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881A - 평편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평편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881A
KR20050071881A KR1020040000272A KR20040000272A KR20050071881A KR 20050071881 A KR20050071881 A KR 20050071881A KR 1020040000272 A KR1020040000272 A KR 1020040000272A KR 20040000272 A KR20040000272 A KR 20040000272A KR 20050071881 A KR20050071881 A KR 20050071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vibration motor
commutator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920B1 (ko
Inventor
오화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9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9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 A01G25/097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movable installations on wheels or the like guided or propelled along a water supply line with supply line traver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c Machin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편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와 그 하부에 조립되는 브라켓사이에 지지되는 샤프트;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상부기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권선코일과 그 근방에 중량체를 구비하고, 상기 권선코일의 일단과 타단이 교대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정류자를 상기 상부기부의 하부면에 구비하는 회전자;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하는 마그네트를 하부기부의 상부면에 갖추고, 상기 하부기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류자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브러쉬를 구비하는 고정자;및 상기 권선코일에 감겨진 코일의 길이중간이 외부로 인출되는 제 1,2인출공을 상부기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 1,2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각 코일의 인출단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패턴을 상기 상부기부에 구비하여 중성점을 형성하는 결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중권선을 단일권선으로 대체하면서도 모터의 불기동현상을 방지하여 코일을 권선하는 조립공정을 단순화하고, 코일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모터의 구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모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Description

평편형 진동모터{A FLAT TYPE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평편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2중권선을 단일권선으로 대체하면서도 모터의 불기동현상을 방지하여 코일을 권선하는 조립공정을 단순화하고, 코일 사용량을 줄여 모터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모터의 구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모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편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착신을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벨소리와 진동이다.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가 진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휴대폰과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진동모터는 모터의 형상에 따라 평편형(flat type)(또는 코인형(coin type))과 원통형(cylinder type 또는 바형(bar type))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에서 평편형 진동모터의 경우 고비중의 중량체를 모터의 내부에 위치시켜서 이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두께를 얇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에 유리한 점 등의 여러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평편형 진동모터의 종단면도로서, 종래 평편형 진동모터(1)는 도시한 바와같이, 크게 회전부재인 로터 어셈블리(rotor assembly)(이하, 회전자이라함)(10)와, 고정부재인 스테이터 어셈블리(stator assembly)(이하, 고정자이라함)(20)및 이들이 수용되는 케이스(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자(10)는 케이스(30)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편심회전구조물로서, 상부기판(11)의 상부면에 코일이 복수회 권선된 권선코일(12)(14)을 구비하고, 상기 권선코일(12)(14)의 근방에는 중량체(13)가 편심배치되며, 상기 권선코일(12)(14)과 중량체(13)는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절연물(16)의 내부에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몰딩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11)의 하부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분할된 세그먼트(segment)(15a)(15b)(15c)(15d)로 이루어져 접촉면이 하부로 노출되는 정류자(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자(20)는 하향개방된 케이스(30)의 하부를 차단하도록 조립되는 브라켓(35)상에 구비되는 고정구조물로서, 상기 브라켓(35)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하부기판(21)에는 환고리형상의 마그네트(22)가 구비되며, 외부전원공급용 리드선(24a)(24b)과 전기적으로 전원공급부(123)를 갖추며, 상기 전원공급부(123)의 양극, 음극단자(123a)(123b)는 상기 정류자(115)에 상단이 접촉되는 브러쉬(25)의 하단과 연결접속된다.
또한, 이러한 브러쉬(25)는 양극,음극용 브러쉬(25a)(25b)로 분할구성되어 를 통해 서로 다른 극성인 양극(+), 음극(-)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양극,음극단자(23a)(23b)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자(10)는 상기 브라켓(35)의 상부면 중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샤프트(31)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자(10)에 일체로 구비되는 베어링부재(32)를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31)의 상,하단은 상기 브라켓(35)의 상부면과 케이스(10)의 하부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진동모터(1)의 구동은 상기 고정자(20)의 전원공급부(23)를 통해 입력된 전원이 브러쉬(25)를 거쳐 정류자(15)로 공급되고, 상기 정류자(15)에 공급된 전원은 양극,음극용으로 분할된 브러쉬와 이에 맞추어 다수개로 분할된 정류자(15)의 선택적인 접촉에 의해 상기 권선코일(12)(14)측으로 번갈아 가면서 전달된다.
