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995A - 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signal input/output path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signal input/output path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995A
KR20050071995A KR1020040000413A KR20040000413A KR20050071995A KR 20050071995 A KR20050071995 A KR 20050071995A KR 1020040000413 A KR1020040000413 A KR 1020040000413A KR 20040000413 A KR20040000413 A KR 20040000413A KR 20050071995 A KR20050071995 A KR 20050071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ain body
input
video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1995A/en
Publication of KR2005007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99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영상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본체가 연결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는, 본체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본체로 입력되어질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본체 연결부, 영상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외부장치로 입력되어질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본체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본체 연결부 및 입/출력부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본체 연결부 및 입/출력부 중 다른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크래들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와 외부 A/V장치들간에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게 되어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와 외부 A/V장치간에 별도로 케이블을 연결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n input /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for a video signal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he input /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of a video signal connected to a main body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a video signal receives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ain body, and a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to be input to the main body, Any one of a main body connection unit and an input / output unit based on an input / output unit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output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to be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And a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main unit to be output through any one of a connection unit and an input / output unit. As a result, the cradle automatically sets a path through which a video signal is transmitted between the portable compound device and the external A / V devic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compound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to connect the cable separately between the external A / V devices.

Description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signal input/output path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I / O pa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for video signal and its method {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signal input / output path automatically and method

본 발명은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신호를 재생 및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되며,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와 외부 A/V장치들간에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 output paths of a video signal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mposite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and storing a video signal, and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for a video signal that can automatically set a path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between external A / V devices, and a method thereof.

휴대용 복합장치란 캠코더(camcorder),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보이스 레코더(voice recoder), 데이터 저장장치, 및 웹 카메라(web camera) 등의 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손에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용 복합장치는,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룬 디지털 기술이 캠코더와 같은 영상처리장치에 접목되어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Portable multi-function devices have functions such as camcorders, digital cameras, MP3 players, voice recorders, data storage devices, and web cameras, and are compact for users to carry and use. Says the device. Such portable composite devices can be implemented by incorporating notable digital technologies into image processing devices such as camcorders.

최근 출시되고 있는 캠코더는 외부 A/V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캠코더를 통해 재생하거나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캠코더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외부 A/V장치로 출력하여, 외부 A/V장치에 재생되게 할 수 있다.Recently released camcorders are capable of playing or recording through a camcorder by receiv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an external A / V device.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recorded in the camcorder can be output to an external A / V device for playback on the external A / V device.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사용설명서를 참조하여, 캠코더의 입력단자와 외부 A/V장치의 출력단자를 케이블로 연결하여야 하고, 캠코더의 출력단자와 외부 A/V장치의 입력단자를 케이블로 연결하여야 하는바,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do this, the user should connect the input terminal of the camcorder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external A / V device with a cable, referring to the user manu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amcorde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external A / V device with a cable. It should be done,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캠코더의 동작모드(외부입력 기록모드 또는 외부 A/V장치를 통한 재생모드)에 따라, 케이블이 연결되어져야할 입/출력단자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은 배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amcorder's operation mode (external input recording mode or playback mode via an external A / V device), the user's inconvenience may be doubled because the input / output terminals to which the cable should be connected are different.

특히, 캠코더나 외부 A/V장치에 구비된 입/출력단자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이를 연결함에 있어 사용자는 큰 혼란을 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연결이 잘못되어 장치들간 영상신호의 전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제품의 고장으로 오판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number of input / output terminals provided in the camcorder or the external A / V device is large, in connection with this, the user may be greatly confused. As a result, if the connection is incorrect and the video signals are not properly transmitted between devices, the user may mistake it as a product fail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를 재생 및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되며,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와 외부 A/V장치들간에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 portable composite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and storing video signals,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and the exter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n input / output path of a video signal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a path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between A / V devi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본체가 연결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는, 상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본체로 입력되어질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본체 연결부;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외부장치로 입력되어질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 연결부 및 상기 입/출력부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 연결부 및 상기 입/출력부 중 다른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put and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of the video signal connected to the main body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the video signal, receiv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ain body, input to the main body A main body connecting unit for outputting the video signal to be output; An input / out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the video signal and to output the video signal to be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And switching the video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main body connecting unit and the input / output unit to be output through any one of the main body connecting unit and the input / output uni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It includes a switching unit.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온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 연결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power-on of the main body, the switching unit may switch to output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input / output unit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on unit.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본체가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 연결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The switching unit may switch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nput / output unit to be output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on unit when the main body operates in a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Can be.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온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본체 연결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power-on of the main body, the switching unit may switch to output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connection unit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본체가 기저장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본체 연결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operates in a reproducing mode for reproducing the pre-stored vide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e switching unit may switch such that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connecting unit is out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have.

그리고,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외부장치로 입력되어질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unit may inclu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a first external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the image signal;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video signal to be input to a second exter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video signal.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오프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power-off of the main body, the switching unit may switch to output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through the output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본체 및 외부장치간 영상신호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은, a) 상기 본체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다른 어느 하나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signal input and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metho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xternal device that can input / output video signals, a)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body; And b) switching the image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rnal device to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온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the step b),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the power-on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switch to output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main body.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체가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Also, in the step b), when the main body operates in a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may be switched to be output to the main body. .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온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외부장치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the step b),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the power-on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switch to output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to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체가 기저장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외부장치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Also, in the step b), when the main body operates in a reproducing mode for reproducing the pre-stored vide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may be switched to be output to the external device. .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외부장치 및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외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오프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1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first external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the video signal and a second exter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video signal, and in step b), 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power of the main body. In the case of -off, it is preferable to switch so that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is output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에는, 피사체의 촬영에 사용되는 렌즈부(211), 리모콘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111),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113), PC나 프린터와 직렬통신하기 위한 USB단자(115) 및 전원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케이블 연결단자(117)가 마련된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nd right sid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A,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composite apparatus includes a lens unit 211 used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111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ler signal, and an earphone terminal 113 for connecting earphones. Power supply cable connection terminal 117 is provided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through a USB terminal 115 and a power supply (not shown) for serial communication with a PC or a printer.

