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963A -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963A
KR20050076963A KR1020040004818A KR20040004818A KR20050076963A KR 20050076963 A KR20050076963 A KR 20050076963A KR 1020040004818 A KR1020040004818 A KR 1020040004818A KR 20040004818 A KR20040004818 A KR 20040004818A KR 20050076963 A KR20050076963 A KR 20050076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np
action
event
control poin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구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6963A/ko
Publication of KR2005007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6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separ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chambers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duit; Loop-type heat pipes; with multiple or common evaporating or condens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F28D15/04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construction of the capillar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5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copper or copper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7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nickel or nicke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9Coatings, claddings or bonding layer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순서에 따라서 디바이스 발견 또는 특정 이벤트 수신시에 자동으로 UPnP 디바이스에 대한 일련을 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콘트롤 포인트(CP)를 구비하여 UPnP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내에서 UPnP 디바이스가 발견되면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로 확인되면 그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이벤트 서비스에 가입하고 그 다비이스 발견 시에 호출할 액션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로 확인된 경우 호출할 액션이 미리 정의되어 있지 않을 때 미리 정의된 액션 호출을 위한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CONTROLLING METHOD FOR DEVICE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본 발명은 홈 네트워킹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작고 다양한 디바이스(device)들에도 강력한 컴퓨팅 파워가 적용되면서 저렴하고 보편적인 네트워킹 매체 기술들이 출현하거나 상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티브이, 세탁기, 피씨(PC), 오디오 등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킹으로 연결되고 컴퓨팅 파워가 부여됨으로써 그 사용법과 설정 방법이 손쉽게 되어 사람들이 더 높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UPnPTM(이하, UPnP라 약칭함) 기능이 제시되었다.
현재 운영체제에 PnP(Plug and Play) 기능이 추가된 이후로 피씨 주변장치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것이 훨씬 쉬워졌지만, UPnP는 이러한 편리한 기능을 TCP/IP, HTTP 및 XML과 같은 인터넷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전체 네트워크로까지 확장시켜 여러 가전 제품, 네트워크 프린터, 인터넷 게이트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네트워킹 특히, 홈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UPnP 네트워크는 다수의 UPnP 디바이스(device), 서비스(service) 및 콘트롤 포인트(CP ; Control Point)를 기본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서비스(service)라 함은 네트워크 상의 가장 작은 소규모 제어단위를 의미하는데, 상태 변수를 통하여 서비스 자체를 모델링하게 된다.
상기의 CP(Control Point)라 함은 다른 디바이스들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갖춘 컨트롤러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트롤 포인트(CP)가 제공해주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종 디바이스들을 찾아내고(discovery, description), 제어(control)하고 이벤트(eventing)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UPnP의 발견(discovery) 단계는 IP multicast를 이용한다. 즉, UPnP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면 새로운 IP 주소로 SSDP의 출현(Alive)메시지를 네트워크에 멀티캐스트(multicast)한다.
또한, 콘트롤 포인트(CP)는 원하는 경우에 SSDP M-Search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고 디바이스의 응답을 기다릴 수 있다.
따라서, 콘트롤 포인트(CP)는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하고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발견된 디바이스와 수신한 이벤트 메시지를 UI를 통해 보여주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서 그 입력에 해당하는 해당 UPnP 액션을 UPnP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UPnP 컨트롤 포인트(CP)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UPnP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함으로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어떠한 제어도 수행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디바이스를 발견할 때마다 또는 특정 이벤트가 수신될 때마다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UPnP 컨트롤포인트(CP)가 홈 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창안한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순서에 따라서 디바이스 발견 또는 특정 이벤트 수신시에 자동으로 UPnP 디바이스에 대한 일련을 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PnP 디바이스가 UI를 가지고 있는 경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대화형으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트롤 포인트(CP)를 구비하여 UPnP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내에서 UPnP 디바이스가 발견되면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로 확인되면 