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740A - 전선없는 수중펌프 - Google Patents

전선없는 수중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740A
KR20050075740A KR1020050057448A KR20050057448A KR20050075740A KR 20050075740 A KR20050075740 A KR 20050075740A KR 1020050057448 A KR1020050057448 A KR 1020050057448A KR 20050057448 A KR20050057448 A KR 20050057448A KR 20050075740 A KR20050075740 A KR 20050075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tor
shaft
submersible pump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622B1 (ko
Inventor
유상석
Original Assignee
제이엠아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아이 (주) filed Critical 제이엠아이 (주)
Priority to KR102005005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6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8Battery pow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81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배수용으로 사용하는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을 위한 전선을 완전히 배제한 내장형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정전 등의 비상시에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야외 등과 같은 전기공급이 곤란한 지역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외부의 전원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시간을 연장하여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리모콘이나 충전기 등의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조작이나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전선없는 수중펌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중펌프는 서로 나란하면서 격리되어 있는 모터설치를 위한 공간부와 배터리 설치를 위한 공간부를 갖고 있으며 한쪽으로 토출되는 유체의 배출통로가 되는 수직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하방 개방형의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상기 배터리 설치 공간부에 탑재되는 배터리와, 상기 프레임의 저면부를 마감하면서 조립되며 유체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 및 일측의 배출구와 통하는 토출관를 가지면서 흡입되는 유체를 배출구측으로 유도하는 스탠드 케이싱과, 상기 프레임과 스탠드 케이싱 사이에서 공간부의 저부를 마감하는 상태로 배치되면서 조립되며 샤프트가 수직 관통되는 중심부에는 샤프트 지지를 위한 다수의 베어링 및 기밀을 위한 다수의 실이 갖추어져 있으며 모터 및 샤프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면서 베어링 하우징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지지되며 그 샤프트는 베어링 하우징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스탠드 케이싱의 내측까지 연장되고 배터리측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가능한 모터 및 이것의 샤프트에 장착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없는 수중펌프{lineless submersible motor pump}
본 발명은 양, 배수용으로 사용하는 수중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없이 내장형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정전 등의 비상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야외 등과 같은 전기공급이 곤란한 지역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외부의 전원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시간을 연장하여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리모콘이나 충전기 등의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조작이나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전선없는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펌프는 펌프 전체가 물속에 잠기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며, 내부에 장착된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압력차를 이용하여 흡입구로부터 물을 흡입한 후 토출구를 통해 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가동된다.
이러한 수중펌프는 정전이나 단전 등 비상시의 양수용 및 배수용, 지하시설에 고인 물을 퍼낼 때, 정원수에 물주기 및 약주기, 야외에서 논, 밭에 물대기, 농촌 및 공사현장에서 웅덩이에 고인 물 퍼내기, 선박 배수용, 수족관 청소용, 맨홀작업시 양수용 및 배수용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모든 수중펌프들을 파워 공급 케이블을 통해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해주어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여건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많은 사용상의 제약을 받는 불리한 점이 있다.
예를 들면, 가정에서 침수가 되고 있는 중에 단전이 되었을 때, 전기공급시설이 없는 야외에서 논, 밭에 물을 줄 때 등과 같은 상황에서는 수중펌프의 사용이 불가능한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기존 수중펌프들의 거의 대부분은 부피나 중량면에서 불리하고, 별도의 파워 공급 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등 취급이나 사용하는 측면에서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원공급을 위한 전선을 완전히 배제한 내장형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정전 등의 비상 시에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야외 등과 같은 전기공급이 곤란한 지역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선없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전원 공급장치 또는 차량용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시간을 연장하여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리모콘이나 충전기 등의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조작이나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전선없는 수중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하면서 격리되어 있는 모터설치를 위한 공간부와 배터리 설치를 위한 공간부를 갖고 있으며, 한쪽 옆에는 흡입되는 유체의 배출통로가 되는 수직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하방 개방형의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상기 배터리 설치 공간부에 탑재되는 배터리;
