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991A -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 - Google Patents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991A
KR20050072991A KR1020040001160A KR20040001160A KR20050072991A KR 20050072991 A KR20050072991 A KR 20050072991A KR 1020040001160 A KR1020040001160 A KR 1020040001160A KR 20040001160 A KR20040001160 A KR 20040001160A KR 20050072991 A KR20050072991 A KR 2005007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
glycolipid
formula
candida
bio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690B1 (ko
Inventor
김희식
윤병대
오희목
박찬선
안치용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0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6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계면활성제(MEL-SY16)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캔디다 속 SY16[KCTC 8950P]로부터 세포 외로 생산되며, 상기 계면활성제 보다 표면장력, 유화능, HLB 값이 상대적으로 낮아 w/o 유화제 및 소포제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당지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2 , C16 또는 C18 사슬을 가진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R3은 아세틸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Novel glycolipid produced by Candida sp. SY16}
본 발명은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계면활성제(MEL-SY16)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캔디다 속 SY16[KCTC 8950P]로부터 세포 외로 생산되며, 상기 계면활성제 보다 표면장력, 유화능, HLB 값이 상대적으로 낮아 w/o 유화제 및 소포제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당지질에 관한 것이다.
폐유 및 유출유 등 소수성 환경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연구하고 있으며[Harvey et al., Bio/Technology, 8, 228, 1990; Banat et al., World J. Microbiol. Biotech., 7, 80, 1991], 이러한 관점에서 미생물을 분리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온 본 발명자들은 대전지역 과수원 토양에서 계면활성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이미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은 형태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캔디다 안타크티카(Candida antarctica)와 유사한 캔디다 속(Candida sp.)으로 동정되었으며, 캔디다 속 SY16[KCTC 8950P]로 명명하였다. 상기 미생물은 만노실에리트리톨에 지방산이 결합된 당지질계 계면활성제(mannosylerythritol lipid; MEL-SY16)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본 발명자들은 핵자기공명장치 등을 사용한 기기분석 결과에 따라, 만노스의 2번과 3번 탄소의 수산기에 알킬기가, 6번 탄소의 수산기에 아세틸기가 결합하는 것을 이미 확인하였다[Kim et al. Appl. Microbiol. Biotechnol. 52, 713, 1999; 대한민국 특허 제0308523호]. 이 밖에도 지금까지 보고된 MEL들은 모두 만노스 탄소의 수산기에만 지방산이 결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Kitamoto et al., Agric. Biol. Chem., 54, 31, 1990; Kakukawa et al. Bioaci. Biotechnol. Biochem. 66, 188, 2002].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물계면활성제(MEL-SY16)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캔디다 속 SY16[KCTC 8950P]를 연구하던 중 캔디다 SY16이 세포 외로 생산하며 기존의 계면활성제에 비해 표면장력, 유화능, HLB 값이 상대적으로 낮아 w/o 유화제 및 소포제 등의 다른 용도로 응용이 가능한 새로운 당지질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캔디다 속 SY16이 세포 외로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당지질에 그 특징이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2 , C16 또는 C18 사슬을 가진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R3은 아세틸기를 나타낸다.
또한, 캔디다 속 SY16[KCTC 8950P]로부터 상기 당지질을 생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생물계면활성제(MEL-SY16)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캔디다 속 SY16[KCTC 8950P]로부터 세포 외로 생산되며, 상기 계면활성제 보다 표면장력, 유화능, HLB 값이 상대적으로 낮아 w/o 유화제 및 소포제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당지질에 관한 것이다.
먼저, 캔디다 속 SY16[KCTC 8950P]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당지질을 생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가식 발효(fed-batch fermentation)를 통해서 당지질 생산을 수행하였으며, 사용된 배지의 조성은 콩기름 1.5 %, 포도당 1.5 %, (NH4)2SO4 0.1 %, K2HPO4 0.1 %, NaH2PO4 0.01 %, MgSO4ㆍ7H2O 0.05 %, CaCl2ㆍ2H 2O 0.01 %, MnSO4ㆍ5H2O 0.002 %, 펩톤 0.1 %이고, 자 발효조(5 L, KFC)의 working volume은 3 L, 500 rpm의 교반, 1.0 vvm의 통기량으로 운전하였으며, 온도는 30 ℃, pH는 4.0(±0.2)으로 조정하였다.