그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이벤트 서비스에 가입하고 그 다비이스 발견 시에 호출할 액션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로 확인된 경우 호출할 액션이 미리 정의되어 있지 않을 때 미리 정의된 액션 호출을 위한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트롤 포인트(CP)를 구비하여 UPnP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에서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호출하여 지원하는 리모팅 프로토콜과 디바이스 사양을 알아내고 필요한 경우 UI 종류를 알아내는 단계와, 상기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면 서버 디바이스를 호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UI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서버 디바이스간의 세션 연결이 가능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호출하여 상호간을 리모팅 프로토콜 기반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서버 디바이스간의 세션 연결이 가능한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새로 발견된 서버 디바이스가 제공할 수 있는 UI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제공된 UI 리스트 중 원하는 UI의 응답에 의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서버 디바이스간을 리모팅 프로토콜 기반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I 리스트 제공 과정은 동기(Sync) 또는 비동기(Async) 방식으로 구분되며 동기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동의에 의한 응답이 요구되는 과정이고, 비동기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동의에 상관없이 액션 호출의 성공을 알리고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이벤트 메시지로 알리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기 방식의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응답이 없는 경우 에러(즉, 거절)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UPnP 컨트롤포인트(CP)가 홈 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제어하는 과정은 특정 디바이스 발견 시와 이벤트 메시지 수신시에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일련의 제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과정에 해당하는 UPnP 액션을 적절한 시간에 호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포인트(CP)가 UPnP 액션을 호출함에 있어서 UPnP 디바이스 상의 UI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액션을 호출할 것인지를 정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UPnP 컨트롤포인트(CP)가 홈 네트워크 내에서 작동되는 것만으로도 디바이스에 대한 일련의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문열림 이벤트 발생 시에 자동으로 문을 닫거나 원격 입출력 서버(RemoteIO Server) 발견 시에 원격 입출력 클라이언트(RemoteIO Client)에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물어서 자동으로 세션을 열어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자동 제어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PnP 컨트롤포인트(CP)는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하면 그 발견된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발견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인지를 확인한다(S101,S102)
이때, 현재 발견된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로 확인되면 컨트롤 포인트(CP)는 그 발견된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UPnP 서비스에 가입하고 해당 디바이스 발견 시에 호출할 액션들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102~S104)
이에 따라, 디바이스 발견 시에 호출할 액션들이 있으면 컨트롤포인트(CP)는 해당 액션을 호출한다.(S105)
상기에서 이벤팅 가입과 디바이스 발견시의 액션 호출 순서는 서로 상관이 없으며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단계(S104)에서 호출할 액션이 없거나 단계(S105)에서 액션을 호출한 후 컨트롤 포인트(CP)는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가 관심이 있는 변수(variable)에 대한 이벤트인지 확인한다.(S106)
만일, 관심있는 변수가 이벤트되지 않으면 컨트롤포인트(CP)는 해당 변수를 액션 호출을 통해 얻어온다.(S107)
이에 따라, 이벤트된 변수 또는 액션 호출로 얻은 변수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S108)
만일, 해당 변수가 변경된 경우 미리 정의된 액션을 호출해야 하는지 확인하고 액션 호출이 필요하다면 해당 액션을 호출한다.(S108~S110)
한편, 컨트롤포인트(CP)가 디바이스 발견이나 이벤트 메시지 수신 등의 사건을 통해서 미리 정해진 액션들을 아래와 같은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1) 관심있는 디바이스의 발견 여부,
(2) 관심있는 이벤트 메시지의 수신 여부,
(3) 관심있는 이벤트 메시지의 해당 변수의 값,
(4) 이벤트 메세지의 수신과 다음 이벤트 메시지 수신까지 걸리는 시간,
(5)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 액션 호출의 결과값,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트롤포인트(CP)가 디바이스의 발견이나 특정 이벤트 발생, 특정 이벤트 값의 변경 여부에 따라서 미리 정의된 액션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개입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집안의 디바이스들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정 자동화(Home automation) 시스템에서 온도계와 온풍기가 UPnP 디바이스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 집안의 온도가 특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그 이벤트를 컨트롤포인트(CP)가 받아서 온풍기를 자동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조건 2,3 충족).
또한, 집안의 현관문이 UPnP 디바이스라면 문이 열리는 이벤트를 받고 특정 시간이 지나도록 문이 닫히는 이벤트가 도착하지 않는다면 컨트롤포인트(CP)가 알아서 문을 닫는 액션을 호출할 수 있다(조건 2,4 충족).
또 집안의 조명기구가 UPnP 디바이스인 경우 메인 등이 소등되는 이벤트가 발생되고 이벤트 발생 시간이 저녁시간대라면 컨트롤포인트(CP)가 자동으로 취침 등을 켜주는 액션을 호출할 수 있다(조건 2,3 충족).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컨트롤포인트(CP)가 여러 개 구비된 분산 컨트롤 환경에서도 스마트 홈(Smart Home)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emoteIO는 도2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RemoteIOClinet(이하, "RIOC"라 약칭함) 디바이스(220)와, RemoteIOServer(이하, "RIOS"라 약칭함) 디바이스(230)와, 상기 디바이스(220)(230)를 제어하는 컨트롤포인트(CP)(210)를 포함한다.
