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897A - Video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and control method the same - Google Patents

Video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and control metho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897A
KR20050070897A KR1020030101467A KR20030101467A KR20050070897A KR 20050070897 A KR20050070897 A KR 20050070897A KR 1020030101467 A KR1020030101467 A KR 1020030101467A KR 20030101467 A KR20030101467 A KR 20030101467A KR 20050070897 A KR20050070897 A KR 20050070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key
mode
screen
scree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6755B1 (en
Inventor
차준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755B1/en
Publication of KR2005007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8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7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리모콘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제공된 외부입력 영상에 의한 표시화면을 다양한 부가 기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모콘,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사용자 신호에 따라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동작을 수행하며,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컴퓨터, 그리고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를 컴퓨터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영상기기를 포함하므로 제공한 화면에 도형이나, 선을 긋고, 강조하거나 확대하는 등의 각종 부가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화면 제어가 가능하므로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영상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for controlling a display screen by an external input image provided from a computer using various remote control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remote control and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are installed to provide a user signal. Therefore, it executes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performs detailed mode and function operation by mode, transmits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computer, and transmits the user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computer and accordingly output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It includes the video device to display the screen, so it provide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drawing, drawing, highlighting, and enlarging the provided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screen as the user wants, maximizing convenience and learning efficiency using the video system. Can improve.

Description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ideo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and Control Method The Same}Video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ing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학교, 회사 등에서는 프로젝션 티브이 또는 프로젝터 등의 대형 영상기기를 교육용 매체로 이용하고 있다.In general, schools, companies, and the like use a large video device such as a projection TV or a projector as an educational medium.

즉, 도 1과 같이, 노트북 등의 컴퓨터(1)에서 영상신호를 제공하고, 이를 프로젝션 티브이 또는 프로젝터 등의 영상기기(2)를 통해 화면 표시하여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또는 교육을 진행하는 형태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1, an image signal is provided by a computer 1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nd the screen is displayed through an image device 2 such as a projection TV or a projector to present a presentation or education. .

그리고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현재 표시된 자료화면의 특정 영역을 지시하거나, 마킹(Marking)하거나 확대 하는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필요로 한다.In order to proceed with the education,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indicating, marking or enlarging a specific area of the currently displayed data screen are required.

그러나 영상기기(2)는 단순히 컴퓨터(1)에서 제공하는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상술한 부가 기능 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연결된 마우스를 이용하거나, 키보드를 이용해야 한다.However, the image device 2 merely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 video signal provided by the computer 1, and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use a mouse or a keyboard connected to the computer.

사용자의 교육 진행 위치상 영상기기(2)에 구비된 리모콘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현재 영상기기(2)에 구비된 리모콘(Remote Controller)은 영상기기(2)의 채널 선국, 음량 조절 등 영상기기(2)의 동작제어에 국한될 뿐, 컴퓨터(1)에서 제공된 외부입력 영상화면을 제어하는 등 상술한 부가 기능을 제어할 수는 없어 매우 불편하다.Although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video device 2 in the position of the user's education progress,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video device 2 is used for channel selection and volume control of the video device 2. It is limited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device 2, and it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it cannot control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ontrolling the external input image screen provided from the computer 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제공된 외부입력 영상에 의한 표시화면을 다양한 부가 기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to control the display screen by the external input image provided from the computer by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using a remote control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은 화면 제어창의 세부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키, 모드별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키, 그리고 모드에 따른 윈도우 이동을 위한 방향키를 포함하는 리모콘,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고 현재 표시화면상에 중복 표시되며 표시화면 제어를 위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모드를 구비한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 또는 컴퓨터를 통해 직접 입력된 사용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동작을 수행하며, 그에 따른 화면 제어창 표시와 화면 제어창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표시를 위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컴퓨터, 그리고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를 컴퓨터 통신규격에 맞도록 변환하여 컴퓨터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영상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includes a mode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detailed mode of a screen control window,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a function for each mode, and a direction key for moving a window according to a mode by a remote controller and a remote controller.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which is controlled, is displayed on the current display screen, and which has at least two mode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creen, is installed, and on at least one of a user signal input through a remote controller or a user signal input directly through a computer. According to this,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is executed, detailed modes and func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and a computer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for displaying the screen control window and the detailed mode and function for each screen, and a user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The computer to meet the computer communication standard Transmiss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accordingly.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컴퓨터가 현재 표시화면상에 중복 표시되며 표시화면 제어를 위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모드를 구비한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화면 제어창 영상신호를 영상기기에 전송하여 화면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가 영상기기에 표시된 화면 제어창을 보고 그에 따른 리모콘의 키를 입력하여 화면 제어창 모드 선택 및 해당 모드별 기능실행을 명령하는 단계, 그리고 영상기기가 리모콘 키 신호를 컴퓨터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컴퓨터가 리모콘 키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영상기기에 전송하여 화면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 method of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is repeatedly displayed on a current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nd executes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having at least two mode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creen. Transmitting a video signal to a video device to perform a screen display; a user viewing a screen control window displayed on the video device and inputting a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key signal to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video device, performing a corresponding command by the computer recognizing the remote control ke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ideo signal to the video device so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mag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4의 화면 제어창 모드별 기능 실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5의 기능키 실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의 세부 모드들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사용자 설정모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FIG. 2, and FIG. 4 is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of each screen control window mode of FIG. 4, FIG.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key of FIG. 5, and FIG. 7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creen control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detailed modes of a screen control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control window user sett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제어창의 세부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키(32), 모드별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키(31), 그리고 모드에 따른 윈도우 이동을 위한 방향키(33)를 포함하는 리모콘(30), 상기 리모콘(30)에 의해 제어되고 현재 표시화면상에 중복 표시되며 상기 표시화면 제어를 위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모드를 구비한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리모콘(3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 또는 컴퓨터를 통해 직접 입력된 사용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동작을 수행하며, 그에 따른 화면 제어창 표시와 상기 화면 제어창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표시를 위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컴퓨터(10), 그리고 상기 리모콘(3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를 상기 컴퓨터 통신규격에 맞도록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10)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컴퓨터(1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영상기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image system having the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election key 32 for selecting a detailed mode of the screen control window, a function key 31 for selecting a function for each mode, and a mode. A remote control 30 including a direction key 33 for moving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control window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30 and displayed on the current display screen, and having at least two mode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creen. A program is installed, and executes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user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30 or a user signal directly input through a computer, and performs a detailed mode and a function operation for each mode, and accordingly the screen Computer 10 for outputting a control window display and a video signal for displaying the screen control window detailed mode and function by mode, and the remote control 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ideo device 20 for converting the user signal input through the computer to meet the computer communication standard to be transmitted to the computer 10, and accordingly display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10 .

