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963A -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963A
KR20050068963A KR1020030100781A KR20030100781A KR20050068963A KR 20050068963 A KR20050068963 A KR 20050068963A KR 1020030100781 A KR1020030100781 A KR 1020030100781A KR 20030100781 A KR20030100781 A KR 20030100781A KR 20050068963 A KR20050068963 A KR 20050068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camera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main body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9807B1 (ko
Inventor
양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8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방향에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버튼패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형성부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줌카메라모듈과,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두께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버튼패드 형성부를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줌 촬영이 가능한 줌카메라 모듈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ZOOM CAMERA TYPE MOBILE PHONE}
본 발명은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줌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도록 줌카메라 장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에 두께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커버가 장착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단말기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11) 및 커버(21)로 구성되는 단말기(10)와, 단말기(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3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1)의 내부에는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가 구비되며, 배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3)가 결합되어 있다. 본체(11)의 상부연부에는 커버(21)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고정힌지부(15a,15b)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카메라(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가이드(19)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1)의 내면 및 외면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메인엘시디패널(미도시) 및 서브엘시디패널(22)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연부에는 고정힌지부(15a,15b)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동힌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힌지부(23)와 일측의 고정힌지부(15b)의 내부에는 서로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두 부분으로 된 힌지장치(25)의 각 일부분이 수용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의 고정힌지부의 내부에는 카메라(30)로부터 인출된 카메라플렉시블피씨비(26) 및 커버(21)로부터 인출되는 엘시디플렉시블피씨비(27)가 각각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향하도록 수용 배치되어 있다.
한편, 카메라(30)는, 카메라모듈(31)과, 카메라모듈(31)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모듈하우징(33)과, 모듈하우징(33)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37)를 구비하고 있다.
모듈하우징(33)은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고정힌지부(15a)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둘레면에는 내부로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투시창(34)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가이드(19)와 모듈하우징(33) 사이에는 모듈하우징(33)의 회전 축선방향을 따른 유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팅링(39)이 결합되어 있으며, 손잡이부재(37)는 회전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이 회전가이드(19) 및 피팅링(39)을 통과해 모듈하우징(33)의 일측에 접촉되어 스크류(38)에 의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카메라모듈(31)이 피사체를 향하도록 단말기(10)에 대해 모듈하우징(33)이 회전되게 손잡이부재(37)를 적절히 돌리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31)은 보통 30만 화소 미만의 제품으로 이루어져 그 두께가 보통 10mm이하로 형성되므로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줌 촬영이 가능하고 100만 에서 200만 화소 정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가 보통 15mm이상으로 형성되는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야 하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줌 촬영이 가능하고 100만 에서 200만 화소정도의 화질을 얻을 수 있는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이 확보되는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방향에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버튼패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형성부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줌카메라모듈과,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두께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버튼패드 형성부를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줌카메라 장착공간의 상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의 후면방향으로 상기 줌카메라 모듈이 촬영 가능하도록 관통된 카메라 홀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10)의 일측 상부에 두께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131)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12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패드(111)와 음성을 송신하는 마이크가 내장되어 형성된 송신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장착공간(112)에 인쇄회로기판(113)이 장착되고 인쇄회로기판(113)의 상측방향에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패드(11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인쇄회로기판(113)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 장착공간(112)의 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공간(114)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줌카메라 모듈(140)이 장착된다.
상기 줌카메라 모듈(140)은 그 내부에 다수개의 렌즈(141)가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그 상측부에는 프리즘(미도시)이 형성되어 빛을 방향을 전환시켜 힌지축(131)의 후면방향에 관통되어 형성된 카메라 홀(142)을 통해 외부 영상을 줌인 및 줌아웃 시키며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120)의 전면에는 메시지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음성의 수신 및 착심음이 발생되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형성된 수신부(122)가 구비되고,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공간(114)의 상측부에 본체(110)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131)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본체(11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줌카메라 모듈(140)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렌즈(141)를 이송시키며 줌 촬영이 가능해지고 100에서 200만 화소 정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줌카메라 모듈(140)은 15mm 이상을 두께를 가지므로 줌카메라 모듈(140)을 장착하기 위해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장착공간(112) 측부에 별도의 줌카메라 장착공간(114)을 형성하고, 커버(120)가 본체(110)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131)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버튼패드(111)가 형성된 부위만을 개폐하고, 줌카메라 모듈(140)이 장착된 부위에는 겹치지 않게 형성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장착공간(112)의 측부에 별도의 줌카메라 장착공간(114)을 형성하여 줌카메라 모듈(140)을 장착하고 커버(120)가 본체(110)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131)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버튼패드(111)가 형성된 부위만을 개폐하고, 줌카메라 모듈(140)이 장착된 부위에는 겹치지 않게 형성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줌카메라 모듈(140)을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장착공간의 측부에 별도의 줌카메라 장착공간을 형성하여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하고 커버가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버튼패드가 형성된 부위만을 개폐하고, 줌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부위에는 겹치지 않게 형성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11 : 버튼 패드
112 : 인쇄회로기판 장착공간 113 : 인쇄회로기판
114 : 줌카메라 장착공간 120 : 커버
131 : 힌지축 140 : 줌카메라

Claims (2)

  1.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방향에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버튼패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형성부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줌카메라모듈과,
    상기 본체의 일측 상부에 두께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버튼패드 형성부를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줌카메라 장착공간의 상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의 후면방향으로 상기 줌카메라 모듈이 촬영 가능하도록 관통된 카메라 홀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KR1020030100781A 2003-12-30 2003-12-30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3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81A KR100539807B1 (ko) 2003-12-30 2003-12-30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81A KR100539807B1 (ko) 2003-12-30 2003-12-30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963A true KR20050068963A (ko) 2005-07-05
KR100539807B1 KR100539807B1 (ko) 2006-01-10

Family

ID=3725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781A KR100539807B1 (ko) 2003-12-30 2003-12-30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4391B2 (en) 2018-12-10 2021-06-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mechanism
US11703908B2 (en) 2018-12-10 2023-07-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4391B2 (en) 2018-12-10 2021-06-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mechanism
US11703908B2 (en) 2018-12-10 2023-07-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9807B1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2100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KR20050066593A (ko) 화상 통화용 휴대 단말기
KR20030057661A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JP2003060765A (ja)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
GB2389735A (en) Folding radiotelephone has protected camera lens
KR10060600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60885B1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419957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100539807B1 (ko)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KR20050073163A (ko)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90795B1 (ko) 회동형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30595B1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100575762B1 (ko)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55888Y1 (ko) 회전 카메라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8955B1 (ko) 회전식 플래시를 내장한 휴대폰
KR200346601Y1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857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안정화 장치
JP4120942B2 (ja) 撮像装置
KR100664157B1 (ko) 회동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72568B1 (ko) 뷰 파인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073080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
TWI421623B (zh) 相機模組及使用該相機模組的可攜式電子裝置
KR100677401B1 (ko) 회전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