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637A -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637A
KR20050072637A KR1020040001002A KR20040001002A KR20050072637A KR 20050072637 A KR20050072637 A KR 20050072637A KR 1020040001002 A KR1020040001002 A KR 1020040001002A KR 20040001002 A KR20040001002 A KR 20040001002A KR 20050072637 A KR20050072637 A KR 20050072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
information
negoti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510B1 (ko
Inventor
이승복
김선기
최병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5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54Auto-negotiation, e.g. access control between switch gigabit interface connector [GBIC] and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98Register arrangements
    • G06F9/30101Special purpose regi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더넷 시스템에서 이더넷으로 연결된 상대 시스템에 대한 특성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시스템에 대한 관리 및 운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를 저장하고, 이더넷을 통해 연결된 상대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트랜시버와, 자동협상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 레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대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트랜시버가 수신한, 상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하여 자동협상을 수행하는 물리 부호화 부계층과, 상기 물리 부호화 부계층의 자동협상 수행시, 상기 상대 시스템에 송신할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읽어들여서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하며,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읽어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TTING DATA IN ETHERNET SYSTEM}
본 발명은 이더넷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대 시스템에 대한 정보획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더넷 네트워크 시스템간에 수행되는 자동 협상(Auto-Negoti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링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더넷으로 연결된 두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스템 A(100-1) 및 시스템 B(100-2)는 라우터, 스위치 등 이더넷을 통해 연결되는 모든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들에 명칭 및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시스템 A(100-1)와 시스템 B(100-2)에서 동일한 장치들에 대해서는 각각 'A', 'B' 및 '1', '2'를 부가함으로써 각각을 구별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장치가 위치하는 시스템을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A, B의 명칭 및 1, 2의 참조부호를 생략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A(100-1)에 위치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는 '트랜시버 A(140-1)'라 칭하고, 시스템 B(100-2)에 위치하는 트랜시버는 '트랜시버 B(140-2)'라 칭하고, 그 위치하는 시스템을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트랜시버(140)'라 칭한다. 한편,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시스템 A(100-1)를 동작의 주체가 되는 "로컬 시스템"으로, 시스템 B(100-2)를 로컬 시스템의 상대가 되는 "상대 시스템"으로 가정한다. '로컬 시스템-상대 시스템'의 개념은 "마스터-슬레이브"의 개념과는 다른 것으로, 로컬 시스템은 임의의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주체가 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들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트랜시버(140)는 물리 매체 의존부(Physical Medium Dependent, PMD)의 일부분으로, 다른 시스템과의 신호 송수신을 직접적으로 수행한다. 트랜시버(140)는 데이터를 물리적인 링크(155)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송신하기 위해 전송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전송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두 트랜시버들(140) 간에는 링크(155)가 직접 연결된다. 트랜시버 A(140-1)와 트랜시버 B(140-2)는 소정의 링크(15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이 링크(155)를 통해 트랜시버 A(140-1)와 트랜시버 B(140-2) 간에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트랜시버 A(140-1)와 트랜시버 B(140-2) 간에 이루어지는 신호 송수신을 통해 시스템 A(100-1)와 시스템 B(100-2)가 연결된다. 한편, 트랜시버(140)는 특성정보를 내부 시리얼 EEPROM(150)에 저장하고 있다.
물리 매체 접근부(Physical Media Attachment, 이하 "PMA"라 칭한다)(130)는 트랜시버(1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비트 정렬하여 패러렐로 변환하여 물리 부호화 부계층(Physical Coding Sublayer, 이하 "PCS"라 칭한다)(122)에 송신하거나, PCS(122)로부터 수신한 패러렐 데이터(기가비트 이더넷에서는 10비트)를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트랜시버(140)에 송신한다.
PCS(122)는 PMA(SERDES)(130)와 매체 비의존 기가비트 인터페이스(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이하 "GMII"라 칭한다)(145)사이에서 8B/10B 인코딩/디코딩(encoding/decoding) 기능을 수행한다. 또, PCS(122)는 상대 시스템과의 자동협상 기능을 수행한다. PCS(122)는 자동협상 기능 수행 시의 제어 및 상태관리를 위한 관리 레지스터(management register)(124)를 포함한다. 자동협상 기능은 관리 레지스터(124)에 저장되는 정보들로 구성되는 베이스 페이지(base page) 및 넥스트 페이지(next page)를 상대 시스템과 교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PCS(122)는 매체 접근 제어부(Media Access Control, "맥"이라고도 한다, 이하 "MAC"이라 칭한다)(120)의 일부이다. GMII(145)는 PCS(122)와 MAC(120)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프로세서(110)(네트워크 프로세서 또는 호스트 프로세서)는 PCS(122)에서 인코딩/디코딩된 실제 송수신 클록 및 8비트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가지는 GMII I/F(InterFace, 인터페이스)(145)를 통해 연결한다. 프로세서(110)는 그 내부에 시리얼 통신 기능(예를 들어, I2C bus와 같은)(I2C Mstr)(112)을 가진다. 프로세서(110)와 트랜시버(140)는 I2C(Inter IC)와 같은 시리얼 버스(105)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장치들 중, 링크로부터 GMII까지의 기능블록들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특히, IEEE 802.3의 1000 BASE-X의 PCS, PMA Sub layer에 대한 기능블록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는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각 시스템의 특성정보뿐만 아니라, 각 시스템에 연결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까지 알아야 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시스템의 특성정보란 시스템의 동작조건, 제조사 등 각 시스템에 관한 모든 정보들을 의미한다. 