이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부에는 주로 외부장치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단자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휴대용 복합장치의 우측면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포토버튼(231a)과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121)가 마련된다.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상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271)가 마련된다.In this way, the front portion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is provided with a terminal mainly used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the right sid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photo button 231a for taking a still image and a battery for mounting a battery therein The cover 121 is provided. In addition, a microphone 271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에는, 삼각대(Tripod)를 장착하기 위한 삼각대 고정부(131)과 크래들(미도시)을 통해, 전원과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크래들 연결단자(133)가 마련된다.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As illustrated in FIG. 1B, a cradle connection terminal for receiving a power and video signal through a tripod fixing unit 131 and a cradle (not shown) for mounting a tripod on a lower surfac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133 is provided.

이하에서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조작버튼에 대해,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상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복합장치의 조작버튼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또는 LCD패널(150)에 대부분이 마련되어 있다.Hereinafter, operation button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ortable composit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C. Figure 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and left sid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user, as shown in Figure 1c, the operation button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the rear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or the LCD panel 150 is provided in most.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하기 위한 줌스위치(231b),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버튼(231c),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저장/재생/파워오프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메뉴버튼(231e), LCD(243)에 디스플레이된 메뉴화면상에서 커서를 특정메뉴로 이동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다이얼(231f)이 마련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C,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composite apparatus includes a zoom switch 231b for zooming in / zooming out the lens unit 211 and a shooting button 231c for capturing a video. ), An operation mode selection switch 231d fo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storage / playback / power-off mod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a menu button 231e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on the LCD 243, and an LCD 243. A menu dial 231f is provided for moving the cursor to a specific menu on the menu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and selecting a menu i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또한,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에는, 메모리카드을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결합부(143)와 표시등(141)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등(141)은 전원표시등과 충전표시등으로 구성되는데, 전원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파워온'되었을때 발광하며, 충전표시등은 휴대용 복합장치가 충전중일때는 오랜지색 빛을, 충전이 완료되면 푸른색 빛을 발광한다.In addition, the rear side of the portable composite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memory card engaging portion 143 and an indicator light 141 for mounting a memory card. The indicator light 141 is composed of a power indicator and a charging indicator. The power indicator emits light when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is 'powered on', and the charging indicator light is orange when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is being charged. Emits color light.

그리고, 휴대용 복합장치에 대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결합된 LCD패널(150)에는, 촬영/재생되는 영상과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243), 메뉴화면을 LCD(243)에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모드버튼(231g), 되감기(◀◀)버튼(231h), 빨리감기(▶▶)버튼(231i), 재생/정지(▶∥)버튼(231j), 정지(■)버튼(231k)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LCD panel 150 couple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has a mode button for displaying the LCD screen 243 and a menu screen on which the image and menu screen to be photographed and reproduced are displayed. (231g), rewind (◀◀) button 231h, fast forward (▶▶) button 231i, play / stop (▶ ∥) button 231j, and stop (■) button 231k are provided.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휴대용 복합장치는 촬영부(210), NTSC/PAL(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Phase Alternation Line) 디코더(220), 조작부(231), 제2 제어부(233),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235), 표시부(240), 저장부(250),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부(261),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263), 오디오 신호처리부(270) 및 메인 제어블럭(300)을 구비한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composite device. The portable composite apparatus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210, a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 Phase Alternation Line (NTSC / PAL) decoder 220, an operation unit 231, a second control unit 233, a flash memory 235, A display unit 240, a storage unit 250,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unit 261, a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 263, an audio signal processor 270, and a main control block 300 are provided. do.

촬영부(2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210)는 렌즈부(211), 렌즈구동부(213), CCD(Charge Coupled Device)(215) 및 CDS/AGC/ADC(Correlated Double Sampler/Auto Gain Controller/Analaog-to-Digital converter)(217)를 구비한다.The photographing unit 210 photoelectrically converts an optical signal incident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process on the converted signal. The photographing unit 210 performing such a function includes a lens unit 211, a lens driving unit 213, a charge coupled device (CCD) 215, and a correlated double sampler / auto gain controller / analaog- CDS / AGC / ADC. to-digital converter) 217.

렌즈구동부(213)는 제2 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렌즈부(211)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2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렌즈부(2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The lens driver 213 drives the lens unit 211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233. Specifically, the lens driving unit 213 zooms in / zooms out the lens unit 211 and focuses the lens unit 211. It adjusts automatically,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aperture (not shown) provided in the lens unit 211.

CCD(215)는 렌즈부(21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즉, 피사체의 광학상은 렌즈부(211)에 의해 CCD(215)의 광학면상에 상이 맺혀지며, CCD(215)는 감광면상에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수평과 수직의 주사에 의해 1차원의 전기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The CCD 215 converts the optical image incident through the lens unit 21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hat is, the optical image of the subject is formed on the optical surface of the CCD 215 by the lens unit 211, and the CCD 215 converts the optical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scan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utput in the form of electrical signals in dimensions.

CDS/AGC/ADC(217)는 CCD(2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상관이중 샘플링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를 사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자동이득제어회로(Auto Gain Controlling Circuit)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 컨버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The CDS / AGC / ADC 217 removes noise from a signal output from the CCD 215 using a 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 and uses an auto gain control circuit. Adjust the gain so that the level of the signal remains constant and convert it to a digital signal using an A / D converter.

NTSC/PAL 디코더(220)는 비디오라인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에 전달한다. NTSC방식이나 PAL방식은 표준화된 텔레비젼 출력방식의 하나로서 국내에는 NTSC방식을 사용하고, 유럽지역에서는 PAL방식을 사용한다. The NTSC / PAL decoder 220 converts an NTSC or PAL signal input through a video line input terminal (not shown) into a digital signal and delivers the digital signal to the main control block 300. NTSC or PAL is one of the standardized television outputs. NTSC is used in Korea and PAL is used in Europe.