이때 리모콘(30)의 모드 선택키(32)는 숫자키이며, 숫자키중 '0'은 이전화면으로 복귀하는 복귀키로 지정된다.At this time, the mode selection key 32 of the remote controller 30 is a numeric key, and '0' of the numeric keys is designated as a return key for returning to the previous screen.

그리고 리모콘(30)의 기능키(31)는 화면 제어창의 각 모드로 절환된 경우, 해당 모드별로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기능키(좌△), 윈도우의 모양 변경을 위한 제2 기능키(우△), 윈도우의 색상 변경을 위한 제3 기능키(좌▽), 그리고 기설정된 동작 변경을 위한 제4 기능키(우▽)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모콘(30)의 방향키(33)는 8방향 조이스틱(Joy-stick)이 적용된다.In addition, when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is switched to each mode of the screen control window,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each mode, the second function for changing the shape of the window Key (right △), a third function key (left ▽) for changing the color of the window, and a fourth function key (right ▽) for changing the preset operation. And the direction key 33 of the remote control 30 is applied to the eight-way joystick (Joy-stick).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기능키는 모드 절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즉, 화면 제어창 전체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는 각각 마우스(Mouse)의 왼쪽 버튼,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 키보드의 페이지 업(Page-up), 키보드의 페이지 다운(Page-down) 기능이 적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o fourth function keys, the mode switch is not made, that is, in the state that the entire screen control window menu is displayed, the left button of the mouse (Mouse), the right button of the mouse, the page-up of the keyboard (Page-up) ), The page-down function of the keyboard is applied.

그리고 컴퓨터(10)는 RS-232C 형식으로 변환된 키 신호 입력을 위한 RS-232C 잭(12), USB 형식으로 변환된 키 신호 입력을 위한 USB 잭(13), 상기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 각 모드별 사용자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1), 상기 RS-232C 잭(12) 및 USB 잭(13)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 신호 및 컴퓨터를 통해 직접 입력된 사용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 실행하고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화면 제어창과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15), 그리고 상기 CPU(15)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카드(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mputer 10 includes an RS-232C jack 12 for inputting a key signal converted into RS-232C format, a USB jack 13 for inputting a key signal converted into USB format,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and each mode. Executing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user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memory unit 11, the RS-232C jack 12 and the USB jack 13, and a user signal directly input through a computer, storing user setting values And perform a detailed mode and mode-specific function operation, and generate an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CPU 15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screen control window and the detailed mode and mode-specific function,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CPU 15.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ideo card (14).

이때 메모리부(11)의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은 영상기기 제조업체에서 씨디롬 등의 저장매체로 제공하거나, 제조업체 인터넷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of the memory unit 11 may be provided by a video device manufacturer as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or may be downloaded from the manufacturer's Internet site.

그리고 영상기기(20)는 상기 리모콘(30)에서 송신된 키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21), 상기 적외선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된 키 신호를 RS-232C 형식에 맞도록 변환하는 RS-232C 컨트롤러(22), 상기 적외선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된 키 신호를 USB 형식에 맞도록 변환하는 USB 컨트롤러(23), 상기 RS-232C 컨트롤러(22) 및 USB 컨트롤러(23)와 컴퓨터(10)의 신호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부(24), 상기 컴퓨터(10)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화면처리하는 영상처리부(25),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25)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mage apparatus 20 may include an infrared receiver 21 for receiving the ke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30 and an RS- for converting the ke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21 to conform to the RS-232C format. 232C controller 22, USB controller 23 for converting the ke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21 to match the USB format, the RS-232C controller 22 and USB controller 23 and computer 10 Interface unit 24 for exchanging signals, an image processor 25 for screen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10, and a display unit 26 for displaying an output of the image processor 25.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와 같이 구성된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화면 제어창 제어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verall flow of the screen control window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ystem having the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first.

리모콘(30)을 이용하여 화면 제어창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컴퓨터(10)에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In order to control the screen control window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0, the installation of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on the computer 10 should be preceded.

따라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씨디롬 등의 저장매체나 인터넷에서 다운받은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을 컴퓨터(10)에 설치한다(S41).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stalls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downloaded from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or the Internet to the computer 10 (S41).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컴퓨터(10)는 화면 제어창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42).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is installed, the computer 10 determines whether a screen control window execution command is input (S42).