초기에 공급되어진 탄소원인 포도당은 배양 20 시간에 모두 소모되었으며, 초기 농도 1.5 %의 콩기름도 44시간에 거의 고갈되어 이 때 콩기름을 다시 7.0 %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콩기름이 첨가된 시점부터 생물계면활성제(MELs)는 빠른 속도로 생산되었으며, 균체량은 배양 104 시간에 약 23 g/l이었다. 이때 콩기름이 다시 모두 고갈되었으며, 이로 인해 거품이 심하게 형성되어 10 %의 콩기름을 다시 첨가하였고, 거품이 제거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배양 200시간에 생물계면활성제는 95 g/l가 생산되었고, 균체량은 25 g/l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당지질을 실리카 겔 컬럼과 분취용 HPLC(preparative HPLC)를 통해 정제한 후, 알칼리 가수분해로 친수성기인 당(sugar) 부분과 지방산 부분으로 분리하여 당 부분을 HPLC로 분석한 결과, MEL-SY16과 동일하게 D-만노스와 메소-에리트리톨(meso-erythritol)이 몰비 1:1로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지방산 부분은 GC/MS로 확인한 결과, MEL-SY16보다 지방산 사슬이 전반적으로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NMR를 통해 분석한 결과, 만노스 2번, 3번 탄소에 지방산이 결합되어 있고, 다른 MEL 당지질 계면활성제와는 다르게 에리트리톨 1번 탄소에도 지방산이 에스테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NMR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확인된 당지질을 MEL-e로 명명하였고, 구조는 다음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2 , C16 또는 C18 사슬을 가진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R3은 아세틸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표면장력, 유화능, HLB 값이 상대적으로 낮아 w/o 유화제 및 소포제 등의 다른 용도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당지질 생산 최적 배지 조건 선정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캔디다 속 SY16의 회분식 배양 결과[대한민국 특허 제0308523호]로부터 MEL은 stationary phase에서 대부분 생산되어지며, 성장기(growth phase)와 생산기(production phase)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2-단계 배양 시스템을 이용한 유가식 발효를 통해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을 조사하였다.
먼저, 균체량과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대한 성장기에서의 탄소원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탄소원에서 2일간 배양한 후, 콩기름 70 g/l를 첨가하여 5일간 배양하였을 때, 포도당을 성장기에서의 탄소원으로 첨가한 경우가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이 가장 높았으며, 균체량은 포도당과 콩기름의 혼합기질인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표 1]. Kitamoto 등(Appl. Microbiol. Biotechnol. 36: 768-772 (1992))에 의하면 resting cell을 이용하였을 때 탄소원으로 글리세롤을 첨가한 경우가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수율이 가장 높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유가식 발효에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미치는 초기 탄소원의 영향
탄소원 세포 성장 (g/l) 생물계면활성제 (g/l)
Glucose 6.2 15.6
Sucrose 5.8 13.7
Mannose 6.8 14.9
Glycerol 7.3 30.6
Soybean oil 7.2 27.8
Glucose + soybean oil (1:1) 8.5 28.9
Batch culture with soybean oil 7.8 29.3
다음으로 생산기(production phase)에서의 탄소원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기 탄소원을 글리세롤과 혼합기질(포도당과 콩기름)로 사용하여 2일간 배양한 후, 각각의 탄소원을 공급하였다. 지방산인 올렌산(oleic acid)을 생산기에서의 탄소원으로 공급한 경우가 가장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이 높았으며, 식물성 기름류도 비슷한 수준의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나타내고 있다. 라우릴 알코올과 헥사데칸에서는 거의 생물계면활성제가 생산되지 않았다[표 2].