상기 프레임의 저면부를 마감하면서 조립되며, 유체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 및 일측의 배출구와 통하는 토출관를 가지면서 흡입되는 유체를 배출구측으로 유도하는 스탠드 케이싱;
상기 프레임과 스탠드 케이싱 사이에서 공간부의 저부를 마감하는 상태로 배치되면서 조립되며, 샤프트가 수직 관통되는 중심부에는 샤프트 지지를 위한 다수의 베어링 및 기밀을 위한 다수의 실이 갖추어져 있고, 모터 및 샤프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어링 하우징;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면서 베어링 하우징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지지되며, 그 샤프트는 베어링 하우징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스탠드 케이싱의 내측까지 연장되고, 배터리측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가능한 모터 및 이것의 샤프트에 장착되는 임펠러;
로 구성되어 외부의 전원연결없이 충전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양수하는 전선없는 수중펌프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설치를 위한 공간부는 측면쪽으로 개폐가능한 커버가 구비되어 배터리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가능한 충전식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케이싱은 흡입구의 주변을 감싸는 상태로 그 저면부에 조립되어 유체 속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필터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케이싱의 바닥부에는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나선형태의 가이드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모터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도입할 수 있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의 작동을 위한 전원공급 및 차단은 리모콘의 조작으로도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중펌프는 크게 본체인 프레임(12)과, 스탠드 역할을 하는 스탠드 케이싱(16)과, 유체를 흡입을 위한 동력수단인 모터(18)와, 실질적으로 유체를 흡입하는 역할을 하는 임펠러(20)와, 자체 동력원인 배터리(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2)은 일종의 케이싱로서, 모터(18)의 설치를 위한 공간부(10a)를 갖는 원통형 하우징 형태의 케이싱 부분과 배터리(13)의 탑재를 위한 공간부(10b)를 갖는 사각형 박스 형태의 케이싱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통형 케이싱 부분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가 개방되어 있고 한쪽 옆에는 측면부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그 상단부에 호스 등을 연결할 수 있는 배출구(11)가 일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하단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스크류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곳에 후술하는 스탠드 케이싱(16)을 스크류 체결구조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각형 케이싱 부분은 배터리(13)를 탑재하는 곳으로서, 공간부(10b)는 측면쪽에는 개폐가능한 커버(21)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것을 열고 배터리의 수납하거나 교체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배터리를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 수납을 위한 공간부(10b)의 한쪽 측벽에는 모터(18)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점부(25)가 갖추어져 있으며, 공간부(10b)에 배터리(13)를 탑재하면 이때의 접점부(25)에 배터리(13)측 접점이 접촉되고, 따라서 배터리(13)측 전원이 모터(18)에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13)는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전기(미도시)를 사용하여 교류전압을 직류로 바꾸어 배터리(13)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시에는 외부 전원을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프레임(12)의 일측에는 모터(18)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도입할 수 있는 보조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보조전원공급장치는 외부에서 전원 공급이 가능한 경우에 이를 사용하면 되는 것임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가능하도록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 모터(18)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에는 모터(18)의 제어 등을 위한 제어장치(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때의 제어장치는 소정의 스위치 신호를 받아 모터의 ON/OFF를 제어하거나,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거나, 보조전원공급장치의 사용시 전원공급을 배터리측에서 보조전원공급장치측으로 전환시켜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모터(18)의 ON/OFF 작동은 스위치(미도시)의 조작 이외에 별도의 리모콘 조작으로도 가능한데, 이를 위하여 프레임(12)의 일측에는 리모트 컨트롤(미도시)이 갖추어져 있어서 이곳을 통해 리모콘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장치를 통해 모터(18)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와 모터 간의 전기적인 배선방법, 제어장치의 기능, 리모콘 제어방식, 충전기 및 보조전원공급장치의 적용 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케이싱(1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면서 유체를 유입하여 프레임(12)의 배출구(11)측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며, 바닥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다리를 이용하여 펌프 전체를 지면에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스탠드 케이싱(16)은 프레임(12)의 저면부를 마감하면서 스크류 등에 의한 체결구조로 조립되며, 원형부분의 바닥 중심에는 유체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4)과 관통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한쪽 벽체 부분에는 배출구(11)와 통하는 토출관(15)가 형성되어 있어서 임펠러(2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4)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토출관(15)를 거쳐 배출구(11)측으로 유도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스탠드 케이싱(16)의 바닥부에는 한쪽의 토출관(15)와 이어지는 나선형태의 가이드벽체(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벽체(23)에 