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398A - 투명 하우징을 갖는 칩 카드 판독기 - Google Patents

투명 하우징을 갖는 칩 카드 판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398A
KR20050067398A KR1020057005152A KR20057005152A KR20050067398A KR 20050067398 A KR20050067398 A KR 20050067398A KR 1020057005152 A KR1020057005152 A KR 1020057005152A KR 20057005152 A KR20057005152 A KR 20057005152A KR 20050067398 A KR20050067398 A KR 2005006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eader
housing
transver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베 꾸닝
까를로스 로메로-리스라
장-마끄 비앙드
Original Assignee
장쁠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19853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6739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쁠뤼 filed Critical 장쁠뤼
Publication of KR2005006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39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08Active credit-cards provided with means to personalise their use, e.g. with PIN-introduction/comparison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05Associated digit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5Personalisation of cards fo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요면(14)이 시각적 표시 및 접촉 패드(pi)의 일 세트(P)를 포함하며, 하우징(10)이 하우징에 대한 기능적 위치로 카드(C)를 도입하기 위한 슬롯(30)을 한정하는 칩(24) 카드(C)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장치는 카드(C)를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40) 및 전자 부품이 접촉부의 세트(P)의 위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부품의 블록(G)의 일부이며, 주요면(14) 위로 연장하는 하우징(10)의 일부(58)가 투명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명 하우징을 갖는 칩 카드 판독기{CHIP CARD READER WITH A TRANSPARENT HOUSING}
본 발명은 단자 장치와 칩 카드 사이의 접속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뱅크 카드 또는 "SIM" 카드 타입(가입자 식별 모듈)의 직사각형의 전자 스마트 카드, 소위 칩 카드의 접속용 판독기에 관한 것이며, 그의 일면, 소위 주요면은 일 세트의 전기 접촉 패드를 포함하며, 주요면 상에서의 그의 치수 및 위치는 카드의 모델 또는 타입 각각에 대해 표준화된다.
따라서, 접촉 세트는 횡방향으로 정렬된 2열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가능하게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되며, 각 열의 도전성 패드는 3개 또는 4개의 평행한 도전성 패드를 포함한다. 세트는 카드의 전방 횡방향 에지에 근접하여 위치되며, 카드의 폭에 대해 일반적으로 중심을 가진다.
주요면에 대향하는 그의 하면과 유사한 카드의 주요면의 표면의 나머지는, 접촉부의 세트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영역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한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임의의 기능적 특징이 없다.
이 시각 정보는 그의 발행 허가 및/또는 그의 수용자를 식별함으로써 그의 소질 또는 용도에 따라 카드를 “주문 제작”하고, 및/또는 광고 또는 장식 특성을 갖도록 특히 이용될 수 있다.
이는 그림, 도표, 사진, 수문자,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드가 이용되지 않을 때, 주요면의 표면 전체는 시각적으로 접근하기 쉽다.
이는 그 용도 관점에서 전기 접속을 위해 카드가 판독기의 하우징 내로 도입될 때의 경우가 아니다. 이 때문에, 하우징은 하우징에 대해 카드의 기능적 기하학적 위치를 성립하기 위해 카드의 전방 횡방향 에지가 접촉하게 되는 단부-정지부를 구성하는 횡방향 극단부, 및 하우징 내에 카드의 도입 및 종방향 안내를 위한 수평 슬롯을 한정하는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활주부를 포함하는 유형의 것이다.
잘 알려진 방식으로, 접촉 패드와 접촉하여 접속하기 위해, 판독기의 하우징은 접촉 스트립의 형태인 접촉 요소가 카드의 상면을 향해 하향으로 연장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하우징 내의 커넥터의 배열 및 위치는 카드의 이용을 위한 기능적 위치에서, 또한 소위 접촉 위치에서, 커넥터의 접촉 스트립이 접촉 패드와 개별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공지된 설계에 따르면, 또한, 판독기는 예를 들어 접속 케이블에 의해, 또는 와이어나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접속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에 의해, 판독기가 접속되는 컴퓨터 등의 단자 장치와 카드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의 안전한 핸들링을 위해 특히, 집적 회로 등의 하나 이상의 다른 전기 및/또는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체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갖는 소위 칩 카드 판독기인 장치를 구성한다.
