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917A -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917A
KR20050076917A KR1020040004727A KR20040004727A KR20050076917A KR 20050076917 A KR20050076917 A KR 20050076917A KR 1020040004727 A KR1020040004727 A KR 1020040004727A KR 20040004727 A KR20040004727 A KR 20040004727A KR 20050076917 A KR20050076917 A KR 20050076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cast data
devices
identifier
error message
de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710B1 (ko
Inventor
박종헌
최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7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디바이스들과 무선자원 할당 요청에 따라 디바이스들에 대해 시간단위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적어도 2이상의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고,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디바이스의 개수와 설정치를 비교하고, 디바이스의 개수가 설정치보다 작을 때까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멀티캐스트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오류 메시지 전송 구간에서 상기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WPAN}
본 발명은 피코넷 코디네이터와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멀티데이터를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이하 "WPAN"이라 한다.)는 10m 이내의 짧은 거리에 존재하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이들 기기간의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상기 WPAN는 랩탑 PC, PDA 등 개인 휴대형 디지털 전자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이들 기기들간의 네트워크 요구에 의해 등장하였다. 상기 WPAN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짧은 도달거리
- 작은 크기
- 저전력
- 사용 편의성(즉 사용자가 기기를 가지고 WPAN 영역에 접근하면 자동적으로 동기화 됨)
- 통화 간섭이 적음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상기 WPAN의 구조(피코넷)에 대해 알아본다. 상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WPAN은 하나의 피코넷 코디네이터(piconet coordinator: 이하 "PNC" 하고 한다.)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device: 이하 "DEV"라고 한다.)들로 구성된다. 상기 PNC(100)는 상기 WPAN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 개의 DEV들의 상호간의 협약(association)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DEV들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PNC(100)와 DEV들(102 내지 108)로 구성된 WPAN의 영역을 피코넷(piconet)이라고 한다. 상기 피코넷은 반경 10m 이내에 있는 정지하거나 이동중인 DEV들의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피코넷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DEV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DEV는 상기 PNC로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한다. 상기 PNC(100)는 상기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한 각 DEV들에 대해 필요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상기 PNC(100)는 무선자원을 할당함에 있어 하나의 시점에 하나의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상기 PNC가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상기 도 2는 상기 WPAN을 구성하고 있는 PNC와 DEV에서 사용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슈퍼프레임은 비콘(Beacon) 프레임, CAP(Contention Access Period) 프레임과 복수개의 GTS(Guaranteed Time Slot)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상기 WPAN을 구성하고 있는 PNC와 DEV들은 상호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PNC는 상기 비콘 프레임의 일부 구간에 동기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DEV들로 전송한다. 상기 CAP 프레임은 상기 DEV가 다른 DEV(PNC 포함)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PNC로 Slotted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방식을 통해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한다. 상기 DEV는 상기 CAP 프레임에 자신의 식별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DEV의 식별자, 데이터 통신의 종류, 데이터 량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PNC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 개의 DEV들로부터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 받은 상기 PNC는 각 DEV별로 선택적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상기 WPAN은 하나의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피코넷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DEV들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므로 특정 시간에 할당되는 무선자원은 하나이어야 한다. 즉, 상기 PNC로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한 DEV의 개수가 3이라면, 상기 PNC는 제1DEV를 위해서는 제 1시간 구간을 할당하고, 제 2DEV를 위해서는 제 2시간구간을 할당한다. 또한 상기 PNC는 제 3DEV를 위해서는 제 3시간 구간을 할당한다. 상기 PNC는 상기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한 DEV에 대해 할당한 무선자원에 대한 정보를 비콘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상기 도 2는 일정시간단위로 분할된 8개의 GTS 프레임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상기 DEV들은 상기 PNC로부터 할당받은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PNC와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PNC가 적어도 2개의 DEV에 대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각 DEV들로 할당된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피코넷을 구성하고 각 DEV에 대해 각각 전송한다면 무선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PNC가 상기 피코넷을 구성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DEV들에게 전송할 데이터에 대해 브로드캐스트하는 방안이 논의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생성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추가적인 과정없이 적어도 2개의 디바이스로 이루어진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디바이스에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오류없이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상기 디바이스에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인지하고 재전송함으로서 데이터 전송이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원 발명은 피코넷을 구성하고 있는 적어도 두 개의 DEV에 대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PNC가 상기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방안을 제안함으로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DEV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디바이스들과 무선자원 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해 시간단위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이상의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디바이스의 개수와 설정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개수가 