상기 권선코일(12)(14)과 상기 마그네트(22)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샤프트(31)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자(10)는 일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때, 상기 회전자(10)는 샤프트(31)에 대하여 편심회전되면서 측압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측압은 상기 샤프트(31)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케이스(30)와 브라켓(35)에 진동력으로 전달되어 착신감지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모터구동을 위해서, 상기 브러쉬(25)의 브러쉬(25a)(25b)와 상기 정류자(15)의 세그먼트(15a)(15b)(15c)(15d)간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권선코일(12)(14)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종래의 방법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세그먼트(15a)(15b)(15c)(15d)의 갯수에 따라 설정되는 전기각(θ)에 맞추어 상기 권선코일(12)에 권선된 코일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세그먼트(15a)(15c)와, 또다른 권선코일(14)에 권선된 코일의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는 세그먼트(15b)(15d)에 대하여 상기 음극, 양극용 브러쉬부재(25a)(25b)가 항상 정확하게 일치하여 대응접촉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진동모터(1)의 기동및 구동시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양극,음극용 브러쉬(25a)(25b)중 어느 한쪽의 브러쉬(25b)가 사전에 설정된 전기각(θ)으로부터 벗어나 정해진 세그먼트(15c)에 접촉되지 않고, 점선으로 도시된 브러쉬와 같이, 인접하는 다른 세그먼트(15b)(15d)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권선코일(12)(14)을 통전시키는 전기회로가 단선되기 때문에, 그 지점에서 전원공급이 일시 차단되는 비통전구간인 불기동점(dead point)이 발생되어 모터의 기동및 구동을 일시 중단하거나 완전히 중단시키고, 이로 인해 모터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불기동점에 의한 모터의 불기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권선코일(12)(14)을 구성하는 코일을 2개의 코일(12a)(12b)(14a)(14b)로 각각 2중권선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코일(12a)(12b)과 또다른 코일(14a)(14b)이 공통으로 접속되는 지점에 중성점(N)을 갖도록 결선함으로서, 음극, 양극용 브러쉬(25a)(25b)가 설정된 전기각(θ)을 벗어나더라도 불기동점이 형성되지 않고 통전이 가능한 전기적인 회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권선코일(12)(14)을 2중 코일로 각각 권선하여 중성점(N)을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은 권선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코일을 2중으로 권선한 다음 중성점(N)을 형성하기 위한 결선을 위해서 작업자가 권선코일(12)(14)에 2중으로 권선된 각 코일(12a)(12b)(14a)(14b)을 정리하는 선정리작업을 반드시 수반해야만 하기 때문에, 코일권선및 정리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단선코일권선방식에 비하여 코일사용량이 많아져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회전자에 구비되는 권선코일을 단선화하여 코일을 권선하는 공정을 단순화하고, 코일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불기동점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모터구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평편형 진동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케이스와 그 하부에 조립되는 브라켓사이에 지지되는 샤프트;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상부기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권선코일과 그 근방에 중량체를 구비하고, 상기 권선코일의 일단과 타단이 교대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정류자를 상기 상부기부의 하부면에 구비하는 회전자;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하는 마그네트를 하부기부의 상부면에 갖추고, 상기 하부기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류자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브러쉬를 구비하는 고정자;및
상기 권선코일에 감겨진 코일의 길이중간이 외부로 인출되는 제 1,2인출공을 상부기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 1,2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각 코일의 인출단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패턴을 상기 상부기부에 구비하여 중성점을 형성하는 결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를 마련함에 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선코일은 하나의 코일이 권선되는 단선코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기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는 제 1,2인출공은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되는 영역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2인출공의 외주연에는 상기 코일의 인출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패턴은 상기 연결패턴의 일단과 타단과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2인출공은 접혀진 코일 인출단을 외부로 동시에 인출할 수 있도록 타원단면상의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기부는 상기 정류자와 연결패턴이 하부면에 인쇄되는 인쇄회로기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기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브러쉬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기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권선코일과 중량체가 내부에 일체로 몰딩되는 절연물이 추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트는 원주방향으로 N,S극이 교대로 착자된 환고리형상의 자석부재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편형 진동모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평편형 진동모터에 채용되는 회전자의 평면도와 배면도이며, 도 6(a)(b)(c)는 본 발명에 따른 평편형 진동모터의 인출공을 통해 코일이 인출되어 접속되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평편형 진동모터(100)는 도 5 내지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인가시 고정자(120)에 대하여 편심된 회전자(110)가 구동될때 샤프트(131)에서 유발되는 측압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이러한 진동모터(100)는 회전자(110), 고정자(120), 케이스(130)및 결선부(1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자(110)는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공간을 하부에서 차단하는 브라켓(135)의 상부면과 상기 케이스(130)의 하부면사이에 상,하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샤프트(131)의 베어링부재(132)를 매개로 하여 편심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구조물이다.
