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246A -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 Google Patents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246A
KR20050072246A KR1020040000623A KR20040000623A KR20050072246A KR 20050072246 A KR20050072246 A KR 20050072246A KR 1020040000623 A KR1020040000623 A KR 1020040000623A KR 20040000623 A KR20040000623 A KR 20040000623A KR 20050072246 A KR20050072246 A KR 2005007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xpansion valve
compartment
evaporato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261B1 (ko
Inventor
하삼철
신종민
김현
강성희
황준현
김종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2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06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using a distributing valve of the rota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1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ycle used 
    • F25B2309/1418Pulse-tube cycles with valves in gas supply and return lines
    • F25B2309/14181Pulse-tube cycles with valves in gas supply and return lines the valves being of the rotary type

Abstract

본 발명의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체적인 냉동싸이클의 개선을 통해 적은 냉력으로만 압축기를 운전하더라도 냉동싸이클의 운전이 최적화된 상태로써 최대한의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냉동싸이클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하면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축된 냉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유량 조절기; 상기 유량 조절기로부터 제공받은 냉매를 팽창하는 냉동실용 팽창밸브; 상기 냉동실용 팽창밸브를 통해 팽창된 냉매를 유입받아 열교환하는 냉동실용 증발기; 상기 냉동실용 팽창밸브와는 별도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유량 조절기로부터 제공받은 냉매를 팽창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냉장실용 팽창밸브; 그리고, 상기 냉장실용 팽창밸브를 통해 팽창된 냉매를 유입받아 열교환하는 냉장실용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Refrigerating cycle in direct cooling type refrigerator}
본 발명은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냉력으로만 압축기를 운전하더라도 냉동싸이클의 운전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한 냉동싸이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작동유체)가 압축 - 응축 - 팽창 - 증발하는 냉동사이클을 반복함에 따라 고내를 저온화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치로서 생활에 있어서 필수품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 중 직냉식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동실에 각각의 증발기를 가지는 구조의 냉장고로써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은 압축기(11)와, 응축기(12)와, 팽창밸브(13)와, 냉동실용 증발기(14) 및 냉장실용 증발기(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냉동싸이클을 이루는 각 기기는 냉매관(1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11)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가스 냉매로 승온/승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2)는 상기 압축기(11)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외기에 의해 응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13)는 다른 부분의 직경에 비해 협소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응축기(12)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4) 및 냉장실용 증발기(15)는 상기 팽창밸브(13)를 통과한 냉매가 저압상태에서 증발됨에 따라 고내의 열을 흡수하도록 열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압축기(11)를 통과하면서 고온/고압의 가스 상태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2)를 통과하면서 온도의 저감이 이루어지고, 계속해서 팽창밸브(13)를 통과하면서 감압된다.
이후, 상기 저온/저압 상태의 냉매는 냉동실용 증발기(14) 및 냉장실용 증발기(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고온/저압 상태를 이루고, 계속하여 압축기(11)로 제공됨으로써 반복적인 순환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4) 및 냉장실용 증발기(15)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는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직냉식 냉장고에 따른 냉동싸이클은 상기 압축기(11)에서 토출되는 냉매량이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겨울철과 같이 주위 온도가 낮음에 따라 냉장실용 증발기(15)만을 오프시키는 경우 팽창밸브(13)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실용 증발기(15)만을 오프시킬 경우 상기 팽창밸브(13)에 걸리는 과부하의 방지를 위해서는 냉동실용 증발기(14)로 유입되는 냉매량의 조절이 필요하지만 종래의 냉동싸이클에서는 상기 냉매량의 조절을 위한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냉동싸이클의 개선을 통해 적은 냉력으로만 압축기를 운전하더라도 냉동싸이클의 운전이 최적화된 상태로써 최대한의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냉동싸이클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하면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축된 냉매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유량 조절기; 상기 유량 조절기로부터 제공받은 냉매를 팽창하는 냉동실용 팽창밸브; 상기 냉동실용 팽창밸브를 통해 팽창된 냉매를 유입받아 열교환하는 냉동실용 증발기; 상기 냉동실용 팽창밸브와는 별도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유량 조절기로부터 제공받은 냉매를 팽창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냉장실용 팽창밸브; 그리고, 상기 냉장실용 팽창밸브를 통해 팽창된 냉매를 유입받아 열교환하는 냉장실용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은 압축기(100)와, 응축기(200)와, 냉동실용 팽창밸브(310) 및 적어도 둘 이상의 냉장실용 팽창밸브(321,322)와, 냉동실용 증발기(400) 및 냉장실용 증발기(500)와, 유량 조절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한 냉동싸이클을 이루는 각 구성은 냉매관(16)에 의해 냉매가 유동되도록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압축기(10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압축량이 