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397A -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 Google Patents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397A
KR20050071397A KR1020050047580A KR20050047580A KR20050071397A KR 20050071397 A KR20050071397 A KR 20050071397A KR 1020050047580 A KR1020050047580 A KR 1020050047580A KR 20050047580 A KR20050047580 A KR 20050047580A KR 20050071397 A KR20050071397 A KR 20050071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slide
moving pin
rail
pi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017B1 (ko
Inventor
박윤식
Original Assignee
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filed Critical 박윤식
Publication of KR2005007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등과 같은 수납부를 밀폐위치로 이동시킬 때,수납부를 자동으로 완전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는 한쌍의 스프링,이동핀,이동핀 가이드,판상형태의 이동부재,및 판상형태의 고정부재로 구성된다.이때,이동핀은 지지기둥,지지판, 및 안내돌기를 가지며,단면은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동핀 가이드는 두개의 입구면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핀 입구부와 세 개의 걸림면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핀 걸림부로 구성된 이동핀 안내홈,및 제 1 결착수단을 갖는다.이동부재는 그 중심부분에 홈을 갖는 판상부, 이 판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활주 기둥부, 및 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를 갖는다.또한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를 갖는 지지 기둥부,양 측부에 형성되는 이동부재 활주부와 내측에 형성되는 이동핀 가이드부를 갖는 돌출 기둥부, 헤드부, 및 제 2결착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폐쇄장치는 사용되는 스프링이 조기에 파단되지 않으며,구조가 간편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Description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Slide with self closing means}
본 발명은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에 관한 것으로,보다 상세하게는 서랍등과 같은 수납부를 밀폐위치로 이동시킬 때, 스프링에 의한 탄성 수축력으로 수납부를 자동으로 완전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는 수납부가 위치되는 본체의 내측 공간부 벽면에 상호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장착되어서 수납부를 본체에 대해 미닫이 방식으로 밀폐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재로서, 슬라이드가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곳이 책상,옷장,화장대등의 서랍이며, 이외에도 김치냉장고와 같이 수납부를 가지며 이 수납부를 본체에 대해 미닫이 방식으로 밀폐,또는 개방시킬 필요가 있는 곳은 어디에나 사용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수납부를 완전히 닫을 때까지 수납부에 힘을 가해야 하고, 수납부에 너무 힘을 가해 닫는 경우 수납부가 본체와의 충격 반발력으로 다시 열리는 불편함이 있어서 수납부를 설치할 경우 본체 내측으로 약간의 구배를 주어 슬라이드를 설치함으로써 수납부의 열림을 방지하고 자동으로 닫히게 하였으나, 수납부와 이에 수납된 물품의 하중으로 인해 강한 충격으로 닫히게 됨으로써 본체,수납부 자체, 및 수납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의 레일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고정,안내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7996호)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이 장치는 1개의 고리형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무거운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부에 사용하는 경우,스프링의 고리부가 파단되기 쉬워 장시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WO 2001-82749호에는 가이드핀,스프링,엑츄에이터,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폐쇄식 슬라이드용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슬라이드 장치의 스프링과 엑츄에이터는 가이드핀에 설치되되 스프링이 엑츄에이터를 하우징의 후벽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위치된다.스프링은 슬라이드의 개방위치에서는 압축상태에 있고,슬라이드의 폐쇄위치에서는 정상상태에 있도록 함으로써 스프링이 신장상태로 되는 것을 피하여 스프링의 파단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의 하우징은 대향하는 측벽,후벽,상부벽 및 전방벽을 갖되 가이드핀,스프링,엑츄에이터 모두를 하우징내에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즉 하우징은 상자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상기 가이드핀,스프링,에츄에이터가 상자내에 위치되는 구조를 갖는다.상자와같은 구조의 하우징은 제조가 용이하지 않으며,제조비가 많이 들어간다.더욱이 하우징을 슬라이드의 고정부재(외측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수의 레그부를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제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제조비도 보다 상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되는 스프링이 조기에 파단되지 않으며,구조가 간편한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쌍의 스프링,이동핀,이동핀 가이드,판상형태의 이동부재,및 판상형태의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이동핀은 지지기둥,지지판, 및 안내돌기를 가지며,단면은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동핀 가이드는 두개의 입구면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핀 입구부와 세 개의 걸림면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핀 걸림부로 구성된 이동핀 안내홈,및 제 1 결착수단을 갖는다.