의해 케이싱 내측으로 유입된 유체는 가이드벽체(23)의 벽면을 타고 한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면서 토출관(15)측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탠드 케이싱(16)은 저면부에는 흡입구(14)의 주변을 감싸는 상태의 필터망(2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필터망(22)은 케이싱측으로 유입되는 유체 속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망(22)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얕은 접시형태로 되어 있으며, 벽체와 바닥체에는 다수의 타공망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의 플랜지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분을 이용하여 스탠드 케이싱(16)의 오링홈부분에 끼워져 조립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상기 모터(18)는 배터리(13) 또는 보조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임펠러(20)를 회전시켜주는 일종의 DC 모터로서,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를 받아 동작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모터(13)는 프레임(12)에 마련되어 있는 공간부(10a) 내에 배치되면서 베어링 하우징(17)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상기 모터(18)는 샤프트(19) 및 이것과 일체 회전가능한 로터(26)와, 상기 로터(26)의 둘레에 배치되는 스테이터(27)와, 이것들을 수용하는 모터 프레임(28) 및 모터 브라케트(2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 프레임(28)과 모터 브라케트(29)의 구조는 도 6 및 도 7에서 상세히 보여주고 있으며, 모터 프레임(28)이 후술하는 베어링 하우징(17)의 상단부에 조립되는 구조에 의해 모터(18) 전체가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샤프트(19)는 베어링 하우징(17)의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베어링 하우징(17)을 관통한 후 그 하단부분이 스탠드 케이싱(16)의 내측까지 위치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7)은 프레임(12)과 스탠드 케이싱(16) 사이에 삽입되면서 조립되며, 프레임(12)의 공간부(10a) 저부를 마감하는 상태로 배치되면서 모터(18)를 지지하는 동시에 샤프트(19)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베어링 하우징(17)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 몸체 위에 모터 프레임(28)의 체결을 위한 양쪽 2개의 벽체 및 3개 정도의 스크류 체결체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심부분에는 원통형의 지지체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곳을 샤프트(19)가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베어링 하우징(17)의 원판 테두리부분에는 오링홈(24)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이 프레임(12)의 하단부에 끼워져 조립됨에 따라 모터(18)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쪽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지지체는 그 중심부가 단계적으로 단차진 형태의 관통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차부분에는 지지용 베어링과 기밀용 실들이 장착되어 샤프트(19)의 회전동작이 지지될 수 있는 동시에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임펠러(2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직접 흡입하는 부분으로서, 저면부에는 한쪽으로의 방향성을 갖는 다수 개의 규칙적인 날개들이 갖추어져 있으며, 그 중심의 홀을 통해 샤프트(19)의 하단부에 일체식으로 조립된다.
이렇게 샤프트(19)상에 조립되는 임펠러(20)는 스탠드 케이싱(16) 내에서 흡입구(14)를 정면으로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되고, 샤프트(19)와 함께 회전되면서 유체를 수직으로 끌어올린 후 한쪽 옆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중펌프는 스위치 조작, 바람직하게는 리모콘 조작에 따른 모터(18)의 작동과 함께 가동된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을 ON 조작하면, 이때의 조작신호는 리모트 컨트롤을 통해 제어장치로 입력되고, 계속해서 제어장치는 배터리(13)측 전원을 모터(18)에 공급하게 되며, 전원을 공급받은 모터(18)의 작동에 의해 샤프트(19) 및 임펠러(20)가 회전하면서 유체, 예를 들면 물은 흡입구(14)를 통해 스탠드 케이싱(16) 내로 흡입된 후, 토출관(15) 및 배출구(11)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수중펌프는 리모콘의 OFF 조작으로 가동이 중지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되면 충전기로 재차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외부의 전원공급이 가능한 조건에서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직접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자체 배터리로 운용되는 본 발명의 수중펌프는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이나 전선 등이 없기 때문에 휴대나 사용 등 취급이 간편할 뿐 아니라 비상시나 야외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각종 재난, 즉 저지대 침수나 단전 등과 같은 비상 시에는 더욱 효과적으로 본 발명의 수중모터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중펌프는 전기를 외부에서 케이블을 통해 공급받는 기존의 수중펌프와는 달리 불편한 케이블없이 자체의 전기를 이용하여 양수 및 배수 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비상시 전기가 없어도 사용이 가능하며 야외에서 전기가 없는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가정에서 침수가 되고 있는 중에 단전이 되었을 때 비상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논이나 밭에 물을 줄 때 정원에 물을 줄 때 웅덩이에 고여 있는 물을 퍼낼 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조건에서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시간을 연장하여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리모콘 조작으로도 작동이 가능하여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에서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에서 스탠드 케이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에서 모터 브라케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에서 모터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에서 베어링 하우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에서 임펠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에서 필터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 공간부 11: 배출구
12 : 프레임 13 : 배터리