서로 다른 이중용량 압축기 등과 같이 냉력의 가변이 가능한 압축기로 구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64083에서는 상기한 이중용량 압축기에 대한 일예가 개시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상기 예에 대한 형태와 동일한 이중용량 압축기로만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축기(100)는 항상 동일한 냉력만을 발생하는 압축기가 아니라 인버터 등과 같이 기동 전압의 변경이 가능한 구성에 의해 제어받는 압축기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축기(200)는 상기 냉력 가변형 압축기(100)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유입받아 응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응축기(200)의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응축기(12)와 동일하게 구성됨을 그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용 팽창밸브(310)는 상기 응축기(20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켜 냉동실용 증발기(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 냉장실용 팽창밸브(321,322)는 상기 응축기(20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냉장실용 증발기(5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500)는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냉매의 유동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각 냉장실용 팽창밸브(321,322)는 냉동실용 팽창밸브(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매 유동거리가 짧은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321)와, 상기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3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매 유동거리가 짧은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322)의 냉매 유입측 및 냉매 유출측은 상기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321)의 냉매 유입측 및 냉매 유출측에 각각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322)의 냉매 유입측과 상기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321)의 냉매 유입측간의 연결 부위에는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일반적인 삼방밸브의 구조를 가지는 냉매 유동 안내밸브(323)가 더 구비된다.
물론, 상기 냉매 유동 안내밸브(323)는 상기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321)의 냉매 유출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322)로도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기(600)는 상기 응축기(20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의 유동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유량 조절기(600)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5c와 같이 상기 응축기(200)의 냉매 유출측 관로와 연통된 제1몸체(610)와, 각 팽창밸브(310,321,322)의 냉매 유입측 관로에 각각 연결된 제2몸체(620)와, 상기 각 몸체(610,6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판(630)과, 상기 회전판(6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2몸체(620)에는 상기 냉동실용 팽창밸브(310)의 냉매 유입측 관로와 연통된 한 쌍의 냉동실측 냉매 유출유로(621,622) 및 상기 각 냉장실용 팽창밸브(321,322)의 냉매 유입측 관로와 연통된 한 쌍의 냉장실측 냉매 유출유로(623,624)가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냉동실측 냉매 유출유로(621,622)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냉장실측 냉매 유출유로(623,624) 역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되 상기 각 냉동실측 냉매 유출유로(621,622)에 비해서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어느 한 냉동실측 냉매 유출유로(이하, 제1유출유로라 함)(621)의 직경(D1)에 비해 다른 한 냉동실측 냉매 유출유로(이하, 제2유출유로라 함)(622)의 직경(D2)이 작게 형성되고, 어느 한 냉장실측 냉매 유출유로(이하, 제3유출유로라 함)(623)의 직경(D3)은 상기 제2유출유로(622)의 직경(D2)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다른 한 냉장실측 냉매 유출유로(이하, 제4유출유로라 함)(624)의 직경(D4)은 상기 제3유출유로(623)의 직경(D3)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유출유로(621)와 제2유출유로(622) 혹은, 제3유출유로(623)와 제4유출유로(624)는 도면상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서로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출유로(621)와 제2유출유로(622) 및 제3유출유로(623)와 제4유출유로(624)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의 경우 상기 제1유출유로(621)와 제4유출유로(624) 및 제2유출유로(622)와 제3유출유로(623)는 서로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유량 조절기(600)를 이루는 회전판(630)은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그 면상에는 두 개의 유출유로만이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연통공(6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량 조절기(600)를 이루는 구동부는 상기 회전판(630)을 90°씩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630)의 중심에 축결합된 상태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640)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구동부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판(630)에 직접 축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벨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판(630)의 외주면에 기어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동싸이클은 냉동실용 증발기(400)와 냉장실용 증발기(500)가 직렬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병렬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각 증발기(400,500)를 통과한 냉매는 상호간의 팽창 정도 및 열교환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압력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증발기(400,500)의 냉매 유출측 관로상에 각 관로를 따라 유동하는 냉매가 서로 합쳐지면서 압력의 균형을 이루도록 버퍼링의 역할을 수행하는 댐핑부(70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 댐팽부(700)의 냉매 유출측 관로는 압축기(100)의 냉매 유입측 관로와 연결되어 냉동싸이클이 순환싸이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의 운전 제어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직냉식 냉장고의 운전 시작이 이루어진다면 냉력 가변형 압축기(100)는 파워모드로 운전된다.