유가식 발효에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미치는 2차 공급 탄소원의 영향
성장기에서의 탄소원 생산기에서의 탄소원 MEL (g/l)
글리세롤 Soybean oil 30.5
Corn oil 30.2
Olive oil 27.6
Triolein 28.4
Oleic acid 34.8
Lauryl alcohol 1.1
포도당 + 콩기름 (1:1) Soybean oil 29.5
Corn oil 30.0
Olive oil 28.5
Triolein 27.2
Oleic acid 32.3
Lauryl alcohol 2.0
Hexadecane 1.6
비록 글리세롤과 올렌산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생물계면활성제 생산 수율이 가장 높았으나, 생산단가를 고려하였을 때, 성장기에서는 혼합기질(포도당과 콩기름)을 사용하였고, 생산기에서는 콩기름을 사용하여 이후의 유가식 발효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2: 당지질 분리 및 정제
캔디다 속. SY16 배양액으로부터 생물계면활성제의 분리 및 정제는 유기용매추출과 흡착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루어졌다.
먼저, 배양액의 유기용매추출에 소요되는 유기용매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배양액으로부터 생물계면활성제를 농축할 필요가 있으며, 여기서는 pH 조절을 통한 침전법을 이용하였다. 각 pH에 따른 생물계면활성제의 회수율을 조사한 결과는 도 1과 같으며, 배양액을 pH 2로 조절하였을 때 약 90%의 생물계면활성제를 회수할 수 있었고, 알칼리 영역에서는 생물계면활성제의 침전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침전 농축된 생물계면활성제를 2배 부피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안하이드러스 소디움 설페이트(anhydrous sodium sulfate) 처리를 통해 잔존 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용매를 감압증류한 다음 메탄올에 녹는 부분만을 취하고, 다시 감압증류로 메탄올을 제거하여 조추출물 형태의 생물계면활성제를 얻었다.
상기 조추출물 형태(crude form)의 생물 계면활성제를 TLC로 분석한 결과, 30% 황산 용액에 의해 5개 이상의 스팟(spot)이 발색되었으며, 그 중 2개의 스팟(Rf 0.31, 0.57)을 당지질로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Rf 1.0의 물질은 기질오일(soybean oil)이고, Rf 0.62는 지방산, Rf 0.31은 MEL-SY16임을 확인하였으며, Rf 0.57의 물질이 본 발명에서 확인된 당지질이며 이를 MEL-e이라 명명하였다.
조추출물 형태의 생물 계면활성제 시료의 구성비는 MEL-SY16이 약 75% 정도이며, MEL-e는 약 2%, 그 외는 기질오일과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분석을 위한 MEL의 정제는 다음과 같다.
상기 조추출물 형태의 생물계면활성제를 소량의 클로로포름에 녹인 후 실리카 겔 컬럼에 로딩하여 먼저 클로로포름으로 세척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90:10, v/v)의 용매로 용출시켰다. 얻어진 시료를 한번 더 실리카 겔 컬럼에서 클로로포름-메탄올(99:1, v/v)로 세척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95:5, v/v)의 용매로 용출하였다. 용출된 시료를 실리카 겔 노말 페이스 컬럼(silica gel normal phase column, YMC-Pack SIL, 50 ×250 mm)[YMC Co., Kyoto, Japan]을 이용한 분취용 HPLC로 클로로포름-메탄올(96:4, v/v)용매로 용출시켜 최종 정제하였다.
실시예 3: 당지질의 분자량 결정
캔디다 속 SY16[KCTC 8950P]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MEL-e, MEL-SY16, 지방산 등의 분자량 결정을 위해 질량 스펙트럼으로 조사한 결과, 지방산(Rf 0.62)은 238 Da에서 300 Da 사이에서 피크가 나타났으며, 즉 C15에서 C18의 지방산 분자량으로 나타났고, MEL-SY16(Rf 0.31)은 634 Da, MEL-e(Rf 0.57)는 896 Da으로 분자량이 결정되었으며, 두 당지질 사이의 분자량 차이는 262 Da이었다. 분자량 262 Da 차이는 지방산 사슬 1개의 차이로 생각된다.