메인 제어블럭(300)은 촬영부(210), NTSC/PAL 디코더(220), USB 인터페이스부(261)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또한, 메인 제어블럭(300)은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장하여 표시부(240)에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처리부(270)에 인가할 수 있다. 메인 제어블럭(300)은 이외에도 장치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폼의 소형화를 위해 하나의 칩으로 제작된다.The main control block 300 compresses a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210, the NTSC / PAL decoder 220, and the USB interface unit 261 into data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250.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block 300 may exten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and apply it to the display unit 240. The data received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27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250, and the stored data may be applied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270. In addition to the main control block 3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device, it is made of a single chip for the miniaturization of the Z-Form.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블럭(30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310), ODM(Optical Detection Module)(320), MUX(Multiplexer)(330), CODEC(340), GUI(Graphical User Interface)생성부(350), 제1 제어부(360),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CF(Compact Flash) 인터페이스부(373), DMA(Direct Memory Access)(375) 및 시스템 버스(380)를 구비한다.The main control block 300 performing such a function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310, an optical detection module (ODM) 320, a multiplexer (330), a codec (340), and a graphical user (GUI). Interface (350), first controller 360, memory card interface 371, CF (Compact Flash) interface 373, DMA (Direct Memory Access) 375 and system bus 380 Equipped.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한 후, MUX(330) 또는 시스템 버스(380)로 인가한다. 또한, DSP(310)는 촬영부(2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신호를 휘도(Luminance:Y)신호와 크로미넌스(Chrominance:C)신호로 분리하여 ODM(320)에 인가한다.The DSP 310 performs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210, and then applies the DSP 310 to the MUX 330 or the system bus 380. In addition, the DSP 310 separates the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210 into a luminance (Y) signal and a chrominance (Crominance: C) signal and applies the ODM signal to the ODM 320.

ODM(320)은 DSP(310)로부터 인가받은 Y신호와 C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정보인 ODM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제어부(36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ODM데이터는 CCD(215)에 입사되는 광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AE(Auto Exposure)데이터,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기 위한 AF(Auto Focus)데이터, 광원의 색온도에 따른 색치우침 현상을 자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AWB(Auto White Balance)데이터 등을 포함한다.The ODM 320 generates ODM data, which is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Y signal and the C signal received from the DSP 310, and outputs the ODM data to the first controller 360. Specifically, the ODM data includes AE (Auto Exposure) data for optimizing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CCD 215, AF (Auto Focus) data for automatically focusing the focus lens, and color shift due to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source. It includes AWB (Auto White Balance) data for automatic correction.

MUX(330)는 DSP(310)의 출력신호 및 NTSC/PAL 디코더(220)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CODEC(340) 및 GUI생성부(350) 중 어느 하나로 인가한다.The MUX 330 applies either the output signal of the DSP 310 or the output signal of the NTSC / PAL decoder 220 to any one of the CODEC 340 and the GUI generator 350.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고, 필요시 압축된 데이터를 다시 신장한다. 구체적으로, CODEC(340)은 입력되는 데이터가 동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MPEG4 포맷으로 압축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정지영상데이터인 경우에는 JPEG 포맷으로 압축한다.The CODEC 340 compresses the input data into a predetermined format and expands the compressed data again if necessary. Specifically, the CODEC 340 compresses the MPEG4 format when the input data is moving picture data, and compresses the JPEG data in the JPEG format when the input data is still picture data.

GUI생성부(350)에는 GUI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메뉴화면과 같은 그래픽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GUI생성부(350)는 제1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해, MUX(33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메뉴화면을 조합할 수 있다. 메뉴화면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 선택시 사용자의 편의성 도모를 위해 제공되는 그래픽 화면이다.The GUI generating unit 350 stores graphic data such as a menu screen necessary for building a GUI environment, and the GUI generating unit 350 outputs an image output from the MUX 330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360. You can combine menu screens. The menu screen is a graphic screen provided for the user's convenience when selecting a function of the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제1 제어부(360)는 메인 제어블럭(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32비트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프로세서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360)는 CODEC(340)과 GUI생성부(350)의 동작을 제어하며, ODM(320)으로부터 인가받은 ODM데이터 중 AE데이터와 AF데이터를 제2 제어부(233)로 전달한다.The first control unit 360 is a 32-bit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RISC) processor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block 300. In detail, the first control unit 36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CODEC 340 and the GUI generation unit 350, and converts the AE data and the AF data from the ODM data received from the ODM 320 to the second control unit 233. To pass.

또한, 제1 제어부(360)는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각종 외부 디바이스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380)에는 메모리카드(251)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 TIC(253)를 통해 HDD(255)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CF 인터페이스부(373),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261), DMA(375) 및 오디오 신호처리부(270)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360 may interface with various external devices through the system bus 380. The system bus 380 includes a memory card interface 371 for interfacing with the memory card 251, a CF interface 373 for interfacing with the HDD 255 through the TIC 253, a PC or a printer as an external device. The USB interface unit 261, the DMA 375, and the audio signal processor 270 for interfacing with the control unit are connected.

조작부(231)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조작부(231)에는 도 1c에서 설명한, 포토버튼(231a), 줌스위치(231b), 촬영버튼(231c), 동작모드 선택스위치(231d), 메뉴버튼(231e), 메뉴다이얼(231f), 모드버튼(231g) 등이 마련된다. The operation unit 231 is a user interface device for receiving operation commands related to function selection and operation control of the portable multi-device. The operation unit 231 has a photo button 231a, a zoom switch 231b, a shooting button 231c, an operation mode selection switch 231d, a menu button 231e, a menu dial 231f, and a mode butt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31 g and the like are provided.

제2 제어부(233)는 조작부(23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제1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또한, 제2 제어부(233)는 제1 제어부(360)로부터 전달받은 AE데이터와 AF데이터에 기초하여 렌즈구동부(213)를 제어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33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related to function selection and operation control from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unit 231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control unit 360.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ler 233 controls the lens driver 213 based on the AE data and the AF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controller 360.