상기 RIOC 디바이스(220)는 리모팅 프로토콜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하는 디바이스이다. 즉,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RIOC 디바이스(220)는 RIOC 서비스(221)를 가지고 있다.
상기 RIOS 디바이스(23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입력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연산을 수행하여 클라이언트에게 결과를 보내준다. 이 RemoteIOServer 디바이스(230)는 RIOS 서비스(231)를 가지고 있다.
상기 RemoteIO 컨트롤포인트(210)는 상기 RIOC 디바이스(220)와 RIOS 디바이스(230)에 대해 UPnP 액션을 통해 제어한다.
상기 RIOC 디바이스(220)와 RIOS 디바이스(230) 사이에는 리모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세션이 out-of-band로 형성되며, RemoteIO 컨트롤포인트(210)의 UPnP 액션에 의해 세션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이러한 RemoteIO의 과정은 도3의 신호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콘트롤포인트(210)는 RIOC 서비스의 RIOC::GetDeviceProfile() 액션을 호출해서 디바이스(220)가 지원하는 리모팅 프로토콜(remoting protocol)과 디바이스의 사양을 알아내고 필요한 경우에 RIOC::GetUIListing() 액션을 호출해서 클라이언트가 선호하는 UI의 종류를 알아낸다.
그리고, 콘트롤포인트(210)는 RIOS 서비스의 RIOS::GetUserInterfaces() 액션을 호출해서 서버(230)가 제공할 수 있는 UI의 리스트를 받아온다.
이에 따라, 콘트롤포인트(210)는 상기에서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클라이언트(220)와 서버(230) 간에 세션을 열 수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세션을 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RIOC::Connect() 액션을 호출하여 리모팅 프로토콜 세션을 열어준다.
이후, 더 이상 클라이언트에서 프로그램을 수행시키지 않아도 되는 경우 콘트롤포인트(210)는 RIOC::Disconnect() 액션을 호출하여 RIOC 디바이스(220)와 RIOS 디바이스(230) 간의 세션을 닫는다.
여기서, RIOC::Connect() 액션의 호출은 콘트롤포인트(210)가 제공하는 UI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수행하거나 자동으로 이전의 연결을 닫거나 펜딩(pending)시키고 열어줄 수도 있다.
즉, RemoteIO를 구현하는 경우, RIOS 디바이스(230) 발견 시에 RIOC 디바이스(220)를 통해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물어서 자동으로 서버와의 세션을 열어주는 것이 가능하다(조건 1,5 충족).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emoteIO는 리모팅 프로토콜을 이용해 RIOS 디바이스(23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UI를 RIOC 디바이스(220)에 보여주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서 처리해 주기 위한 컨트롤을 제공한다.
따라서, RIOC 디바이스(220)는 UI를 보여줄 수 있고 입력을 받을 수 있는 간단한 장치가 될 수 있다.
RIOC 디바이스(220)가 UI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콘트롤포인트(210)가 RIOC 디바이스(220)와 새로 발견된 RIOS 디바이스(230) 사이에 새로운 세션을 열려고 할 때 상기 RIOC 디바이스(220)를 이용하고있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RIOC 디바이스(220)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기 위해서 "GetUserResponseSync()", "GetUserResponseAsync()"라는 액션과 "UserResponse"라는 이벤트 변수를 정의한다.
상기 "GetUserResponseSync()", "GetUserResponseAsync()" 액션은 콘트롤포인트(210)가 디바이스에 출력할 메시지를 입력 변수로 담아서 보내면 디바이스는 해당 입력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값을 돌려 보내주는 액션이다.
따라서, 콘트롤포인트(210)가 새로 발견된 서버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리스트를 디바이스에게 보내주면 해당 디바이스는 그 인터페이스 리스트 중 원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거절 메시지를 상기 콘트롤포인트(210)로 돌려보낼 수 있다.
그리고 RIOC 디바이스(220)는 UI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선택은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하게된다.
상기 "GetUserResposeSync()" 액션과 "GetUserResponseAsync()" 액션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GetUserResponseSync()" 액션은 도4의 신호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과값을 SOAP 액션의 출력 변수로 담아서 보내준다.
그런데, UPnP 스펙에서 SOAP 액션에 대한 응답은 30초 이내에 이루어지게 되어있다.
따라서, 30초 내에 결과를 선택하지 못하면 SOAP 액션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에러 메시지를 보내주게 된다. 이러한 경우 콘트롤포인트(210)는 이를 거절 메시지로 이해한다.
