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285A -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285A
KR20050070285A KR1020030099613A KR20030099613A KR20050070285A KR 20050070285 A KR20050070285 A KR 20050070285A KR 1020030099613 A KR1020030099613 A KR 1020030099613A KR 20030099613 A KR20030099613 A KR 20030099613A KR 20050070285 A KR20050070285 A KR 20050070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olid absorbent
reactor
absorbent
regeneration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904B1 (ko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9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 배가스에 포함된 CO2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체흡수제를 이용하여 배가스에 포함된 CO2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에 있어서, 고체흡수제가 배가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도록 반응하는 흡수반응기(110)와,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고체흡수제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재생반응기(120)를 포함하며, 흡수반응기(110)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는 재생반응기(120)로 이동하고, 재생반응기(120)에서 재생된 고체흡수제는 흡수반응기(110)로 이동하게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은 대용량의 석탄화력발전소 연소 배가스 중 이산화탄소 흡수분리를 위해 공정이 단순하면서, 에너지절약형 연속적인 상업적 흡수 분리 공정으로 운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Carbon Dioxide Separator using Solid Absorption and Carbon Dioxide Separating Method}
본 발명은 연소 배가스에 포함된 CO2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체흡수제를 이용하여 배가스에 포함된 CO2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대기 중 CO2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는 인류가 해결하여야 할 중요한 환경문제 중에 하나이다. 이런 CO2는 화석연료 연소시에 대량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화석연료를 연소한 후에 발생한 배가스 중에서 CO2만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미 개발된 CO2분리기술로는 크게 흡수법, 흡착법, 심냉법, 막분리법이 있다.
그 중에서 흡수법은 CO2를 포함하고 있는 연소 또는 공정가스와 이런 CO2를 흡수할 수 있는 각종 용액(흡수제)을 접촉시켜 CO2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흡수법과 흡착법의 구분은 대상물질이 화학적으로 반응하느냐 아니면 물리적인 힘에 의해 대상물질이 흡착되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흡수법 중에 상용화된 기술로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을 갖는 습식아민법이 있다. 습식아민법은 연소 배가스 중에 포함된 CO2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아민계 흡수제를 사용한다. 최초의 상업용 설비는 'Dow Chemical사'에서 1982년 "Gas Spec FT-1"이라 불리는 공정에 적용하여 건설하였는데, "Gas Spec FT-1"은 흡수제로 알칸올아민과 부식방지제의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산소에 대한 열화를 줄이고, CO2흡수 능력을 증가시킨 특징을 보인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Fluor Daniel사"와 미국의 "ABB Lummus"에서 흡수법을 이용한 CO2분리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종래의 습식아민법은 액체상태의 흡수액으로서, 16%의 모노에탄올아민(이하에서는 'MEA'라함) 수용액을 사용하며, 하기의 화학식 1과 같은 화학반응을 통해 CO2를 흡수한다. 여기서, 반응의 지배요소는 온도이며, 40℃에서 CO2흡수반응(정반응)을 하고, 108℃에서 탈CO2반응(역반응)을 한다.
이와 같은 습식아민법을 이용한 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습식아민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 공정도이다.
도 1에 보이듯이, 상기의 화학식 1의 반응이 일어나는 곳은 습식반응기(10)이고, 온도를 상승시켜 화학식 1의 역반응이 일어나는 곳은 스트리퍼(20)이며, 이런 습식반응기(10)와 스트리퍼(20)에서 화학식 1의 정반응과 역반응이 일어나면서 CO2를 흡수액에 침투 및 분리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배가스가 배가스 유입관(11)을 통해 습식반응기(10)로 유입되고, 또한 재생된 흡수액도 습식반응기(1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배가스와 흡수액은 화학식 1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정반응이 이루어져, CO2를 함유한 흡수액이 습식반응기(10)에서 증발기(30)로 유동한다. 그리고 습식반응기(10)에서 CO2가 제거된 배가스는 습식반응기(10)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한편, 증발기(30)에서는 CO2를 함유한 흡수액과 기체(CO2와 증기)가 분리되면서, 기체 중에 증기는 응축기(40)를 통해 응축되어 저장조(50)에 저장된 후에 스트리퍼(20)에 공급되고, 응축기(40)를 통과한 CO2는 저장조(50)를 통과하여 배출되며, 농축된 CO2는 별도의 압축장치 및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용 또는 폐기된다. 이와 같이 배가스에서 분리된 CO2는 다른 공정을 통해 처리되며, 따라서 분리된 CO2는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증발기(30)에서 스트리퍼(20)로 유입된 CO2를 함유한 흡수액은 스트리퍼(20)에서 화학식 1의 역반응이 이루어지고, 흡수액에서 분리된 CO2는 배출라인(23)을 통해 증발기(30)와 저장조(50)를 연결하는 라인으로 유동하여 저장조(50)로 이송된다. 그리고 스트리퍼(20)에서 재생된 흡수액은 다시 습식반응기(10)로 유입된다.