“안전형” 타입인 그의 작동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안전성과 관련된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안전 부품에 의해 실행된다.
특히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부정이 발생할 수 없도록, 그리고 특히 어플리케이션이 재정 처리에 관련이 있을 때 판독기가 안전성이 있어야 한다.
전기 회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는 메모리에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프로그래밍된 판독 전용 메모리를 구비한다.
또한, 판독기는 칩카드와 안전 부품 사이의 데이터의 모든 통신이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거쳐 통해야 하는 방식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 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또는 기밀 요소에 관련된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소위 안전 부품을 포함한다.
따라서, 카드의 모듈 또는 칩과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전기 부품으로부터 이격되어, 하우징은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판독기의 하우징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종방향으로 카드가 도입되는 단일 개구를 갖는 블라인드 외피(blind enclosure)로 구성되는 폐쇄된 요소의 형태로 된다.
카드는 하우징 내로 완전히 도입될 수 있어, 완전히 카드를 동봉하거나 둘러싸는 포켓의 형태를 취하며, 또는 하우징 내로 부분적으로만 도입될 수 있어, 카드의 종방향 전방 섹션만이 동봉된다. 통상, 이 섹션의 길이는 카드의 전체 길이의 1/3 내지 1/2이다.
하우징은 불투명 플라스틱 재료에서 성형하여 일반적으로 생성된다.
그 결과는 카드의 주요면 및 하면의 큰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려지는 것이다.
따라서, 카드의 일부 또는 모두가 더 이상 보이지 않기 때문에, 카드에 대한 시각 정보를 포함하려는, 카드의 발행 허가 및 제작자의 노력 모두가 방해된다.
이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카드 상에서 출연하는 것과 동일한 시각 정보는 하우징의 외측에 남아있고 외부로부터 여전히 가시적인 카드의 일부 상에서 출현하는 이들을 “보완(complement)”하기 위해 위치 설정되는 판독기의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 외측면 상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이 하우징 및 이에 따른 판독기가 특정 카드를 위해 설계되어야 하는 것을 요구한다.
도1은 표준 칩 카드의 주요면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2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유지된 부품 세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컴퓨터에 대한 연결 케이블이 구비된, 도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가르침에 따른 투명 하우징을 포함하는 판독기의 일 예시적 구현물의 3/4 후방 평면 사시도이다.
도4는 카드가 하우징으로 도입되기 전의 상태로 도시된, 도3의 판독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5는 카드가 판독기의 하우징내로 도입된 후의 기능적 접촉 위치로 도시된, 도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6 및 도7은 도4 및 도5와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8은 도5의 중간의 수직 종방향 평면(8-8) 상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들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형 카드용 칩 카드 판독기를 제안하며, 일 면, 소위 주요면이,
하우징에 대한 기능적 위치 내로 카드를 도입하기 위한 수평 슬롯을 본체가 한계를 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타입으로서, 그리고 카드가 그의 기능적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카드의 패드와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 및 판독기가 접속되는 단자 장치와 카드 사이의 통신을 위해 전자 및/또는 프로토콜 타입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타입으로서,
- 카드의 주요면 내의 위치 및 치수가 표준화된 일 세트의 전기 접촉 패드와,
- 접촉 세트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그 표면의 모두 또는 일부 상에서, 특히, 카드의 용도에 카드의 용도에 따른 주문 제작, 그의 발행 허가, 또는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각형 카드용 칩 카드 판독기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전자 부품이 카드가 그의 기능적 위치에 있을 때 접촉 세트 위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전기 및/또는 전자 부품의 블록의 일부를 형성하며, 부품 세트의 위치 영역의 외측에서, 카드의 주요면 위로 연장하는 하우징의 본체의 일부가 투명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우징의 본체는 하우징에서 카드를 종방향으로 안내하고 도입하기 위한 횡방향 슬롯과 인접하는 두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슬라이드와, 하우징에 대해 카드가 작동 위치에 있도록 카드의 전방 횡방향 에지와 접촉하게 되는 단부 정지부를 구성하는 횡방향 극단부를 포함하며,