플래쉬 메모리(235)는 제1 제어부(360)에서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등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전원이 꺼져도 보관되어야 할 중요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다.The flash memory 235 stores a system program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uch as a booting program required by the first controller 360, and important data and applications to be stored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표시부(240)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240)는 NTSC/PAL인코더(241)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243)를 구비한다.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an image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block 300. The display unit 240 performing such a function includes an NTSC / PAL encoder 241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243.

NTSC/PAL 인코더(241)는 메인 제어블럭(3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LCD(243)와 외부장치인 TV로 인가한다.The NTSC / PAL encoder 241 convert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block 300 into an NTSC or PAL video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LCD 243 and an external device TV.

LCD(243)는 NTSC/PAL 인코더(241)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The LCD 243 is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received from the NTSC / PAL encoder 241.

저장부(250)에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부(250)는 메모리카드(251), TIC(253) 및 HDD(255)를 구비한다.The storage unit 250 stores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lock 300. The storage unit 250 performing such a function includes a memory card 251, a TIC 253, and an HDD 255.

메모리카드(251)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로서, 휴대용 복합장치에 장착/분리할 수 있는 착탈식 IC 메모리카드의 일종이다. The memory card 251 is a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image data applied from the main control block 300 and is a type of a removable IC memory card that can be mounted / removed in a portable composite device.

TIC(Transition IC)(253)는 CF 인터페이스부(373)와 HDD(255) 사이의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범용성이 높아 호환성이 뛰어나다. 즉, HDD(255)는 TIC(253)를 통해 컴팩트 플래쉬 인터페이스로 변환된 후 메인 제어블럭(300)과 연결된다.The transition IC (TIC) 253 is used to provide a compact flash interface between the CF interface unit 373 and the HDD 255, and is highly versatile and has excellent compatibility. That is, the HDD 255 is converted into the compact flash interface through the TIC 253 and then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block 300.

HDD(255)는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The HDD 255 is a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image data applied from the main control block 300.

USB 인터페이스부(261)는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The USB interface unit 261 performs an interface with a PC or a printer, which is an external device.

SDRAM(263)은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버퍼로서 기능한다.The SDRAM 263 functions as a buffer that stores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multi-device.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하고,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270)는 마이크(271) 및 오디오 CODEC(273)를 구비한다.The audio signal processor 270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process on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applies the signal to the main control block 300 and the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lock 300. Perform the process and output to the external audio device. The audio signal processor 270 performing such a function includes a microphone 271 and an audio CODEC 273.

마이크(27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The microphone 271 converts an acoustic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오디오 CODEC(273)은 마이크(271) 또는 외부 오디오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압축하여 메인 제어블럭(300)으로 인가한다. 또한, 오디오 CODEC(273)은 메인 제어블럭(300)으로부터 인가받은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오디오장치로 전송한다.The audio CODEC 273 converts an analog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71 or an external audio device into a digital signal, compresses it into data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applies it to the main control block 300. In addition, the audio CODEC 273 expands the compressed data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lock 300, converts the compressed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o an external audio device.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크래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크래들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크래들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크래들에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crad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cradle,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cradle, Figure 3c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is seated in the cradl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0)의 전면에는 본체에 해당하는 휴대용 복합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410), 본체의 파워온/오프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전원버튼(421), 본체의 LCD(243)에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메뉴버튼(423), 리모콘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425), 본체의 크래들 연결단자(133)와 연결되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을 전송하는 본체 연결단자(427)를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3a, the front of the cradle 400, the support 410 for supporting a portable composit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the power button 421 for selecting whether to power on / off, the LCD of the main body A menu button 423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on the display 243,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425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connected to the cradle connecting terminal 133 of the main body, supplies power to the main body, and external devices It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connecting terminal 427 for transmitting an image received from.

지지대(410)는 투명아크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투명아크릴의 한쪽 측면에는 LED(미도시)가 접촉되어 있어, LED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명아크릴로 투사된다. LED는 현재의 모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복합장치가 파워온 상태인 경우에는 적색 빛을, 휴대용 복합장치가 충전중인 경우에는 오랜지색 빛을, 충전이 완료된 경우에는 청색 빛을 발광한다.Support 410 may be implemented in a transparent acrylic, one side of the transparent acrylic is in contact with the LED (not show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is projected to the transparent acrylic. LEDs can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current mode. Specifically, when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is in a power-on state, red light is emitted, when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is being charged, orange light is emitted, and when charging is completed, blue light is emitted.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0)의 후면에는 배터리만을 충전하는 경우에 배터리를 안착하기 위한 배터리 슬롯(430), 전원공급기(미도시)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 케이블 연결단자(441), AV 출력단자(443), 슈퍼비디오영상 출력단자(445), AV 입력단자(447) 및 슈퍼비디오영상 입력단자(447)가 구비된다. And, as shown in Figure 3b, the rear of the cradle 400, the battery slot 430 for seating the battery when only charging the battery, the power supply cabl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hrough a power supply (not shown) A terminal 441, an AV output terminal 443, a super video image output terminal 445, an AV input terminal 447, and a super video image input terminal 447 are provided.

한편, 도 3c에는, 크래들(400)에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된 경우를 도시하였다.Meanwhile, FIG. 3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is mounted on the cradle 400.

이하에서는, 크래들의 영상신호 입출력경로 자동절환기능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영상신호 입출력경로 자동절환기능을 제공하는 크래들(400), 크래들(400)에 안착되는 휴대용 복합장치(이하, '본체'라 한다.), 외부 A/V장치인 제1 TV(510)와 제2 TV(520)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크래들(400)과 본체를 도시함에 있어서는, 영상신호 입출력경로 자동절환기능과 관련된 모듈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저장부 인터페이스부(370)는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부(371)와 CF 인터페이스부(373)를 의미한다.Hereinafter,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video signal input / output path of the crad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illustrates a cradle 400 that provides automatic switching of an image signal input / output path, a portable composite device seated on the cradle 4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dy”), and an external A / V device, the first TV 510. ) And a second TV 520 is shown. In addition, in the cradle 400 and the main body, only the modules related to the video signal input /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are illustrated. In addition, the storage interface unit 370 means the memory card interface unit 371 and the CF interface unit 373.