한편, 이런 흡수액 및 가스가 유동 및 교반되도록 다수 곳에 펌프(61)가 설치되며, 스트리퍼(20)에서 습식반응기(10)로 연결된 배관(21)에는 열교환기(63), 여과기(65), 냉각기(67)가 설치되며, 스트리퍼(20)에는 흡수액을 가열하기 위한 순환라인(70)이 설치되고, 이런 순환라인(70)에는 가열기(71)가 설치되어 화학식 1의 역반응이 일어나도록 흡수액을 가열한다.
하지만, 이런 습식아민법에 사용되는 흡수액은 고가이며, 고산소 조건에서 쉽게 열화되고, 사용된 흡수액이 강알칼리성을 갖고 있어 부식성이 크며, 고농도의 습식 아민흡수제를 사용할 경우에 부식으로 인해 장치관리 및 유지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흡수제에 대해 다시 CO2를 탈거하는 재생공정은 습식 아민과 고체흡수제의 비열량 차이로(MEA비열/4≒고체흡수제비열) 에너지 소비량이 과다하다는 단점과 함께 흡수제에 의한 2차 환경오염 유발물질 발생으로 인해 중소 용량의 CO2 흡수분리 공정에 적합하며 대용량에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미 개발된 CO2분리기술에서 흡착법은 연소배가스(CO2, N2, O2 등) 중에서 CO2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고체흡착제(제올라이트, 활성탄 등)를 사용하여 배가스에 포함된 CO2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이런 흡착법(PSA;Pressure Swing Adsorption)은 고압에서 흡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가압에 필요한 에너지의 소모가 크고, 상압에서 흡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생산성이 떨어지며 설비가격이 높아진다. 또한 저압 탈착을 수행함에 따른 전력비의 소모가 크다. 따라서, 이와 같은 흡착법은 석탄화력발전소 등과 같은 대용량의 연소배가스 중에 CO2 분리회수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CO2를 고체흡수제로 흡수하여 분리하는 공정으로서, 대용량의 배가스를 배출하는 석탄화력발전소 등에 적합한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체흡수제가 배가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도록 반응하는 흡수반응기와,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고체흡수제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재생반응기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반응기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는 상기 재생반응기로 이동하고, 상기 재생반응기에서 재생된 고체흡수제는 상기 흡수반응기로 이동하게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수반응기와 상기 재생반응기를 연결하며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가 이동하는 제1 배관에는 제1 사이클론과 제1 집진기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사이클론과 상기 제1 집진기에서 포집된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는 상기 재생반응기로 이동하며, 상기 흡수반응기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가스는 상기 집진기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재생반응기에 설치되어 상기 재생반응기에 수용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제2 배관에는 제2 사이클론과 제2 집진기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 사이클론과 상기 제2 집진기에서 포집된 고체흡수제는 상기 재생반응기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집진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저장조에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집진기와 저장조의 사이에는 응축기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재생반응기에는 순환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순환라인에는 가열기가 설치되어 상기 재생반응기 내부의 고체흡수제를 가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재생반응기에서 상기 흡수반응기로 연결되어 재생된 고체흡수제를 이동하는 제3 배관에는 냉각기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재생반응기에는 폐기된 고체흡수제를 저장하는 흡수제폐기조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재생반응기의 하단에는 기체가 주입되는 기체유입관이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가스와 고체흡수제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고체흡수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가스를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고체흡수제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분리되어 재생된 고체흡수제를 상기 반응단계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배출되는 가스를 사이클론 처리 및 집진하여 미세한 고체흡수제를 분리하여 분리단계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산화탄소가 분리되어 저장되기 이전에, 상기 이산화탄소는 사이클로 처리 및 집진 처리되어 미세한 고체흡수제를 분리한 후에 분리된 미세한 고체흡수제를 상기 분리단계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리단계에는 상기 고체흡수제가 순환하면서 가열기의 열을 받아 가열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체흡수제를 상기 반응단계로 이송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송되는 고체흡수제를 냉각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Na2CO3 또는 K2CO3을 함유한 고체흡수제는 활성탄 등의 흡착제와는 다르게 하기의 화학식 2와 같은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CO2를 흡착한다. 종래의 흡착법에서는 고압 흡착과 저압 탈착의 특성과 같이 압력에 의해 반응성이 나타났지만, 아래의 화학반응에 따르면 온도에 의해 반응성이 나타낸다.