부품 세트의 위치 영역은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상부 아암에 의해 슬라이드에 연결되며,
각각의 연결 아암의 평균 폭은 해당 슬라이드의 길이와 사실상 동일하며,
슬라이드의 길이는 카드의 길이보다 짧으며,
슬라이드의 길이는 카드의 길이의 삼분의 일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카드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는 카드의 전방 횡방향 에지에 대해 후방으로 종방향 변위되며,
부품 세트는 하우징의 종방향 전방 극단부에 위치되고, 두 개의 상부 연결 아암은 사실상 V자형으로 부품 세트의 위치 영역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며,
부품 세트의 위치 영역은 투명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의 상부 벽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리세스이며,
하우징의 상부 벽부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어 형성되며,
판독기는 슬라이드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투명 재료로 제조된 하부벽을 포함하며,
하우징의 하부벽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어 형성되며,
부품 세트의 최대 횡방향 폭은 접촉부 세트의 횡방향 폭과 사실상 동일하며,
전기 커넥터의 횡방향 폭은 접촉부 세트의 횡방향 폭과 사실상 동일하며,
부품 세트는 접촉 세트 상부에 사실상 직각으로 위치하고 부품 세트의 부품을 지지하는 사실상 사각형인 절연 재료에서 지지 보드를 포함하며,
지지 보드는 인쇄 회로 기판이며,
전기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면 아래에 장착되고, 다른 부품은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면에 배열되며,
지지 보드는 전기 커넥터에 속하고, 다른 부품은 지지 보드의 상부면에 배열되며,
지지 보드의 상부면은 하우징을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지시기를 지지하며,
지지 보드의 횡방향 폭은 접촉 세트의 횡방향 폭과 사실상 동일하며,
인쇄 회로 기판의 횡방향 후방 에지는 접촉 세트의 횡방향 후방 에지와 사실상 직각으로 위치하며,
지지 보드는 접촉 세트의 전방 횡방향 에지를 넘어 전방으로 종방향 연장하며,
지지 보드의 전방 횡방향 극단부는 판독기가 연결되는 단자 장치로 하우징의 연결 케이블을 이용하여 부품 세트가 연결되기 위한 리소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이하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종방향, 횡방향 및 수직과 같은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LTV 좌표를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사용되며, 종방향 축의 전방 및 후방도 마찬가지이며, 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한정된다.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도면은 컴퓨터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전자 기기 또는 단자 장치에 카드(C)를 연결하기 위한 판독기를 도시하며, 상기 전자 기기 또는 단자 장치에는 판독기의 하우징(10)이 연결 케이블(12)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카드(C)는, 4개의 코너가 원형이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특히 뱅킹 네트워크에서 지불 카드를 구성하도록 현재 사용되는, 표준화된 칩 카드이다. 카드(C)는 주요 수평 상면(14) 및 평행한 바닥면(16)을 포함한다.
카드는 2개의 평행한 종방향 에지(18), 및 2개의 횡방향 에지, 즉 카드(C)의 횡방향 폭에 상응하는 전방(20) 및 후방(22)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된다.
표준화된 방식으로, 주요 상면(14)은 면(14)의 기하학적 위치가 완벽하게 설정되고 표준화된 전자 모듈 또는 칩(24)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카드에서, 칩(24)은 전방 횡방향 에지(20)에 가깝게 위치되고, 종방향 에지 중 하나의 에지쪽으로 약간 변위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중심 설정된다.
카드의 안내 및 다른 기계적 기능을 위해 그리고 또한 모듈을 둘러싸는 영역을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지시된 여기의 상면의 부분은 해칭선 영역(26)의 형태로 도시된다.
알려진 방식으로, 특히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적 회로 모듈(들)(24)과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상면(14)은, 모듈 위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일반적으로 도1 및 도2에 도시된 표준화된 기하학 영역(24)에 위치된 전기 접촉 패드(pi)의 세트(p)를 포함한다.
주요 상면(14)의 표면의 나머지는 자유로우며, 일반적으로 명(inscription), 그림, 사진, 알파뉴메릭 문자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시각 정보(28)를 포함한다.