크래들(400)은 본체 연결단자(427), 스위칭부(450), 영상 입력단자(448) 및 영상 출력단자(444)를 구비한다.The cradle 400 includes a main body connecting terminal 427, a switching unit 450, an image input terminal 448, and an image output terminal 444.

본체 연결단자(427)는 본체의 크래들 연결단자(133)와 연결되며, 상호간에 영상신호와 제어신호가 입/출력된다.The main body connecting terminal 427 is connected to the cradle connecting terminal 133 of the main body, and video signals and control signals are input / output to each other.

영상 입력단자(448)는 제1 TV(510)의 영상출력단자(515)와 연결되며, 제1 TV(5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 한편, 영상 입력단자(448)는 AV입력단자(447)와 슈퍼비디오영상 입력단자(449)로 구성된다.The image input terminal 448 is connected to the image output terminal 515 of the first TV 510 and receive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V 510. On the other hand, the video input terminal 448 is composed of an AV input terminal 447 and a super video video input terminal 449.

영상 출력단자(444)는 제2 TV(520)의 영상입력단자(525)와 연결되며, 제2 TV(520)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영상 출력단자(444)는 AV출력단자(443)와 슈퍼비디오영상 출력단자(445)로 구성된다.The video output terminal 444 is connected to the video input terminal 525 of the second TV 520 and outputs a video signal to the second TV 520.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444 is composed of an AV output terminal 443 and the super video image output terminal 445.

스위칭부(450)는 제1 TV(5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본체 또는 제2 TV(520)로 출력할 수 있고,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제2 TV(520)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부(450)는 본체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영상신호의 입출력 경로를 설정한다.The switching unit 450 may output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first TV 510 to the main body or the second TV 520, and may output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to the second TV 520. . The switching unit 450 is switched by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o set the input / output path of the video signal as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스위칭부(4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스위칭부(450)가 제1 TV(510)로부터 입력받는 영상신호를 'I/T 신호'(Input/TV)로, 스위칭부(450)에서 제2 TV(520)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O/T신호'(Output/TV)로, 스위칭부(450)에서 본체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O/M신호'(Output/Main device)로, 스위칭부(450)가 본체로부터 입력받는 신호를 'I/M신호'(Input/Main device)로 명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witching unit 4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witching unit 450 outputs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TV 510 to an 'I / T signal' (Input / TV) and the switching unit 450 to the second TV 520. The video signal is converted into an 'O / T signal' (Output / TV), and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ing unit 450 to the main body is converted into an 'O / M signal' (Output / Main devic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will be named 'I / M signal' (Input / Main device).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칭부(450)는 제1 스위칭부(451), 제2 스위칭부(453) 및 제3 스위칭부(45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witching unit 450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451, a second switching unit 453, and a third switching unit 455.

제1 스위칭부(451)는 영상신호들 중 Audio_Right(A_R) 신호와 Video(V) 신호의 입출력 경로를 설정한다.The first switching unit 451 sets the input / output paths of the Audio_Right (A_R) signal and the Video (V) signal among the image signals.

구체적으로, 본체로부터 입력받은 A_R 신호('I/M_A_R'신호)는 단자 '3'으로 인가되고, V 신호('I/M_V'신호)는 단자 '6'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제1 TV(510)로부터 입력받은 A_R 신호('I/T_A_R'신호)는 단자 '12'로 인가되고, V 신호('I/T_V'신호)는 단자 '9'로 인가된다.Specifically, the A_R signal ('I / M_A_R'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is applied to the terminal '3', and the V signal ('I / M_V' signal) is applied to the terminal '6'. The A_R signal ('I / T_A_R' signal) input from the first TV 510 is applied to the terminal '12', and the V signal ('I / T_V' signal) is applied to the terminal '9'.

또한, 제2 TV(520)로 출력되는 A_R 신호('O/T_A_R'신호)는 단자 '4'에서 출력되고, V 신호('O/T_V'신호)는 단자 '7'에서 출력된다. 그리고, 본체로 출력되는 A_R 신호('O/M_A_R'신호)는 단자 '13'에서 출력되고, V 신호('O/M_V'신호)는 단자 '10'에서 출력된다.In addition, the A_R signal ('O / T_A_R' signal) output to the second TV 520 is output at the terminal '4', and the V signal ('O / T_V' signal) is output at the terminal '7'. The A_R signal ('O / M_A_R' signal) output to the main body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3', and the V signal ('O / M_V' signal)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

그리고, 제1 스위칭부(451)의 단자 '1'에는 본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인가된다.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body is applied to the terminal '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제2 스위칭부(453)는 영상신호들 중 Supervideo_Y(S_Y) 신호와 Supervideo_C(S_C) 신호의 입출력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switching unit 453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an input / output path between the Supervideo_Y (S_Y) signal and the Supervideo_C (S_C) signal among the image signals.

구체적으로, 본체로부터 입력받은 S_Y 신호('I/M_S_Y'신호)는 단자 '3'으로 인가되고, S_C 신호('I/M_S_C'신호)는 단자 '6'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제1 TV(510)로부터 입력받은 S_Y 신호('I/T_S_Y'신호)는 단자 '12'로 인가되고, S_C 신호('I/T_S_C'신호)는 단자 '9'로 인가된다.Specifically, the S_Y signal ('I / M_S_Y'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is applied to the terminal '3', and the S_C signal ('I / M_S_C' signal) is applied to the terminal '6'. The S_Y signal ('I / T_S_Y'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V 510 is applied to the terminal '12', and the S_C signal ('I / T_S_C' signal) is applied to the terminal '9'.

또한, 제2 TV(520)로 출력되는 S_Y 신호('O/T_S_Y'신호)는 단자 '4'에서 출력되고, S_C 신호('O/T_S_C'신호)는 단자 '7'에서 출력된다. 그리고, 본체로 출력되는 S_Y 신호('O/M_S_Y'신호)는 단자 '13'에서 출력되고, S_C 신호('O/M_S_C'신호)는 단자 '10'에서 출력된다.In addition, the S_Y signal ('O / T_S_Y' signal) output to the second TV 520 is output at the terminal '4', and the S_C signal ('O / T_S_C' signal) is output at the terminal '7'. The S_Y signal ('O / M_S_Y' signal) output to the main body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3', and the S_C signal ('O / M_S_C' signal) is output from the terminal '10'.