특히, 광(Optic) 트랜시버(140)가 사용되는 시스템의 경우 Optical Power Budgets도 고려해야하므로 상대 트랜시버(140)의 전송거리 능력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또, 상대 시스템의 트랜시버(140)의 벤더(Vendor) 정보 등의 기타 특성정보를 시스템 초기화 시에 획득하면 시스템 운용상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더넷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초기 구성 시에, 로컬 시스템이 상대 시스템의 트랜시버(140)와 다른 물리계층 정보 등의 특성정보를 링크 설립 이전에 알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좀더 많은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앞으로 더 많은 정보들이 트랜시버(140)에 내장될 것이므로, 더 안정된 이더넷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하여 이더넷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모두 교환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기존에 각 시스템은 자신의 트랜시버(140) 특성정보만 알 수 있었고, 그 특성정보를 상대 시스템에 알려 주거나 또는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그 특성정보를 획득할 수 없었다. 또, IEEE 802.3의 Annex 28C에서 기존에 정의된 넥스트 메시지 필드(Next Message field)로는 이더넷으로 연결된 시스템들간에서 각 시스템의 특성정보의 교환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초기 설치 시 또는 운영 중에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정확히 파악하여 최적의 시스템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 상대 시스템에 대한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를 저장하고, 이더넷을 통해 연결된 상대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트랜시버와,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Auto-Negotiation) 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대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협상을 수행하는 물리 부호화 부계층(Physical Coding Sublayer, PCS)과, 상기 물리 부호화 부계층의 자동협상 수행시, 자신의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읽어들여서 상기 송신할 자동협상 정보에 부가하며,상기 수신한 자동협상 정보로부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협상 기능을 가지며, 상대 시스템과 이더넷으로 연결되며,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트랜시버와, 자동협상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이더넷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를 읽어들이는 제 1과정과, 상기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를 자동협상 정보에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상대 시스템에 송신할,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상기 관리 레지스터로부터 읽어들이는 제 3과정과, 자동협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읽어들인, 시스템의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상기 상대 시스템에 송신하는 제 4과정을 포함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된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이더넷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스템 운용자가 시스템 초기 설치 시, 또는 운영 중에 상대편 링크의 물리계층 트랜시버 등,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정확히 파악하여 최적의 케이블 설정 및 시스템 운영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이더넷 시스템에 대한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더넷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동협상 기능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자동협상 기능을 수행하는 이더넷 시스템이라는 것이 전제되어야 하며, 자동협상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이더넷 시스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자동협상 기능은 로컬 시스템이 이더넷으로 연결되는 상대 시스템에 자신의 동작방식을 알리고, 또, 링크파트너인 상대 시스템의 동작방식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다. 로컬 시스템은 일단 상대 시스템의 동작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자신이 송신한 동작방식에 대한 응답(ACK)을 수신하면 자신과 상대방 시스템의 동작방식을 비교하여 최선의 동작방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시스템 A(100-1)와 시스템 B(100-2) 사이에 이더넷을 통해 연결된 링크 사이에 자동협상 기능이 수행되는데, 이 기능은 IEEE 802.3의 37절에 정의되어 있다. 기가비트 이더넷 중에서도 특히 1000 BASE-X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1000 BASE-X의 자동협상에서는 Half Duplex(반이중) 또는 Full Duplex(전이중)의 동작방식과 PAUSE 프레임 송신에 따른 흐름 제어 성능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S(122-1) - PMA(130-1) - 트랜시버(PMD(Physical Medium Dependent, 물리 매체 의존부)(140-1) ← ... → 트랜시버(PMD)(140-2)-PMA(130-2)-PCS(122-2) 사이에서 자동협상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자동협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대 시스템과 자신과의 동작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 교환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자동협상을 위한 정보 교환 시에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함께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협상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장치들과, 그 기능들에 대해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로컬 시스템인 시스템 A(100-1)와 상대 시스템인 시스템 B(100-2) 사이에서 수행되는 자동협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에 대해 기술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들에 대해서는 앞서 기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장치들 중, 링크로부터 GMII까지의 기능블록들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특히, IEEE 802.3의 1000 BASE-X의 PCS, PMA 부계층에 대한 기능블록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각 블록들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GMII(145)는 MAC(120)과 PCS(122)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TXD<7:0>, TX_EN, TX_ER, GTX_CLK들(231)은 GMII(145)가 PCS(122)에 송신하는 신호들이다. TXD<7:0>는 신호의 종류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TX_EN=1, TX_ER=0일 때에는 사용자 데이터이다. 반면에, TX_EN=0이고, TX_ER=1일 때에는 TXD<7:0> 값은 물리계층에 Carrier Extend 또는 Carrier Extend Error 코드그룹을 송신하도록 명령하는 특수 제어코드로 사용된다. TX_EN은 TX_ER과의 조합에 의해 일반데이터나 Carrier Extension, IFG(Inter Frame Gap, 이하 "IFG"라 칭한다) 등의 송신을 지시한다. 통상적으로, TX_EN=0일 때에는 일반 데이터 열은 송신되지 않고, TX_ER 신호와 TXD 값에 의해 IFG나 Carrier Extension 등이 송신된다. TX_ER 신호는 오류가 검출된 프레임이 발견될 시 이를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RXD<7:0>, RX_DV, RX_ER, RX_CLK들(221)은 GMII(145)가 PCS(122)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들이다. RXD<7:0>은 물리계층에서 디코딩되어 복원된 신호가 데이터인지, Carrier Extension인지, False Carrier Indication 인지 등을 표시한다. RX_DV(Receive Data Valid)신호는 RX_ER 신호와 더불어, RX_DV=0일 때에는 일반데이터가 아닌 IFG 또는 Carrier Extension 등을 표시한다. RX_ER(Receive Error) 신호는 물리계층이 생성한 것으로서, 수신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Carrier Extension인지 등을 표시하던지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RX_DV=1이면 데이터 수신시 오류가 발생했음을 의미하고, RX_DV=0이면 IFG, Carrier Extend, Carrier Extend Error 등을 표시한다. GMII(145)는 PCS(122)에 송신 클록(GTX_CLK)(통상적으로 125MHz가 사용된다)을 제공하고, PCS(122)가 제공하는 RX_CLK를 수신 클록으로 이용한다.