이동부재는 그 중심부분에 홈을 갖는 판상부, 이 판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활주 기둥부, 및 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를 갖는다.또한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를 갖는 지지 기둥부,양 측부에 형성되는 이동부재 활주부와 내측에 형성되는 이동핀 가이드부를 갖는 돌출 기둥부, 헤드부, 및 제 2결착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이동부재의 활주 기둥부는 돌출부와 활주홈으로 구성되며,고정부재의 이동핀 가이드부는 직선 가이드부와 곡선 가이드부로 구성되며, 이동핀 가이드는 제 1결착수단에 의해 슬라이더의 이동레일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고정부재는 제 2결착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핀 가이드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드의 고정레일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이동핀은 고정부재의 이동핀 가이드부에 결착되고, 이동부재의 홈에 이동핀의 지지기둥이 삽입된채로 이동부재의 활주홈이 고정부재의 이동부재 활주부에 결착되어서, 이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의 활주부를 따라 활주할 때 이동핀은 이동부재와 상호 일체로 고정부재의 이동핀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슬라이드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자동폐쇄장치의 이동핀이 고정부재의 곡선 가이드부에 위치되고 슬라이드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이동핀이 고정부재의 직선 가이드부의 내측단부에 위치되되,스프링의 탄성인장 및 수축력에 의해 상기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를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작용을 한다.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의 경우 사용되는 스프링이 조기에 파단되지 않으며,구조가 간편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며,그 작동 상태가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작동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이동핀 걸림부의 제2 직선걸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상기 스프링이 양단 모두 테이퍼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고정부재의 돌출 기둥부에 이동부재 활주부와 인접하여 이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이동부재의 일면상에 이동레일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는 2부재(고정레일과 이동레일) 또는 3부재(고정레일과 두개의 이동레일)로 구성된다.3부재 슬라이드(10)는 통상적으로 고정레일(외측부재 )(800)과 두개의 이동레일,즉 고정레일(800)내를 활주이동하는 중간이동레일(중간부재)(900)및 중간이동레일(900)내를 활주이동하는 내측이동레일(내측부재)(700)을 포함한다(도1 및 도2 참조).각 레일사이에는 적정한 길이의 볼리테이너(950)가 있으며,이 볼리테이너(950)에는 볼(955)이 삽입되어 있어서 각 이동레일(700,900)은원활하게 활주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는,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서랍같은 수납부(960)를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미닫이 방식으로 밀폐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고정레일(800)이 본체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슬라이드(10)가 설치되고 수납부(960)는 결착홈(720)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내측이동레일(700)에 결착된 다.따라서 수납부(960)의 이동은 내측이동레일(700) 및/또는 중간이동레일(900)의 활주이동을 초래한다.수납부(960)의 완전 밀폐위치에서는 슬라이드(10)가 완전히 접철된(이동레일들이 모두 인입된)상태가 되고 수납부(960)의 완전 개방위치에서는 슬라이드(10)가 완전히 펼쳐진(이동레일들이 모두 인출된)상태로 된다.
도 16은 슬라이드(10)가 김치냉장고 벽체(970)에 고정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슬라이드(10)의 고정레일(800)에는 슬라이드(10)를 연계부재(990)에 결착시키는 결착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연계부재(990)에 결착된 슬라이드(10)는 고정나사(980)에 의해 김치냉장고 벽체(970)에 고정된다.이렇게하여,슬라이드(10)는 일측이 김치냉장고 벽체(970)에 고정되고 타측이 수납상자(960)에 고정되어서 수납상자(960)를 김치냉장고 본체에 대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20)는 고정레일(800)의 최후단 단부에 설치된다.중간이동레일(900)의 최후단 단부에는 자동폐쇄장치(20)의 일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레일홈(910)이 형성된다.
도3은 본 발명에따른 자동폐쇄장치(2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로서,이 장치(20)는 이동핀(400),이동부재(200),고정부재(100) 및 한쌍의 스프링(500)을 포함한다.또한 자동폐쇄장치(20)는 내측이동레일(700)의 내측에 결착되며,이동핀(400 )과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이동핀 가이드(300)를 포함한다(도11 참조).
도4는 이동핀의 사시도이다.이동핀(400)은 일측에 안내돌기(410), 타측에 지지기둥(430)을 가지며 그 중간부분에 지지판(420)을 갖는다.이동핀(400)에는 상기 안내돌기(410)와 지지판(420)에 의해 그 사이에 홈부(411)가 형성되어진다. 이동핀(400)의 지지기둥(43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을 갖는다.