한편 도면에서 도 2는 이와 같은 화학반응을 이용한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의 공정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100)는 배가스 유입관(111)이 연결되며 상기 화학식 2의 정반응이 일어나는 흡수반응기(110)와, CO2를 함유한 고체흡수제에서 CO2를 분리하는 화학식 2의 역반응이 일어나는 재생반응기(120)와, 재생반응기(120)에서 배출된 CO2를 응축하여 저장하는 저장조(150) 및, 재생반응기(120) 내부에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기(171)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반응기(110)에서 재생반응기(120)로 고체흡수제와 가스를 이송하는 제1 배관(141)에는 사이클론(130a)이 설치되어 미세한 입자의 고체흡수제까지 재생반응기(120)로 포집하여 이송하고, 사이클론(130a)에서 배출되는 CO2가 제거된 배가스는 집진기(131a)의 배출관(132a)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이런 사이클론(130a, 130b)과 집진기(131a, 131b)는 재생반응기(120)와 저장조(150)를 연결하는 제2 배관(142)에도 동일하게 설치되며, 사이클론(130a, 130b) 및 집진기(131a, 131b)에서 포집된 미세한 입자의 고체흡수제는 모두 재생반응기(120)로 회수된다.
그리고 재생반응기(120)에서 흡수반응기(110)로 연결되어 재생된 고체흡수제를 이송하는 제3 배관(143)에는 냉각기(160)가 설치되고, 재생반응기(120)에는 스팀순환라인(170)이 연결되어 재생반응기(120)에 유입된 고체 흡수제를 가열한다. 스팀순환라인(170)에는 가열기(171)가 설치되어 스팀의 온도를 유지한다.
또한 재생반응기(120)에서 저장조(150)로 연결된 제2 배관(142)에는 응축기(151)가 설치되어 제2 배관(142)을 따라 이송되는 CO2와 수분을 분리하여 수분은 응축되어 배출되고 CO2는 농축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재생반응기(120)에는 흡수제가 유동하며 재생할 수 있도록 기체를 유입하는 기체공급배관(144)이 연결된다.
한편, 흡수반응기(110)에는 고체흡수제의 보충을 위한 고체흡수제 저장조(113)가 연결되고, 입자의 마모 및 깨짐으로 인해 흡수성능이 떨어진 고체흡수제를 회수하는 흡수제 폐기조(121)가 재생반응기(120)에 연결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의 분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배가스는 배가스 유입관(111)을 통해 흡수반응기(110)로 유입되면, 흡수반응기(110)에서는 존재하는 고체흡수제와 가스가 접촉하면서 유동화를 시작한다. 배가스의 유입속도에 따라 초기유동화, 기포유동화, 고속유동화로 전이되는데, 고체흡수제가 흡수반응기(110) 안에서 가스와 함께 고르게 분포((입자공간/반응기공간)<0.05)하면서 기체와 고체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고속유동화 영역에서 운전된다. 고속유동화 영역에서의 접촉을 통해 고체흡수제는 CO2를 흡수(50℃조건에서 화학식 2의 정반응)하고, 제1 배관(141)을 통해 CO2를 함유한 고체와 기체가 사이클론(130a)으로 이동한다. 이동된 고체흡수제와 가스는 사이클론(130a)과 집진기(131a)를 통과하면서 CO2가 제거된 배가스는 집진기(131a)의 배출관(132a)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고, 고체흡수제는 재생반응기(120)로 유입된다. 이때, 집진기(131a)에서 포집된 고체흡수제 또한 재생반응기(120)로 유입된다.