그리고, 제2 스위칭부(453)의 단자 '1'에는 본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인가된다.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body is applied to the terminal '1'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453.

제3 스위칭부(455)는 영상신호들 중 Audio_Left(A_L) 신호의 입출력 경로를 설정한다.The third switching unit 455 sets the input / output path of the Audio_Left (A_L) signal among the image signals.

구체적으로, 본체로부터 입력받은 A_L 신호('I/M_A_L'신호)는 단자 '3'으로 인가되고, 제1 TV(510)로부터 입력받은 A_L 신호('I/T_A_L'신호)는 단자 '12'로 인가된다. 그리고, 제2 TV(520)로 출력되는 A_L 신호('O/T_A_L'신호)는 단자 '4'에서 출력되고, 본체로 출력되는 A_L 신호('O/M_A_L'신호)는 단자 '13'에서 출력된다.Specifically, the A_L signal ('I / M_A_L'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is applied to the terminal '3', and the A_L signal ('I / T_A_L' signal) input from the first TV 51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2'. Is applied. The A_L signal ('O / T_A_L' signal) output to the second TV 520 is output at the terminal '4', and the A_L signal ('O / M_A_L' signal) output to the main body is output at the terminal '13'. Is output.

그리고, 제3 스위칭부(455)의 단자 '1'에는 본체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인가된다.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body is applied to the terminal '1' of the third switching unit 455.

이하에서는, 영상신호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ideo signal input /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크래들(400)은 본체가 '파워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0). 본체가 '파워온'된 경우, 본체의 제2 제어부(233)는 이를 알리는 제어신호를 크래들 연결단자(133)와 본체 연결단자(427)를 통해 스위칭부(450)로 인가한다. 그리고, 스위칭부(450)를 이 제어신호를 검출함으로서 본체가 '파워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4 and 6, first, the cradle 400 determines whether the main body is 'powered on' (S610). When the main body is 'powered on', the second control unit 233 of the main body applies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is to the switching unit 450 through the cradle connecting terminal 133 and the main body connecting terminal 427. The switching unit 450 detects this control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main body is 'powered 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체가 '파워온'된 경우, 제어신호는 논리레벨 'Low'신호이며, 이 신호는 트랜지스터(Q)를 '턴-온'시켜, 결국 제1 스위칭부(451)의 단자 '1'에는 논리레벨 'High'신호가 인가된다. 제1 스위칭부(451)는 단자 '1'에 논리레벨 'High'신호가 인가되면, 본체가 '파워온'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when the main body is 'powered on', the control signal is a logic level 'Low' signal, which causes the transistor Q to be 'turned on', resulting in a first switching unit. A logic level 'High' signal is applied to terminal '1' of 451. When the logic level 'High' signal is applied to the terminal '1',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determines that the main body is 'powered on'.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체가 '파워오프'된 경우, 제어신호는 논리레벨 'High'신호이며, 이 신호는 트랜지스터(Q)를 '턴-오프'시켜, 결국 제1 스위칭부(451)의 단자 '1'에는 논리레벨 'Low'신호가 인가된다. 제1 스위칭부(451)는 단자 '1'에 논리레벨 'Low'신호가 인가되면, 본체가 '파워오프'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when the main body is 'powered off', the control signal is a logic level 'High' signal, which causes the transistor Q to be 'turned off', resulting in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The logic level 'Low' signal is applied to terminal '1'. When the logic level 'Low' signal is applied to the terminal '1',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determines that the main body is 'powered off'.

한편, 도 7과 도 8에서는, 제1 스위칭부(451)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2 스위칭부(453)와 제3 스위칭부(455)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7 and 8 illustrate only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453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455.

다시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610단게에서 본체가 '파워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칭부(450)는 접점 'a1'과 접점 'b1'이 연결되고, 접점 'a2'와 접점 'b2'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S620).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agai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10 that the main body is 'powered on', the switching unit 450 switches so that the contact 'a1' and the contact 'b1' are connected, and the contact 'a2' and the contact 'b2' are connected (S620). .

크래들(400)에 안착된 본체는 '파워온'된 경우, '저장모드'와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저장모드'는 크래들 연결단자(133)를 통해 외부 A/V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PAL 디코더(220)에서 디코딩하고, MUX(330)를 통해 CDDEC(340)으로 전달하여 MPEG4 포맷으로 압축한 후, 시스템 버스(380)와 저장부 인터페이스부(370)를 통해 저장부(250)에 저장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이다.When the main body seated on the cradle 400 is 'powered on', the main body may operate in any one of a 'storage mode' and a 'playback mode'. 'Storage Mode' decodes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A / V device through the cradle connection terminal 133 in the NTSC / PAL decoder 220, delivers to the CDDEC (340) through the MUX 330 to MPEG4 format After compression, the system bus 380 and the storage interface unit 370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through the operation mode.

그리고, '재생모드'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영상을 저장부 인터페이스부(370)와 시스템 버스(380)를 통해 CDDEC(340)으로 전달하여 신장한 후, MUX(330)와 GUI 생성부(350)를 거쳐, NTSC/PAL 인코더(241)에서 인코딩하여, 크래들 연결단자(133)를 통해 외부 A/V장치로 출력하여 재생되도록 동작하는 모드이다.In addition, the 'playing mode' transmits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to the CDDEC 340 through the storage unit interface 370 and the system bus 380 to extend the image, and then the MUX 330 and the GUI generator. In operation 350, the NTSC / PAL encoder 241 encodes the signal to the external A / V device through the cradle connection terminal 133 to reproduce the signal.