도5a~5c는 각각 이동핀 가이드(300)의 사시도,뒷면도 및 앞면도이다.이동핀 가이드(300)에는 이동핀 안내홈(350)이 형성되며(도5a),이동핀 안내홈(350)은 이동핀 입구부(310)와 이동핀 걸림부(320)로 구성된다(도5b).이동핀 입구부(310)는 제 1입구면(311)과 제 2입구면(312)에 의해 형성되고, 이동핀 걸림부(320)는 제 1직선 걸림면(323), 제 2직선 걸림면(324), 및 곡선 걸림면(325)에 의해 형성된다.이동핀 입구부(310)의 제 2직선 걸림면(324)에는 이동핀이 걸려지는 걸림홈(32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동핀 안내홈(350)의 보다 자세한 작용은 후술된다.
이동핀 가이드(300)에는 이동핀 가이드를 슬라이드의 내측이동레일(700)(도11 참조)에 결착시키는 제 1결착수단이 제공된다.도5에는 상기 제 1결착수단으로 이동레일(700)의 결착돌기(710)에 삽입되는 홈(330)이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동핀 가이드(300)에는 양 측부에 완충부 기둥(3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완충부 기둥(340)은 밖으로 약간 벌어지도록 형성되며,완충부 기둥(340)둘레에는 완충부 홈(341)이 형성된다.완충부 기둥(340)이 밖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이동핀 가이드의 뒷면도(여기서 뒷면이란 이동핀 가이드가 슬라이드의 내측 이동레일에 결착할 때 결착하는 면을 말함)를 보여주는 도5b에는 완충부 기둥(340)이 이동핀 가이드(300) 양 측면보다 돌출하는 것처럼 도시되나, 이동핀 가이드의 앞면도를 보여주는 도5c에서는 이동핀 가이드(300) 양 측면이 일직선으로 나타난다.이 완충부 기둥(340)은 이동핀 가이드(300)가 슬라이드의 내측이동레일(700)에 삽입될 때에는 탄성적인 완충작용(이동핀 가이드를 포함한 본 발명의 자동폐쇄장치는 모두 적당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완충부 기둥은 탄성작용을 할 수 있음)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나, 일단 삽입된 후에는 이동핀 가이드(300)가 슬라이드의 내측이동레일(7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이처럼 이동핀 가이드(300)는 상기 제1결착수단과 완충부 기둥(340)에 의해 내측이동레일(70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확실히 고정된다.
도6a와 6b는 이동부재(200)의 사시도와 앞면도이며,도6c는 이동부재(200)를 도6a의 B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이동부재(200)는 대략적으로 사각형형태의 판상부(210),이 판상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활주부 기둥(220), 및 판상부(210) 양측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결합부(212)로 구성된다.
활주부 기둥(220)에는 돌출부(221)와 U자 형상의 활주홈(222)이 형성되며, 이 활주홈(222)은 후술될 고정부재(100)의 이동부재 활주부(121)와 결합하게 된다.
스프링 결합부(212)는 결착면(223)에 대향하는 방향의 판상부(210) 양 측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은 코일형이 아닌 선형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선형으로 양단부가 고리형이든 또는 테이퍼형이든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테이퍼형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이퍼형 스프링(500)(도10a~10b참조)이 고리형 스프링에 비해 슬라이드의 수납부에 무거운 하중이 실리더라도 스프링의 파단없이 오래동안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 따르면 동일 하중이 걸리는 수납부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고리형 스프링은 약 5,000회의 반복사용시 스프링의 고리부분의 파단이 발생하였으나, 동일 강도의 테이퍼형의 경우 고리형에 비해 5배 이상의 사용수명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도6a의 스프링 결합부(212)는 테이퍼형 스프링(50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판상부(210)에는 그 중심부분에 홈(211)이 형성된다. 이 홈(211)에는 도4에서 설명한 이동핀(400)의 지지기둥(430)부분이 활주홈(222)방향으로부터 삽입되게 된다. 상기 홈(211)에는 지지기둥(430)이 삽입되어 지지기둥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되, 고정부재(100)에 형성되는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횡방향 길이(C)(도7a참조)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상부(210)의 일측에는 다른 부재와 충돌시 이동부재(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충격 완충부(2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a 및 도7b는 고정부재(100)의 앞면도와 뒷면도로서,여기서 뒷면이란 고정부재(100)가 슬라이드의 고정레일(800)(도11 참조)에 결착될 때 결착하는 면을 말한다. 고정부재(100)는 지지 기둥부(110), 이 지지 기둥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 기둥부(120), 및 이 돌출 기둥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부(130)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판상의 형태를 갖는다.