이때 화면 제어창 실행명령은 컴퓨터(1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할 수도 있고, 리모콘(30)의 키 중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컴퓨터(10) 부팅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다.In this case, the screen control window execution command may be directly performed by the user through the computer 10, or may use one of the keys of the remote control 30, and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computer 10 is booted. Follow.

또한 자동 실행일 경우 컴퓨터 시작 프로그램에 상기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을 등록함으로서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automatic execution,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is registered in the computer startup program.

따라서 컴퓨터(10)는 상기 판단결과(S42), 화면 제어창 실행명령이 입력되었으면, 컴퓨터(10)에서 화면 제어창을 실행하여 그에 따른 영상을 영상기기(20)로 제공한다(S43).Accordingly,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S42) and the screen control window execution command are input, the computer 10 executes the screen control window in the computer 10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image to the image device 20 (S43).

이때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기기(20)로 제공하는 일련의 동작설명은 일반적인 컴퓨터 영상을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a series of operation descriptions for generating an image according to program execution and providing the image to the image device 20 are the same as those for outputting a general computer image to an external device.

이어서 영상기기(20)는 상기 컴퓨터(10)에서 제공된 화면 제어창 영상을 도 7과 같이 표시한다(S44).Subsequently, the imaging apparatus 20 displays the screen control window image provided by the computer 10 as shown in FIG. 7 (S44).

이때 화면 제어창은 '표시', '가리기', '선긋기', '스폿(Spot)', '펜', '도형', '부분확대', '줌(Zoom)', 그리고 '포인터(Pointer)' 모드를 포함하는 메뉴창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바탕화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 표시되며, 각 모드별로 1 ~ 9의 숫자가 할당되고, 별도의 커서(Cursor)가 표시된다.In this case, the screen control window displays 'display', 'screening', 'draw', 'spot', 'pen', 'shape', 'partial magnification', 'zoom', and 'pointer'. It consists of a menu window including the mode, and is display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desktop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 numbers 1 to 9 are assigned to each mode, and a separate cursor is displayed.

또한 화면 제어창 자체, 그리고 화면 제어창의 모드를 선택함에 따른 모드화면 그리고 커서는, 원 바탕화면상에 중복 표시되는 윈도우(Window)로 구현한다.In addition, the screen control window itself, the mode screen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screen control window, and the cursor are embodied as a window that is repeatedly displayed on the original desktop.

그리고 컴퓨터(10)는 화면 제어창 관련 리모콘 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45).In operation S45, the computer 10 determines whether a remote control key related to the screen control window is input.

이때 화면 제어창 관련 리모콘 키는 기능키(31), 모드 선택키(32) 및 방향키(33)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화면 제어창의 모드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모드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키이다.In this case, the remote control key related to the screen control window means a function key 31, a mode selection key 32, and a direction key 33, and is a key for selecting a mode of the screen control window or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selected mode.

또한 리모콘 키는 사용자가 리모콘(30)을 통해 영상기기(20)에 해당 키를 입력하면 영상기기(20)를 통해 컴퓨터(10)의 통신규격 즉, RS-232C 또는 USB에 맞도록 변환되어 컴퓨터(10)에 전송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corresponding key to the video device 20 through the remote control 30, the remote control key is converted to meet the communication standard of the computer 10, that is, RS-232C or USB through the video device 20, Is sent to 10.

그리고 컴퓨터(10)는 상기 영상기기(20)에서 전송된 키에 따라 화면 제어창 부가기능 영상을 제공한다(S46).The computer 10 provides a screen control window additional function image according to the key transmitted from the image device 20 (S46).

이어서 영상기기(20)가 상기 컴퓨터(10)에서 제공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Subsequently, the imaging apparatus 20 displays an image provided from the computer 10 on the screen.

그리고 컴퓨터(10)는 화면 제어창 종료가 명령되었는지 판단하여(S47), 화면 제어창 종료가 명령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S45)로 복귀하여 리모콘 키 입력을 대기한다.In operation S47, the computer 10 determines whether the screen control window is terminated. If the screen control window is not commanded, the computer 10 returns to the step S45 and waits for a remote control key input.

다음으로, 상기 단계들(S45)(S46)의 세부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detailed operations of the steps (S45) (S4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10)는 영상기기(20)를 통해 리모콘(30)의 모드 선택키(32)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51).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computer 10 determines whether the mode selection key 32 of the remote controller 30 is input through the imaging apparatus 20 (S51).

이때 모드 선택키(32)는 상기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에 포함된 모드중 하나를 상기 모드별로 할당된 숫자를 참조하여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At this time, the mode selection key 32 is a key for selecting one of the modes included in the screen control window menu of FIG. 7 with reference to the number assigned to each mode.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리모콘(30)의 해당 숫자키를 누름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mode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of the remote control (30).

이어서 컴퓨터(10)는 상기 판단결과(S51), 모드 선택키(32)가 입력되었으면, 해당 모드의 표시영역을 생성하고, 해당 영역에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른 윈도우를 표시한다(S52).Subsequently,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S51 and the mode selection key 32 are input, the computer 10 generates a display area of the mode, and displays a window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in the area (S52).

한편, 컴퓨터(10)는 상기 판단결과(S51), 모드 선택키(32)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복귀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53).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S51), the mode selection key 32 is not input, the computer 10 determines whether the return key is input (S53).