PCS(122)는 GMII(145)를 통해 전달되는 8비트의 데이터를 10비트의 코드그룹으로 인코딩하여 PMA(210)로 내려보내는 기능을 하거나, 역으로 PMA(210)로부터 올라 온 10비트의 코드그룹을 8비트의 데이터로 디코딩하여 상위계층에 올려보내는 기능을 한다. 또한 PCS(122)는 서로 다른 두 1000BASE-X 시스템간에 링크의 자동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협상 기능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GMII(145)와 PMA(210) 간의 캐리어감지신호(Carrier Sense Detection, CRS)(223), 충돌감지신호(Collision Detection, COL)(225)를 전달한다. 현재 많은 MAC(120) 장치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S(122)를 포함하고 있다.
PMA(210)는 PCS(122)로부터 수신한 10비트의 코드그룹을 직렬화하여 PMD(200)에 송신하거나, PMD(200)로부터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10비트로 묶어 PCS(122)에 송신하는 Serial/Deserial(SerDes)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PMA(210)는 PCS(122)에 10비트 코드를 송신하기에 앞서, 수신되는 시리얼 데이터를 정렬해서, 하나의 코드그룹이 되는지를 확인하는 코드그룹 재정렬 과정을 수행한다. PMA(210)는 코드그룹 재정렬 과정을 수행한 후 하나의 코드그룹이 되는 해당 코드그룹만을 10비트 단위로 병렬화(deserialize)하여 PCS(122)에 송신한다.
PCS(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 부호화 부계층 송신부(PCS 송신부)(228), PCS 수신부(224), 동기화부(Synchronization)(222), 자동협상 기능부(Auto-Negotiation)(230), 캐리어 감지부(Carrier Sense)(226) 등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PCS(122)가 수행하는 송수신 동작은 MAC(120)의 8비트의 데이터를 10비트의 코드그룹으로 인코딩하여 PMA(210)로 전달하거나 반대의 기능이다. 또한, PCS(122)는 캐리어감지신호(CRS)(223) 및 충돌감지신호(COL)(225)를 생성하여 MAC(120)에 송신하는데, 이 신호들을 PMA(2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초로 생성하지 않고, PCS(122)가 독자적으로 생성한다. 자동협상 기능부(230)는 두 1000BASE-X 시스템간에 자동적으로 서로의 동작설정상태를 확인하여 최적의 동작 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인 자동협상 기능을 수행한다.
PCS 송신부(228)는 GMII(145)의 TXD<7:0>, TX_EN, TX_ER 신호 값에 따라, 지속적인 8B/10B 코드그룹을 생성하여, PMA(210)에 송신한다. 또, 송신 중에 수신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PCS 송신부(228)는 GMII(145)에 COL(225) 신호를 송신한다. PCS 송신부(228)는, 송수신 중에는, 내부 "transmitting" 플래그(217)를 설정하여, 캐리어 감지부(226)가 CRS 신호(223)를 발생하여 GMII(145)로 보고하도록 한다. PCS 송신부(228)는 자동협상 기능부(230)가 설정하는 "xmit"(213) 값에 따라, 현재 자신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상상태인지, 또는 자동협상 기능에 의해 링크를 재설정해야 하는 상태인지를 결정한다.
PCS 수신부(224)는 동기화부(222)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코드그룹(Rx_code_group<9:0>)(209)들을 디코딩하여 RXD<7:0>를 복원하고, RX_DV와 RX_ER 신호를 이용하여, 복원된 RXD<7:0>을 GMII(145)에 송신한다. 이때 디코딩 과정은 송신과정의 역 과정이다. 이때, 데이터 코드그룹이 아닌 코드그룹인 Configuration 코드그룹이나 IDLE 코드그룹은 GMII(145)에 송신되지 않고, 자동협상 기능부(230)에 송신되거나, 무시된다. 또한, PCS 수신부(224)는 내부 플래그인 "receiving" 플래그(215)를 사용하여, 캐리어 감지부(226)가 CRS 신호(223)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PCS 송신부(228)가 COL 신호(225)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캐리어 감지부(226)는 PCS 송신부(228)의 transmitting 플래그(217)나 PCS 수신부(224)의 receiving 플래그(215)의 어느 하나라도 설정되어 있다면, CRS 신호(223)를 발생하여 GMII(145)에 송신한다. PCS 송신부(228)는 자신이 송신하는 도중에 PCS 수신부(224)로부터 receiving 플래그(215)가 설정되면, 이것을 충돌로 간주하여, COL 신호(225)를 발생하고, 발생한 COL 신호(225)를 GMII(145)에 송신한다.