지지 기둥부(110)에는 걸림턱(119)에 대향하는 방향의 양 측부에 상기 스프링(500)의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111)가 형성된다.이 스프링 결합부(111)는 도6a의 스프링 결합부(212)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다.
돌출 기둥부(120) 내측에는 종 방향으로 이동핀 가이드부(123)가 형성되되, 이동핀 가이드부(123)는 직선 가이드부(124)와 곡선 가이드부(125)로 구성된다.이동핀 가이드부(123)에는 이동핀(400) 결착하여 활주운동을 하게 된다.돌출 기둥부(120) 양 측면에는 이동부재 (200)의 활주홈(222)이 삽입되는 이동부재 활주부(121)가 형성된다. 이 이동부재 활주부(121)는 돌출 기둥부 동체 두께 보다는 얇으나 상기 활주홈 (222)크기에 상응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또한 돌출 기둥부(120)에는,도7a의 A-A 부분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동부재 활주부(121)에 인접하여 이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기부(122)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122)는 이동부재 (200)가 양 측면 또는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받더라도 이동부재 (200)가 휘어지거나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체 작용을 한다.또한 돌출 기둥부(120)에는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직선 가이드부(124) 일측에 완충 공간부(126)가 형성된다.완충 공간부(126)는 이동핀 가이드부(123)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호 연통하도록 형성되며,이동핀 가이드부(123)와 완충 공간부(126) 사이에는 지지 돌출부(127)가 형성된다.지지 돌출부(127)에는 고정부재(100)의 뒷면 방향으로 지지 돌출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뒤틀림 방지돌기(12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완충 공간부(126)와 뒤틀림 방지돌기(128)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고정부재(100)의 헤드부(130)에는 충격 완충부(1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충격 완충부(132)는 슬라이드의 다른부재(예를 들면 3부재 슬라이드의 경우 중간이동레일)와 충돌시(슬라이드가 인입위치로 올때 충돌이 발생함) 그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고정부재(100)의 지지 기둥부(110)와 헤드부(130)에는 고정부재를 슬라이드의 고정레일(800)에 결착시키는 제 2결착수단이 형성된다.여기서는 제2 결착수단으로 리벳결착을 위한 결착구멍(112,131)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 부재들간의 결합관계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이동핀(400)이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에 결착된다.도9는 고정부재(100)에 이동핀(400)만이 결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이 결착은 이동핀(400)의 안내돌기(410)와 지지판(420)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411)가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에 결합하도록 삽입되되, 안내돌기(410)가 고정부재(100)의 뒷면을 향하고 지지기둥(430)이 앞면을 향하도록 삽입되어 완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은 고정부재(100)의 완충 공간부(126)방향으로 지지돌출부(127)를 밀면서 이동핀(400)의 안내돌기(410)를 이동핀 가이드부(123)에 밀어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이동핀(400)이 이동핀 가이드부(123)에 결착되면, 이동부재(200)의 홈(211)에 이동핀(400)의 지지기둥(430)을 삽입하고 이동부재 (200)의 활주홈(222)이 고정부재(100)의 이동부재 활주부(121)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동부재(200)를 고정부재(100)에 결착시킨다.마지막으로 스프링(500)의 일측은 고정부재(100)의 스프링 결합부(111)에 결착시키고 스프링(500)의 다른 일측은 이동부재(200)의 스프링 결합부(212)에 결착시킨다.이렇게 결착되어 완성된 형태의 사시도가,앞에서 설명된 도3이다.이와같은 결합상태에서는 이동부재(200)가 고정부재의 이동부재 활주부(121)를 따라 활주하고 동시에 이동핀(400)은 이동부재와 일체로 되어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10a와 도10b는 고정부재(100),이동부재(200), 이동핀(400), 및 스프링(500)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폐쇄장치의 앞면도로서,도10a는 이동핀 (400)이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직선 가이드부(124) 단부부분에 위치한 것을 보여주며,도10b는 이동핀(400)이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이동핀(400)은 위의 두 위치사이를 이동한다.