14 : 흡입구 15 : 토출관
16 : 스탠드 케이싱 17 : 베어링 하우징
18 : 모터 19 : 샤프트
20 : 임펠러 21 : 커버
22 : 필터망 23 : 가이드벽체
24 : 오링(O-ring)홈 25 : 접점부
26 : 로터 27 : 스테이터
28 : 모터 프레임 29 : 모터 브라케트

Claims (7)

  1. 서로 나란하면서 격리되어 있는 모터설치를 위한 공간부(10a)와 배터리 설치를 위한 공간부(10b)를 갖고 있으며, 한쪽 옆에는 흡입되는 유체의 배출통로가 되는 수직의 배출구(11)가 구비되어 있는 하방 개방형의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2) 및 상기 배터리 설치 공간부에 탑재되는 배터리(13);
    상기 프레임(12)의 저면부를 마감하면서 조립되며, 유체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14) 및 일측의 배출구(11)와 통하는 토출관(15)를 가지면서 흡입되는 유체를 배출구측으로 유도하는 스탠드 케이싱(16);
    상기 프레임(12)과 스탠드 케이싱(16) 사이에서 공간부(10a)의 저부를 마감하는 상태로 배치되면서 조립되며, 샤프트가 수직 관통되는 중심부에는 샤프트 지지를 위한 다수의 베어링 및 기밀을 위한 다수의 실이 갖추어져 있고, 모터 및 샤프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베어링 하우징(17);
    상기 공간부(10a) 내에 배치되면서 베어링 하우징(17)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지지되며, 그 샤프트는 베어링 하우징(17)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면서 스탠드 케이싱(16)의 내측까지 연장되고, 배터리측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가능한 모터(18) 및 이것의 샤프트(19)에 장착되는 임펠러(20);
    로 구성되어 외부의 전원연결없이 충전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없는 수중펌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설치를 위한 공간부(10b)는 측면쪽으로 개폐가능한 커버(21)가 구비되어 배터리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없는 수중펌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3)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가능한 충전식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없는 수중펌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케이싱(16)은 흡입구(14)의 주변을 감싸는 상태로 그 저면부에 조립되어 유체 속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필터망(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없는 수중펌프.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케이싱(16)의 바닥부에는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나선형태의 가이드벽체(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없는 수중펌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은 모터(18)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도입할 수 있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없는 수중펌프.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터(18)의 작동을 위한 전원공급 및 차단은 리모콘의 조작으로도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없는 수중펌프.
KR1020050057448A 2005-06-30 2005-06-30 전선없는 수중펌프 KR10061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448A KR100617622B1 (ko) 2005-06-30 2005-06-30 전선없는 수중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448A KR100617622B1 (ko) 2005-06-30 2005-06-30 전선없는 수중펌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921U Division KR200397110Y1 (ko) 2005-06-30 2005-06-30 전선없는 수중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740A true KR20050075740A (ko) 2005-07-21
KR100617622B1 KR100617622B1 (ko) 2006-09-01

Family

ID=3726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448A KR100617622B1 (ko) 2005-06-30 2005-06-30 전선없는 수중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777B1 (ko) * 2007-09-28 2008-08-27 (주) 대진유압기계 휴대용 자동펌프
KR102358128B1 (ko) * 2021-02-02 2022-02-15 대한민국 휴대용 소형 배수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5370A (zh) * 2010-05-05 2011-11-09 协磁股份有限公司 浸水式立式泵浦结构改良
KR20210109755A (ko)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도일테크 배터리가 탑재된 수중 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777B1 (ko) * 2007-09-28 2008-08-27 (주) 대진유압기계 휴대용 자동펌프
KR102358128B1 (ko) * 2021-02-02 2022-02-15 대한민국 휴대용 소형 배수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622B1 (ko) 200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0048A1 (en) Pet water dispenser
US8956130B2 (en) Redundant sump pump system
US20220056912A1 (en) Pump with external electrical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US6206298B1 (en) DC powered low resistance water pump and a waterworks display employing said pump
US20090208345A1 (en) Sump pump with emergency backup system
CN107387428B (zh) 潜水泵
US20110247970A1 (en) Portable Pump And Filter Assembly For Use In Pools, Spas And Open Bodies Of Water
KR100617622B1 (ko) 전선없는 수중펌프
AU2014248820A1 (en) Hydraulic swimming pool cleaners with electricity generators
CN109479743A (zh) 宠物饮水机
US20220289592A1 (en) Buoyancy cleaning device for aboveground pool
KR200397110Y1 (ko) 전선없는 수중펌프
KR200439970Y1 (ko) 소방용 엔진펌프
CN208203589U (zh) 一种泵装置及水族器材
CN207349118U (zh) 一种超轻型永磁变频螺旋双吸式潜水泵
CN114233646A (zh) 一种电池外置式水泵
CN207393499U (zh) 潜水泵
CN209354375U (zh) 水泵
CN209436002U (zh) 宠物饮水机
CN208845382U (zh) 一种潜水泵
US20040173518A1 (en) Coaxial filter and pump
CN216714739U (zh) 一种电池外置式水泵
CN206409393U (zh) 潜水排污泵
CN214998146U (zh) 缺水保护水泵
CN210397158U (zh) 底部进水的便携式地库排水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