설정치보다 작을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디바이스들과 무선자원 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해 시간단위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수신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오류 메시지 전송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오류가 있음을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디바이스들과 무선자원 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해 시간단위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이상의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디바이스의 개수와 설정치를 비교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개수가 설정치보다 작을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멀티캐스트하는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 및,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오류 메시지 전송 구간에서 상기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코넷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도 3은 상기 도 1과 달리 상기 피코넷을 구성하고 있는 DEV들을 복수 개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있다. 상기 그룹에는 적어도 2개의 DEV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DEV들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피코넷을 구성하고 DEV들은 조명기능을 수행하는 DEV 그룹, 음향 기능을 수행하는 DEV 그룹,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DEV들을 복수 개의 그룹으로 구분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룹 식별자 포함되는 DEV 기능
DEV 그룹A(310) DEV1 내지 DEV3 조명 기능
DEV 그룹B(312) DEV4 내지 DEV8 음향 기능
DEV 그룹C(314) DEV9 내지 DEV11 통신 기능
상기 〈표 1〉에 의하면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DEV 그룹A(310)에는 DEV1 내지 DEV3이 포함되며, 음향 기능을 수행하는 DEV 그룹B(312)에는 DEV4 내지 DEV8이 포함된다. 또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DEV 그룹C(314)에는 DEV9 내지 DEV11이 포함된다. 상기 피코넷을 구성하고 있는 DEV들은 상기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DEV들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표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DEV들은 동일한 그룹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 상기 그룹 식별자는 제조단계에서 각 DEV들에게 부여되거나, 이후 상기 DEV들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NC(300)는 각 그룹에 대한 그룹 식별자를 인지하고 있다.
상기 PNC는 특정 DEV 그룹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면 비콘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비콘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PNC가 전송한 데이터는 무선 채널상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상기 해당 DEV 그룹을 구성하고 있는 DEV가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DEV는 CAP 프레임 구간 또는 할당받은 GTS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오류 메시지(NACK)를 전송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DEV들은 상기 CAP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PNC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한다.
상기 PNC는 상기 DEV에 대해 오류 메시지를 CAP 프레임 구간만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GTS 프레임 구간만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AP 프레임 구간과 GTS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CAP 프레임 구간은 상기 피코넷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DEV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므로 상기 CAP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GTS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GTS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무선자원을 다른 DEV들에 대해 할당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PNC는 무선자원을 고려하여 상기 오류 메시지를 CAP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전송할 지, GTS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계층에서 생성되는 비콘 프레임 구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비콘 프레임 구간은 헤더부와 페이로드부로 구성된다. 상기 헤더부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필요한 제어정보들이 포함된다. 상기 헤더부는 헤더 필드부와 프레임 식별자부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식별자부는 전송하고자 하는 프레임이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관한 프레임이라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페이로드부는 특정 DEV 그룹으로 멀티캐스트할 데이터가 발생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페이로드부는 상기 페이로드부는 DEV 그룹 식별자, GTS 할당부, 데이터부로 구분된다. 상기 DEV 그룹 식별자는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DEV 그룹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상기 DEV는 상기 DEV 그룹 식별자를 상기 메시지가 자신에게 전송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GTS 할당부는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할 구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DEV는 상기 GTS할당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GTS 프레임 구간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한 DEV는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해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할당된 GTS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GTS 프레임 구간은 복수개의 GTS 프레임 구간들 중 하나의 구간을 사용한다. 상기 데이터부는 상기 PNC가 특정 DEV 그룹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NC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PNC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본다.
S500단계에서 상기 PNC는 특정 DEV그룹으로 전송할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특정 DEV 그룹으로 전송할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발생되었으면 S502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 결과 특정 DEV 그룹으로 전송할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S500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500단계에서 발생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하나의 DEV 그룹뿐만 아니라 적어도 2개의 DEV 그룹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상기 PNC는 적어도 2개의 DEV 그룹을 위한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
S502단계에서 상기 PNC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비콘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기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적어도 두 개의 DEV 그룹으로 전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DEV 그룹 식별자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해당 DEV 그룹의 식별자를 모두 포함한다.