이동핀(400)이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을 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00)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핀(400),이동부재(200), 및 스프링(500)이 결합된 고정부재(100)는 제 2 결착수단에 의해 슬라이드의 고정레일(800)에 결착되고 이동핀 가이드(300)는 제 1결착수단에 의해 슬라이드의 내측이동레일(700)에 결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의 작용은 도11~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도11~도 13에 있어서,도시된 슬라이드는 두개의 이동레일(중간이동레일과 내측이동레일)과 하나의 고정레일을 갖는 3부재 슬라이드이나,간략화를 위해 내측이동레일(700)과 고정레일(800) 사이에 있는 중간이동레일은 도시하지 않았으며,편의상 수납부,본체 벽부를 생략하고 슬라이드만을 도시하여 설명하며,또한 고정부재(100)는 고정레일 (800)에 고정되고,이동핀 가이드(300)는 고정부재(100)와 마주보도록 내측이동레일(700)의 내측에 고정되어서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으나,여기서는 편의상 이동핀 가이드(300)를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도11은 고정부재(100)가 슬라이드의 고정레일(800)에 리벳결착 되고,이동핀 가이드(300)가 슬라이드의 내측이동레일(700)의 결착돌기(710)에 결착된 상태로 상호 분리된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즉 수납부를 개방위치에서 밀폐위치로 밀어 넣게되면 슬라이드의 내측이동레일(700)이 인출위치에서 인입 위치로 오는 상태로서, 이동부재(200)의 홈(211)에 삽입되어 이동부재(200)와 일체로 움직이는 이동핀(400)은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이고 스프링(500)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이다.
도12는 내측이동레일(700)이 보다 인입위치로 이동하여 이동핀 가이드(300)가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이동핀(400),특히 이동핀(400)의 지지기둥 (430)과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이동핀 (400)의 지지기둥(430)은 제 1입구면 (311)과 제 2입구면(312)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핀 입구부(310)로 삽입되게 되고, 계속하여 이동핀 걸림부(320)의 제1직선 걸림면(323)과 제2직선 걸림면(32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은 이동핀 (400)이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이동핀(400)이 곡선 가이드부(125)로부터 이탈을 완료 하자마자 스프링(500)의 인장력에 의해 이동부재(200) 및 이와 일체로 이동하는 이동핀(400)이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하되, 이동부재(200)의 결착면 (223)(도6a 참조)이 고정부재(100)의 걸림턱 (119)에 결착할 때까지 고정부재(100)의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완전 인입위치로 이동하게되며, 이때 이동핀 가이드 (300)의 제2직선 걸림면(324)상에 이동핀(400)의 지지기둥(430)이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핀 가이드(300)는 이동핀(40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는 슬라이드의 내측이동레일(700)을 완전 인입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급한 바와 같이,제2직선 걸림면(324)에 걸림홈(32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328)은 이동핀(400)이 곡선 가이드부(125)로부터 이탈을 거의 종료하는 순간에 이동핀(400)의 지지기둥(430)이 걸리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이동핀(400)이 곡선 가이드부(125)로부터 이탈을 종료하자마자 이동핀(400)의 지지기둥(430)이 안전하게 상기 걸림홈(328)에 걸려서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13은 이동핀 가이드(300)가 이동핀(400)의 지지기둥(430)과 결합하여 스프링(500)에 의한 힘으로 슬라이드의 완전 인입위치(즉 수납부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슬라이드의 인출은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일어난다. 슬라이드의 내측이동부재의 인출(즉 수납부를 인출)시 도13 상태에 있던 이동핀(400)은 이동핀의 지지기둥(430)이 걸림홈(328)에 걸려있는 상태로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곡선 가이드부(125)에 도착하면, 상기 지지기둥(430)이 걸림홈(328)으로부터 이탈하여 제 2 직선 걸림면(324)을 따라 이동핀 입구부(310)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지지기둥(430)이 제 2직선 걸림면(324)을 따라 이동하여 이동핀 입구부(310)에 도착하면, 이동핀(400)은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린 상태(도12 상태)로 되고, 이어서 인출위치로의 계속적인 이동은 이동핀(400)이 이동핀 가이드(300)의 이동핀 입구부(310)를 이탈하여 이동핀 가이드(300)와 분리되게 한다. 이같이 이동핀 가이드(300)가 이동핀(400)과 분리되어 인출위치로 가는 상태는 도11의 상태에 해당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슬라이드의 내측이동레일(700)이 인출위치에 있을 때는 이동핀(400)이 고정부재(100)의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진 상태로 있고, 내측이동레일(700)이 인입위치로 이동할때는 내측이동레일(700)에 결착된 이동핀 가이드 (300)의 이동핀 걸림부(320)가 이동핀(400)의 지지기둥(430)과 결합하고,스프링 (500)의 탄성 수축력으로 잡아당겨져서 고정부재(100)의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하되, 이동부재(200)의 결착면(223)이 고정부재(100)의 걸림턱(119)에 결착할 때까지 고정부재(100)의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납부를 자동으로 완전 밀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중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핀 