이때 복귀키는 현재 기능의 이전 기능으로 돌아가기 위한 키로서, 숫자키중 하나, 예를 들어, '0'으로 프로그램되며, 별도의 키를 둘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return key is a key for returning to the previous function of the current function, and is programmed as one of the numeric keys, for example, '0', and may be a separate key.

따라서 복귀키가 입력되었으면, 이전 기능으로 복귀한다(S54).Therefore, if the return key is input, it returns to the previous function (S54).

한편, 복귀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기능키(31)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S55), 기능키(31)가 입력되었으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56).On the other hand, if the return key is not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unction key 31 is input (S55), and if the function key 31 is input (S56).

한편, 상기 판단결과(S55), 기능키(31)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방향키(33)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S57), 방향키(33)가 입력되었으면 그에 따라 윈도우를 이동시킨다(S58).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S55), the function key 31 is not inpu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rection key 33 is input (S57), if the direction key 33 is input (S58) to move the window accordingly.

이때 기능키 판단 및 그에 따른 기능 수행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function key determina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즉, 기능키는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기능키로 구분된다.That is, the function keys are divided into first to fourth function keys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 입력된 기능키(31)가 제1 기능키이면(S61), 각 모드별로 제1 기능키에 할당된 동작을 수행한다(S62).Therefore, when the input function key 31 is the first function key (S61), the operation assigned to the first function key for each mode is performed (S62).

한편, 제2 기능키이면(S63), 윈도우의 모양을 변경한다(S64).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function key (S63), the shape of the window is changed (S64).

한편, 제3 기능키이면(S65), 윈도우의 색상을 변경한다(S66).On the other hand, if the third function key (S65), the color of the window is changed (S66).

마지막으로 제4 기능키이면 상기 제1 기능키에 할당된 동작을 변경한다(S67).Finally, if the fourth function key, the operation assigned to the first function key is changed (S67).

상술한 제1 내지 제4 기능키 동작은 전체 모드를 총괄하여 실제 동작을 예시하지 않고 제2 기능키는 모양 변경, 제3 기능키는 색상변경, 제4 기능키는 동작변경과 같은 식으로 대표동작 만을 설명한 것으로, 실제 각 모드별 윈도우의 모양, 색상과 각 모드별 기능키 동작은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각 모드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described first to fourth function key operations are not representative of the actual operation as a whole, and the second function key is changed in shape, the third function key is changed in color, and the fourth function key is repres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change. Since only the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the shape, color, and function key operation of each mod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each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화면 제어창 초기 실행시 도 7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First, a screen as shown in FIG. 7 is displayed when the screen control window is initially executed.

이때 화면 제어창은 '표시', '가리기', '선긋기', '스폿(Spot)', '펜', '도형', '부분확대', '줌(Zoom)', 그리고 '포인터(Pointer)' 모드를 포함하며, 커서가 별도로 표시된다.In this case, the screen control window displays 'display', 'screening', 'draw', 'spot', 'pen', 'shape', 'partial magnification', 'zoom', and 'pointer'. Mode, and cursors are displayed separately.

따라서 각 모드별 기능 및 키 할당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functions and key assignments for each mode are explained as follows.

- 표시 모드 --Display mode-

표시 모드는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30)의 모드 선택키(32) 즉, 숫자키 '1'에 의해 절환되어 도 8과 같이, 상기 도 7의 화면 제어창에 표시된 커서가 위치하는 곳에 다양한 형태의 고정 윈도우를 표시하는 모드이다.In the display mode menu of FIG. 7, the display mode is switched by the mode selection key 32, that is, the numeric key '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and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control window of FIG. 7 as shown in FIG. 8. This is a mode to display various types of fixed windows where is located.

이때 도 8의 화면에 표시된 손가락, 화살표 등이 모두 표시 모드의 윈도우로서, 방향키(33)에 의해 윈도우의 위치가 변한다.At this time, all the fingers, arrows, and the like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8 are windows in the display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window is changed by the direction key 33.

그리고 도 8의 상단을 보면, 각종 기능들에 해당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다. 즉, 표시하기에 제1 기능키(좌△), 모양변경에 제2 기능키(우△), 색상변경에 제3 기능키(좌▽), 크기변경에 제4 기능키(우▽)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리모콘(30)의 기능키(31)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8, corresponding function keys are assigned to various functions. That is,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to change the shape, the second function key (right △) to change the shape, the third function key (left ▽) to change the color, and the fourth function key (right ▽) to change the size Is assigned. Therefore, the user may look at the screen and refer to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 가리기 모드 --Hide mode-

가리기 모드는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30)의 숫자키 '2'에 의해 절환되어 도 9와 같이, 막이 이동하면서 화면을 덮거나 드러나게 하는 모드이다.The hide mode is a mode in which the screen control window menu of FIG. 7 is displayed and switched by the numeric keys '2' of the remote controller 30 to cover or expose the screen as the film moves as shown in FIG. 9.

이때 도 9의 화면에 표시된 막이 가리기 모드의 윈도우로서, 방향키(33)에 의해 윈도우의 위치가 변한다.At this time, the film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9 is a window in the hide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window is changed by the direction key 33.

