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224A -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224A
KR20050077224A KR1020040005182A KR20040005182A KR20050077224A KR 20050077224 A KR20050077224 A KR 20050077224A KR 1020040005182 A KR1020040005182 A KR 1020040005182A KR 20040005182 A KR20040005182 A KR 20040005182A KR 20050077224 A KR20050077224 A KR 20050077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s
data
mobile
slots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447B1 (ko
Inventor
이주현
장범
유한일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5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447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에 따라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의 이동 단말들로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 스케줄링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들 각각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허용되는 이동 단말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이동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이동 단말들에 슬롯을 할당하기 위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중치에 따라 이동 단말들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방법{SCHEDUL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이동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이하 QoS라 함)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UMTS(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및 CDMA2000 1xEV-DO(Evolution Data Only)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은 제3세대(3rd Generation)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은 음성 서비스나 저속의 데이터 서비스만을 지원하던 전형적인 제2세대 이동통신시스템과는 달리,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high speed packet data service) 및 동영상 통신 등을 지원한다.
상술한 이동통신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와, 기지국들(Base Transceiver System: BTS)과, 이동 단말들(Mobile Station: MS)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기지국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과 무선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한다.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제어기가 하위의 기지국을 통해 복수의 이동 단말들 중 특정 이동 단말과 통신하는 경우에, 기지국 제어기는 전송할 데이터 패킷들을 순차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상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자신의 버퍼에 버퍼링(저장)한 후,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무선자원이 가용한 시점에서 순차적으로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공유되는 하나의 무선자원, 즉 전송채널을 복수의 이동 단말들이 시간대를 나누어서 공유하는 방식을 공유 매체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 TDM)라고 한다.
이와 같이 공유매체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동작을 스케줄링이라고 하며, 상기 스케줄링은 복수의 이동 가입자들에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적절하게 할당한다.
이동 단말은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기지국 신호의 품질을 기지국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된 스케줄러는 복수의 이동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무선채널의 품질정보와 각 이동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의 존재 유무 등을 고려하여 매 스케줄링 주기마다 데이터를 전송할 이동 단말을 선택한다.
한편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는 "최선을 다하는 방식(best effort service)"에 기반하고 있다. 즉, 시스템은 가입자가 원하는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하지 못했다. 따라서, 발전된 이동통신시스템은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등급에 따른 차별화된 서비스(이하 QoS 서비스라 기재함)를 지원하여 이동 단말 가입자의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하고 있다. 특히, 상술한 공유 매체 시분할 다중화(TDM)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러한 QoS 서비스는 스케줄러가 데이터를 전송할 이동 단말을 선택할 때 각 이동 단말의 서비스 품질 등급을 고려함으로써 구현된다.
기지국은 이동 단말의 QoS 서비스를 위한 최초 호 설정 요구시에 무선자원의 가용 자원이 상기 이동 단말의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지원 가능한 경우 상기 호 설정 요구를 수락한다. 그런데 기지국에서 매 스케줄링 주기마다 데이터를 전송할 이동 단말을 선택할 때 스케줄러는 각 이동 단말로부터 수집된 무선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다. 이는 이동 단말이 무선채널을 통해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서비스 품질 등급에 따라 우선적으로 무선자원을 이용할 이동 단말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매 스케줄링 주기마다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이동 단말들의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을 고려하여 전송 타임 슬롯을 할당할 이동 단말을 선택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기지국들은 각각 버퍼(Buffer)와 스케줄러(Scheduler)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호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호가 설정된 이후, 이동 단말은 순방향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 수신 신호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세기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률 제어정보(Data Rate Control: 이하 DRC라 기재함)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 1x EV-DV의 경우는 채널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즉 상기 DRC는 무선채널의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러한 DRC는 통상 전용의 DRC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DRC 값으로 표현되며 DRC 채널의 매 타임슬롯(time slot)마다 전송된다.
하기의 <표 1>은 1xEV-DO 시스템에서 DRC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DRC 값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수신신호 세기 DRC 값
~ -12.0dB 0000
-12.0 ~ -9.0dB 0001
-9.0 ~ -7.8dB 0010
-7.8 ~ -6.0dB 0011
-6.0 ~ -4.8dB 0100
-4.8 ~ -3.0dB 0101
-3.0 ~ 0.0dB 0110
0.0 ~ 2.0dB 0111
2.0 ~ 4.0dB 1000
4.0 ~ 7.0dB 1001
7.0 ~ 10.0dB 1010
10.0dB ~ 101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레벨의 수신신호 세기는 4비트의 DRC 값에 매핑된다.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서 호를 설정하고 있는 다른 이동 단말들도 상기에 언급한 바와 동일한 절차를 통해 DRC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호를 설정한 이동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버퍼를 할당하고, 상위의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될 때마다 해당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 이동 단말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목적지에 따라 각각 구비되어 있는 버퍼들에 해당 데이터 패킷을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은 지원 가능한 이동 단말의 개수만큼의 버퍼들을 구비한다.