이러한 회전자(110)는 상기 케이스(130)내에 배치되는 상부기부(111)의 상부면에 적어도 2개이상 권선코일(112)(114)이 구비되고, 상기 권선코일(112)(114)사이 또는 그 근방에 텅스텐과 같이 비중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중량체(113)가 편중배치되며, 상기 권선코일(112)(114)과 중량체(113)는 상기 상부기부(111)의 상부면에 레진과 같은 절연소재로서 몰딩되는 절연물(116)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131)에 대하여 베어링부재(132)를 매개로 조립되는 회전자(110)는 편심된 무게중심을 갖추어 회전구동시 편심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기부(111)의 하부면에는 브러쉬(125)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권선코일(112)(114)측으로 번갈아 가면서 공급하는 정류자(115)가 구비되는바, 도 4와 5(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정류자(115)는 복수개의 세그먼트(115a)(115b)(115c)(115d)가 동일한 간극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들은 후술하는 브러쉬(125)의 양극,음극용 브러쉬(125a)(125b)와 대응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정류자(115)중 n번째 배치되는 세그먼트(115a)(115b)는 양극, 음극용 브러쉬(125a)(125b)와 일대일 대응접촉되어 통전되도록 상기 권선코일(112)의 일단,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n+1 번째 세그먼트(115b)115d)는 회전자(110)의 회전변위후 양극, 음극용 브러쉬(125a)(125b)와 일대일 대응접촉되어 통전되도록 상기 또다른 권선코일(114)의 일단,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자(120)는 상기 브라켓(135)의 상부면에 하부기부(121)와 마그네트(122)를 갖추며, 상기 마그네트(122)는 상기 권선코일(112)(114)과 서로 대응하는 브라켓(135)의 상부면에 원주방향으로 N,S극이 2n개 즉 2개, 4개, 6개 .... 가 교대로 착자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마그네트(122)의 자극수는 배치되는 극수에 따라서 내부의 부품수도 증가됨을 감안하여 부품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도록 대략 2 내지 6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기부(121)의 일측단에는 외부전원공급용 리드선(124a)(12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123)를 갖추고, 상기 전원공급부(123)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가 통전되는 양극,음극단자(123a)(123b)로 분할구성된다.
이러한 하부기부(121)에는 상기 전원공급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125)를 갖추고, 상기 브러쉬(125)는 상기 양극, 음극단자(123a)(123b)와 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류자(115)의 세그먼트(115a)(115b)(115c)(115d)와 상단이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양극,음극용 브러쉬(125a)(125b)로 분할구성되며, 상기 양극, 음극단자(123a)(123b)와 양극, 음극용 브러쉬(125a)(125b)는 상기 하부기판(121)의 상부면에 인쇄되는 패턴회로(126a)(126b)를 매개로 하여 접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123)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은 브러쉬(125)와 이에 접촉하는 정류자(115)를 통해 상기 권선코일(112)(114)측으로 번갈아 공급되면서 상기 회전자(110)를 고정자(12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구동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선부(140)는 하나의 코일(C)로서 단일권선되어 구비되는 권선코일(112)과 하나의 코일(C)로서 단일권선되어 구비되는 또다른 권선코일(114)사이에 중성점(N)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기부(11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권선코일(112)(114)마다 감겨진 코일(C)의 길이중간이 외부로 인출되는 제 1,2인출공(141)(142)을 상부기부(111)의 하부면에 관통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권선코일(112)(114)을 상부기부(111)의 상부면에 각각 구비하기 위해서 코일(C)을 단일권선방식으로 복수회 권선하는 작업중, 권선되는 권선코일(112)(114)의 외경이 상기 제 1,2인출공(141)(142)에 근접하게 되면, 도 6(a)d에 도시한 바와같이, 권선되는 코일(C)의 길이중간을 접어서 상기 제 1,2인출공(11)(142)을 통해 하부로 각각 인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기 제 1,2인출공(11)(142)을 통해 하부로 각각 인출된 권선코일(112)(114)의 각 인출단은 상기 상부기부(111)의 하부면에 인쇄되는 연결패턴(143)의 일단, 타단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권선코일(112)과 또다른 권선코일(114)사이에는 모터구동시 정류자(115)와 브러쉬(125)간의 접촉간격의 불량에 의한 불기동현상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 공통으로 직렬접속되어 전원공급을 자유롭게 하는 중성점(N)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인출공(141)(142)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패턴(143)의 양단부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권선코일(114)(114)의 각 코일인출단이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되는 