실시예 4 : 당지질의 친수성기 분석
정제된 MEL-e(Rf 0.57)를 알칼리 가수분해 후 당 부분과 지방산 부분으로 분리하여 친수성기인 당 부분을 산 가수분해한 다음, 음이온 교환 컬럼을 사용한 HPLC로 확인한 결과, MEL-SY16과 동일하게 D-만노스와 메소-에리트리톨이 몰비 1:1로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MEL-e의 친수성기는 다른 MEL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 당지질의 소수성기 분석
MEL-e의 알칼리 가수분해를 통해 얻은 소수성 부분인 지방산을 메틸화시킨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GC/MS로 확인한 결과, MEL-SY16의 소수성 부분(C6:0, C12:0, C14:0, C14:1) 보다 MEL-e의 지방산 사슬(C12:0, C16:0, C18:0, C18:1)이 전반적으로 더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 MEL-e의 NMR 분석
MEL-e의 친수성기인 당 부분과 소수성기인 지방산이 어떤 형태로 결합하여 MEL-e를 구성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정제된 MEL-e의 NMR 분석을 수행하였다.
1H-NMR 스펙트럼에서 전형적인 당지질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산은 0.78 ∼ 2.33 ppm에서 당 부분은 3.45 ∼ 5.37 ppm에서 시그날이 나타났다. 1H-1H COSY와 13C-DEPT NMR으로부터 D-만노스와 메소-에리트리톨 유닛(unit)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MBC 스펙트럼에서 만노스 유닛의 1번 탄소와 에리트리톨의 4번 탄소가 o-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도 3], D-만노스 유닛의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 및 결합상수(coupling constant) 등을 글리코피라노스(glycopyranose) NMR 결과들[Summerfelt et al., Carbohydrate Res., 203, 163, 1990; Agrawal, Phytochemistry, 31, 3307, 1992]와 비교한 결과, β-아노머(anomer)로 확인이 되어 D-만노스와 메소-에리트리톨 유닛이 β1 →4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 표 3과 표 4에 13C-NMR 및 1H-NMR를 정리하였다.
13C-NMR 데이타
구 분 화학적 이동 δ(ppm)
지방산
-CO- R1 173.177
R2 172.967
R3 171.154
R4 174.092
=CH- 128.37, 129.32, 129.39, 130.91
-(CH2)n- 22.26 - 33.53
-CH3 R1 & R2 12.92, 12.99
R4 9.93
-CO-CH3 R3 19.26
Sugar moieties D-만노스
C-1 98.65
C-2 69.03
C-3 73.38
C-4 64.74
C-5 74.23
C-6 63.06
meso-에리트리톨
C-1 65.46
C-2 69.66
C-3 70.43
C-4 70.83
1H-NMR 데이타
구 분 화학적 이동 δ(ppm) 결합상수J(Hz)
지방산
-CH3 R1 & R2 0.81 (ㅧ2)
R4 0.85
R3 1.99 s
-CO-CH3
-(CH2)n
Sugar moieties D-만노스
H-1 4.75 <1.0
H-2 5.35 3.0
H-3 4.82 3.3, 9.6
H-4 3.66 9.6
H-5 3.52 2.1, 6.0
H-6a 4.15dd 6.0, 11.7
H-6b 4.36dd 2.1, 11.7
meso-에리트리톨
H-1a 4.02dd 6.6, 11.4
H-1b 4.19dd 5.4, 11.4
H-2 3.66
H-3 3.60
H-4a 3.71dd 6.3, 10.8
H-4b 3.79dd 5.7, 10.8
HMBC 스펙트럼에서는 카르보닐 탄소(173.18, 172.97, 171.15, 174.09 ppm)와 만노스 유닛의 2번(5.34 ppm), 3번(4.82 ppm), 6번(4.15, 4.36 ppm)과 에리트로톨 1번(4.02, 4.19 ppm)의 수소와 커플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부터 지방산 사슬이 D-만노스 유닛의 2번과 3번 탄소와 에리트로톨의 1번 탄소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6번 탄소위치에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에리트리톨 1번 탄소의 수소가 낮은 필드로 이동되는 것으로도 에리트리톨의 1번 탄소에 지방산이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13C-DEPT NMR에서 카르보닐기(-CO-)는 각각 173.18, 172.97, 171.15, 174.09 ppm에서 나타났으며, 메틸기(-CH3-)는 9.93, 12.92, 12.99, 19.26 ppm에서 확인하였고, 지방산의 -CH2는 22.26-33.53 ppm에서, 불포화 지방산의 =CH-기는 128.37 ∼ 130.91 ppm에서 나타났다[도 4].