이후 기지국의 스케줄러는 호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수집된 DRC 값과,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과,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의 양을 고려하여 주기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스케줄링 결과 특정 이동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이 허용되면, 스케줄러는 해당 이동 단말의 버퍼에서 데이터 패킷을 독출하여 공유된 채널소자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채널소자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송채널을 통해 해당하는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QoS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가입자 등급 또는 서비스 등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가입자 등급은 프리미엄 가입자, 골드 가입자, 실버 가입자 등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서비스 등급은 시그날링, VOD, AOD, ftp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QoS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스케쥴링 시 높은 등급의 가입자, 또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서비스에게 우선적으로 서비스 함을 원칙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지국은 매 슬롯(20a, 20b, 20c, ....20l)마다 스케쥴링을 하여 가장 높은 등급의 가입자, 또는 가장 우선순위를 갖는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가입자에게 스케쥴링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3명의 가입자(A, B, C)에게 스케쥴링을 하고 있고, 상기 3명의 가입자들 모두 12슬롯 이상의 할당이 필요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가입자(11)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종래 방법에 의해 20a 슬롯에서 스케쥴링을 할 경우 프리미엄 가입자(11)를 위해 모든 채널 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그후 20b, 20c 슬롯에서도 모두 프리미엄 가입자(11)를 위해 모든 채널 자원을 할당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프리미엄 가입자(11)를 위한 패킷 전송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는 12 슬롯 이상의 할당이 필요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있으므로, 마지막 슬롯까지 채널을 점유하게 된다. 우선 순위에 따라 프리미엄 가입자가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받는 것은 당연하지만, 상기 프리미엄 가입자가 채널을 점유하고 있을 동안 골드 가입자 또는 실버 가입자 등의 그 외의 가입자들은 최악의 경우 서비스를 전혀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에 따른 QoS의 우선순위를 지키면서도 모든 가입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스케쥴링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비스에 따른 QoS의 우선순위를 지키면서도 모든 서비스를 만족시킬 수 있는 스케쥴링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다양한 품질을 가지는 트래픽들의 각 서비스 품질에 따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트래픽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 품질을 가지는 트래픽들의 서비스 시에 높은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는 트래픽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에 따라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의 이동 단말들로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 스케줄링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들 각각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허용되는 이동 단말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이동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이동 단말들에 슬롯을 할당하기 위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중치에 따라 이동 단말들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이 이동 단말로 스케줄링 시 가입자 또는 서비스에 따라 슬롯 할당을 위한 가중치를 두어서 차별적으로 슬롯을 할당하게 된다. 편의상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가입자에 따른 QoS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가입자에게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패킷 서비스도 지원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입자인 이동 단말들(MSs)(11,12)과 기지국들(BTSs)(20,30)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어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들(20,30)은 기지국 제어기(BSC)(40)와 유선으로 접속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40)는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50) 및 게이트웨이(Gateway: GW)(60)에 접속된다. 상기 이동교환국(50)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미도시)등의 무선 네트워크(Circuit Network)에 접속되고, 상기 게이트웨이(60)는 인터넷(Internet)/공중패킷교환데이터네트워크(PSD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등의 패킷 교환 네트워크(Packet Switched Network)에 접속된다. 이 때, 상기 기지국 제어기(40)의 제어 하에 상기 이동 단말(11)이 상기 이동교환국(50)으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11)에는 음성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이동 단말(11)이 상기 게이트웨이(60)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11)에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다.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구조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조를 일반화하여 표시한 것으로, 그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이동통신시스템이 어떠한 시스템(예: IS-2000, WCDMA, UMTS, CDMA2000 1xEV-DO, GPRS, 1xEV-DV 등)인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웨이(60)은 논리적인 명칭으로서, 패킷데이터서비스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게이트웨이(60)와 이동 교환국(50)은 동일한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1xEV-DO 시스템 상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하여 설명할 것이나, 1xEV-DO 시스템 이외의 다른 시스템에서의 실시 예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11,12)과 기지국(20, 30)간 호 설정(call setup) 및 데이터 전송은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등급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서비스 품질 등급은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이 처음으로 호를 설정할 때 채널 운반자(channel bearer)에 대한 대역할당 등급과 트래픽(traffic) 제어를 위한 큐잉(queuing)등급으로서 정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상기 서비스 품질 등급은 이동 단말에 대하여 요구된 최소 데이터 전송률로서 정해진다. 상기 기지국(20,30)은 QoS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 단말에 대하여 요구된 최소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한다.