생산자 또는 카드의 인증서 발급 기관의 요구에 따라, 이 시각 정보(28)는 상면(14)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으며, 물론 모듈, 보다 정확하게는 접촉 패드(pi)의 세트(P)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은 예외이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C)의 바닥면(16)도 그 전체 표면상에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은 모듈 및 접촉 패드를 포함하지 않는 정도까지 명을 위해 완전히 사용 가능하다.
바닥면(16)상의 정보(28)는 특히, 카드(C) 및/또는 판독기 내로 병합되는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알려진 방식으로, 하우징(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드(C)의 사각형 형태와 상호적인 일반적으로 평평한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고, 특히, 이러한 목적을 위해 후방에 개방된 슬롯(30)과 함께,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우측에서 좌측까지, 후방에서 전방으로 카드(C)의 종방향 도입을 하게 하는 횡방향 슬롯(30)을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의 본체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조립 후에 상부(32) 및 하부(34)는 횡방향 슬롯(30)의 평면, 즉 카드(C)의 평면과 사실상 대응하는 횡방향 조인트 평면 상에서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함께 연결된다.
하우징(10)은 하우징 내의 기능적인 접촉 위치 내로 카드(C)의 안내 및 위치 설정을 위한 수단, 카드(C)의 패드(pi)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수단, 적용에 특정한 전자 부품 및 외부에서 판독기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12)을 포함한다.
알려진 방식으로, 카드의 안내 및 위치 설정을 위해, 또한 도입 슬롯(30)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10)은 대향 종방향 슬라이드(36)를 포함하고 이의 횡방향 간격은 슬라이드(36) 사이에서 활주함으로써 지지되는 카드의 두 개의 나란한 종방향 에지(18)가 분리되는 거리와 대응하고, 높이는 카드의 두께에 사실상 대응한다.
하우징(10), 즉 판독기 내에 종방향으로 카드(C)를 위치시키기 위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0)은 횡방향 극단부(38)까지 전방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하우징(10)의 하부 부분(34) 또는 벽에 구성된다.
횡방향 극단부(38)는 하우징(10) 내로 카드(C)의 종방향 도입 경로의 단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즉 하우징(10)에 관하여 일련(P)의 패드(pi)의 위치를 슬라이드(36)와 공동으로 결정하기 위해서 카드(C)의 전방 횡방향 에지(20)를 접촉하게 하는 단부 멈춤쇠를 구성한다.
알려진 방식으로, 패드(pi)와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서, 하우징(10)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조의 전기 커넥터(40)를 포함하는데, 이는 절연 플라스틱 재료 내의 지지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특허 패드와 접촉하게 하는 특히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접촉 스트립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의 접촉 스트립은 카드가 하우징(10) 내의 위치에 있을 때, 카드(C)의 상부면을 향해 수직 아래로 연장된다.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40)는 하우징(10)의 벽(32) 또는 상부 부분 내에 수용되는 인쇄 회로 기판(PCB)의 하부면(42) 아래에 고정되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부품 그룹 또는 세트의 모든 부품들을 위해 지지 기판을 구성한다.
상부면(44) 상에, 기판(PCB)은 마이크로제어장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회로(46) 및 예를 들어, 판독기의 전자 회로의 작동을 표시하는 경보등을 구성하는 LED 다이오드(48)를 지지한다.
결국, 도8의 좌측 상에 도시되어 있는 종방향 전방 극단부에서, 기판(PCB)은 판독기의 외부 전방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연결 케이블(12)에 기판 회로의 연결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PCB)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이고, 기판의 치수 및 위치 설정은 세트(P) 또는 모듈(24) 주위의 상부면(14)의 다른 부분을 커버 또는 중첩하는 임의의 방법 없이 모듈(24), 즉 세트(P)의 접촉 패드(pi)에 직각으로 사실상 상기에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한다.