가이드(300)가 인입위치로 오게 될 때, 이동핀(400)이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도11 상태)가 아니라 완전 인입위치, 즉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을 완료한 상태(도13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는 슬라이드가 인출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부주의등으로 다른부재가 슬라이드 내로 들어가서 이 다른부재가 이동핀(400)을 곡선 가이드부(125)에 걸려 있는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같은 비정상적인 작동상태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는 본래의 정상 작동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은 상태에 있을 때, 즉 도14에 보인 바와 같이, 이동핀 가이드(300)가 인입위치로 오게될 때, 이동핀(400)이 직선 가이드부(124)를 따라 이동을 완료한 상태에 있는 비정상적인 작동상태의 경우, 이동핀 가이드(300)는 사용자가 수납부를 인입위치로 밀어 넣어서 이동하는 힘에 의해 인입위치로 오게되고,이동핀 가이드(300)의 제 2입구면(312)이 이동핀(400)의 지지기둥(430)과 만나게 된다. 제 2입구면(312)은 약 45도 방향으로 경사진 면이므로, 이동핀 가이드(300)의 계속적인 인입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이동핀(400) 의 지지기둥(430)을 고정부재 (100)의 완충 공간부(126)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힘은 지지 돌출부(127)의 자유단부를 상기 완충 공간부(126)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은 이동핀(400)이 완충 공간부(126)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이동핀(400)이 이동핀 가이드(300)의 제 2입구면(312)을 지나 이동핀 걸림부(320) 방향으로 이동토록 하여서 마침내 이동핀(400)이 이동핀 가이드(300)의 이동핀 입구부(310)를 지나 이동핀 걸림부(320)로 들어가게 한다. 이렇게 하여 이동핀(400)이 이동핀 가이드(300)의 이동핀 걸림부(320)로 들어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용 자동폐쇄장치는 본래의 정상 작동위치로 복귀된 상태(도13 상태)로 되게 된다.
이때 ,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 돌출부(127)에는 고정부재(100)의 뒷면 방향으로 지지 돌출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뒤틀림 방지돌기(12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7b 참조). 이 뒤틀림 방지돌기(128)는,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용 자동밀폐장치가 언급한 바와 같이 비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 정상적인 작동상태로 복귀할 때, 즉 이동핀 가이드(300)의 계속적인 인입위치로의 이동이 이동핀 (400)의 지지기둥(430)을 고정부재(100)의 완충 공간부(126)로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켜서 지지 돌출부(127)의 자유단부를 상기 완충 공간부(126)로 이동시킬 때,지지 돌출부(127)가 뒤틀리지 않고 완충 공간부(126)로 선형 이동하도록 한다.지지 돌출부(127)가 심하게 뒤틀리게 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핀(400)이 고정부재 (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직선 가이드부(124)를 이탈하여 완충 공간부(126)로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슬라이드를 분해하여 정상위치로 복귀시킬 때까지는 자동폐쇄장치가 더 이상 정상작동 할 수 없는 상태로 되게 된다. 이 뒤틀림 방지돌기(128)는,지지 돌출부(127)가 뒤틀리는 힘을 받을 때, 슬라이드의 고정레일(800) 내측면과 접촉하여 반발력을 받음으로서 지지 돌출부(127)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슬라이드만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2개의 슬라이드가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어야 그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때 2개의 슬라이드가 대칭적으로 설치될 때, 본 발명의 자동폐쇄장치도 대칭적으로 제조되어서, 즉 고정부재(100)와 이동핀 가이드(300)가 서로 쌍을 이루어 좌,우형이 되도록 제조되어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폐쇄장치를 두개의 이동레일과 하나의 고정레일을 포함하는 3부재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이동레일과 하나의 고정레일만을 사용하는 2부재 슬라이드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폐쇄장치는 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본 발명의 자동폐쇄장치를 구성하는 이동핀 가이드는 별도로 제조하여 이동레일 단부에 결착시키지 않고 이동레일 동체의 단부상에 펀칭등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16은 내측이동레일(700) 단부부분에 이동핀 가이드(300')가 펀칭에 의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2부재 슬라이드의 경우에는 이동레일 단부부분에 형성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는 수납부를 완전히 닫을 때까지 수납부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수납부가 자동으로 밀폐되고,수납부에 너무 힘을 가해 닫는 경우에도 수납부가 충격반발력으로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매우 유용하다.