단자패턴(141a)(142a)을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2인출공(141)(14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각 코일(C)의 인출단과 상기 단자패턴(141a)(142a)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으로서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코일(C)의 인출단을 절단하여 2개의 코일단자(C1)(C2)를 형성하고, 이를 상기 단자패턴(141a)(142a)에 납땜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코일(C)의 인출단을 절단하지 않고 절곡밴딩된 부위를 상기 단자패턴(142a)(142b)에 납땜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2인출공(141)(142)을 통해 외부인출되는 코일(C)의 각 인출단을 상기 단자패턴(141a)(142a)에 연결접속하고, 이들 사이를 연결패턴(143)으로 연결구성하면, 종래와 같이 2개의 코일을 이용하여 권선코일을 2중권선한 다음 각 코일선을 정리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없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권선코일(112)(114)의 각 코일의 길이중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단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패턴(143)에 의해 중성점(N)을 간편하게 형성하여 상기 정류자(115)와 브러쉬(125)간의 접촉간격의 불량에 의한 불기동현상을 방지하고, 안정된 모터구동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기부(111)의 하부면에 관통되는 제 1,2인출공(141)(142)은 상기 권선코일(112)(114)과 서로 대응되는 영역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1,2인출공(141)(142)은 접혀진 코일의 인출단을 외부로 동시에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원형단면상의 원형공보다는 타원단면상의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선부(140)가 하부면에 구비되는 상부기부(111)는 상기 정류자(115)의 세그먼트(115a)(115b)(115c)(115d)와 상기 연결패턴(143)및 단자패턴(141a)(142a)이 인쇄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진동모터(100)의 전원공급부(123)를 통해 정류자(115)에 접촉하는 브러쉬(125)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정류자(115)에 대하여 브러쉬(125)가 사전에 설정된 전기각(θ)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양극, 음극용 브러쉬(125a)(125b)가 상기 정류자(115)의 세그먼트(115a)(115c) 또는 세그먼트(115b)(115d)와 정상적으로 번갈아 가면서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권선코일(112)과 또다른 권선코일(114)측으로 전류가 교대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권선코일(112)(114)에 교대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전자기장을 교대로 형성하고, 상기 마그네트(122)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편심된 회전자(110)를 고정자(12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회전토크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회전자(110)가 고정자(120)에 대하여 회전구동되는 동안 내,외부요인에 의해 상기 브러쉬(125)의 양극, 음극용 브러쉬(125a)(125b)가 설정된 전기각(θ)을 유지하지 못하는 접촉불량이 발생되면, 상기 양극, 음극용 브러쉬(125a)(125b)가 상기 정류자(115)의 세그먼트(115a)(115c) 또는 세그먼트(115b)(115d)와 정상적으로 번갈아 가면서 접촉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권선코일과 또다른 권선코일 사이에는 이들의 길이중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패턴에 의해 중성점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극, 음극용 브러쉬(125a)(125b)가 한쌍의 세그먼트(115a)(115b), 한쌍의 세그먼트(115a)(115b), 한쌍의 세그먼트(115b)(115c)및 한쌍의 세그먼트(115c)(115d)에 접촉할때에도 전류가 흐르게 되는 일련의 전기회로를 구성하면서 회전토크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쌍으로 배치되는 권선코일을 하나의 코일로서 단선으로 각각 권선하고, 권선되는 코일의 길이중간을 하부기부의 제 1,2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한 다음, 외부로 인출되는 각 권선코일의 인출단을 하부기부의 하부면에 인쇄되는 연결패턴에 의해서 연결함으로써, 권선코일을 단선의 코일로 권선함과 동시에 불기동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중성점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2중권선시 코일을 정렬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코일권선공정을 단순화하고, 이중코일을 단선코일로 대체하면서 코일의 사용량을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한편, 불기동현상을 제거하여 모터구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평편형 진동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평편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브러쉬의 양극,음극용 브러쉬가 접촉하는 배면도이고,
(b)는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브러쉬의 양극,음극용 브러쉬가 접촉하는 상태도이다.