동기화부(222)는 물리 매체 접속부 수신부(PMA 수신부)(212)로부터 수신되는 코드그룹을 PCS 수신부(224)에 송신한다. 또한, 동기화부(222)는 현재의 PCS 수신부(224)가 상대 시스템과의 동기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Sync_status" 플래그(211)에 설정한다. 만약 동기가 맞지 않는 상태라면, 동기화부(222)는 Sync_status=FALSE로 Sync_status 플래그(211)를 설정하여, 즉시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고, 자동협상 기능부(230)가 동작하도록 한다. 오류가 있는 코드그룹이 수신될 시, 동기화부(222)는 오류가 있는 개수가 적으면 동기가 맞추어진 상태로 간주하고, 오류가 많으면 동기를 놓친 것으로 판단한다. 오류의 많고 적음에 대한 판단은 소정의 임계값(threshold)과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동기를 놓친 것으로 판단할 시, 동기화부(222)는 자동협상 기능에 의한 링크 재설정 과정이 개시되도록 한다.
캐리어 감지부(226)는 CRS 신호(223)를 발생시켜서 GMII(145)에 송신한다. 즉, 캐리어 감지부(226)는 PCS 송신부(228)에 의한 transmitting 플래그(217)와 PCS 수신부(224)에 의한 receiving 플래그(215) 값 중의 하나라도 설정되어 있다면, CRS 신호(223)를 발생시킨다.
자동협상 기능부(230)는 xmit 플래그(213)를 설정하여, PCS 송신부(228)가 정상적인 IDLE을 송신해야 하는지, 링크를 재설정해야 하는지를 표시한다. 즉, 자동협상 기능은 프레임이 송신되지 않는 휴지기간에 동작하므로, 자동협상 기능부(230)는 정상적인 IDLE 코드그룹을 송신해야 하는지, 아니면, 재설정용 패킷을 송신해야 하는지를 PCS 송신부(228)에 지시하는 것이다. 자동협상 기능부(230)는 동기화부(222)로부터 동기가 맞지 않는 상태임을 의미하는 Sync_status=FALSE 값을 수신하면 동작한다.
PMA(210)는 PCS(122)로부터 수신한 10비트의 코드그룹을 직렬화하여 PMD(200)로 송신하고, 수신시에는 그 역과정을 수행한다. PMA(210)는 물리 매체 접속부 송신부(PMA 송신부)(214) 및 PMA 수신부(212)를 포함한다. PMA 송신부(214)는 PCS 송신부(228)로부터 수신되는 병렬 데이터인 Tx_code_group<9:0>(241)을 Tx_bit(251)로 직렬화하여 PMD(200)에 송신한다. PMA 수신부(212)는 PMD(20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그룹 비트들을 병렬화하여, Rx_code_group<7:0>(203) 형식으로 PCS 수신부(222)에 송신한다. 한편, 도 1에서는 PMD(200)중 트랜시버(140)를 제외한 부분과, PMA(210)를 물리계층/물리매체 접속부(130)로 도시하고 있다.
1000BASE-X 기가비트 이더넷의 PMD(200)는 구리선을 사용하는 C(Coax)X, 장파장의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L(Long Wavelength)X, 단파장의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S(Short Wavelength)X 등 세 가지가 있다. 이 외에도 X 계열은 아니지만, 또 다른 기가비트 이더넷인 1000BASE-T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전송로 및 트랜시버(140) 등을 PMD(Physical Medium Dependent, 물리 계층 의존부)라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수행과 직접 관련되는 트랜시버(140)만을 언급하기로 한다. 한편, 트랜시버(140) 모듈로 사용되는 GBIC(GigaBit Interface Converter) 이나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 SFF(Small Form Factor) 등의 대부분은 그 부품에 대한 특성정보들이 내부 시리얼 EEPROM에 저장되어 있다. 이더넷 시스템이 최초 초기화 시 또는 이더넷 라인카드가 운용상 리셋 또는 재삽입될 때, I2C Controller(112)를 내장하고 있는 프로세서(네트워크 프로세서나 호스트 프로세서)(110)에 의해 I2C 버스(105)를 통해서 이 시스템의 특성정보들이 읽혀진다. 프로세서(110)는 이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소정의 출력수단(예를 들어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 CLI))을 통해 사용자(User)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운용 중에도 물리계층 트랜시버 모듈(140)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여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GBIC의 경우 SFF Committee에서 제안된 GBIC Rev 5.5(current latest)의 Annex D에 정의되는 시리얼 EEPROM의 어드레스와 데이터 필드들의 값들을 통해 트랜시버 모듈(140)의 특성정보를 알 수 있다. 보통, 1000 BASE-SX/LX/CX/T, Encoding, Vendor, Data rate, Link Length, Connector Type, TX_Disable가능여부, TX_FAULT 모니터링, RX_LOS 가능 등의 정보들을 제공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자동협상(Auto-Negotiation) 기능부(230)는 PCS(122)와 서로 연동하여 존재한다. PCS(122)는 자동협상 정보를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관리 레지스터(124)를 포함한다. 관리 레지스터(124) 중에서 자동협상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것들은 제어 레지스터(Control register),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 자동협상 광고 레지스터(AN(Auto-Negotiation) advertisement register), 자동협상 링크 파트너 기능 베이스 페이지 레지스터(AN Link partner ability base page register), 자동협상 확장 레지스터(AN expansion register), 확대 상태 레지스터(Extend Status register) 등이다. 또, 부가적으로 자동협상 넥스트 페이지 전송 레지스터(AN next page transmit register), 자동협상 링크 파트너 기능 넥스트 페이지 레지스터(AN link partner ability next page regist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 레지스터(124) 중, Control register, Status register는 공통 기본 레지스터이다. Control 레지스터는 자동협상 기능부(230)에 대하여 enable/disable, restart를 지시하거나, 자동협상 기능이 활성화되지 못할 때,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Status 레지스터는 자신(로컬 시스템)의 모든 동작상태 정보와 자동협상 기능 지원 여부 등을 기록하고 있다. AN advertisement 레지스터 및 AN (received) link partner ability base page 레지스터는 기본 자동협상 동작을 위한 베이스 페이지 송수신용 레지스터이다. AN advertisement 레지스터는 광고할 자신의 능력이 저장된 레지스터이다. AN link partner ability base page 레지스터는 상대방의 능력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레지스터이다.