이 때, 상기 파워모드라 함은 상기 냉력 가변형 압축기(100)가 최대한의 냉력을 발생하도록 운전되는 모드이다.
상기 파워모드로의 운전이 수행될 경우 유량 조절기(600)는 냉동실용 팽창밸브(310)로의 냉매 유동량은 최대가 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냉장실용 팽창밸브(321,322)로의 냉매 유동량은 최소가 될 수 있도록 동작된다.
이의 상태는 첨부된 도 5a와 같다.
물론, 상기와 같은 파워모드로의 운전이 수행될 경우 기동토크를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도록 유량 조절기(600)의 제어를 통해 냉매가 냉동실용 팽창밸브(310)로만 유동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첨부된 도 5b와 같이 유량 조절기(600)를 구성하는 제1유출유로(621)와 제2유출유로(622)만 제1몸체(610)와 연통되도록 회전판(630)을 회전시키면 되며, 이에 대한 냉매의 유동은 첨부된 도 6과 같다.
그리고, 상기한 파워모드가 일정시간 동작된 상태에서 전체적인 냉동싸이클이 안정상태를 이루게 된다면 상기 냉력 가변형 압축기(100)는 세이빙모드로 운전된다.
이 때, 상기 세이빙모드라 함은 상기 냉력 가변형 압축기(100)가 발생할 수 있는 최대한의 냉력에 비해서는 낮지만 전체적인 냉동싸이클의 운전 효율은 저하되지 않을 정도의 냉력을 발생하도록 운전되는 모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력 가변형 압축기(100)가 세이빙모드로 운전될 경우 유량 조절기는 첨부된 도 5c와 같이 냉동실용 팽창밸브(310)로의 냉매 유동량은 최소가 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냉장실용 팽창밸브(321,322)로의 냉매 유동량은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시계방향(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냉장실 쪽의 냉매 유량 역시 파워모드로의 운전시와 같이 감소한다면, 냉장고 전체의 운전율 증가를 가져오게 되기 때문에, 상기 운전율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냉장실 쪽의 냉매 유량을 파워모드로의 운전시보다는 더 크게 가져감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특히, 전술한 세이빙모드로의 운전시에는 첨부된 도 7과 같이 냉매 유동 안내밸브(323)의 제어를 통해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322)로 냉매가 유동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더 적은 냉매측 저항을 유도함으로써 압축기(100)의 운전율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그 운전 제어 과정에 의해 냉장고 운전시 주가 되는 세이빙모드에서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압축기(100)의 운전율에 대한 증가폭의 감소 및 입력되는 소비 전력의 감소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동싸이클의 구조에 상대적으로 높은 증발온도를 갖는 별도의 보조 증발기(510)를 더 구비함이 제시된다.
