변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임상적으로는 반복적인 동통, 관절의 강직감, 관절의 점진적인 운동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질환은 관절의 염증성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55세 이상인 경우에는 약 80%, 75세인 경우에는 거의 전인구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4분의 1 정도에만 임상적인 증세가 나타난다.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많이 그 정도도 심하게 나타난다.
그 원인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노쇠 현상이나 과체중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관절염은 원발성 또는 특발성, 2차성 또는 속발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특별한 원인이 없다고 생각되는 경우를 원발성, 확실한 원인이 있는 경우와 생화학적 이상이 동반된 경우 등은 2차성이라고 한다. 그러나 원발성과 2차성의 구별은 쉽지 않다. 원발성과 2차성 퇴행성관절염의 임상 증세 사이에 중대한 차이점이 없고, 진행 과정중에 나타나는 임상 양상이 거의 같기 때문이다. 원발성인 경우 확실한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지만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증, 특정 관절 부위 등이 그 선행 인자로 보인다. 2차성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상, 질환 및 기형이 모두 원인이 될 수 있다.
초기에는 약한 동통을 느낄 수 있는데, 환자는 한 개 또는 두 개 관절의 강직과 쑤시는 듯한 동통을 호소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관절에 나타난다. 이러한 증세는 쉬거나 열치료로 쉽게 나아질 수 있으나 동통은 춥거나 습기가 많은 날씨에 따라 악화되기도 한다. 또한 운동시 피로를 쉽게 느끼고, 관절에 운동장애나 경도의 종창 및 관절 주위의 압통을 느끼기도 한다. 관절 연골의 소실과 변성에 의하여 관절면이 불규칙해지면 운동할 때 마찰음이 느껴질 수도 있다. 이 질환이 장기화하면 특히 체중 부하가 많은 관절에 심한 운동 장애가 나타나고 관절의 변형으로 인하여 운동할 때 마찰음이 생긴다. 또한 관절의 운동장애가 현저하게 나타나는데, 환자들 대부분은 비만형으로 피로를 쉽게 느끼고 관절이 변형되어 외모의 변화도 일어난다. 임상적인 경과는 일반적으로 서서히 진행하며 어느 정도 좋아졌다가 다시 나빠지는 간헐적인 경과를 취하기도 한다.
이 질환은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것이므로 이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 아직 없다. 따라서 치료는 환자가 이 질환의 성질을 잘 이해하도록 하여 정신적인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통을 경감시켜 주고, 관절의 기능을 유지시키며,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보존적 치료방법으로는 적당한 휴식과 운동의 배합, 약물요법, 문제가 되는 관절에 대한 국소적 치료 등이 있다. 비수술적 치료방법으로도 더 이상 증세가 나아지지 않고 관절의 변형이 계속 진행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통하여 교정하고 재활치료를 시행한다. 수술적인 치료방법에는 변연 절제술, 절골술,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 슬관절 전치환술 등이 있다. 관절성형술이나 고정술은 관절염이 심하여 일상 생활을 하는 데 지장이 많은 경우에 시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합성 화합물의 제약학적 조성물에 의한 치료 및 내과적 수술에 따른 부작용을 없에고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관절염 치료용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초 의약은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고 현재에는 합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화학의약품을 대체하는 새로운 영구대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서양 주목(western yew tree)의 수피로부터 얻어진 항암제인 taxol은 유방암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짐(Gomez Espuch etc.의 Bone Marrow Transplant, 2000)]. 일반적으로, 서양의학은 특정 합성 화합물을 투여하는 방식으로 대개 치료가 이루어지는 반면 동양의학은 여러 본초로부터 얻은 수많은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있다. 이러한 동양의학은 서양의학의 이론과는 다른 일련의 자료와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지금껏 많은 사람들, 특히 아시아인들에게 이용되고 개발되어 오고 있다.
합성 화합물에 의한 의약조성물에 비하여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의약조성물은 특히 부작용이 적거나 그 효능을 미리 예견할 수 있어서 더욱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미국특허 제 5,683,697호는 항염증, 항열, 거담 또는 진해작용을 갖는 약제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는 바, 이 조성물은 멀구슬나무(Melia), 안게피카(Angepica), 덴드로븀(Dendrobium), 봉선화(Impatiens), 감귤류(Citrus), 겨우살이(Loranthus), 맨드라미(Celosia), 민백이꽃(Cynanchum) 및 갯방풍 (Glehnia)의 시물원료를 포함하고 있고, 알파니아(Alphinia), 청미래덩굴(Smilax), 티노스포라(Tinospora), 남가새(Tribulus), 아슈아간다 (Withania) 및 생강 (Zingiber)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등은 류머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등과 관련된 질병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특허 제 5,683,698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알칼로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다릅나무를 주원료로하고 부원료의 느릅나무 및 구리염 등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릅나무의 알칼로이드 성분에 의한 효능은 사지관절염에 대한 통증을 가라 앉히고 굴신을 자유롭게 하고, 느릅나무의 성분인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및 탄닌점액질은 또한 관절염, 신경통 및 통풍등의 류머티스 증후군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리염, 적절하게는 황산구리가 활성물질을 생체조직으로 보다 신속히 흡수되도록 하는 활성제 또는 촉매제로 사용된다.
실시예
다릅나무(수륜이 10년이상인 것이 적합함)를 30 cm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벗겨낸 수피와 느릅나무 뿌리의 30 cm 미만의 길이로 절단한 껍질을 조밀되게 용기에 적치하고, 이렇게 적치된 수피 100 그램당 물 200리터의 비율로 용기에 물을 부은 후에 섭씨 100도 이상으로 약 30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수피를 제거하고 남은 잔류물을 다시 섭씨 100도 이상으로 10시간 정도 가열한 후에 식물성 기름(예를 들어, 참기름)을 잔류물과 1000:5의 비율로서 교반하면서 구리염(예를 들어, 황산구리)을 약 0.1~0.15 wt% 가한다.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제조한 고약형태의 제약학적 조성물을 환자에게 사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6년 간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 왔으나 효험이 없던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고약을 1년간 사용한 결과, 집고 다니던 지팡이가 필요없을 정도로 완치되었다.