커넥터(40) 및 다른 부품(46, 48)을 갖춘 기판(PCB)은 접촉 세트(P) 패드(pi)를 갖춘 상기 모듈(24) 위에 지지되고, 따라서 상부면(32) 내에 수용되는 하우징(10)의 부품 그룹 및 세트(G)를 구성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부 부분(32)은 일반적으로 상부 부분(32)의 상부면(52) 위에 횡방향으로 벌지를 형성하는 전방 중심 부분(50) 및 돌출 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가 하우징(10) 내의 제 위치에 있을때 중심 벌지(50)는 횡방향 극단부(38), 즉 카드(20)의 전방 횡방향 에지를 넘어 전방에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특히 기판(PCB)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54)을 갖춘 연결 케이블(12)의 위치 설정을 하게 한다. 이러한 연결 수단(54)은 하우징(10)에 영구적으로 속하거나, 예를 들어 표준 USB 커넥터와 같이, 하우징에 연결되거나 연결이 끊어질 수 있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의 형태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적어도 하우징(10)의 상부 부분(32)은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함으로써 생성되고, 부품 그룹 또는 세트(G)를 수용하는 중심 부분 또는 벌지만이 투명하지 않고, 이러한 영역은 카드의 주요면(14)의 표면을 볼 수 있도록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품 그룹 또는 세트(G)는 일반적으로 접촉 세트(P)를 넘어 연장되는 범위로, 사실상 모든 시각 정보(28)는 특히 투명한 재료의 상부 부분(32)을 통해 뚜렷히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정보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부품 그룹 또는 세트(G)의 위치의 중심 부분(50)은 중심 부분(5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대향 상부 아암(58)에 의해 슬라이드(36)에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에 나타난 사실상 V자형을 구성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열된다.
각 아암(58)의 폭은 사실상 합체된 슬라이드(36)의 길이와 동일하고, 슬라이드(36)의 길이는 카드(C)의 종방향 에지(18)의 길이보다 명백히 작으며, 이때 슬라이드의 길이는 사실상 종방향 에지의 길이의 1/3이 된다.
하우징(10) 내에서 카드(C)의 위치의 정확한 안내 및 정확한 유지를 위해서, 슬라이드(36)는 이러한 에지(18)의 중심 섹션을 따라 에지(18)의 종방향 안내를 수행하도록, 카드가 제 위치에 있을 때 횡방향 극단부(38), 즉 카드(20)의 전방 횡방향 에지에 대해 후방에서 종방향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짧고 투명한 아암(58)만이 상부면(14) 위에 확장되고, 표면의 주요 부분은 외부로부터 바로 눈에 보이게 된다.
특히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하부 부분(34)은 일반적으로 상부 부분(32)에 상보적이다. 여기서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에 성형함으로써 생성되고 횡방향 하부와 함께 판 또는 칸막이(60)의 형태가 된다.
카드(C)의 정확한 유지 및 정확한 위치 설정을 위해서, 하부 부분(34)은 (V자형 아암에 정렬된) 후방에서 절결되지 않지만, 횡방향 후방 에지(62)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벽(34)은 사실상 카드(C)의 하부면(16) 영역의 절반 이상으로 확장된 투명한 하부를 구성한다.
그러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정보(28)는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하부 부분(34)을 통하는 투명성에 의해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전기 커넥터(40)의 횡방향 폭은 통상적으로 사실상 접촉 세트(P)의 횡방향 폭과 동일하다.
유리하게는, 보드(PCB)의 횡방향 폭에 대응하는 부품 그룹 또는 세트(G)의 최대 횡방향 폭은 사실상 보드(PCB)의 하부면(42) 아래에 배열된 커넥터(40)의 횡방향 폭과 동일하므로, 상기 그룹 또는 세트(G)의 총 폭은 양호하게는 접촉부 세트(P)의 횡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작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PCB)의 횡방향 후방 에지(47)는 모듈(24)의 즉, 접촉부 세트(P)의 횡방향 후방 에지에 사실상 직각으로 위치하는 한편, 보드(PCB)는 세트(P)의 전방 횡방향 에지를 넘어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상부 부분(32)이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기 때문에, LED 다이오드(48)가 온(on) 또는 오프(off)인지 밖에서 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은 삭제될 수 있어서, 부품 그룹 또는 세트의 부품들의 지지 보드는 커넥터의, 절연 플라스틱 재료인 사각형 보드로 구성되는데, 상기 커넥터는 접촉부 스트립을 지지하고 그 상부면은 부품 세트 또는 그룹을 형성하는 다른 부품을 지지한다.