우선 순위를 결정함에 있어 각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이하 QoS라 기재함)을 고려하여 빠른 전송 속도를 요구하는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서비스하게 된다.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수를 K로 가정하면 기지국에서 K개의 단말기로 전송될 트래픽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들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버퍼는 단말기의 수와 1 : 1 로 매핑된다.
도 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흐름도이다.
51단계에서 기지국은 해당 유저들에게 스케쥴링 하기 위한 DRC, QoS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52단계에서 기지국은 해당 슬롯에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유저가 두 개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52 단계의 확인 결과,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유저가 두 개 이상이 아닐 경우, 기지국은 53 단계에서 상기 하나의 유저에 해당 슬롯을 할당하여 서비스를 한다. 상기 52 단계의 확인 결과, 해당 슬롯에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유저가 두 개 이상일 경우, 기지국은 54단계에서 상기 유저들의 QoS를 확인한다. 상기 56 단계의 확인 결과, 유저들이 모두 동일한 QoS를 사용한다면 기지국은 유저들에게 순차적으로 슬롯 할당을 하면 된다. 그러나, 54 단계의 확인 결과, 동일한 QoS를 갖지 않는다면 QoS에 따라 차별적인 가중치를 갖고 슬롯의 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슬롯에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으나, 일 예로 유저의 개수가 N 개일 경우, N 개의 유저들 중 제 1 우선 순위를 가지는 유저에 N개의 슬롯을 할당하고, 제 2 우선 순위를 가지는 유저에 N-1개의 슬롯을 할당하고, 제 3 우선 순위를 가지는 유저에게 N-2 개의 슬롯을 할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저의 우선 순위와 선형 반비례하도록 슬롯의 가중치를 둘 수도 있지만, 유저의 우선 순위와 비선형적으로 반비례하도록 슬롯의 가중치를 둘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할 슬롯의 개수가 정해질 경우, 상기 슬롯을 어떤식으로 할당할 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는 하나의 유저에 상기 할당된 개수만큼 연속적으로 할당하고 다음 유저에게 할당된 개수만큼 연속적으로 할당한다.
두 번째는 각 유저에 순차적으로 번갈아서 슬롯을 할당시킨다.
그러면,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는 A, B, C 유저만을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지만, 우선순위를 3가지 등급으로 가정하였을 때 각각의 우선순위를 갖는 가입자가 복수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슬롯 할당 시점에 있어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 및 중간의 우선순위, 그리고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가입자가 복수인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510 단계에서 상기 유저의 개수가 3개이고, 모든 유저(A,B,C)가 12슬롯의 길이를 필요로 하는 패킷 전송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520 단계에서 기지국은 A 유저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B 유저가 보통의 우선 순위를, C 유저가 낮은 우선순위를 갖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기지국은 540 단계에서 우선 순위에 근거한 각 유저별 가중치에 따른 슬롯 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A 유저에게는 3 슬롯을, B 유저에게는 2슬롯을, C 유저에게는 1슬롯을 할당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550 단계에서 상기 30a슬롯부터 30c슬롯까지는 A유저에게 할당하며, 30d슬롯부터 30e슬롯까지는 B유저에게, 30f슬롯은 C유저에게 할당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동작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제1 실시 예와 다른 점은 56 단계에서 결정된 슬롯을 할당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난다. 즉, 슬롯을 교번적(alternatively)으로 할당한다는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 40a 슬롯에서는 A유저에게, 40b 슬롯에서는 B유저에게, 40c슬롯에서는 C유저에게 할당하며 40d 슬롯은 A유저에게, 40b 슬롯은 B유저에게, 40f슬롯은 다시 A유저에게 할당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A,B,C 유저가 3 : 2: 1의 비율로 슬롯 할당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를 통해서 서비스 등급이 낮은 가입자(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B가입자 및 C가입자)가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극단적인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서비스 등급이 높은 가입자(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A가입자) 는 다른 가입자 보다 높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55 단계에서 결정된 방법에 따라 기지국은 56 단계에서 해당 슬롯 길이동안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기지국은 57 단계에서 모든 유저에게 슬롯 할당이 완료되었는지를 체크하여, 모든 유저에게 슬롯 할당이 완료되었으면 기지국은 58 단계에서 스케쥴링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높은 우선순위의 유저는 다른 유저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비록 우선 순위는 낮은 유저이더라도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어, 높은 우선 순위의 유저에 모든 슬롯이 할당되는 경우, 다른 유저들의 서비스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케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스케줄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6)

  1.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에 따라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복수의 이동 단말들로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 스케줄링 주기마다 상기 복수의 이동 단말들 각각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에 따라 데이터 전송이 허용되는 이동 단말들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이동 단말들 각각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이동 단말들에 슬롯을 할당하기 위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중치에 따라 이동 단말들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값은, 상기 결정된 이동 단말들로부터 수집된 무선채널 신호품질과 상기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과 상기 이동 단말들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고려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이 허용되는 이동 단말이 둘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둘 이상이 아닐 경우, 하나의 이동 단말에 슬롯을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들의 우선 순위가 모두 동일할 경우, 슬롯을 각 이동 단말들에 순차적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과정은,