도 3는 일반적인 평편형 진동모터에서 불기동점을 방지하기 위한 권선코일의 2중권선 결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편형 진동모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편형 진동모터에 채용되는 회전자로서,
a)는 회전자의 평면도이고,
b)는 회전자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편형 진동모터의 코일이 인출되어 접속되는 것으로서,
a)는 코일의 인출단이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어 상세도이고,
b)는 코일의 인출단이 절단되어 단자패턴에 접속되는 상세도이다.
c)는 코일의 일출단이 단자패턴에 접속되는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편형 진동모터에서 권선코일의 결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고정자 111 : 상부기부
112,114 : 권선코일 113 : 중량체
115 : 정류자 115a,115b,115c,115d : 세그먼트
117 : 슬립링 120 : 회전자
121 : 하부기부 122 : 마그네트
123 : 전원공급부 123a,123b : 양극, 음극단자
125 : 브러쉬 125a,125b : 양극, 음극용 브러쉬
130 : 케이스 131 : 샤프트
132 : 베어링부재 135 : 브라켓
140 : 결선부 141,142 : 제 1,2인출공
141a,142b : 단자패턴 143 : 연결패턴
N : 중성점

Claims (9)

  1. 케이스와 그 하부에 조립되는 브라켓사이에 지지되는 샤프트;
    상기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상부기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권선코일과 그 근방에 중량체를 구비하고, 상기 권선코일의 일단과 타단이 교대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정류자를 상기 상부기부의 하부면에 구비하는 회전자;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하는 마그네트를 하부기부의 상부면에 갖추고, 상기 하부기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류자에 각각 접촉되는 한쌍의 브러쉬를 구비하는 고정자;및
    상기 권선코일에 감겨진 코일의 길이중간이 외부로 인출되는 제 1,2인출공을 상부기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 1,2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각 코일의 인출단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패턴을 상기 상부기부에 구비하여 중성점을 형성하는 결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선코일은 하나의 코일이 권선되는 단선코일로 구성됨을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부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는 제 1,2인출공은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되는 영역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인출공의 외주연에는 상기 코일의 인출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패턴은 상기 연결패턴의 일단과 타단과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인출공은 접혀진 코일 인출단을 외부로 동시에 인출할 수 있도록 타원단면상의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부는 상기 정류자와 연결패턴이 하부면에 인쇄되는 인쇄회로기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브러쉬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권선코일과 중량체가 내부에 일체로 몰딩되는 절연물이 추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원주방향으로 N,S극이 교대로 착자된 환고리형상의 자석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편형 진동모터.
KR1020040000272A 2004-01-05 2004-01-05 평편형 진동모터 KR10055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272A KR100550920B1 (ko) 2004-01-05 2004-01-05 평편형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272A KR100550920B1 (ko) 2004-01-05 2004-01-05 평편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881A true KR20050071881A (ko) 2005-07-08
KR100550920B1 KR100550920B1 (ko) 2006-02-13

Family

ID=3726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272A KR100550920B1 (ko) 2004-01-05 2004-01-05 평편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9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920B1 (ko) 200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8109Y1 (ko) 편평형 무정류자 진동모터
KR100529292B1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
KR10051981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US6674202B2 (en) Eccentric commutator for vibrator motor
KR100292162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68292B1 (ko) 평편형 진동모터
KR100550920B1 (ko) 평편형 진동모터
KR100568296B1 (ko) 접촉궤적이 상이한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KR100526252B1 (ko) 평편형 진동모터
KR100638724B1 (ko) 진동모터
KR100541099B1 (ko) 평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KR100284879B1 (ko) 단상의 진동모터
KR100284880B1 (ko) 단상의 진동모터
KR100431056B1 (ko) 편편형 진동모터
KR100284887B1 (ko) 단상의 진동모터
KR10061662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030048582A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291701Y1 (ko) 두개의 단상 코일을 사용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432608B1 (ko) 코인형 진동 모터 및 정류자와 코일의 결선 방법
KR200219243Y1 (ko) 평평형 진동모터
KR100616629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020000379A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030067885A (ko) 진동 모터
KR20040000935A (ko) 두개의 단상 코일을 사용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40068652A (ko) 2상 여자방식 코어레스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