Claims (23)

  1. 주요면으로 불리는 면(14)을 가지는 사각형 카드용 칩(24) 카드(C) 판독기이며,
    하우징에 대해 작동 위치로 카드(C)를 도입하기 위한 수평 슬롯(30)을 형성하는 본체(32, 34)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형식과,
    카드가 작동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카드(C)의 패드(pi)와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40)와, 판독기가 연결되는 단말 장치와 카드 사이의 계면 작동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품 형식으로서,
    상기 카드의 주요면에서 크기와 위치가 규격화된 전기 접촉부 패드(pi)의 세트(P)와,
    상기 주요면의 전부 또는 접촉부 세트(P)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일부 부분 위로, 카드의 용도에 따른 주문 제작, 카드의 인증서 발급 확인, 또는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시각 정보(28)를 포함하는, 사각형 카드용 칩 카드 판독기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40) 및 상기 전기 부품이 카드(C)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사실상 접촉부 세트(P) 위에 위치하는 전기 부품(46) 및/또는 전기 부품(40, 48) 세트(G)의 일부를 형성하고,
    부품 세트(G)의 위치 영역(50) 외부에서 카드(C)의 주요면(14) 위로 연장하는 하우징(10)의 본체(32)의 부분(58)은 투명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0)의 본체(32, 34)는 하우징(10)에서 카드(C)를 종방향으로 안내하고 도입하기 위한 횡방향 슬롯(30)과 인접하는 두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슬라이드(36)와, 하우징에 대해 카드가 작동 위치에 있도록 카드(C)의 전방 횡방향 에지(20)와 접촉하게 되는 단부 정지부를 구성하는 횡방향 극단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3.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부품 세트(G)의 위치 영역(50)은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상부 아암(58)에 의해 슬라이드(3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4.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아암(58)의 평균 폭은 해당 슬라이드(36)의 길이와 사실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드(36)의 길이는 카드(C)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6.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슬라이드(36)의 길이는 카드(C)의 길이의 삼분의 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카드(C)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36)는 카드(C)의 전방 횡방향 에지(20)에 대해 후방으로 종방향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 세트(G)는 하우징(10)의 종방향 전방 극단부에 위치되고, 두 개의 상부 연결 아암(58)은 사실상 V자형으로 부품 세트(G)의 위치 영역(5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9.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 세트(G)의 위치 영역(50)은 투명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10)의 상부 벽부(32)의 중앙부에 형성된 리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0.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부 벽부(32)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1.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36)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투명 재료로 제조된 하부벽(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2.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하부벽(36)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3.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 세트(G)의 최대 횡방향 폭은 접촉부 세트(P)의 횡방향 폭과 사실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4.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의 횡방향 폭은 접촉부 세트(P)의 횡방향 폭과 사실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5.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 세트는 접촉 세트(P) 상부에 사실상 직각으로 위치하고 부품 세트(G)의 부품(40, 46, 48)을 지지하는 사실상 사각형인 절연 재료(PCB)에서 지지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6.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지지 보드는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7.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40)는 인쇄 회로 기판(PCB)의 하부면(42) 아래에 장착되고, 다른 부품(46, 48)은 인쇄 회로 기판(PCB)의 상부면(44)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지지 보드는 전기 커넥터(40)에 속하고, 다른 부품(46, 48)은 지지 보드의 상부면(44)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19. 제8항과 함께 고려한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보드(PCB)의 상부면(44)은 하우징(32)을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고등(48)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20. 제13항 또는 제14항과 함께 고려한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보드(PCB)의 횡방향 폭은 접촉 세트(P)의 횡방향 폭과 사실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PCB)의 횡방향 후방 에지(47)는 접촉 세트(P)의 횡방향 후방 에지와 사실상 직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보드(PCB)는 접촉 세트(P)의 전방 횡방향 에지를 넘어 전방으로 종방향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보드(PCB)의 전방 횡방향 극단부는 판독기가 연결되는 단자 장치로 하우징을 연결하도록 케이블(12)과 부품 세트가 연결되기 위한 리소스(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기.