이러한 결과로 당지질 MEL-e는 다음 화학식 1로 결정되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2 , C16 또는 C18 사슬을 가진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R3은 아세틸기를 나타낸다.
실시예 7: MEL-e의 표면활성
이전에 보고된 MEL들은 일반적으로 D-만노스 유닛의 2번과 3번 탄소에 지방산이 결합하는 반면, MEL-e의 경우 D-만노스 유닛의 2번과 3번 탄소뿐 아니라 에리트리톨의 1번 탄소의 수산기에도 지방산 사슬이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된 지방산의 사슬길이도 보다 길다. 이런 구조적 특성이 기존의 보고된 MEL과 다른 표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기존의 당지질과 본 발명의 당지질의 표면장력을 표면장력계(Tensiometer, 독일 Kruss사 제품)를 사용하여 링(ring) 방법으로 측정하였다[Kim et al., J. Microbiol. Biotechnol., 7, 180, 1997]. 또한, 트리스 버퍼(20 mM, pH 7.2) 9.9 ㎖에 시험액 0.1 ㎖을 넣고, n-헥사데칸과 2-메틸 나프탈렌의 동량 혼합액 0.1 ㎖을 첨가하여 25 ℃에서 1시간동안 160 rpm으로 왕복 진탕한 다음, 6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 전과 반응 후의 흡광도 차이를 유화능으로 나타내었으며, 흡광도 0.1 차이를 유화능 1 unit로 정하였다[Rosenberg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37, 409, 1979]. 한편,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값은 농도별 표면장력 측정을 통해 결정하였고, HLB(hydrophilic-lipophilic balance)값은 전체 분자량에서 친수성기가 차지하는 분자량의 비율오부터 계산하였다.
기존에 발표된 MEL-A, MEL-B, MEL-SY16의 표면장력은 각각 28.4, 28.2, 29 dyne/cm이며, CMC값은 2.7, 4.5, 15 μM의 값을 갖는다. 반면에 MEL-e의 표면장력은 0.5 g/ℓ의 농도에서 40 dyne/cm로 높은 표면장력을 가지며, o/w 유화능은 MEL-SY16은 1.4 unit/㎖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MEL-e는 0.1 unit/㎖로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MEL-SY16의 친수성 부분은 전체 구조의 43%를 차지하며, HLB값은 8.6 정도로 물에 대한 겉보기 용해도가 유백색의 분산 상태로서 분산제 또는 o/w 유화제로 사용되어지는 반면, MEL-e의 친수성 부분은 전체구조의 31.7%로 HLB값이 6.3이며, 물에 대한 겉보기 용해도가 미비한 분산 상태로 w/o 유화제 및 소포제 등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물 계면활성제(MEL-SY16)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캔디다 속 SY16[KCTC 8950P]가 기존의 계면활성제와는 다른 새로운 당지질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존의 계면활성제에 비해 표면장력, 유화능, HLB값이 상대적으로 낮아 w/o 유화제 및 소포제의 용도로 환경, 농업, 화장품 분야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도 1은 캔디다 속. SY16 배양액의 pH 조절을 통한 생물계면활성제의 침전회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캔디다 속 SY16[KCTC 8950P] 배양액의 TLC 분석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당지질(MEL-e)의 HMBC NMR(500 MHz) 스펙트럼(at 25 ℃, in CD3OD)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당지질(MEL-e)의 13C-DEPT NMR(300 MHz) 스펙트럼(at 25 ℃, in CD3OD)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3)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지질;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2 , C16 또는 C18 사슬을 가진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R3은 아세틸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당지질은 캔디다 속 SY16[KCTC 8950P]로부터 생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당지질.