또한 사용되는 스프링이 조기에 파단되지 않으며,구조가 간편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며,그 작동 상태가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작동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3부재 슬라이드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따른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3부재 슬라이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따른 자동폐쇄장치의 사시도.
도4는 이동핀의 사시도.
도5a~도5c는 각각 이동핀 가이드의 사시도,뒷면도 및 앞면도.
도6a와 도6b는 이동부재의 사시도와 앞면도.
도6c는 이동부재를 도6a의 B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7a 및 도7b는 고정부재의 앞면도와 뒷면도.
도8은 도7a의 A-A 부분 단면도.
도9는 고정부재에 이동핀만이 결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10a와 도10b는 이동핀이 고정부재의 이동핀 가이드부의 직선 가이드부 단부부분에 위치된 상태와 곡선 가이드부에 걸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11은 이동핀이 이동핀 가이드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12는 이동핀 가이드가 곡선 가이드부에 걸려 있는 이동핀과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13은 이동핀 가이드가 이동핀과 결합하여 스프링에 의한 힘으로 슬라이드의 완전 인입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14는 자동폐쇄장치가 비정상적인 작동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15는 슬라이드가 김치냉장고 벽체에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16은 이동핀 가이드가 내측 이동레일 단부부분에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9)

  1. 고정레일,이동레일 및 이들을 연계시키는 구름베어링으로 구성되어서 접철식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드에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되되,
    상기 자동폐쇄장치는
    한쌍의 스프링(500);
    지지기둥(430),지지판(420),및 안내돌기(410)를 갖는 원통형상의 이동핀(400);
    두개의 입구면(311,312)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핀 입구부(310)와 세 개의 걸림면(323,324,325)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핀 걸림부(320)로 구성되는 이동핀 안내홈 (350),및 제1 결착수단을 갖는 이동핀 가이드(300);
    그 중심부분에 홈(211)이 형성된 판상부(210), 이 판상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활주 기둥부(220), 및 스프링(500)의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212)를 갖는 이동부재(200); 및
    상기 스프링(500)의 다른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부(111)를 갖는 지지 기둥부(110),양 측부에 형성되는 이동부재 활주부(123)와 내측에 형성되는 이동핀 가이드부(123)를 갖는 돌출 기둥부(120), 헤드부(130), 및 제 2결착수단을 갖는 판상의 고정부재(100)를 포함하되,
    이동부재(200)의 활주 기둥부(220)는 돌출부(221)와 활주홈(222)으로 구성되며,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는 직선 가이드부(124)와 곡선 가이드부(125)로 구성되며,
    이동핀(400)은 고정부재(100)의 이동핀 가이드부(123)에 결착되고, 이동부재(200)의 홈(211)에 이동핀(400)의 지지기둥이 삽입된채로 이동부재(200)의활주홈(222)이 고정부재(100)의 이동부재 활주부(121)에 결착되어서, 이동부재 (200)가 상기 고정부재의 활주부(121)를 따라 활주할 때 이동핀(400)은 이동부재 (200)와 상호 일체로 고정부재의 이동핀 가이드부(123)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핀 가이드(300)는 제 1결착수단에 의해 슬라이드의 이동레일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고정부재는 제 2결착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핀 가이드(300)에 대응하도록 슬라이드의 고정레일의 일단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고정레일,중간이동레일,내측이동레일 및 이들을 연계시키는 구름베어링으로 구성되어서 2단 접철식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동핀 걸림부(320)의 제 2 직선걸림면(324)에 걸림홈(32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500)이 양단 모두 테이퍼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고정부재(100)의 돌출 기둥부(120)에 완충 공간부(126)가 형성되되, 이동핀 가이드부(123)의 직선 가이드부(124)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호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이동핀 가이드부(123)와 완충 공간부(126) 사이에 지지 돌출부(127)가 형성되고,이 지지 돌출부(127)상에 지지 돌출부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뒤틀림 방지돌기(12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동핀 가이드(300)의 양 측부에 완충부 기둥(340)과 완충부 홈(341)이 형성되되 완충부 기둥(340)은 밖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탄성작용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이동레일(900)의 단부에 자동폐쇄장치의 일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레일홈(91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드가 김치냉장고용 슬라이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이동핀 가이드(300')가 이동레일 단부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KR10-2005-0047580A 2004-10-08 2005-06-03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KR100537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628 2004-10-08
KR20040080628 2004-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397A true KR20050071397A (ko) 2005-07-07
KR100537017B1 KR100537017B1 (ko) 2005-12-16

Family