그리고 도 9의 상단을 보면, 각종 기능들에 해당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다. 즉, 가리기 기능 온/오프에 제1 기능키(좌△), 가리는 형태(아래, 위, 좌, 우, 중앙 수평방향, 중앙 수직방향) 변경에 제2 기능키(우△), 색상변경에 제3 기능키(좌▽), 지정된 자막을 중앙에 표시하는 기능 온/오프에 제4 기능키(우▽)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리모콘(30)의 기능키(31)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9, corresponding function keys are assigned to various functions. In other words,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the screen (down, up, left, right, center horizontal direction, center vertical direction) change to the second function key (right △), color change to cover function on / off A fourth function key (i) is assigned to the third function key (i) and the function on / off which displays the designated subtitle at the center. Therefore, the user may look at the screen and refer to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 선긋기 모드 --Stroke mode-

선긋기 모드는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30)의 숫자키 '3'에 의해 절환되어 도 10과 같이, 화면에 선이 표시되는 모드이다.The scribing mode is a mode in which a lin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0 by switching by the numeric key '3' of the remote controller 30 while the screen control window menu of FIG. 7 is displayed.

이때 도 10의 화면에 표시된 선이 선긋기 모드의 윈도우로서 방향키(33)에 의해 윈도우의 위치가 변한다.At this time, the line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10 is a window of the line drawing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window is changed by the direction key 33.

그리고 도 10의 상단을 보면, 각종 기능들에 해당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다. 즉, 선의 이동에 제1 기능키(좌△), 선의 형태(수평, 수직, 직교) 변경에 제2 기능키(우△), 선의 색상변경에 제3 기능키(좌▽), 선의 길이 변경에 제4 기능키(우▽)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리모콘(30)의 기능키(31)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10, corresponding function keys are assigned to various functions. That is,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to move the line, the second function key (right △) to change the form (horizontal, vertical, orthogonal) of the line, the third function key (left ▽) to change the color of the line, the length of the line is changed. The fourth function key (u) is assigned to. Therefore, the user may look at the screen and refer to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 스폿(Spot) 모드 -Spot mode

스폿 모드는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30)의 숫자키 '4'에 의해 절환되어 도 11과 같이, 화면의 일부분을 강조하는 모드이다.The spot mode is a mode in which a portion of the screen is emphasized as shown in FIG. 11 by being switched by the numeric key '4' of the remote controller 30 while the screen control window menu of FIG. 7 is displayed.

이때 도 11의 화면에 표시된 강조영역(예를 들어, 원)이 스폿 모드의 윈도우로서, 방향키(33)에 의해 윈도우의 위치가 변한다.At this time, the highlighted area (eg, a circle)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11 is a window in the spot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window is changed by the direction key 33.

그리고 도 11의 상단을 보면, 각종 기능들에 해당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다. 즉, 스폿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크기변경(예를 들어, 8단계)에 제1 기능키(좌△), 스폿의 모양 변경에 제2 기능키(우△), 스폿 이외의 배경화면 색상변경에 제3 기능키(좌▽), 설정 색과 배경의 투명도 변경에 제4 기능키(우▽)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리모콘(30)의 기능키(31)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11, corresponding function keys are assigned to various functions. That is,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to change the size based on the center of the spot (for example, step 8), the second function key (right △) to change the shape of the spot, and change the background color other than the spot Is assigned to the third function key (left) and the fourth function key (right) for changing the transparency of the setting color and background. Therefore, the user may look at the screen and refer to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 펜(Pen) 모드 -Pen mode

펜 모드는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30)의 숫자키 '5'에 의해 절환되어 도 12와 같이, 펜을 이용한 그림을 그리는 모드이다.The pen mode is a mode in which a picture using a pen is switched as shown in FIG. 12 by being switched by the numeric key '5' of the remote controller 30 while the screen control window menu of FIG. 7 is displayed.

이때 도 12의 화면에 표시된 펜 형상이 펜 모드의 윈도우로서, 방향키(33)에 의해 윈도우의 위치가 변한다.At this time, the pen shape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12 is a pen mode window, and the position of the window is changed by the direction key 33.

그리고 도 12의 상단을 보면, 각종 기능들에 해당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다. 즉, 그리기 시작/종료에 제1 기능키(좌△), 펜의 크기 선택에 제2 기능키(우△), 펜의 색상변경에 제3 기능키(좌▽), 펜의 굵기 변경에 제4 기능키(우▽)가 할당되어 있으며, 추가로 그린 부분 취소(지우기)에 채널키(△ 또는 ▽)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리모콘(30)의 기능키(31)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12, corresponding function keys are assigned to various functions. That is,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for drawing start / end, the second function key (right △) for selecting the size of the pen, the third function key (left ▽) for changing the color of the pen, and the thickness change of the pen. 4 Function key (right) is assigned, and channel key (△ or ▽) is assigned to Cancel (Erase) an additional drawn part. Therefore, the user may look at the screen and refer to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 도형 모드 -Shape mode

도형 모드는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30)의 숫자키 '6'에 의해 절환되어 도 13과 같이, 지정된 도형을 화면에 그리는 모드이다.The figure mode is a mode in which a specified figure is draw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3 while being switched by the numeric key '6' of the remote controller 30 while the screen control window menu of FIG. 7 is displayed.

이때 도 13의 화면에 표시된 도형이 도형 모드의 윈도우로서, 방향키(33)에 의해 윈도우의 위치가 변한다.At this time, the figu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13 is a window in the figure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window is changed by the direction key 33.