  3. 캔디다 속 SY16[KCTC 8950P]를 사용하고, 탄소원으로 식물성 기름이 포함된 배지에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당지질의 제조방법;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C12 , C16 또는 C18 사슬을 가진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고, R3은 아세틸기를 나타낸다.
KR10-2004-0001160A 2004-01-08 2004-01-08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 KR100532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160A KR100532690B1 (ko) 2004-01-08 2004-01-08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160A KR100532690B1 (ko) 2004-01-08 2004-01-08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991A true KR20050072991A (ko) 2005-07-13
KR100532690B1 KR100532690B1 (ko) 2005-12-01

Family

ID=3726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160A KR100532690B1 (ko) 2004-01-08 2004-01-08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6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80B1 (ko) * 2018-06-05 2019-12-06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엑티브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화제 제조방법
KR102471992B1 (ko) * 2022-05-24 2022-11-29 디케이바이오 주식회사 친환경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136B1 (ko) * 2011-05-24 2017-11-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슈도지마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당지질계 계면활성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65711B1 (ko) * 2013-04-30 2014-02-21 재단법인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효모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생물학적 계면활성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80B1 (ko) * 2018-06-05 2019-12-06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엑티브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화제 제조방법
WO2019235761A1 (ko) * 2018-06-05 2019-12-12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엑티브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화제 제조방법
WO2019235840A3 (ko) * 2018-06-05 2020-02-06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엑티브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발효유화제 제조방법
KR102471992B1 (ko) * 2022-05-24 2022-11-29 디케이바이오 주식회사 친환경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2690B1 (ko)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Characterization of a biosurfactant, mannosylerythritol lipid produced from Candida sp. SY16
Konishi et al. Production of new types of sophorolipids by Candida batistae
Fukuoka et al. A basidiomycetous yeast, Pseudozyma tsukubaensis, efficiently produces a novel glycolipid biosurfactant. The identification of a new diastereomer of mannosylerythritol lipid-B
Stüwer et al. Production of crystalline surface-active glycolipids by a strain of Torulopsis apicola
EP0458847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glycoside ester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glycoside esters
FI96967C (fi) Glykosidien monoesterit ja prosessi niiden entsymaattiseksi valmistamiseksi
Kakugawa et al. Isolation of yeast Kurtzmanomyces sp. I-11, novel producer of mannosylerythritol lipid
Kitamoto et al. Production of mannosylerythritol lipids as biosurfactants by resting cells of Candida antarctica
Morita et al. Identification of Pseudozyma graminicola CBS 10092 as a producer of glycolipid biosurfactants, mannosylerythritol lipids
JP2008247845A (ja) 酸型ソホロースリピッドの生産方法
JP5344274B2 (ja) 新規マンノシルエリスリトールリピ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Powalla et al. Penta-and disaccharide lipid formation by Nocardia corynebacteroides grown on n-alkanes
Fukuoka et al. A basidiomycetous yeast, Pseudozyma crassa, produces novel diastereomers of conventional mannosylerythritol lipids as glycolipid biosurfactants
KR100532690B1 (ko) 캔디다 속 sy16이 생산하는 새로운 당지질
JP4722386B2 (ja) 糖脂質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403969A1 (en) Enhanced production of rhamnolipids using at least two carbon sources
US5118804A (en) Process for preparing alkyl-1-thioglycosides and alkyl-glycosides, anomer mixtures thereof
Millqvist‐Fureby et al. Regioselective synthesis of ethoxylated glycoside esters using β‐glucosidase in supersaturated solutions and lipases in organic solvents
Langer et al. Production and modification of bioactive biosurfactants
JP4803435B2 (ja) 新規マンノシルエリスリトールリピ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Drummond et al. Sugar fatty acid esters
US20230348515A1 (en) Novel sophorolipid derivative
Tulloch Glycosides of hydroxy fatty acids
KR100308523B1 (ko) 신균주 캔디다 속 sy16및 이로부터 생산되는 계면활성제
JP6954548B1 (ja) 新規ソホロリピッド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