Claims (7)

  1. 다릅나무 및 느릅나무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식물성 기름을 0.5 wt%와 구리염 0.1~0.15 wt%를 첨가하여 조성한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식물성 기름을 참기름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구리염을 황산구리로 하는 조성물.
  4.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릅나무를 30 cm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벗겨낸 수피와 느릅나무 뿌리의 30 cm 미만의 길이로 절단한 껍질을 조밀되게 용기에 적치하고, 이렇게 적치된 수피 100 그램당 물 200리터의 비율로 용기에 물을 부은 후에 섭씨 100도 이상으로 약 30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수피를 제거하고 남은 잔류물을 다시 섭씨 100도 이상으로 10시간 정도 가열한 후에 식물성 기름을 잔류물과 1000:5의 비율로서 교반하면서 구리염을 약 0.1~0.15 wt% 가하여 이루어지는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고약의 형태로 이루는 제조방법.
  6. 제 1항에 따른 조성물로서 아구창을 치료하는 방법.
  7. 제 1항에 따른 조성물로서 요통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040006188A 2004-01-30 2004-01-30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8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88A KR20050078080A (ko) 2004-01-30 2004-01-30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88A KR20050078080A (ko) 2004-01-30 2004-01-30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080A true KR20050078080A (ko) 2005-08-04

Family

ID=3726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188A KR20050078080A (ko) 2004-01-30 2004-01-30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80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3718B2 (en) 2009-01-15 2014-03-04 Kaahee Research And Development Gmbh Cactus fruit extract
KR101534557B1 (ko) * 2014-04-15 2015-07-09 한국콜마주식회사 마키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085543A (ko) 2021-12-07 2023-06-14 안창균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3718B2 (en) 2009-01-15 2014-03-04 Kaahee Research And Development Gmbh Cactus fruit extract
KR101534557B1 (ko) * 2014-04-15 2015-07-09 한국콜마주식회사 마키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085543A (ko) 2021-12-07 2023-06-14 안창균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nek et al. Osteoarthritis: current concepts in diagnosis and management
CN102908442B (zh) 治疗跌打损伤的组合物及其药酒
CN100479839C (zh) 一种治痹止痛膏
Roukis The tailor's bunionette deformity: a field guide to surgical correction
KR20050078080A (ko) 관절염 치료용의 제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375196A (zh) 一种治疗骨性关节炎的中药组合物
CN101904958B (zh) 治疗骨折的口服药组合物
CN107041945A (zh) 一种治疗脊椎病和骨质增生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5012614A (zh) 一种治疗膝关节骨性关节炎的中药外敷剂及护理方法
CN101194985B (zh) 一种内服用于治疗膝关节骨质增生的中药组合物
CN104491828A (zh) 一种温通止痛中药制剂及其膏剂制备方法
CN104083428A (zh) 治疗风湿、腰椎间盘突出的药物及其方法
KR20020066242A (ko) 관절염 치료용 생약제제
CN102670717B (zh) 缓解类风湿性关节炎龟甲中药口服液及制备方法
CN102526365B (zh) 一种治疗跌打损伤的接骨胶囊
McAlister Nonoperative Management of the Achilles Tendon Insertion
Emami-Razavi et al. Effects of galbanum oil o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CN110812467A (zh) 一种外用促进骨折康复的松桂香精油
CN117018108A (zh) 一种高效缓解疼痛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Todd Acupuncture to aid the chemotherapy patient.
CN107753749A (zh) 一种治疗风湿的中药
CN113384656A (zh) 一种治疗皮下痛风石的中药外用化石乳膏及其制备方法
CN103463596B (zh) 一种汗腺排解治疗痛风及风湿的外用药物
CN1788771A (zh) 一种治疗跌打损伤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11671838A (zh) 一种接骨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