KR1020057005152A 2002-09-27 2003-09-17 투명 하우징을 갖는 칩 카드 판독기 KR200500673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2028 2002-09-27
FR0212028A FR2845182B1 (fr) 2002-09-27 2002-09-27 Lecteur de carte a puce a boitier transpar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398A true KR20050067398A (ko) 2005-07-01

Family

ID=3198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152A KR20050067398A (ko) 2002-09-27 2003-09-17 투명 하우징을 갖는 칩 카드 판독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60049254A1 (ko)
EP (1) EP1546989B1 (ko)
KR (1) KR20050067398A (ko)
CN (1) CN1703712A (ko)
AT (1) ATE431597T1 (ko)
AU (1) AU2003276347A1 (ko)
BR (1) BR0314720A (ko)
DE (1) DE60327639D1 (ko)
ES (1) ES2328476T3 (ko)
FR (1) FR2845182B1 (ko)
MX (1) MXPA05003217A (ko)
PT (1) PT1546989E (ko)
WO (1) WO20040298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9431A (en) * 2012-02-16 2013-08-21 Mobipaypoint Uk Ltd Hybrid payment terminal with viewing window for CVV code
US8651892B2 (en) * 2012-03-14 2014-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isual mating detector for electrical connector
DE102013112943B4 (de) * 2013-11-22 2019-02-07 Certgate Gmbh Chipkartenlesegerä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2855A (en) * 1982-07-09 1985-01-08 Peripheral Dynamics, Inc. Badge reader with improved slide arrangement
JPS62107360A (ja) * 1985-11-05 1987-05-18 Sharp Corp メモリ−カ−ド電子機器
DE19624079C1 (de) * 1996-06-17 1998-01-29 Bosch Gmbh Robert Kartenleser für Chipkarten
WO2001043032A1 (en) * 1999-12-09 2001-06-14 Viztec, Inc. Chip card advertising
JP2001331234A (ja) * 2000-05-22 2001-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cカード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FR2812959B1 (fr) * 2000-08-11 2002-11-15 Gemplus Card Int Module de carte a puce apte a echanger un message avec l'utilisateur du module et procede d'utilisation d'un tel module
AUPR008400A0 (en) * 2000-09-12 2000-10-05 Canon Kabushiki Kaisha User configurable remote control
AUPR559101A0 (en) * 2001-06-08 2001-07-12 Canon Kabushiki Kaisha Card for service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546989E (pt) 2009-08-17
FR2845182A1 (fr) 2004-04-02
AU2003276347A1 (en) 2004-04-19
CN1703712A (zh) 2005-11-30
EP1546989B1 (fr) 2009-05-13
ES2328476T3 (es) 2009-11-13
MXPA05003217A (es) 2005-09-12
ATE431597T1 (de) 2009-05-15
WO2004029857A2 (fr) 2004-04-08
DE60327639D1 (de) 2009-06-25
FR2845182B1 (fr) 2004-12-10
WO2004029857A3 (fr) 2004-05-13
EP1546989A2 (fr) 2005-06-29
US20060049254A1 (en) 2006-03-09
BR0314720A (pt) 200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5656A (en) Switch provided with indicator
US7068517B2 (en) Low height USB interface connecting device and a memory storage apparatus thereof
KR100675206B1 (ko) 카드 접속용 어댑터
KR100585547B1 (ko) 카드 커넥터
FR2783621B1 (fr) Connecteur electrique pour une carte a memoire electronique notamment du type mmc
KR850006846A (ko) 칩캐리어용 접촉자 및 그 삽입방법
US5656847A (en) Led lamp arrangement and led matrix display panel
KR19990067235A (ko) 스마트 카드 및 스마트 카드 커넥터
JPH0668941A (ja) 薄型の表面取付式電気コネクタ
EP1333531B1 (en) Low height usb interface connecting device and a memory storage apparatus thereof
KR20050067398A (ko) 투명 하우징을 갖는 칩 카드 판독기
US6234391B1 (en) Smart card reader
JP200907633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ベース
JP3089801B2 (ja) Ledホルダ及び電子機器
US11977949B2 (en) Card reader
JP2019148862A (ja) カード挿入部およびカードリーダ
JP3101824U (ja) 多種のメモリカードに適用可能なコンネクター
JPS62183394A (ja) Icカ−ド
KR850008022A (ko) 카세트형 마그네틱 버블 메모리
JPS6177282A (ja) 防雨型コンセント
JPH0527622U (ja) 計器用指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