그리고 도 13의 상단을 보면, 각종 기능들에 해당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다. 즉, 도형 그리기 시작/종료에 제1 기능키(좌△), 도형 종류 선택에 제2 기능키(우△), 도형의 색상변경에 제3 기능키(좌▽), 도형의 굵기 변경에 제4 기능키(우▽)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리모콘(30)의 기능키(31)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13, corresponding function keys are assigned to various functions. That is,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to start / end figure drawing, the second function key (right △) to select figure type, the third function key (left ▽) to change color of figure, and change the thickness of figure. 4 Function key (right) is assigned. Therefore, the user may look at the screen and refer to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 부분확대 모드 --Loupe Mode-

부분확대 모드는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30)의 숫자키 '7'에 의해 절환되어 도 14와 같이, 화면의 일부영역을 확대하는 모드이다.The partial enlargement mode is a mode in which a partial area of the screen is enlarged as shown in FIG. 14 by switching by the numeric key '7' of the remote controller 30 while the screen control window menu of FIG. 7 is displayed.

이때 도 14의 화면에 표시된 확대영역이 부분확대 모드의 윈도우로서, 방향키(33)에 의해 윈도우의 위치가 변한다.At this time, the magnified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of FIG. 14 is a window of the partial magnification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window is changed by the direction key 33.

그리고 도 14의 상단을 보면, 각종 기능들에 해당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다. 즉, 부분확대된 영역 복사에 제1 기능키(좌△), 부분확대 모양 선택에 제2 기능키(우△), 부분확대 영역 경계선 색상변경에 제3 기능키(좌▽), 부분확대 크기 변경에 제4 기능키(우▽)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기능키에 의해 복사된 영역을 방향키(33)에 의해 이동하여 다시 제1 기능키를 누름으로서 붙여넣기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리모콘(30)의 기능키(31)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14, corresponding function keys are assigned to various functions. That is,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for copying the enlarged area, the second function key (right △) for selecting the partial enlargement shape, the third function key (left ▽) for changing the color of the partial enlarged area border, and the partial enlarged size. The fourth function key (i) is assigned to the change, and the area copied by the first function key is moved by the direction key 33, and it is possible to paste by pressing the first function key again. Therefore, the user may look at the screen and refer to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 줌(Zoom) 모드 --Zoom mode-

줌 모드는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30)의 숫자키 '8'에 의해 절환되어 도 15와 같이, 영역 구분된 화면중 현재 커서가 위치한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모드이다.The zoom mode is a mode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screen on which the current cursor is located among the screens divided by switching by number keys '8' of the remote controller 30 while the screen control window menu of FIG. 7 is displayed. .

이때 도 15의 확대 또는 축소영역이 줌 모드의 윈도우로서, 방향키(33)에 의해 윈도우의 위치가 변한다.At this time, the enlarged or reduced area of FIG. 15 is a window in the zoom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window is changed by the direction key 33.

그리고 도 15의 상단을 보면, 각종 기능들에 해당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다. 즉, 확대에 제1 기능키(좌△), 축소에 제2 기능키(우△), 전체 영역중 현 확대영역을 나타내는 위치표시(도 16 참조) 사용/미사용에 제3 기능키(좌▽), 줌 모드에서 상술한 선긋기 사용에 제4 기능키(우▽)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리모콘(30)의 기능키(31)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15, corresponding function keys are assigned to various functions. That is,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for zooming in, the second function key (right △) for zooming out, and the third function key (left ▽) for use / non-use of the position display (see FIG. In the zoom mode, the fourth function key (i) is assigned to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line drawing. Therefore, the user may look at the screen and refer to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 포인터 모드 -Pointer mode

포인터 모드는 도 7의 화면 제어창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30)의 숫자키 '9'에 의해 절환되어 도 17과 같이, 화면에 포인터 모양을 표시하는 모드이다.The pointer mode is a mode in which a pointer shap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7 by being switched by the numeric key '9' of the remote controller 30 while the screen control window menu of FIG. 7 is displayed.

이때 도 17의 포인터가 포인터 모드의 윈도우로서, 방향키(33)에 의해 윈도우의 위치가 변한다.At this time, the pointer of FIG. 17 is a window in pointer mode, and the position of the window is changed by the direction key 33.

그리고 도 17의 상단을 보면, 각종 기능들에 해당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다. 즉, 일정시간 시행후 종료되는 방식으로 포인터 흔들기 또는 돌리기에 제1 기능키(좌△), 포인터 모양 변경에 제2 기능키(우△), 포인터 색상 변경에 제3 기능키(좌▽), 흔들기/돌리기 선택에 제4 기능키(우▽)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리모콘(30)의 기능키(31)를 눌러 선택할 수 있다.17, corresponding function keys are assigned to various functions. That is, the first function key (left △) to change the pointer shape, the second function key (right △) to change the pointer shape, the third function key (left ▽) to change the pointer color, etc. A fourth function key (right) is assigned to the shake / turn selection. Therefore, the user may look at the screen and refer to the desired function by pressing the function key 31 of the remote controller 30.

상술한 각종 모드들의 윈도우의 형태, 색상, 크기 등의 기본 설정값은 도 18과 같은 사용자 설정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The basic setting values such as the shape, color, and size of the windows of the various modes described above may be designa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setting menu screen shown in FIG. 18.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영상기기에 구비된 리모콘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제공한 화면에 도형이나, 선을 긋고, 강조하거나 확대하는 등의 각종 부가기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화면 제어가 가능하여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영상시스템을 이용한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imaging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drawing, highlighting, or enlarging a figure or a line on a screen provided by a computer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imaging device. The screen can be controlled as the user wants to maximize convenience and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using the image system.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영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화면 제어창 모드별 기능 실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of a screen control window mode of FIG. 4.