AN Expansion 레지스터, AN Next Page Transmit 레지스터 및 AN (received) link partner ability next page 레지스터는 추가 자동협상 동작을 위한 next page 송수신용 레지스터이다. AN Expansion 레지스터는 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한다. 즉, parallel detection 기능의 성공여부, 넥스트 페이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 상대방의 자동협상 기능 지원여부 등을 표시한다. AN Next Page Transmit 레지스터는 넥스트 페이지로 광고할 자신의 능력을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특성정보의 교환은 자동협상의 추가 기능 중의 하나로써, 자동협상 넥스트 페이지 전송 레지스터 및 자동협상 링크 파트너 기능 넥스트 페이지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협상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상대 시스템에 송신할 로컬 시스템의 특성정보는 추가 기능의 하나로써, 자동협상 넥스트 페이지 전송 레지스터에 저장할 수 있다.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는 자동협상 링크 파트너 기능 넥스트 페이지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 출력을 요구받을 시, 자동협상 링크 파트너 기능 넥스트 페이지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읽어서 이를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10)가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별도로 구비하는 실시예를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프로세서(110)는 PCS(122)로부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에 대한 출력요구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로부터 특성정보를 읽어들인 후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관리 레지스터(124)에 저장되는 베이스 페이지 및 넥스트 페이지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c는 자동협상 수행 시 사용되는 자동협상 메시지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베이스 페이지(base page)를, 도 3b 및 도 3c는 넥스트 페이지(next page)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페이지 및 넥스트 페이지는 모두 16개의 필드로 구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베이스 페이지는 자동협상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메시지이다. 베이스 페이지의 각 필드들은 다음과 같이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 페이지의 D0 내지 D4, D9 내지 D11은 시스템의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필드이다. D5는 시스템이 전이중(Full Duplex; FD)임을 표시하는 필드이고, D6은 시스템이 반이중(Half Duplex; HD)임을 표시하는 필드이다. D7은 Symmetric Pause를 표시하는 필드이고, D8은 Asymmetric Pause를 표시하는 필드이다. D12 및 D13은 Remote Fault를 표시하는 필드로서, 링크에러 검출, 선택규격 등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D14는 응답 신호(Acknowledge, ACK)를 표시하는 필드이다. D15는 넥스트 페이지의 존재여부를 알리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D15 필드가 1로 표시되면 넥스트 페이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D15 필드가 0으로 표시되면 넥스트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베이스 페이지만을 이용하여 자동협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넥스트 페이지에 부가하여 상대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한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넥스트 페이지의 각 필드들은 다음과 같이 이용될 수 있다. D0 내지 D10은 Reserved 필드이다. D11은 토글(Toggle) 비트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D12는 응답신호(Acknowledge) 필드이다.
링크의 초기화 과정에서 1000 BASE-X 시스템의 자동협상은 링크 파트너(즉, 상대 시스템)에게 16비트의 메시지를 송신하고, 링크 파트너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대부분의 자동협상은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페이지만을 필요로 하지만 이 외에도 추가적인 넥스트 페이지를 지원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베이스 페이지의 D15필드를 1로 표시하고, 도 3b에 도시된 넥스트 페이지의 필드에 AN Next Page Transmit 레지스터에 저장된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부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시스템의 정보 획득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1000 BASE-X 자동협상의 과정은 GMII(145)를 통하지 않고 PCS 송신부(228)와 PCS 수신부(224) 사이에서 수행되며, PMA(210)를 통해 수신되는 자동협상 관련 메시지는 GMII(145)로 송신되지 않고 자동협상 기능부(230)에 수신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자동협상 정보에 부가하여 상대 시스템에 송신하기 위해서, 프로세서(110)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관리 레지스터(124)에 저장할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또, 수신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관리 레지스터(124)로부터 읽어들일 수단도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와 관리 레지스터를 직접 연결하는 전송로(405)가 구비된다.