따라서, 본체가 '저장모드'로 동작하는 경우(S630), 크래들(400)은 제1 TV(5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영상 입력단자(448), 스위칭부(450) 및 본체 연결단자(427)를 통해, 본체의 크래들 연결단자(133)로 전달하게 된다(S640).Therefore, when the main body is operated in the 'storage mode' (S630), the cradle 400 is a video input terminal 448, the switching unit 450 and the main body connecting terminal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V 510) Through 427, it is transmitted to the cradle connecting terminal 133 of the main body (S640).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체가 '저장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스위칭부(451)는 단자 '12'로 인가되는 'I/T_A_R'신호와 단자 '13'에서 출력되는 'O/M_A_R'신호가 동일하도록, 내부에서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은 단자 '12'와 단자 '13'을 바이패스함으로서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when the main body operates in the 'storage mode',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is output from the 'I / T_A_R' signal applied to the terminal '12' and the terminal '13'. The path is set internally so that the 'O / M_A_R' signal is the same. Such a setting is possible by bypassing the terminals '12' and '13'.

또한, 제1 스위칭부(451)는 단자 '9'로 인가되는 'I/T_V'신호와 단자 '10'에서 출력되는 'O/M_V'신호가 동일하도록, 내부에서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은 단자 '9'와 단자 '10'을 바이패스함으로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sets a path internally such that the 'I / T_V' signal applied to the terminal '9' and the 'O / M_V'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10' are the same. This setting is possible by bypassing terminals '9' and '10'.

한편, 도 7에서는, 제1 스위칭부(451)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2 스위칭부(453)와 제3 스위칭부(455)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In FIG. 7, only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453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455.

다시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가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S650), 크래들(400)은 본체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본체 연결단자(427), 스위칭부(450) 및 영상 출력단자(444)를 통해, 제2 TV(520)의 영상 입력단자(525)로 전달하게 된다(S660).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again. When the main body is operated in the 'playback mode' (S650), the cradle 400 receiv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ng terminal 427, the switching unit 450 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444, the second The image input terminal 525 of the TV 520 is transferred to the terminal 525 (S660).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본체가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스위칭부(451)는 단자 '3'으로 인가되는 'I/M_A_R'신호와 단자 '4'에서 출력되는 'O/T_A_R'신호가 동일하도록, 내부에서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은 단자 '3'과 단자 '4'를 바이패스함으로서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when the main body operates in the 'playing mode',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is output from the 'I / M_A_R' signal applied to the terminal '3' and the terminal '4'. The path is set internally so that the 'O / T_A_R' signal is the same. This setting is possible by bypassing terminals '3' and '4'.

또한, 제1 스위칭부(451)는 단자 '6'으로 인가되는 'I/M_V'신호와 단자 '7'에서 출력되는 'O/T_V'신호가 동일하도록, 내부에서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은 단자 '6'과 단자 '7'을 바이패스함으로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sets a path internally such that the 'I / M_V' signal applied to the terminal '6' and the 'O / T_V'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7' are the same. This setting is possible by bypassing terminals '6' and '7'.

한편, 도 7에서는, 제1 스위칭부(451)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2 스위칭부(453)와 제3 스위칭부(455)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In FIG. 7, only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453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455.

다시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S610단게에서 본체가 '파워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칭부(450)는 접점 'b1'과 접점 'c1'이 연결되고, 접점 'b2'와 접점 'c2'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S670).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again.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610 that the main body is 'powered off', the switching unit 450 switches so that the contact 'b1' and the contact 'c1' are connected and the contact 'b2' and the contact 'c2' are connected (S670). .

따라서, 크래들(400)은 제1 TV(5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영상 입력단자(448), 스위칭부(450) 및 영상 출력단자(444)를 통해, 제2 TV(520)로 전달하게 된다(S680).Therefore, the cradle 400 transmit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V 510 to the second TV 520 through the video input terminal 448, the switching unit 450, and the video output terminal 444. (S680).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본체가 '파워오프'된 경우, 제1 스위칭부(451)는 단자 '12'로 인가되는 'I/T_A_R'신호와 단자 '4'에서 출력되는 'O/T_A_R'신호가 동일하도록, 내부에서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은 단자 '12'와 단자 '14'을 바이패스하고, 단자 '2'와 단자 '4'을 바이패스함으로서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8, when the main body is 'powered off',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outputs an 'I / T_A_R' signal applied to the terminal '12' and a 'O' output from the terminal '4'. The / T_A_R 'signal is set internally so that the signal is the same. This setting is possible by bypassing the terminals '12' and '14' and bypassing the terminals '2' and '4'.

또한, 제1 스위칭부(451)는 단자 '9'로 인가되는 'I/T_V'신호와 단자 '7'에서 출력되는 'O/T_V'신호가 동일하도록, 내부에서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은 단자 '9'와 단자 '11'을 바이패스하고, 단자 '5'와 단자 '7'을 바이패스함으로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sets a path internally such that the 'I / T_V' signal applied to the terminal '9' and the 'O / T_V'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7' are the same. This setting is possible by bypassing terminals '9' and '11' and bypassing terminals '5' and '7'.

한편, 도 8에서는, 제1 스위칭부(451)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2 스위칭부(453)와 제3 스위칭부(455)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Meanwhile, in FIG. 8, only the first switching unit 451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453 and the third switching unit 455.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A/V장치로서 TV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외부 A/V장치로서 캠코더, PC, VCR(Video Cassette Recorder), DVDP(Digital Video Disk Player)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V is described as an external A / V device as an exampl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s an external A / V device, a camcorder, a PC, a video cassette recorder (VCR), a digital video disk player (DVDP), or the like is used. Of course this can be applied.

