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380A -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380A
KR20050074380A KR1020050053212A KR20050053212A KR20050074380A KR 20050074380 A KR20050074380 A KR 20050074380A KR 1020050053212 A KR1020050053212 A KR 1020050053212A KR 20050053212 A KR20050053212 A KR 20050053212A KR 20050074380 A KR20050074380 A KR 20050074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al
bobbin
antenna
frequency
advan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590B1 (ko
Inventor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이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문 filed Critical 이종문
Priority to KR10-2005-005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5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는 피치가 짧은 제 1 헬리컬 영역과, 피치가 긴 제 3 헬리컬 영역과, 피치가 중간 정도에 이르는 제 2 헬리컬 영역이 제공되는 헬리컬; 상기 헬리컬의 각 영역이 외주면에 감겨서 헬리컬의 형상 및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헬리컬의 하단부가 끼워져 접촉됨으로써 상기 헬리컬의 송수신 신호가 통신기기와 상호 전달되고,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신기기에 고정되도록 하는 접촉단자; 상기 헬리컬, 상기 보빈, 및 상기 접촉단자가 사출기에 인서트 된 상태에서 그 외측에 사출형성되는 사출물; 상기 사출물의 상측에 끼워져서 안테나의 상단부를 이루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공진 주파수가 미세하게 조절되어 송수신 주파수가 정확하게 선택되도록 하는 급전부가 포함되고, 상기 급전부는 절단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절단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에 의해서 세가지 주파수의 통신신호가 송수신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편의성이 더욱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송수신되는 주파수가 다른 여러 형태의 통신기기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헬리컬이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급전부도 피치가 다른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공진주파수와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를 보다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저출력으로도 전파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제조 과정으로 안테나가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현장의 작업과정이 줄어들고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제조 과정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Triple-band antenna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트리플 밴드의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플 밴드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통신 기기에 사용되어 안정되게 수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는 각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가 정하여져 있고, 서비스의 종류 또는 서비스되는 지역별로 각각의 주파수가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 cell 방식의 이동통신기기는 859M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PCS 방식의 이동통신기기는 1.805M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DMB 방식의 이동통신기기는 2.624G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한편, 이와 같이 주파수 대역이 다른 통신 방식이 상호간에 연동되어 사용될 필요가 있는데, 상술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시스템을 연동시켜서 단일의 이동통신기기에 적용하는 방식 중에서 특히 세개 주파수 대의 통신방식이 사용되는 경우를 트리플 밴드 방식이라고 한다. 또한, 안테나의 종류에는 안테나의 엘리먼트의 신축이 가능한 신축형 안테나(Whip antenna)와, 안테나의 엘리먼트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 안테나(Stubby antenna)의 종류가 있으며, 본 발명의 대상은 고정형 안테나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기술로는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30002971, 발명의 명칭: 듀얼밴드 안테나 및 듀얼밴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 조정방법으로 이미 특허를 출원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되는 종래기술은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가 두 개가 있기 때문에, 그 사용상의 기능이 두개 주파수 대로 좁아지는 단점이 있고, 나아가서 제조원가와 재료비가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헬리컬이 밀한 영역과 소한 영역, 즉 두 군데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세가지 이상의 주파수가 단일의 통신기기에 수신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듀얼밴드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문제없이 급전부에 의해서 미세하게 주파수가 조절되지만, 듀얼밴드 이상 다중밴드의 주파수 대역에서 정확한 주파수를 설정하기위해서는 별도의 정합회로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와 완성품 단계에서 어려움이 많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30002971, 발명의 명칭: 듀얼밴드 안테나 및 듀얼밴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 조정방법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세가지 주파수의 통신신호가 송수신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편의성이 더욱 증진되는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말기의 공진 주파수와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를 보다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저출력으로서 전파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제조 과정으로 안테나가 제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현장의 작업수가 줄어들고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제조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는 피치가 짧은 제 1 헬리컬 영역과, 피치가 긴 제 3 헬리컬 영역과, 피치가 중간 정도에 이르는 제 2 헬리컬 영역이 제공되는 헬리컬; 상기 헬리컬의 각 영역이 외주면에 감겨서 헬리컬의 형상 및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헬리컬의 하단부가 끼워져 접촉됨으로써 상기 헬리컬의 송수신 신호가 통신기기와 상호 전달되고,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신기기에 고정되도록 하는 접촉단자; 상기 헬리컬, 상기 보빈, 및 상기 접촉단자가 사출기에 인서트 된 상태에서 그 외측에 사출형성되는 사출물; 상기 사출물의 상측에 끼워져서 안테나의 상단부를 이루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공진 주파수가 미세하게 조절되어 송수신 주파수가 정확하게 선택되도록 하는 급전부가 포함되고, 상기 급전부는 절단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절단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은 피치가 다른 세개의 영역이 제공되는 헬리컬이, 상기 헬리컬이 접촉되어 상기 헬리컬의 송수신 신호가 통신기기와 상호 전달되도록 하는 접촉단자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헬리컬의 상방에서 상기 헬리컬의 내부로 보빈이 삽입되는 단계; 상기 헬리컬, 보빈, 및 접촉단자의 외측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사출물이 형성되는 단계; 하방으로는 길이가 