한편, CO2를 함유한 고체흡수제는 재생반응기(120)에서 120℃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은 가열기(171)을 열원으로 하여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스팀은 스팀순환라인(170)을 통하여 재생반응기(120)의 온도를 상승시켜 재생반응기(120) 내부의 고체 흡수제의 온도를 120℃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재생반응기(120)의 하부에 연결된 기체공급배관(144)을 통해 유입된 기체(CO2, N2, 스팀 등)에 의해 고체흡수제는 기포유동화되면서 CO2가 흡수제로부터 분리되어 제2 배관(142)을 통해 배출된다. 기포유동 조건에서는 고체흡수제의 상부이동이 없으나, 제2 배관(142)에 사이클론(130b)과 집진기(131b)를 설치하여 배출될지 모르는 흡수제를 다시 회수한다. 한편 집진기(131b)에서 배출된 CO2와 수분은 응축기(7)를 통과하면서 수분과 CO2는 분리되고, 저장조(150)에 CO2가 저장되어 농축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은 대용량의 석탄화력발전소 연소 배가스 중 이산화탄소 흡수분리를 위해 공정이 단순하면서, 에너지절약형 연속적인 상업적 흡수 분리 공정으로 운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흡수장치는 기체-건식고체흡수제의 단위면적당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속순환유동층 공정을 적용하여 연속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분리 흡수할 수 있으며, 무빙베드나 충진타워 형태의 흡착 및 흡수장치에 비해 흡수장치의 최소화와 흡수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한다. 또한, 건식흡수제를 사용하여 습식흡수제 적용시 발생하는 장치의 부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였으며, 2차 환경오염 유발물질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건식흡수제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계없이 저온에서 고온의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성 높은 공정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습식아민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의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110 : 흡수반응기
111 : 배가스 유입관 120 : 재생반응기
130a, 130b : 사이클론 131a, 131b : 집진기
132a : 배출관 141, 142, 143, 144 : 배관
160 : 냉각기 170 : 스팀순환라인
171 : 가열기

Claims (12)

  1.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체흡수제가 배가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도록 반응하는 흡수반응기와,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고체흡수제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재생반응기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반응기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는 상기 재생반응기로 이동하고, 상기 재생반응기에서 재생된 고체흡수제는 상기 흡수반응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반응기와 상기 재생반응기를 연결하며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가 이동하는 제1 배관에는 제1 사이클론과 제1 집진기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사이클론과 상기 제1 집진기에서 포집된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는 상기 재생반응기로 이동하며, 상기 흡수반응기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가스는 상기 집진기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반응기에 설치되어 상기 재생반응기에 수용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제2 배관에는 제2 사이클론과 제2 집진기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 사이클론과 상기 제2 집진기에서 포집된 고체흡수제는 상기 재생반응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반응기에는 순환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순환라인에는 가열기가 설치되어 상기 재생반응기 내부의 고체흡수제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반응기에서 상기 흡수반응기로 연결되어 재생된 고체흡수제를 이동하는 제3 배관에는 냉각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반응기에는 폐기된 고체흡수제를 저장하는 흡수제폐기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반응기의 하단에는 기체가 주입되는 기체유입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8.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가스와 고체흡수제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고체흡수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가스를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고체흡수제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산화탄소가 분리되어 재생된 고체흡수제를 상기 반응단계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에서는 배출되는 가스를 사이클론 처리 및 집진하여 미세한 고체흡수제를 분리하여 상기 분리단계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가 분리되어 저장되기 이전에,
    상기 이산화탄소는 사이클로 처리 및 집진 처리되어 미세한 고체흡수제를 분리한 후에 분리된 미세한 고체흡수제를 상기 분리단계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에는 상기 고체흡수제가 순환하면서 가열기의 열을 받아 가열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흡수제를 상기 반응단계로 이송하는 단계에는
    상기 이송되는 고체흡수제를 냉각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KR1020030099613A 2003-12-30 2003-12-30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KR100547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613A KR100547904B1 (ko) 2003-12-30 2003-12-30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613A KR100547904B1 (ko) 2003-12-30 2003-12-30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285A true KR20050070285A (ko) 2005-07-07