또한, 상기 GetUserResponseAsync() 액션은 도5의 신호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출력 변수로 어떠한 값도 보내주지 않고 바로 SOAP 액션의 성공을 알려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답하는 정보는 "UserResponse" 이벤트 메시지를 통해서 콘트롤포인트(21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콘트롤포인트(210)는 받은 이벤트 메시지를 토대로 연결 여부와 연결 시 어떤 인터페이스를 RIOC 디바이스(220)에 연결해 줄지를 결정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트롤포인트(CP)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을 통해서 또는 UPnP 디바이스가 UI를 제공하는 경우 디바이스의 UI를 통해서 콘트롤포인트(CP)에게 설정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UPnP 디바이스들에 대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매 제어 상황마다 사용자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자동 제어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emoteIO 시스템의 구성도.
도3은 도2에서 RemoteIO를 위한 신호 흐름도.
도4는 도3에서 동기 방식의 응답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도5는 도3에서 비동기 방식의 응답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0 : 콘트롤포인트(CP) 220 : RIOC 디바이스
230 : RIOS 디바이스

Claims (8)

  1. 콘트롤 포인트(CP)를 구비하여 UPnP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에서 UPnP 디바이스가 발견되면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로 확인되면 그 디바이스 발견 시에 호출할 액션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으로 제어할 디바이스로 확인되고 미리 정의된 액션이 없는 경우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가 미리 정의된 액션 호출을 위한 메시지라면 그 액션을 호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자동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면 해당 디바이스의 이벤트에 가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자동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이벤트에 의해 액션 호출 단계는
    관심있는 변수가 이벤트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관심없는 변수의 이벤트로 확인되면 관심있는 변수를 얻는 과정과,
    상기 관심있는 변수의 값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변수의 값이 변경된 경우 호출할 액션이 미리 정의되어 있다면 해당 액션을 호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자동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이전 이벤트 메시지 수신에서 현재 메시지 수신까지의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미리 정의된 액션을 호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자동 제어 방법.
  5. 콘트롤 포인트(CP)를 구비하여 UPnP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에서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발견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지원하는 리모팅 프로토콜과 디바이스 사양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발견된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제공할 수 있는 UI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UI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서버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디바이스 연결 단계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서버 디바이스간의 세션 연결이 가능한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새로 발견된 서버 디바이스가 제공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UI의 응답에 의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서버 디바이스간을 리모팅 프로토콜 기반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UI 제공 과정은
    사용자의 응답이 요구되는 동기(Sync) 방식과
    사용자의 응답을 이벤트 메시지로 획득하는 비동기(Async) 방식으로 구분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동기 방식의 UI 제공 과정은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연결 거절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040004818A 2004-01-26 2004-01-26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20050076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18A KR20050076963A (ko) 2004-01-26 2004-01-26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18A KR20050076963A (ko) 2004-01-26 2004-01-26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963A true KR20050076963A (ko) 2005-07-29

Family

ID=3726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818A KR20050076963A (ko) 2004-01-26 2004-01-26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69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755B1 (ko) * 2005-11-09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KR20120097282A (ko) * 2011-02-24 2012-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755B1 (ko) * 2005-11-09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는방법 및 장치
KR20120097282A (ko) * 2011-02-24 2012-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3991B2 (en) Distributed control scheme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devices through a data network
US10386807B2 (en) Device-type handlers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devices through a data network
KR100736090B1 (ko) 홈 네트워크에서 제 3의 장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장치
US20150006296A1 (en) NOTIFICATION DISMISSAL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EP2148469B1 (en) A method, system and home network access device for accessing home network
US82716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transport mechanism for communication in a network
US8176343B2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ower management of devices on a network
KR100498284B1 (ko) UPnP 기반 네트워크의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EP273129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user interface
KR20050079480A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KR20050076963A (ko) 유피엔피(UPnP)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0983137B1 (ko) 오에스지아이 기반 주거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WO2024016539A1 (zh) 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5903596A (zh) 控制方法、智能控制器、智能设备及控制系统
CN102025576A (zh) 一种家庭自动化系统及其控制方法
CN103414774A (zh) 事件消息接收方法、发送方法、受控设备及控制点
KR102236593B1 (ko)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070220129A1 (en) Method of granting control of device and device using the method
KR100637559B1 (ko) 홈 모니터링 알림 서비스방법
KR100486502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기 상태 표시 방법
CN113126510A (zh) 家电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041292B1 (ko) 홈 네트워크 서빙 노드에서의 원격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방법
EP21608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s of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based on a connection status of a control point
KR20060078430A (ko) UPnP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EP2168305A1 (en) Method of receiving/transmitting event message, controlled device, and control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