ID=3726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580A KR100537017B1 (ko) 2004-10-08 2005-06-03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01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01B1 (ko) * 2006-05-24 2007-06-19 주식회사 동양슬라이드 댐핑기능을 갖는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WO2007111424A1 (en) * 2006-03-27 2007-10-04 Yoon Sik Park Self closing means
KR100791131B1 (ko) * 2005-08-03 2008-01-02 어큐라이드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자가이동 슬라이드 및 자가이동 메커니즘
KR100795188B1 (ko) * 2006-11-15 200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레일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129570B1 (ko) * 2006-03-13 2012-03-27 박윤식 측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101129569B1 (ko) * 2006-06-01 2012-03-28 박윤식 우연적인 해제가 방지되는 이동핀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1129565B1 (ko) * 2006-03-27 2012-03-28 박윤식 복식 스프링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1129571B1 (ko) * 2006-03-13 2012-03-28 박윤식 선단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101233581B1 (ko) * 2005-12-07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KR101398126B1 (ko) * 2012-04-18 2014-05-27 박윤식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135B1 (ko) 2009-08-05 2012-04-12 김화선 서랍 개폐장치의 서랍 자동 개폐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131B1 (ko) * 2005-08-03 2008-01-02 어큐라이드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자가이동 슬라이드 및 자가이동 메커니즘
KR101233581B1 (ko) * 2005-12-07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KR101129570B1 (ko) * 2006-03-13 2012-03-27 박윤식 측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101129571B1 (ko) * 2006-03-13 2012-03-28 박윤식 선단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WO2007111424A1 (en) * 2006-03-27 2007-10-04 Yoon Sik Park Self closing means
KR101129565B1 (ko) * 2006-03-27 2012-03-28 박윤식 복식 스프링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0729201B1 (ko) * 2006-05-24 2007-06-19 주식회사 동양슬라이드 댐핑기능을 갖는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KR101129569B1 (ko) * 2006-06-01 2012-03-28 박윤식 우연적인 해제가 방지되는 이동핀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0795188B1 (ko) * 2006-11-15 200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레일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398126B1 (ko) * 2012-04-18 2014-05-27 박윤식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7017B1 (ko) 200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084B1 (ko)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KR100537017B1 (ko)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EP1809143B1 (en) Self closing apparatus mounted to a slide
KR101114477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US9388619B2 (en) Automatic closing apparatus
EP2233040A1 (en) Slide rail structure
US20160340955A1 (en)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arrangement with overload protection
WO2007111424A1 (en) Self closing means
JP4601503B2 (ja) 緩衝装置、開閉装置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JP6945021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KR200440800Y1 (ko) 슬라이드레일
KR100798453B1 (ko) 가구용 오토클로져
KR100890902B1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EP1390596A1 (en) Multiple drawer cabinet allowing one drawer opened at a time
KR101056922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폐쇄장치
KR101129569B1 (ko) 우연적인 해제가 방지되는 이동핀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CN108567251B (zh) 用于可活动家具组件的回归机构
KR101114484B1 (ko) 다중 탄성체가 설치된 자동 폐쇄 장치
KR200393608Y1 (ko)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제어장치
KR20150045415A (ko)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 장치
KR20070054294A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핀
KR101129570B1 (ko) 측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EP3865650A1 (en) Soft closing/opening arrangement and device for sliding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G171 Publication of correction by opposi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119

Effective date: 200711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016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119

Effective date: 2007112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