조절되는 급전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물의 상부에 캡이 고정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되는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구성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저 출력으로도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한층 더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테나의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작업이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변경, 추가, 삭제 등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헬리컬(5)과, 상기 헬리컬(5)이 감기는 보빈(3)과, 상기 보빈(3)의 하측에 놓여서 상기 헬리컬(5)에서 송수신되는 신호가 전달되는 접촉단자(1)와, 안테나의 외측에 제공되는 사출물(4)과, 상기 사출물(4)의 상측에 끼워지는 캡(7)과, 상기 캡(7)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헬리컬(5)의 내부에 삽입되는 급전부(8)가 포함된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트리플 밴드 안테나에 의해서 헬리컬(5)에 송수신되는 전파 신호는 접촉단자를 통하여 통신기기로 전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각 구성상의 특이점 및 장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접촉단자(1)의 하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기기에 안테나가 고정되는 작업과 함께 헬리컬(5)에 수신된 전파가 나사산과 이동통신기기의 접촉부를 통하여 통신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안테나의 구조가 간단해짐과 함께 제조가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1)의 상단에는 걸림돌기(2)가 형성되어 헬리컬(5)의 하단부가 끼워질 수 있고, 일단 끼워진 뒤에는 걸림돌기(2)의 하측부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는 돌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헬리컬(5)이 끼워지는 동작에 의해서 간단하게 삽입된 다음에, 잘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방식에 의해서 헬리컬(5)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솔더링(soldering)에 의해서 헬리컬과 스터드를 결합하는 과정이 필요없게 되고, 제조과정이 편리하게 수행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리컬(5)은 원형으로 감기는 형태로 제공되고, 피치가 다른 세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세하게는, 헬리컬 간의 피치가 가장 좁은 제 1 헬리컬 영역(8)과, 피치가 가장 넓은 제 3 헬리컬 영역(10)과, 피치가 중간 정도에 이르는 제 2 헬리컬 영역(9)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헬리컬의 피치가 서로 다른 세 개의 부분이 공존하게 됨으로써, 트리플 안테나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헬리컬의 전체 길이에 의해서 전파가 송수신될 수도 있고, 제 1 헬리컬 영역(8)과 제 2 헬리컬 영역(9)과 제 3 헬리컬 영역(10) 각각에 의해서 전파가 송수신될 수도 있고, 제 1 헬리컬 영역(8) 및 제 2 헬리컬 영역(9)에 의해서 전파가 송수신될 수도 있고, 제 2 헬리컬 영역(9) 및 제 3 헬리컬 영역(10)에 의해서 전파가 송수신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피치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헬리컬 영역에 의해서 송수신되는 전파가 다양한 주파수 대로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로서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빈(3)의 외주면에는 헬리컬 안착홈(11)이 상기 헬리컬(5)의 피치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헬리컬 안착홈(11)이 제공됨으로써,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하여지더라도 헬리컬(5)의 위치가 이동됨이 없이 원래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되어 놓여있을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헬리컬(5)을 이루는 각 영역(8)(9)(10)은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각각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할 수 있고, 각 영역의 길이가 가변하여 설정되는 경우에는 송수신 주파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빈(3)은 상기 헬리컬(5)이 감기는 부분으로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보빈(3)의 외부면에 감기는 헬리컬(5)의 위치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보빈(3)의 하단은 접촉단자(1)의 상단에 닿도록 함으로써, 보빈(3)이 정해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출물(4)은 상기 헬리컬(5)과 상기 보빈(3)과 상기 접촉단자(1)가 단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과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빈(3)과 상기 접촉단자(1)는 상기 헬리컬(5)에 의해서 단일의 어셈블리로 제공되고, 그러한 단일의 어셈블리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사출물(4)이 그 외측에 더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사출물(4)에 의해서 안테나의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물(4)의 상측에는 캡(7)이 삽입되어 안테나의 상측을 덮고, 상기 캡(7)의 하방으로는 급전부(6)가 형성되어 주파수의 미세한 조정에 이용된다. 특히, 상기 급전부(6)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그 두께가 축소되는 절단홈(12)이 다두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단홈(12)에 의해서 급전부(6)의 전체적인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헬리컬(5)과 상기 급전부(6)의 사이 간격부는 유전체로 작용이 되는데, 유전체의 정전용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급전부(6)의 길이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절단홈(12)에서 급전부(6)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급전부(6)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미세하게 조절되는 것은 보빈(3)의 정전용량이 변경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고,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실제로 송수신되어야 하는 주파수로 상기 급전부(6)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급전부(6)의 길이를 조절할 때에는 상기 절단홈(12)을 따라서 손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을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헬리컬(5)의 하단부가 접촉단자(1)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에는, 헬리컬(5)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2)에 끼워질 때까지 삽입하면 된다. 이후에는 상기 헬리컬(5)의 안쪽으로 보빈(3)을 삽입하는데, 헬리컬(5)이 원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보빈(3)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헬리컬(5)의 내부로 보빈(3)을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헬리컬(5)은 피치가 다른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 때에도 헬리컬(5)의 탄성에 의해서 헬리컬(5)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보빈(3)이 삽입되는 동작 중에만 상기 헬리컬(5)이 탄성 변형되어서 보빈(3)의 삽입동작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1)와 헬리컬(5)과 보빈(3)이 단일 물품으로 제작된 뒤에는, 그 물품이 사출기에 인서트 된 상태에서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사출물(4)로서 안테나의 외측 지지부를 형성한다. 이 때에 상기 사출물(4)의 상단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그 홀을 통해서는 상기 캡(7)이 끼워진다.