도 6은 도 5의 기능키 실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key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creen control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의 세부 모드들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8 to 17 illustrate embodiments of detailed modes of a screen control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창 사용자 설정모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1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creen control window user sett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0: 컴퓨터 2, 20: 영상기기1, 10: computer 2, 20: video equipment

11: 메모리부 12: RS-232C 잭11: memory 12: RS-232C jack

13: USB 잭 14: 비디오 카드13: USB jack 14: video card

15: CPU(Central Processing Unit)15: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1: 적외선 수신부 22: RS-232C 컨트롤러21: infrared receiver 22: RS-232C controller

23: USB 컨트롤러 24: 인터페이스부23: USB controller 24: interface

25: 디스플레이부 26: 영상 처리부25: display unit 26: image processing unit

30: 리모콘 31: 기능키30: Remote Control 31: Function Keys

32: 모드 선택키 33: 방향키32: Mode select key 33: Direction key

34: 키 코드 발생부 35: 적외선 송신부34: key code generator 35: infrared transmitter

Claims (20)

화면 제어창의 세부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 선택키, 모드별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키, 그리고 모드에 따른 윈도우 이동을 위한 방향키를 포함하는 리모콘;A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mode selection key for selecting a detailed mode of the screen control window,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a function for each mode, and a direction key for moving a window according to the mode; 상기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고 현재 표시화면상에 중복 표시되며 상기 표시화면 제어를 위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모드를 구비한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 또는 컴퓨터를 통해 직접 입력된 사용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동작을 수행하며, 그에 따른 화면 제어창 표시와 상기 화면 제어창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표시를 위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컴퓨터; 그리고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and duplicated on the current display screen and having at least two mode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creen is installed, and directly inputted through a user signal or a computer input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A computer that executes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user signal, performs a detailed mode and a function operation by mode, and outputs a video signal for displaying the screen control window and displaying the detailed mode and mode-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the screen control window; And 상기 리모콘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를 상기 컴퓨터 통신규격에 맞도록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화면 표시하는 영상기기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And a video device for converting a user signal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to meet the computer communication standar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user signal to the computer, thereby displaying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리모콘의 모드 선택키는 숫자키의 일부 또는 숫자키 모두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The mode sele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 is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part or all of the numeric keys.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리모콘의 기능키는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기능키, 윈도우의 모양 변경을 위한 제2 기능키, 윈도우의 색상 변경을 위한 제3 기능키, 그리고 기설정된 동작 변경을 위한 제4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The fun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may include a first function key for performing a preset operation, a second function key for changing a shape of a window, a third function key for changing a color of a window, and a fourth function for changing a preset operation. Imaging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ey.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1 내지 제4 기능키는 각각 마우스(Mouse)의 왼쪽 버튼,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 키보드의 페이지 업(Page-up), 키보드의 페이지 다운(Page-down) 기능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Each of the first to fourth function keys may include a left button of a mouse, a right button of a mouse, a page-up of a keyboard, and a page-down function of a keyboard. Imaging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리모콘의 방향키는 조이스틱(Joy-stick)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The dire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 is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joystick (Joy-stick) form.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컴퓨터는 RS-232C 형식으로 변환된 키 신호 입력을 위한 RS-232C 잭,The computer has an RS-232C jack for inputting a key signal converted to RS-232C format, USB 형식으로 변환된 키 신호 입력을 위한 USB 잭,USB jack for inputting key signals converted to USB format, 상기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 각 모드별 사용자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and a user setting value for each mode; 상기 RS-232C 잭 및 USB 잭을 통해 전송된 사용자 신호 및 컴퓨터를 통해 직접 입력된 사용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 실행하고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화면 제어창과 세부 모드 및 모드별 기능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 그리고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of a user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S-232C jack and a USB jack and a user signal directly input through a computer,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is executed, a detailed mode and a mode-specific function operation are performed, and the screen control window and a detailed mode are performed. And a CPU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mode-specific function display. 상기 CPU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And a video card generating a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PU.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영상기기는 상기 리모콘에서 송신된 키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The video apparatus includes an infrared receiver for receiving a ke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키 신호를 RS-232C 형식에 맞도록 변환하는 RS-232C 컨트롤러,An RS-232C controller for converting the ke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into conformity to the RS-232C format; 상기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키 신호를 USB 형식에 맞도록 변환하는 USB 컨트롤러,A USB controller for converting a ke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frared receiver into conformity with a USB format; 상기 RS-232C 컨트롤러 및 USB 컨트롤러와 컴퓨터의 신호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for signal exchange between the RS-232C controller and the USB controller and the computer, 상기 컴퓨터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화면처리하는 영상처리부, 그리고An image processor for screen-processing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상기 영상처리부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utput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리모콘,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 및 영상기기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an imaging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including a remote control, a computer with a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and an image device,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컴퓨터가 현재 표시화면상에 중복 표시되며 상기 표시화면 제어를 위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모드를 구비한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화면 제어창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기기에 전송하여 화면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a);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the computer is displayed on the current display screen repeatedly, and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having at least two mode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creen is executed, and the screen control window ima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ideo device for screen display. (A); 사용자가 상기 영상기기에 표시된 화면 제어창을 보고 그에 따른 리모콘의 키를 입력하여 화면 제어창 모드 선택 및 해당 모드별 기능실행을 명령하는 단계(b); 그리고(B) instructing a user to view a screen control window displayed on the video apparatus and input a key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method to select a screen control window mode and execute a function of each mode; And 상기 영상기기가 상기 리모콘 키 신호를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고 그에 따라 컴퓨터가 상기 리모콘 키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상기 영상기기에 전송하여 화면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c)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The video device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key signal to the computer, and accordingly, the computer recognizes the remote control key signal to perform a corresponding command and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video device so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Control method of an imaging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including.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단계(a)에서 사용자 명령은 컴퓨터를 통해 직접 이루어지는 것과, 리모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ommand in the step (a) is at least one of made directly through a computer, and via a remote control.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단계(a)에서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 실행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컴퓨터 부팅시 자동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And executing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in step (a) automatically upon booting the computer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화면 제어창은 '표시', '가리기', '선긋기', '스폿(Spot)', '펜', '도형', '부분확대', '줌(Zoom)', 그리고 '포인터(Pointer)' 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 모드별로 숫자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The screen control window includes 'display', 'hiding', 'draw', 'spot', 'pen', 'shape', 'partial magnification', 'zoom', and 'pointer'. Control method of an imaging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omprising a mode, the number being assigned to each mode 제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화면 제어창은 커서(Cursor)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The screen control window control method of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rsor (Cursor) 제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커서는 현재 바탕화면의 색상과 보색(補色)으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The cursor is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f the current desktop color and complementary color (바탕 色)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화면 제어창 각 모드는 해당 모드에 따른 윈도우(Window), 상기 윈도우의 모양과 색상 변경을 포함하는 윈도우 조정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윈도우 조정 메뉴별로 기능키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Each mode of the screen control window includes a window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mode, a window adjustment menu including a shape and color change of the window, and a function key is assigned to each window adjustment menu. Control method of image system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단계(b)에서 리모콘의 키를 입력하여 화면 제어창 모드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각 모드별로 할당된 숫자를 참조하여 리모콘의 해당 숫자 키를 입력하여 선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 In the step (b), selecting a screen control window mode by inputting a key of the remote control refers to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wherein a corresponding number key of the remote control is selected by referring to a number assigned to each mode. Control method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단계(b)에서 리모콘의 키를 입력하여 각 모드별 기능 실행을 명령하는 것은 상기 기능별로 할당된 리모콘의 기능키를 입력하여 선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Commanding to execute a function for each mode by inputting a key of the remote control in the step (b) is a control method of a video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by inputting the fun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 assigned to each function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단계(b)에서 리모콘의 키를 입력하여 각 모드별 기능 실행을 명령하는 것은 리모콘의 방향키를 입력하여, 각 모드별로 윈도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The command of executing a function for each mode by inputting a key of the remote control in the step (b)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moving the window for each mode by inputting a dire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리모콘의 키를 입력하여 이전 기능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turning to a previous function by inputting a key of a remote controller. 제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리모콘의 키는 숫자키 '0'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of the remote control is a numeric key '0'. 제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사용자가 원할 경우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화면 제어창 프로그램에 포함된 사용자 설정메뉴를 통해 상기 화면 제어창 각 모드별 기본 설정값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면 제어창 기능을 갖는 영상시스템의 제어방법If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setting menu included in the screen control window program installed in the computer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ystem having a screen control window func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anging the default setting value for each mode of the screen control window
KR1020030101467A 2003-12-31 2003-12-31 Video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100606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67A KR100606755B1 (en) 2003-12-31 2003-12-31 Video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and Control Method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67A KR100606755B1 (en) 2003-12-31 2003-12-31 Video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and Control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897A true KR20050070897A (en) 2005-07-07
KR100606755B1 KR100606755B1 (en) 2006-07-31