1000 BASE-X의 PCS(122)는 링크(155)를 통해 보내지는 데이터들에 대한 전송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8B/10B 트랜스미션(Transmission) 코드를 사용하는데, 전송 코드로는 Valid data code_group과 Valid special code_group이 있다. IEEE 802.3의 36절에 ordered set이 정의되어 있는데, 이는 한 개의 special code 또는, special code와 data code group의 조화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에서 /K28.5/ special code는 콤마(comma)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PCS 수신부(224)가 수신하는 비트 스트림(bit stream)에 대해 동기화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미리 정의된 특정 코드인 콤마는 rx_bit stream의 ordered_set의 경계들과 code_group을 쉽게 찾고 확인하는 절차를 쉽게 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전송 상에 에러가 없으면 이들 콤마를 포함하는 special code group외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K28.5/를 포함하는 1000 BASE-X 자동협상의 두 ordered_sets /C1/, /C2/는 환경설정 메시지가 이더넷 프레임으로 해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아주 쉬운 방법을 제공한다.
/C/ ordered set을 사용하는 기가비트 이더넷에서의 실제 자동협상 신호는 아래와 같이 전송되며, 항상 /K28.5/로 시작한다. 또, Ordered sets /C1/,/C2/의 전송은 링크파트너와의 자동협상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며, 각 Ordered sets은 4바이트의 시퀀스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다.
/K28.5/D21.5/configuration-message(C1,C2)/
/K28.5/D2.2/configuration-message(C1,C2)/
/K28.5/D21.5/configuration-message(C1,C2)/
/K28.5/D2.2/configuration-message(C1,C2)/
이와 같이 Ordered sets이 자동협상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계속 전송 될 때, 첫 번째 ordered sets의 Configuration-message는 도 3의 16비트의 베이스 페이지의 환경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고, 그 첫 번째 베이스 페이지의 NP(Next Page) 비트가 설정되어 있으면 그 다음의 Ordered sets은 도 3의 넥스트 페이지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자동협상을 수행할 동안 베이스 페이지(Base-Page)에서 NP 비트를 설정하여 Message page encoding과 Unformatted page encoding을 차례로 수행하여 상대 링크의 물리계층 트랜시버 모듈(140)의 원하는 정보를 I2C 버스를 통해 획득하며, 프로세서(110)가 트랜시버 모듈(140)로부터 I2C 버스(105)를 통해 읽어 들인 정보를 그대로 Next page encoding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AN Next page register와 AN link partner ability next page register는 모두 (패킷 프로세서나 호스트 )프로세서(110)에 의해 Read되고, Write됨으로서 본 발명이 제시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장치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더넷 네트워크 장치의 자동협상 동안에 수행되므로, 시스템이 도 4와 같이 구성되어 있을 경우, 내부에 구비되는 시리얼 EEPROM(142)에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트랜시버(140), 즉 GBIC, SFP등과 같은 것을 통해 상대방 링크와 광케이블 또는 구리케이블로 연결된다. 그리고 트랜시버(140)가 수신한 수신신호는 시리얼 라인(135)을 통해 PHY/PMA(130)로 입력되고, PMA(130)는 이를 병렬(parallel) 데이터로 변환하여 PCS(122)로 송신한다. PCS(122)는 자동협상 기능을 수행한다. 반대로 상대편으로 송신할 때는 역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자동협상을 수행하는 동안 프로세서(110)는 PCS(122)가 구비하는 자동협상 관리 레지스터(Management Register)(124)를 Access하여 Next page encoding에, 상대방 링크의 넥스트 페이지에서 수신되는 트랜시버 모듈(140)내의 시리얼 EEPROM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값을 자신의 트랜시버 모듈(140)로부터 I2C버스를 통해 read해서 싣는다. 그리고 상대방 링크의 물리계층(PHY) 정보를 알고자 할 때에도 송신하는 베이스 페이지에 다음의 넥스트 페이지가 있음을 알리는 NP 비트를 설정하고, 그 다음의 Next page encoding에서는 자신이 상대방 트랜시버 모듈(140)의 어떤 type을 읽은 것인지를 결정해서 이에 해당하는 상대 트랜시버 모듈(140)내의 어드레스를 실어 보낸다.
도 5는 관리 레지스터로 로컬 자신의 정보를 상대에게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S 블록(122)은 송신부(228) 수신부(224)로 나뉘어져 있고 그 사이에 자동협상 기능부(230)가 있다. PCS 블록(122)은 code_group과 ordered set을 전송하는데, Auto-Negotiation xmit flag가 CONFIGURATION을 나타낼 때, 자동협상 과정이 야기되며, Auto-Negotiation xmit flag가 IDLE일 때는 /I/ 가 source이다. Auto-Negotiation xmit flag(213)가 DATA를 나타낼 때 GMII(145)의 /TX_EN이 assertion될 때에는 SPD(Start of Packet Delimiter) order set이 source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자동협상 과정은 IEEE 802.3의 37절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의 Power on, 자동협상 재협상이 시작될 때 자동협상 기능부(230)는 현재의 동작상태를 가리키는 제어신호를 CONFIGURATION으로 설정하고, 링크 재시작을 알리는 제로열(All '0's)의 환경설정 메시지를 포함한 /C/ ordered sets을 10 ms동안 보낸다. 보통 이는 로컬 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므로 별도의 레지스터 제어는 필요 없다. 또 자동협상 기능부(230)는 IEEE 802.3 37절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동일한 값의 /C/ ordered sets을 연속해서 3번 수신하는지를 검사하는 ability_match기능과, 다시 연속해서 3번 ACK 비트가 '1'이고 동일한 값이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Acknowledge_match기능이 있다. 그리고 수신하는 코드그룹은 먼저 동기를 획득해야 해석할 수 있다.