상기 캡(7)에는 상기 급전부(6)가 끼워져 있는데, 주파수를 미세하게 조절하른 과정 중에 상기 절단홈(12)을 따라서 급전부(6)의 전체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단홈(12)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급전부(6)에 의해서 수행되는 공진 주파수의 미세 조절이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는 과정 중에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편리하게 급전부(6)를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급전부의 조절과정을 정재파비 선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급전부의 길이가 긴 상태에서 측정된 정재파비 선도이고, 도 4는 상기 급전부의 길이가 짧은 상태에서 측정된 정재파비 선도이다.
상기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급전부의 정전용량에 의해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미세하게 조절되는 것을 볼 수 있고, 특히, 급전부의 길이를 달라지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R1)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제 2 공진 주파수(R2) 및 제 3 공진 주파수(R3)는 미세하게 낮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공진 주파수가 정확하게 맞추어지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R1)(R2)(R3)가 수신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와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는, 헬리컬의 각 영역(8)(9)(10)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수신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로 일단 이동시킨 뒤에 급전부의 길이를 변경하여 주파수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도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는 cell 방식의 주파수대인 859MHz이고,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는 PCS방식의 주파수대인 1.805GHz이고, 상기 제 3 공진주파수는 DMB방식의 주파수대인 2.624GHz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안테나의 구성 및 형상에 의해서 특정의 안테나에 미리 설정되는 여러 주파수대의 전파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안테나에 의해서 송수신 주파수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피치가 다른 세 부분이 제공되는 형태로 헬리컬을 제조한 다음에, 피치가 짧은 헬리컬을 절단하는 과정에 의해서 헬리컬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는 과정 중에 주파수가 가장 낮은 제 1 공진 주파수(R1)가 원하는 주파수 대로 일치되도록 한다. 이후에는, 피치가 긴 두 헬리컬 영역(9)(10)을 절단하는 과정에 의해서 가장 낮은 공진 주파수(R1)는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제 2 공진 주파수(R2) 및 제 3 공진 주파수(R3)를 맞추게 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급전부(6)의 길이가 미세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안테나의 주파수가 정밀하게 다시 한번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급전부(6)의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에 공진 주파수가 달라지는 과정은 이미 도 3 및 도 4와 관련되는 설명에 의해서 상세하게 제시된 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헬리컬을 다양한 성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직사각형이상의 다각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사출물(4)과 보빈(3)의 형상도 달라지게 될 것이고, 이 경우에는 안테나의 제작용이성이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헬리컬등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급전부(6)도 그에 맞추어서 다각형으로 제작되어 정전용량이 정확하게 맞추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헬리컬은 피치가 다른 세개의 부분이 병존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두개의 피치로 제작될 수도 있고, 네개 이상의 피치부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에 의해서 세가지 주파수의 통신신호가 송수신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편의성이 더욱 증진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송수신되는 주파수가 다른 여러 형태의 통신기기에 대해서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헬리컬이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급전부도 피치가 다른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공진주파수와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를 보다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저출력으로도 전파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제조 과정으로 안테나가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현장의 작업과정이 줄어들고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제조 과정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급전부의 길이가 긴 상태에서 측정된 정재파비 선도.