S504단계에서 상기 PNC는 생성한 비콘 프레임을 피코넷을 구성하고 있는 DEV들로 멀티캐스트한다. S506단계에서 상기 PNC는 오류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오류 메시지는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하는 DEV가 에러가 발생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의미한다. 상기 PNC는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CAP 프레임 구간을 탐색한다. 또는 GTS 프레임 구간으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한 경우에는 상기 GTS 프레임 구간을 탐색한다. 오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PNC는 S608단계로 이동하고, 오류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S512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해당 DEV에서 모두 수신한 경우 상기 PNC는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게 된다.
S508단계에서 상기 PNC는 수신된 오류 메시지의 개수와 설정치를 비교한다. 상기 설정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으로 "1"로 설정한다. 상기 오류 메시지의 개수는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DEV의 개수와 동일하다. 설정치로 "1"로 설정하는 이유는 적어도 2개의 DEV가 하나의 GTS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오류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상호간의 간섭으로 인해 오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오류 메시지에는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DEV의 식별자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오류 메시지들 상호간의 간섭으로 인해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DEV의 식별자 역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치를 "1"로 설정함으로서 오류 메시지가 간섭으로 인해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NC는 에러가 발생한 오류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2개의 DEV에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였다고 판단한다.
상기 오류 메시지의 개수가 설정치보다 큰 경우에는 S504단계로 이동하여 이전 단계에서 전송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재 전송한다. 상기 오류 메시지의 개수가 설정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S510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510단계에서 상기 PNC는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DEV로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유니캐스트(unicast)하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유니캐스트하는 경우에는 무선 채널상에서 오류 발생 확률이 낮으므로 해당 DEV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S512단계에서 상기 PNC는 전송할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남아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전송할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남아있으면 S502단계로 이동하여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비콘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전송할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남아있지 않으면 S514단계로 이동하여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EV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EV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본다.
S600단계에서 상기 DEV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다. S602단계에서 상기 DEV는 상기 비콘 프레임이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면 S604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 결과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종료한다.
S706단계에서 상기 비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DEV 그룹 식별자와 저장하고 있는 그룹 식별자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DEV 그룹 식별자와 저장하고 있는 그룹 식별자가 동일하면 S606단계 이동하고, 상기 DEV 그룹 식별자와 저장하고 있는 그룹 식별자가 동일하지 않으면 S608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S608단계에서 상기 DEV는 수신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폐기한다.
S606단계에서 상기 DEV는 상기 수신한 비콘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오류가 발생하였으면 S612단계로 이동하고, 상기 판단 결과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S610단계로 이동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지시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S612단계에서 상기 DEV는 오류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오류 메시지는 상기 DEV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상기 DEV는 그룹 식별자와 DEV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 S614단계에서 상기 DEV는 상기 S612단계에서 생성한 오류 메시지를 GTS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몰론 상기 오류 메시지를 CAP 프레임 구간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PNC와 DEV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상기 도 7을 이용하여 상기 PNC와 DEV 간에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알아본다. PNC의 상위계층은 특정 DEV 그룹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PNC의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NWK)으로 전달한다. 상기 PNC의 NWK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명령(multicast_command)을 생성한다. 상기 멀티캐스트 명령에는 DEV그룹 식별자와 GTS 할당에 관한 정보,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PNC의 NWK는 생성한 멀티캐스트 명령에 헤더를 부가하여 맥(Medium Access Control: MAC)계층으로 전달하고, 상기 맥 계층은 물리(Physical: PHY)계층으로 전달한다. 상기 PNC의 PHY 계층은 상기 PNC의 MAC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데이터를 프레임의 페이로드부에 포함시킨 후 DEV의 PHY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상기 DEV의 PHY 계층은 비콘 프레임의 페이로드부를 DEV의 MAC 계층으로 전달하고, 상기 DEV의 MAC 계층은 NEW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기 DEV의 NEW계층은 전달받은 페이로드부에 포함되어 있는 DEV 그룹 식별자와 자신의 그룹 식별자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페이로드부에 포함되어 있는 DEV 그룹 식별자와 자신의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달받은 페이로드부를 폐기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페이로드부에 포함되어 있는 DEV 그룹 식별자와 자신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페이로드부에 포함되어 있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DEV의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다면 상기 DEV의 NWK 계층은 낵 명령(nak_command)를 생성하여 상기 DEV의 MAC계층을 통해 PHY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기 낵 명령에는 DEV 식별자가 포함된다. 상기 낵 명령을 수신한 상기 DEV의 PHY 계층은 GTS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낵 명령을 PNC의 PHY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기 PNC의 NWK 계층은 GTS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낵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무선채널 상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인식한다. 상기 PNC의 NWK 계층은 GTS 프레임 구간에서 상기 낵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낵 명령의 개수에 따라 이전 단계에서 전송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멀티캐스트로 재 전송할지, 유니캐스트로 재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하나의 과정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상기 디바이스들에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파악함으로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코넷 코디네이터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피코넷 코디네이터와 디바이스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