(1) 동기를 획득한 후 시스템은 ACK비트를 '0'으로 설정하고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 페이지를 전송하고, Next page encoding이 있음을 알리기 위해 Management Register Interface인 AN advertisement register에 NP 비트 와 Full-Duplex 등의 디바이스의 기능정보를 설정한다.
(2)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동일한 /C/ ordered sets을 연속해서 3번 수신하면(Ability_match), 로컬 시스템은 ACK 비트를 '1'로 설정하고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기능정보와 NP 비트를 설정하여 Base Page를 (1)번 항목과 같이 다시 전송한다. 여기서, 상대 시스템도 본 발명이 제시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이라면, 이와 같이 Next page encoding이 있음을 알리기 위해 NP 비트를 '1'로 설정한다.
(3) 다시 acknowledge_match가 이루어지면 10ms 동안 대기하고 난 후에, 상대방에서 수신한 Base page register값이 PCS(122)를 통해 Management Register Interface 의 AN Link partner ability base page register에 수신되고, 또, 수신된 상대 시스템의 정보와 로컬 시스템의 정보가 모두 NP ='1'이면, NP = '1', MP(Message page) = '1' 이고 ACK = '0'인 값과 도 6과 같이 본 발명이 제시한 한 예로서 메시지 코드 "1024"의 값을 AN Next page register의 Next page 0 단계에 실어서 전송하며, 메시지 코드 "1024"의 값은 향후 사용을 위해 예약(reserved)된 어느 값이라도 상관없다. MP 비트는 이번 전송 페이지가 메시지 페이지(Message Page)인지, 포맷되지 않은 페이지(Unformatted Page)인지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메시지 코드 "1024"를 수신하는 상대 디바이스는 물리계층(PHY) I2C 방식을 알리는 "1024" 메시지 코드가 수신되면 로컬 디바이스로부터 이(메시지 코드)의 끝남을 알리는 STOP 비트를 받을 때까지 계속해서 NP 비트가 설정되도록 하여 로컬디바이스가 원하는 상대방 정보를 모두 읽어 들일 수 있도록 한다.
(4) 수신부에서 Ability_match 이루어지면 ACK = '1', NP = '1'로 설정하고 위의 (3)와 같은 방식으로 한번 더 전송한다.
(5) 그래서 다시 수신부의 acknowledge_match가 이루어지면 AN link partner ability next page register에 수신된 상대편 디바이스의 정보들이 확인한다. 그리고, 10ms 동안 대기한 후에 로컬 디바이스와 상대편 디바이스의 NP 비트가 모두 '1'인지를 검사하여 맞으면 위의 (3)과 같은 방법으로 해서 도 7과 같이 본 발명이 제시한 한 예로서 AN Next page register에 Unformatted Next Page로서 Next page 1 단계에 상대 물리계층(PHY) 트랜시버 모듈을 읽어 들이기 위한 어드레스와 관련 제어신호와 ACK = '0'를 송신한다
(6) 이후 다시 수신부의 Ability_match 이루어지면, (4)번과 같이 ACK = '1' , NP = '1'로 설정하고 위의 (3)와 같은 방식으로 한번 더 전송한다.