또한, 크래들(400)의 영상 입력단자(448)와 영상 출력단자(444) 각각에 별개의 외부 A/V장치가 연결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외부 A/V장치가 크래들(400)의 영상 입력단자(448)와 영상 출력단자(444)에 모두 연결되어 구현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case where a separate external A / V devic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image input terminal 448 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444 of the cradle 400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one external A / V device is the cradle 400.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both the video input terminal 448 and the video output terminal 444 are implemen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로서 본체가 안착되는 크래들(4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크래들(400)이 아닌 별개의 장치로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radle 400 in which the main body is mount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automatic input / output path switching device of an image signal. However, the cradle 40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instead of the cradle 40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되는 크래들이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와 외부 A/V장치들간에 영상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복합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 휴대용 복합장치와 외부 A/V장치간에 별도로 케이블을 연결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on which the portable composite apparatus is seated automatically sets a path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between the portable composite apparatus and external A / V devic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composite apparatus. . 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to separately connect the cable between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and the external A / V devic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전면 및 우측면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nd right sid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도 1b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하부면을 도시한 도면,Figure 1b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도 1c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후면 및 좌측면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and left side of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도 2는 휴대용 복합장치의 내부 블럭도,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multi-device;

도 3a는 크래들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f the cradle;

도 3b는 크래들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of the cradle;

도 3c는 크래들에 휴대용 복합장치가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Figure 3c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portable composite device is mounted on the cradle,

도 4는 크래들의 영상신호 입출력경로 자동절환기능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n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of a video signal input / output path of a cradle;

도 5는 도 4의 스위칭부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5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the switching unit of FIG. 4;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6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video signal input /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제1 스위칭부가 영상신호 입출력경로를 자동절환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7 and 8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a process of automatically switching an image signal input / output path by the first switching uni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 촬영부 231 : 조작부210: recording unit 231: operation unit

233 : 제2 제어부 240 : 표시부233: second control unit 240: display unit

243 : LCD 250 : 저장부243: LCD 250: storage

251 : 메모리카드 255 : HDD251: memory card 255: HDD

300 : 메인 제어블럭 340 : CODEC300: main control block 340: CODEC

350 : GUI생성부 360 : 제1 제어부350: GUI generation unit 360: first control unit

Claims (13)

영상신호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본체가 연결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에 있어서, In the input and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of the video signal to which the main body that can input and output the video signal, 상기 본체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본체로 입력되어질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본체 연결부;A main body connecting unit which receiv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main body and outputs the video signal to be input to the main body;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외부장치로 입력되어질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입/출력부; 및An input / out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the video signal and to output the video signal to be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And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 연결부 및 상기 입/출력부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 연결부 및 상기 입/출력부 중 다른 어느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A switching for switching the video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main body connecting unit and the input / output unit to be output through any one of the main body connecting unit and the input / output uni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Input and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for a video signal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온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 연결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And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power-on of the main body, switching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input / output unit to be output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on par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 상기 본체가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 연결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When the main body operates in a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input / output unit is switched so that the output via the main body connection unit I / O pa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온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본체 연결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And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power-on of the main body, switching the video signal inputted from the main body connecting part to be out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par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 상기 본체가 기저장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본체 연결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When the main body is operated in a reproducing mode for reproducing the pre-stored vide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connecting unit is switched so that the out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of the I / O path automatic switch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출력부는,The input / output unit,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a first external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the video signal; And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외부장치로 입력되어질 상기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ideo signal to be input to a second exter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video sig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스위칭부는,The switching unit,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오프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장치.And the control signal indicates power-off of the main body, and switches the video signal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to be outputted through the output unit. 영상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본체 및 외부장치간 영상신호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에 있어서,In the video signal input and output path automatic switching metho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external device that can input / output video signals, a) 상기 본체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a)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body; And b)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본체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 및 상기 외부장치 중 다른 어느 하나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b) switching the video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rnal device to one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 / O path automatic switching metho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b) 단계는,B),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온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And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power-on of the main body, switching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o be output to the main body.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b) 단계는,B), 상기 본체가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본체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When the main body operates in the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s switched to output to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input and output path of the video signal How to switch.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b) 단계는,B),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온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외부장치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And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power-on of the main body, switching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to be output to the external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b) 단계는,B), 상기 본체가 기저장된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외부장치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When the main body operates in a reproducing mode for reproducing the pre-stored video signal to the external device, the input and output path of the video signal automatically switching to output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main body to the external device How to switch.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외부장치는,The external device, 상기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1 외부장치 및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외부장치를 포함하며,A first external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the video signal and a second exter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video signal, 상기 b) 단계는,B),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의 파워-오프를 의미하는 경우, 상기 제1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제2 외부장치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입출력경로 자동절환방법.And when the control signal means power-off of the main body, switching the video signal input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to be output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KR1020040000413A 2004-01-05 2004-01-05 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signal input/output path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KR200500719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13A KR20050071995A (en) 2004-01-05 2004-01-05 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signal input/output path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13A KR20050071995A (en) 2004-01-05 2004-01-05 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signal input/output path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95A true KR20050071995A (en) 2005-07-08

Family

ID=3726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413A KR20050071995A (en) 2004-01-05 2004-01-05 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signal input/output path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199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0804A (en) Composition camera and dsc len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55662B1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opying image file between recording media and method thereof
EP1553766A2 (en) Portable combination apparatus having a clock display function
KR100846449B1 (en) Method for setting web camera mode of mobile composition device
KR100594796B1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hanging mode automatically on the occasion laid on cradle and method thereof
US20050200709A1 (en) Compositio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sound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571756B1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selecing recording medium in use of menu formed according to recording medium state and method thereof
KR100530376B1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making filelist composed of different number of file according to size of display and method thereof
KR20050071995A (en) 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signal input/output path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KR100574513B1 (en) Power supply of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50066308A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making curtail-image displayed in moving-image file list and method thereof
KR20060012035A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hanging mode automatically on the occasion laid on cradle and method thereof
KR20050069495A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reating one file composed of moving-image data inputted intermittently
KR101024026B1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selecing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10198195A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4637032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071994A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of creating and reproducing various standard image and method thereof
KR20060003937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nd recording image
JP2006081083A (en) Imaging device
KR101105849B1 (en) Digital image playback method and device
KR20050069497A (en)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sensitivity of microphone and a method thereof
JP2006238013A (en) Camera device
KR20080071419A (en) Digital image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50090806A (en) Combinatio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inputting various operational command using one zoom switch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