이 때, 상기 보조 증발기(510)는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322)와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500) 사이의 냉매가 유동하는 관로상에 구비되며, 냉장실용 증발기(5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매 유동 거리가 짧게 형성됨으로써 보다 높은 증발온도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 보조 증발기(510)의 냉매 유출측은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321)의 냉매 유출측 혹은, 냉장실용 증발기(500)의 냉매 유입측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보조 증발기(510)는 야채실 등과 같이 비교적 높은 온도로의 냉장 보관을 필요로하는 부위에 구비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동싸이클의 운전 과정은 대략 제1실시예에서의 운전과정과 동일하며, 단지 세이빙모드로의 운전시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322)를 통과하면서 팽창된 냉매가 상기 보조 증발기(510)를 통과한 후 냉장실용 증발기(500)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렇듯, 상기한 보조 증발기(510)에 의해 냉매의 유동 거리가 길어진다면 적은 냉력 하에서도 충분한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운전인 적은 냉력만을 사용하는 세이빙모드로의 운전에 전체적인 시스템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운전율의 감소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즉, 적은 냉력만을 사용하는 세이빙모드로의 운전시 냉동싸이클의 효율이 최적화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 중 냉력 가변형 압축기가 파워모드로 운전될 경우의 냉매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 중 유량 조절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 중 유량 조절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 중 유량 조절기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 중 냉력 가변형 압축기가 파워모드로 운전될 경우의 냉매 흐름에 대한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 중 냉력 가변형 압축기가 세이빙모드로 운전될 경우의 냉매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싸이클 중 냉력 가변형 압축기가 세이빙모드로 운전될 경우의 냉매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압축기 200. 응축기
310. 냉동실용 팽창밸브 321.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
322.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 323. 냉매 유동 안내밸브
400. 냉동실용 증발기 500. 냉장실용 증발기
510. 보조 증발기 600. 유량 조절기
610. 제1몸체 620. 제2몸체
621. 제1유출유로 622. 제2유출유로
623. 제3유출유로 624. 제4유출유로
630. 회전판 631. 연통공
640. 구동모터 700. 댐핑부

Claims (8)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하면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의 유동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기;
    상기 유량 조절기로부터 제공받은 냉매를 팽창하는 냉동실용 팽창밸브;
    상기 냉동실용 팽창밸브를 통해 팽창된 냉매를 유입받아 열교환하는 냉동실용 증발기;
    상기 냉동실용 팽창밸브와는 별도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유량 조절기로부터 제공받은 냉매를 팽창하는 냉장실용 팽창밸브; 그리고,
    상기 냉장실용 팽창밸브를 통해 팽창된 냉매를 유입받아 열교환하는 냉장실용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기는
    상기 응축기의 냉매 유출측 관로와 연통된 제1몸체와;
    상기 냉동실용 팽창밸브의 냉매 유입측 관로와 연통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냉동실측 냉매 유출유로 및 상기 냉장실용 팽창밸브의 냉매 유입측 관로와 연통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냉장실측 냉매 유출유로가 각각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각 몸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몸체의 각 유출유로 중 두 개의 유출유로만이 상기 제1몸체와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된 회전판; 그리고,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용 팽창밸브는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와, 상기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매 유동 거리가 짧은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는 상기 냉동실용 팽창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매 유동거리가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의 냉매 유입측 및 냉매 유출측은 상기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의 냉매 유입측 및 냉매 유출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의 냉매 유입측과 상기 제1냉장실용 팽창밸브의 냉매 유입측간의 연결 부위에는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매 유동 안내밸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와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 사이의 냉매가 유동하는 관로 상에는
    상기 제2냉장실용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팽창된 냉매를 제공받아 냉장실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 후 상기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로 제공하는 보조 증발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증발기는 상기 냉장실용 증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냉매 유동거리가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 및 냉장실용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유입받아 압력 균형을 이루도록 한 상기 압축기로 제공하는 댐핑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KR1020040000623A 2004-01-06 2004-01-06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KR100577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623A KR100577261B1 (ko) 2004-01-06 2004-01-06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623A KR100577261B1 (ko) 2004-01-06 2004-01-06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246A true KR20050072246A (ko) 2005-07-11
KR100577261B1 KR100577261B1 (ko) 2006-05-10

Family

ID=3726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623A KR100577261B1 (ko) 2004-01-06 2004-01-06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2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525B1 (ko) * 2005-01-2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구동 스위치 레벨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뮬레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525B1 (ko) * 2005-01-2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구동 스위치 레벨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261B1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88783A (ja) 冷蔵庫
US9982927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4006467B1 (en) Refrigerator
KR10214448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370565B1 (ko) 냉장고
US7574872B2 (en) Capacity-variable air conditioner
EP3217120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74375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577261B1 (ko)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KR102287961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23759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3224A (ko) 냉장 장치의 냉매 순환 시스템
KR100531325B1 (ko)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및 이의 운전 제어 방법
KR10215305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5134080A (ja) 冷蔵庫
JP4013875B2 (ja) 冷凍冷蔵庫
JP2005188784A (ja) 冷蔵庫
JP4108003B2 (ja) 冷凍システム
KR20050063218A (ko) 직냉식 냉장고용 냉동싸이클 및 이의 운전 제어 방법
KR102255294B1 (ko) 냉장고
EP3217122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0458317C (zh) 直冷式电冰箱用制冷循环装置
JP2005106366A (ja) 冷凍システム
KR20200099508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44715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