(7) 다시 수신부의 , acknowledge_match가 이루어지면 하면 ACK = '1' 로 설정하고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한번 더 전송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상대 트랜시버 모듈의 정보를 읽을 때 I2C read 방식 중 1바이트씩 랜덤하게 읽을 것인지 아니면 현재 읽어 들일 어드레스 다음부터 1바이트씩 연속적으로 순서대로 읽어 들일 것인지를 결정하는 비트를 정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만약 랜덤 read로 정해지면, 로컬 디바이스는 Unformatted Next Page로서 Next page 1 에 이와 같이 읽어 들일 어드레스를 보내고, 또 TX_Number 비트에는 Unformatted Next Page의 다른 메시지 값이 전송될 때마다 증가하도록 하여 원하는 로컬디바이스 수신할 때 원하는 메시지가 모두 수신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토글 비트(D11)는 이전에 교환된 메시지가 다른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될 때 설정되므로 이를 이용해서 한 바이트씩 읽어 들여도 된다. 상기 언급된 도 6은 넥스트 페이지 송신시 메시지 코드의 사용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Next Page 송신 시에 Unformatted Code가 I2C 버스데이터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비록 이해를 돕기 위해 1000BASE-X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자동협상 기능을 가지는 모든 이더넷 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임의의 이더넷 시스템에서, 상대 시스템의 트랜시버 모듈 내에 저장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자동협상을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좀 더 많은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로컬 I2C 버스를 이용한 모듈 정보를 PMD의 기능과는 상관없이 상대 시스템에 보낼 수 있다. 점점 다양해지고 더 많은 정보를 내부 시리얼 EEPROM에 저장하는 트랜시버 모듈들이 발생하므로, 이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운영자가 최적의 케이블 설정, 시스템 설정 등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이더넷을 통해 연결된 두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IEEE 802.3의 1000 BASE-X의 PCS, PMA Sub layer에 대한 기능블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자동협상 기능 수행을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면으로, 자동협상 기능 수행을 통한 상대 정보 획득경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면으로, 관리 레지스터로 로컬 자신의 정보를 상대에게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 넥스트 페이지 송신 시의 메시지 코드의 사용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 넥스트 페이지 송신 시의 Unformatted Code가 I2C 버스 데이터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10)

  1. 시스템 특성정보를 저장하고, 이더넷을 통해 연결된 상대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트랜시버와,
    상기 시스템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Auto-Negotiation) 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대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수신하여 자동협상을 수행하는 물리 부호화 부계층(Physical Coding Sublayer, PCS)과,
    상기 물리 부호화 부계층의 자동협상 수행시, 자신의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읽어들여서 상기 송신할 자동협상 정보에 부가하며, 상기 수신한 자동협상 정보로부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특성정보는 시스템의 제품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부호화 부계층은,
    자동협상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레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상대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트랜시버가 수신한, 상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하여 자동협상을 수행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부호화 부계층이 구비하는 자동협상 관리 레지스터는 상기 상대 시스템에 송신할 상기 이더넷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레지스터 및 상기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레지스터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물리 부호화 부계층의 자동협상 수행시, 상기 상대 시스템에 송신할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를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읽어들여서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하며,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읽어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획득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자동협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정상동작 시 상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에 대한 출력 요청 발생 시,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읽어들이고 이를 상기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8. 자동협상 기능을 가지며, 상대 시스템과 이더넷으로 연결되며,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트랜시버와, 자동협상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이더넷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를 읽어들이는 제 1과정과,
    상기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를 자동협상 정보에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상대 시스템에 송신할, 자신의 시스템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상기 관리 레지스터로부터 읽어들이는 제 3과정과,
    자동협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읽어들인, 시스템의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상기 상대 시스템에 송신하는 제 4과정을 포함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시스템으로부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수신된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가 부가된 자동협상 정보를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제 6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자동협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정상 동작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 상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에 대한 출력요청 발생 시, 상기 관리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기 상대 시스템의 특성정보를 읽어들이고 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
KR1020040001002A 2004-01-07 2004-01-07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KR10064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002A KR100645510B1 (ko) 2004-01-07 2004-01-07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002A KR100645510B1 (ko) 2004-01-07 2004-01-07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637A true KR20050072637A (ko) 2005-07-12
KR100645510B1 KR100645510B1 (ko) 2006-11-13

Family

ID=3726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002A KR100645510B1 (ko) 2004-01-07 2004-01-07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7827B2 (en) 2013-12-16 2019-10-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devices for implementing flexible ethernet within a physical coding sublayer
US20210409274A1 (en) * 2012-09-10 2021-12-30 Accedian Networks Inc. Transparent auto-negotiation of ethern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7349B (zh) * 2021-09-10 2021-12-10 苏州裕太微电子有限公司 一种光电匹配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0610B (en) 2002-05-24 2004-08-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the autonegotiation mode of a repea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409274A1 (en) * 2012-09-10 2021-12-30 Accedian Networks Inc. Transparent auto-negotiation of ethernet
US11616696B2 (en) * 2012-09-10 2023-03-28 Accedian Networks Inc. Transparent auto-negotiation of Ethernet
US10447827B2 (en) 2013-12-16 2019-10-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devices for implementing flexible ethernet within a physical coding sub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510B1 (ko) 2006-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9249A (en) System having at least one auto-negotiation enabled physical media dependent (PMD) interface device operable to perform auto-negotiation with remote link partner on behalf of all PMD
US6072803A (en) Automatic communication protoco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ystems
US6457055B1 (en) Configuring ethernet devices
US6081523A (en)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segments from a media access controller across multiple physical links
TWI251540B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utonegotiation
US78944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egoti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402081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uto-negotiation among standards having different rates
US20050259685A1 (en) Dual speed interface between media access control unit and physical unit
US20020124110A1 (en) Media converter and link test technique using the same
TW200524446A (en) Serial ethernet device-to-device interconnection
WO2006071838A2 (en) Dual speed interface between media access control unit and physical unit
US10797893B2 (en) Single pair ethernet management interface
CN101345754B (zh) 双工模式匹配方法与装置、通信系统
US6741566B1 (en) Remote management ethernet network and device
JP3819843B2 (ja) イーサネット適応装置
EP29367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mdio into sgmii transmissions
US20030021281A1 (en) Media converter and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US72186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rol data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s channel
TWI445374B (zh) 遠端管理系統及遠端管理方法
JP2001119410A (ja) 自己識別フェーズにおける処理方法
US20150341284A1 (en) Link establishing method on multi-core fiber, link establishing device, and link partner device
KR100645510B1 (ko) 이더넷 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장치 및 방법
US6871241B2 (en) Interface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sam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same
Crayford " Fast Ethernet" gets plug-and-play
US7296085B2 (en) Multiple protocol handshaking betwee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