Family

ID=3726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467A KR100606755B1 (en) 2003-12-31 2003-12-31 Video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and Control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7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30B1 (en) * 2020-04-13 2021-04-14 주식회사 피디온 Automatic mouse pointer location movement control system by button color using color code and macro, and notification method by progress using this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441B1 (en) 2012-05-22 2019-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30B1 (en) * 2020-04-13 2021-04-14 주식회사 피디온 Automatic mouse pointer location movement control system by button color using color code and macro, and notification method by progress using thi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755B1 (en) 200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0742B2 (en) Graphics controls for permitting background size changes
JP4142175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evice
US742366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9229735B2 (en) Graphics items that extend outside a background perimeter
US20060294464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support to user
US20090315807A1 (en) Multi-display op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3523562A (en) pointing device
US7130791B2 (en) Computer system and OSD displaying method for the same
JP2963606B2 (en) LCD projection equipment
EP2053579A2 (en) Data processing device
US20120254748A1 (en) Host device to install driver and method thereof
EP1605336A1 (en) Browser program and content display device
US20040046799A1 (en) Desktop manager
KR20030031202A (en) User interface method through computer
KR100606755B1 (en) Video System with Screen Control Window and Control Method The Same
JP2000206482A (en) Proj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701092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675861B1 (en) Terminal device for converting image by using preview screen and method thereof
JP2008118317A (en) Projection device
KR1003571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ternet picture of internet video apparatus
JP2000188792A (en) Method for sharing key and method for sharing the same function
KR100425535B1 (en) A key-input apparatus having lcd on each key to display various character and method thereof
KR10053127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Scroll with Remote Controller of Video Device
JP2004220158A (en) Integrated keyboard driver
JP200517806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