Claims (16)

  1.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디바이스들과 무선자원 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해 시간단위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가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이상의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디바이스의 개수와 설정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개수가 설정치보다 작을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는 비콘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프레임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할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개수가 설정치보다 작으면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오류메시지를 전송한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이상의 디바이스들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디바이스들과 무선자원 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해 시간단위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수신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오류 메시지 전송 구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오류가 있음을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는 비콘 프레임을 이용하여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프레임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할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해 수신오류가 없으면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서 지시하는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디바이스들과 무선자원 할당 요청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해 시간단위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피코넷 코디네이터로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이상의 디바이스들로 전송할 그룹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멀티캐스트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디바이스의 개수와 설정치를 비교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개수가 설정치보다 작을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멀티캐스트하는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 및,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오류 메시지 전송 구간에서 상기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는 비콘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프레임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할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는,
    상기 디바이스의 개수가 설정치보다 작으면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오류메시지를 전송한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자하는 디바이스들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들은 동일한 식별자를 할당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피코넷 코디네이터는,
    상기 할당한 식별자와 상기 식별자를 할당받은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40004727A 2004-01-26 2004-01-26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55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27A KR100555710B1 (ko) 2004-01-26 2004-01-26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727A KR100555710B1 (ko) 2004-01-26 2004-01-26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917A true KR20050076917A (ko) 2005-07-29
KR100555710B1 KR100555710B1 (ko) 2006-03-03

Family

ID=3726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727A KR100555710B1 (ko) 2004-01-26 2004-01-26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37B1 (ko) * 2006-07-24 2007-07-23 주식회사 하이온콥 지그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479A (ko) * 2002-06-04 200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의 피코넷에서 브로드캐스트 패킷을전송하는 방법 및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전송횟수를결정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37B1 (ko) * 2006-07-24 2007-07-23 주식회사 하이온콥 지그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710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203B1 (ko) 근거리 네트워크에서의 동적 처리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그 방법
WO2021244353A1 (zh) 一种感知目标物体的方法及装置
US8442066B2 (en) Method of changing channels and configuring a sub-network in a wireless network
US7218644B1 (en)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bluetooth access point connections
US7224938B2 (en)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 network device
US10602554B2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managing resources for D2D communication
KR100679009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045634A1 (en) Target Wake Time Scheme for Multicast Communication
US2017025146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for
US9356758B2 (en) Method of channel assessment and channel searching in a wireless network
CN1531269A (zh) 用于确定设备位置的方法和设备
EP2328303B1 (en)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network
KR20090035969A (ko)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
US7336633B2 (en) Media access controller for high bandwidth communication media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060024947A (ko)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20080075005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indicating data pending in zigbee network
KR100555710B1 (ko)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CN1846422A (zh) 确定设备之间的认证优先权的系统及相关方法
US8929395B2 (en) Multicast system and multicast method using shortened address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20050074803A (ko)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538909B1 (ko)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자원 재사용 장치 및 방법
KR100730758B1 (ko) 다수의 하위 노드를 가진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JP7380878B2 (ja) アドレス設定システム、アドレス設定方法、アドレス設定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4684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에프에이 변경을 통한 호 설정 방법
KR101265341B1 (ko) 소출력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기기별 논리 주소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