도 4는 급전부의 길이가 짧은 상태에서 측정된 정재파비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촉단자 2 : 걸림돌기 3 : 보빈
5 : 헬리컬 8 : 제 1 헬리컬 영역 9 : 제 2 헬리컬 영역
10 : 제 3 헬리컬 영역 11 : 헬리컬 안착홈 12 : 절단홈

Claims (2)

  1. 피치가 짧은 제 1 헬리컬 영역과, 피치가 긴 제 3 헬리컬 영역과, 피치가 중간 정도에 이르는 제 2 헬리컬 영역이 제공되는 헬리컬;
    상기 헬리컬의 각 영역이 외주면에 감겨서 헬리컬의 형상 및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헬리컬의 하단부가 끼워져 접촉됨으로써 상기 헬리컬의 송수신 신호가 통신기기와 상호 전달되고,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신기기에 고정되도록 하는 접촉단자;
    상기 헬리컬, 상기 보빈, 및 상기 접촉단자가 인서트 된 상태에서 그 외측에 사출형성되는 사출물;
    상기 사출물의 상측에 끼워져서 안테나의 상단부를 이루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공진 주파수가 미세하게 조절되어 송수신 주파수가 정확하게 선택되도록 하는 급전부가 포함되고,
    상기 급전부는 절단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절단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트리플 밴드 안테나.
  2. 피치가 다른 세개의 영역이 제공되는 헬리컬이, 상기 헬리컬이 접촉되어 상기 헬리컬의 송수신 신호가 통신기기와 상호 전달되도록 하는 접촉단자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헬리컬의 상방에서 상기 헬리컬의 내부로 보빈이 삽입되는 단계;
    상기 헬리컬, 보빈, 및 접촉단자의 외측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사출물이 형성되는 단계;
    하방으로는 길이가 조절되는 급전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사출물의 상부에 캡이 고정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2005-0053212A 2005-06-20 2005-06-20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051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212A KR100512590B1 (ko) 2005-06-20 2005-06-20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212A KR100512590B1 (ko) 2005-06-20 2005-06-20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380A true KR20050074380A (ko) 2005-07-18
KR100512590B1 KR100512590B1 (ko) 2005-09-05

Family

ID=3726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212A KR100512590B1 (ko) 2005-06-20 2005-06-20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5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68B1 (ko) * 2010-08-31 2012-04-1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헬리컬 안테나
WO2013028052A1 (en) * 2011-08-24 2013-02-28 Laird Technologies, Inc. Multiband antenna assemblies including helical and linear radiating elements
US9608318B2 (en) 2013-11-20 2017-03-28 Laird Technologies, Inc. Antenna assembl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68B1 (ko) * 2010-08-31 2012-04-1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헬리컬 안테나
WO2013028052A1 (en) * 2011-08-24 2013-02-28 Laird Technologies, Inc. Multiband antenna assemblies including helical and linear radiating elements
US8988293B2 (en) 2011-08-24 2015-03-24 Laird Technologies, Inc. Multiband antenna assemblies including helical and linear radiating elements
US9608318B2 (en) 2013-11-20 2017-03-28 Laird Technologies, Inc. Antenna assembli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590B1 (ko) 2005-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981B1 (ko) 2주파수 대역용 안테나 장치
KR101192298B1 (ko) 샤크핀 통합형 안테나
US7262738B2 (en) Multi-mode antenna and multi-band antenna combination
US6680708B2 (en) Loop antenna, surface-mounted antenna and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US6710752B2 (en) Helical antenna
US7639202B2 (en) Antenna apparatus
WO2008140605A2 (en) Slot antenna
US6448934B1 (en) Multi band antenna
KR100512590B1 (ko) 트리플 밴드 안테나 및 트리플 밴드 안테나의 제조방법
US7307598B2 (en) Antenna device having enhanced reception sensitivity in wide bands
KR100813313B1 (ko) 다중 대역의 내장형 칩 안테나
JP2003037417A (ja) ヘリカルアンテナ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4056559A (ja)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
US20030107527A1 (en) Multi-band uniform helical antenna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JP2003037426A (ja) 多周波ヘリカルアンテナ
KR100355007B1 (ko) 무선 송, 수신기용 안테나
EP1267439B1 (en) Multiple frequency bands antenna using two concentric interleaved antennas, the external one being a meander line antenna
KR20130037891A (ko) 차량용 다중 대역 통합안테나
JP3667918B2 (ja) 2周波アンテナ
KR100541168B1 (ko) 다중 밴드 헬리컬 안테나
KR100441922B1 (ko) 듀얼밴드 안테나 및 듀얼밴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 조정방법
US7486244B2 (en) Resonant frequency tunable antenna
KR101246855B1 (ko) 차량용 듀얼 밴드 안테나
US20010028331A1 (en)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KR101151945B1 (ko) 이중대역용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