KR100547904B1 KR100547904B1 (ko) 2006-01-31

Family

ID=3726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613A KR100547904B1 (ko) 2003-12-30 2003-12-30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9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337B1 (ko) * 2004-10-07 2006-08-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 재생용 co₂분리회수장치를 위한 두 반응기 사이의고체이송순환장치
KR100682720B1 (ko) * 2005-07-28 2007-02-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수분주입부를 구비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KR100912250B1 (ko) * 2007-11-09 2009-08-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 회수시스템의 사이클론익스펜더
KR100914887B1 (ko) * 2007-11-09 2009-08-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회수시스템의 경사진재생반응기
KR101069191B1 (ko) * 2009-03-04 2011-09-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송 재생반응기를 갖는 co₂회수장치
US8182577B2 (en) 2007-10-22 2012-05-22 Alstom Technology Ltd Multi-stage CO2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lue gas stream
KR101233297B1 (ko) * 2010-11-30 2013-02-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1336778B1 (ko) * 2011-12-12 2013-12-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종의 고체입자를 이용하는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784B1 (ko) * 2013-04-30 2015-05-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산화탄소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로가스 처리 장치
KR20150036864A (ko) * 2013-09-30 2015-04-08 한국전력공사 고체 이산화탄소 흡수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고체 이산화탄소 흡수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337B1 (ko) * 2004-10-07 2006-08-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 재생용 co₂분리회수장치를 위한 두 반응기 사이의고체이송순환장치
KR100682720B1 (ko) * 2005-07-28 2007-02-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수분주입부를 구비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US8182577B2 (en) 2007-10-22 2012-05-22 Alstom Technology Ltd Multi-stage CO2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lue gas stream
KR100912250B1 (ko) * 2007-11-09 2009-08-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 회수시스템의 사이클론익스펜더
KR100914887B1 (ko) * 2007-11-09 2009-08-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흡수제를 이용한 co₂회수시스템의 경사진재생반응기
KR101069191B1 (ko) * 2009-03-04 2011-09-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송 재생반응기를 갖는 co₂회수장치
KR101233297B1 (ko) * 2010-11-30 2013-02-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1336778B1 (ko) * 2011-12-12 2013-12-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종의 고체입자를 이용하는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7904B1 (ko)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5084B2 (ja) Co2の除去を包含する燃焼ガスの超清浄化
JP4988864B2 (ja) アンモニアの酸洗浄における煙道ガスからのso2の使用
EP2561919B1 (e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provided with carbon dioxide chemisorption equipment
KR101336778B1 (ko) 다종의 고체입자를 이용하는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EP2670513A1 (en) Gas treatment process and system
CN102397784B (zh) 一种再生气含硫化氢的烟气脱硫脱氮吸附剂的再生方法
KR100547904B1 (ko) 고체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CN113813744B (zh) 一种提升燃煤锅炉烟气中co2捕集经济性的系统和方法
KR102374520B1 (ko) 에너지 절감형 배가스 처리 설비를 포함하는 연소 시스템
CN105194995A (zh) 一种捕集fcc烟气中二氧化碳的方法
CN102266702A (zh) 一种捕集工业废气中氨气的方法和设备及其应用
JP2011194292A (ja)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190725B1 (ko) 산성가스 분리회수 장치
CN100522314C (zh) 包括去除co2的燃烧气体的超清洁
CN102553433B (zh) 一种用于脱除燃煤烟气中co2的装置及方法
CN115006976A (zh) 一种尾气深度治理系统
CN114159950A (zh) 一种烟气脱硫和脱碳耦合的处理系统及方法
JPH03293017A (ja) 燃焼排ガスの処理方法
CN219399545U (zh) 一种基于碳捕集的烟气深度处理系统
CN219630976U (zh) 一种二氧化碳收集系统
CN101766945A (zh) 烟气的干法集成净化方法及其系统
CN116459625A (zh) 一种集工业烟气净化和二氧化碳捕集为一体的系统及方法
CN114405235A (zh) 节能型二氧化碳捕集系统及其捕集方法
KR20180024464A (ko) 탈염수를 이용한 산성가스 포집방법
Noll et al. Control of Gases and Vapors by Adsorption, Absorption and Conden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