    각 이동 단말에 해당 가중치에 따른 슬롯을 연속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슬롯을 할당하는 과정은,
    이동 단말들에 해당 가중치에 따른 슬롯을 할당하되, 슬롯을 번갈아서 할당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05182A 2004-01-27 2004-01-27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방법 KR10068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182A KR100689447B1 (ko) 2004-01-27 2004-01-27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182A KR100689447B1 (ko) 2004-01-27 2004-01-27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224A true KR20050077224A (ko) 2005-08-01
KR100689447B1 KR100689447B1 (ko) 2007-03-08

Family

ID=3726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182A KR100689447B1 (ko) 2004-01-27 2004-01-27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4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28B1 (ko) * 2006-09-20 2007-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대역 적응적 변조 및 코딩모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0834668B1 (ko) * 2005-11-04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US7873050B2 (en) 2005-11-11 2011-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ink packet scheduling in base station of a portable internet system
KR102112182B1 (ko) * 2019-06-18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전술 네트워크의 타임 슬롯 할당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162B1 (ko) * 1999-11-24 2002-03-13 서평원 에이티엠 스위치의 가중 우선순위에 따른 셀 스케쥴링 방법
JP2002078012A (ja) 2000-08-30 2002-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通信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841296B1 (ko) * 2001-07-10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유 채널 스케줄러 장치 및그를 이용한 공유채널 스케줄링 방법
KR100434382B1 (ko) * 2001-12-28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링크 속도 보상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장치
KR100585713B1 (ko) * 2003-05-20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스케줄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668B1 (ko) * 2005-11-04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US7873050B2 (en) 2005-11-11 2011-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ink packet scheduling in base station of a portable internet system
KR100736728B1 (ko) * 2006-09-20 2007-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대역 적응적 변조 및 코딩모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8295234B2 (en) 2006-09-20 2012-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airly allocating resources in band AMC mode of wide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2112182B1 (ko) * 2019-06-18 2020-05-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전술 네트워크의 타임 슬롯 할당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447B1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44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0841296B1 (ko)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유 채널 스케줄러 장치 및그를 이용한 공유채널 스케줄링 방법
KR10085398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77136B1 (ko) 기지국에서 전송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US82334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er implementation for best effort (BE) prioritization and anti-starvation
KR100434382B1 (ko) 순방향 링크 속도 보상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장치
AU2004302541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ng quality of service-related inform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1605647A1 (en) Data flow control between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RE42047E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servic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WO2005039209A1 (ja) シグナリング方法、システム、基地局並びに移動局
US20090207787A1 (en) Radio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020027214A (ko) 무선 자원할당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TW200840376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pecific information
KR10042951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에 따른 서비스 전환 방법
EP1133109A1 (en)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use of timeslots
ES2289150T3 (es) Planificacion ponderada y jerarquica de colas de datos por paquetes.
US6628611B1 (en) 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stant-rate and variable-rate modes of transmission
KR10068944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스케쥴링 방법
KR20030049531A (ko) 이동통신기지국에서 서비스품질에 따른 호 수락 제어 방법및 장치
KR100841328B1 (ko)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유 채널 스케줄러 장치 및그를 이용한 공유채널 스케줄링 방법
KR100841325B1 (ko)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유 채널 스케줄러 장치 및그를 이용한 공유채널 스케줄링 방법
KR100841326B1 (ko)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유 채널 스케줄러 장치 및그를 이용한 공유채널 스케줄링 방법
KR100594518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9994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패킷데이터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2006011195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