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825A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825A
KR20050077825A KR1020040005266A KR20040005266A KR20050077825A KR 20050077825 A KR20050077825 A KR 20050077825A KR 1020040005266 A KR1020040005266 A KR 1020040005266A KR 20040005266 A KR20040005266 A KR 20040005266A KR 20050077825 A KR20050077825 A KR 2005007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mobile communication
circuit
communication termin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5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7825A/ko
Publication of KR2005007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8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9Performance testing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회로 손상을 자가 진단하고 손상된 오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 손상 진단 방법이 제공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로 내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 부분을 자가진단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부분의 오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오류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준다.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RF회로에 맞게 최적화된 상태의 값과 에어(Air)상태에서의 변수값을 비교하고 오차범위 내의 값인지를 판단하여 오류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Method for checking circuit error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 내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부분을 자가진단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부분의 오류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오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의 편리성으로 인해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 속도는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실로 이동 통신 단말기가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 중의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가 되었다.
현대인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로 내부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종래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에 오류가 발생한 것인지 단말기 서비스 회사에 의한 오류가 발생한 것인지를 정확히 알 수 없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에러에 관한 에프터 서비스를 받을 경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로 내부의 하드 웨어 및 소트트웨어에 관한 회로 손상을 자가진단하여 오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오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회로 내부에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로 내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 부분을 자가진단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부분의 오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저장된 오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RF회로에 맞게 최적화된 상태의 값과 에어(Air)상태에서의 변수값을 비교하고 오차범위 내의 값인지를 판단하여 오류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손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입력부(101)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 스틱, 터치 스크린 등의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메모리부(103)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및 상태 또는 제어부(105)의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모리부(103)는 오류가 발생되면 해당부분의 오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0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105)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RF회로에 맞게 최적화된 상태의 값과 에어(Air)상태에서의 변수값을 비교하고 오차범위 내의 값인지를 판단하며 오류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무선회로부(107)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정보를 주고받는 송수신회로이다.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05)에 전송하거나, 메모리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0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과정을 표시한다. 저장된 오류 데이터를 표시하고 에프터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발광다이오드를 깜박임으로서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준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의 전체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어부는 에어 상태의 변수값을 읽어와서 RF회로에 맞게 최적화된 상태의 값과 에어상태에서의 변수값을 비교한다(S201). 즉 미리 설정된 RF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의 데이터 값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도중 발생한 RF회로의 변수값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한 값이 오차 범위 내의 값인지를 판단하고(S203) 만약 오차 범위 내의 값이라면 외부 충격에 의한 하드웨어적인 오류 및 데이터 손상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인 오류로 판명한다(S205).
오류로 판명된 경우에는 상기 판명된 오류 데이터를 메모리부(103)에 저장하고(S207), 오류 데이터를 출력한다(S209). 상기 오류 데이터를 출력할 때 에프터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라는 메시지를 액정화면에 부가적으로 표시하거나 발광다이오드를 깜박이게 하여 사용자에게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준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하드웨어적인 오류 및 데이터 손상에 의한 소프트웨어적인 오류를 감지하고 오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오류 데이터가 발생한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지하고 오류 데이터가 발생하면 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므로 사용자에게 오류 데이터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손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의 전체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2)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로 내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 부분을 자가진단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부분의 오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저장된 오류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RF회로에 맞게 최적화된 상태의 값과 에어(Air)상태에서의 변수값을 비교하고 오차범위 내의 값인지를 판단하여 오류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
KR1020040005266A 2004-01-28 2004-01-28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 KR20050077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266A KR20050077825A (ko) 2004-01-28 2004-01-28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266A KR20050077825A (ko) 2004-01-28 2004-01-28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825A true KR20050077825A (ko) 2005-08-04

Family

ID=3726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266A KR20050077825A (ko) 2004-01-28 2004-01-28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78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3905B2 (en) 2007-12-13 2013-08-20 Daniel John Julio Random algorithmic color selection for lighting
US8519830B2 (en) 2007-12-13 2013-08-27 Daniel John Julio Lighting control archite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3905B2 (en) 2007-12-13 2013-08-20 Daniel John Julio Random algorithmic color selection for lighting
US8519830B2 (en) 2007-12-13 2013-08-27 Daniel John Julio Lighting control archite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1173B2 (ja) 携帯端末装置、タイマー制御方法およびタイマー制御プログラム
KR100506199B1 (ko)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KR100647135B1 (ko) 동작 감지를 이용하여 알람 제어를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방법
US2008011368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CN108055092B (zh) 蓝牙信号调整方法、装置、测试终端、系统及可读介质
US7248835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profile of a mobile phone
US8670367B2 (en) Mobile terminal, method and program of notifying incoming call for mobile terminal
CN108768548B (zh) 射频校准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JPWO2006040794A1 (ja) 着信通知プログラム、着信通知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101475354B1 (ko) 압력 센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압력 측정 방법
KR2005007782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회로 손상 진단 방법
JP5125822B2 (ja) 携帯情報処理装置、計測制御方法および計測制御プログラム
KR20070010400A (ko) 스케줄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403745B1 (ko)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잠금 상태시 사용자 정보 확인및 자동 호출 방법
KR2010004496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자동변환 방법 및 장치
KR10067812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설정된 임계 온도 초과시 경고메시지를 발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0006559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 예상 시간 표시 방법
KR100281080B1 (ko) 이동 단말 상태 자동 변경 시스템 및 상태 자동 변경 방법
US200400224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operation content notifying program and method for operation content notifying
KR1006060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잠금방법
JP2004104661A (ja) 携帯電話機、インバータ装置、インバータ装置のパラメータ設定値転送システム、携帯電話機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67810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상정보 서비스 방법
KR100608648B1 (ko) 휴대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의 통화소요시간 측정 및표시방법
KR20050018067A (ko) 표시장치 파손 경고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JP3872008B2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その電界強度通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