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013A - 케이블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013A
KR20050065013A KR1020030096640A KR20030096640A KR20050065013A KR 20050065013 A KR20050065013 A KR 20050065013A KR 1020030096640 A KR1020030096640 A KR 1020030096640A KR 20030096640 A KR20030096640 A KR 20030096640A KR 20050065013 A KR20050065013 A KR 20050065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astener
coupling
main body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729B1 (ko
Inventor
배꽃하얀
Original Assignee
배꽃하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꽃하얀 filed Critical 배꽃하얀
Priority to KR102003009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7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improving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케이블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중심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나선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관통공과 동축을 이루는 삽입공이 형성된 조임구와;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임구의 결합력에 의해 삽입된 케이블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외부커플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접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됨은 물론 고정력이 강하여 케이블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재사용이 가능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케이블용 접속장치{A connector for cable}
본 발명은 두 개의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여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이란 통전성이 우수한 구리선 등의 외측에 합성수지 피복층이 형성된 절연전선을 말하는 것으로, 전기기기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력을 원거리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 사용목적이나 장소에 따라 전력케이블, 동축(同軸)케이블, 시내케이블, 시외케이블, 해저(海底)케이블 등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어 있다.
한편, 케이블은 설치과정에서 두 개의 분리된 케이블을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종래에는 각 케이블의 끝부분에 형성된 피복층을 제거하고 끝단을 상호 밀착시킨 다음, 상기 밀착부위를 도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구로 감싼 후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연결부위를 고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방식은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연결구의 압착력 만으로 케이블이 연결됨으로써 그 고정력이 약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압착된 연결구를 제거해야 했으므로, 분리과정에서 케이블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으며, 제거된 연결구는 재사용이 불가능함으로써 자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케이블을 연결한 후에는 연결부위의 절연을 위해 절연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절연처리를 해야 했으며, 연결부위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수처리를 해야 하는 등 별도의 후처리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두개의 케이블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임구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체결력이 케이블을 조이는 외부커플링에 전달되어 그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외부커플링의 내측면에 톱니부를 형성하여, 케이블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외부커플링과 대응되는 내부커플링을 구비하여, 케이블을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임구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체결력이 케이블의 도선을 조이는 내부커플링에 전달되어 그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내부커플링의 내측면에 톱니부를 형성하여, 케이블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연결부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전류의 소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임구와 본체의 사이로 밀폐부재를 구비하여, 그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조임구와 본체를 하나의 몸체와 같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커플링의 톱니부와 케이블의 도선 사이로 도체커플링의 설치하여, 상기 톱니부에 의해 도선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결부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밀페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함은 물론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나선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관통공과 동축을 이루는 삽입공이 형성된 조임구와;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임구의 결합력에 의해 삽입된 케이블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외부커플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장치는 중심부에 케이블(C1,C2)의 연결부위가 삽입되도록 관통공(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나선결합되는 조임구(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조임구는 중심부에 상기 관통공과 동축상으로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는 상기 조임구의 결합력에 의해 삽입된 케이블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외부커플링(3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C1,C2)의 연결시 연결부위에 형성된 피복층을 제거하고 본체(10)의 관통공(11)에 삽입하여 끝단을 상호 밀착시킨 다음,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조임구(20)를 각각 결합하게 되는데, 외부커플링(30)은 상기 조임구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피복층을 가압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외부커플링(30)은 몸체의 입구측 단부로 조임구(20)에 고정되는 걸림턱(3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후방으로부터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32)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조임구(20)에 케이블(C1,C2)을 각각 삽입하고 본체(10)에 결합하면, 그 과정에서 진행방향으로 발생되는 체결력이 테이퍼면(22)을 통해 외부커플링(30)으로 전달되어 케이블에 대한 조임력으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외부커플링과 케이블 사이의 마찰력이 점차적으로 상승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커플링(30)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톱니로 구성된 톱니부(33)를 형성하되, 상기 톱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구(20)의 체결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상기 조임구가 본체(10)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톱니부가 케이블(C1,C2)의 피복층에 파고들어 마찰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임구(20)를 본체(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손이나 기구로 파지하여 강하게 회전시켜야 하는데, 상기 조임구의 외주면에 요철부(23)를 형성하면, 회전시 미끄러짐이 방지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와 조임구(20)의 사이에는 고무패킹과 같은 밀폐부재(40)가 구비되어 그 틈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와 조임구의 측면으로 각각 상기 밀폐부재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홈(12)(24)을 형성하면, 상기 조임구의 결합 및 분리과정에서 밀폐부재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밀폐력이 더욱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접속장치는 조임구(20)의 삽입공(21)에 외부커플링(30)의 후방으로 내부커플링(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커플링은(50)은 케이블(C1,C2)의 도선을 조여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커플링(30)과 동일하게 몸체의 입구측 단부로 상기 조임구(20)에 고정되는 걸림턱(5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후방으로부터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게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52)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조임구(20)가 본체(10)에 결합됨과 동시에 외부커플링(30)은 케이블(C1,C2)의 피복층을 조이며, 내부커플링(50)은 상기 케이블의 도선을 조임으로써, 케이블을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커플링(50)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톱니로 구성된 톱니부(53)를 형성하되, 상기 톱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구(20)의 체결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상기 조임구가 본체(10)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톱니부가 케이블(C1,C2)의 도선에 파고들어 마찰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블(C1,C2)의 연결시 도선이 삽입되는 본체(10)의 관통공(11)으로 도체의 슬리브(60)를 일체로 형성하면, 상기 슬리브가 삽입된 도선의 외측을 감싸서 연결부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류의 소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접속장치는 내부커플링(50)의 톱니부(53)와 케이블(C1,C2)의 도선 사이로 상기 도선의 외측면을 조이는 도체커플링(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체커플링(70)은 몸체의 입구측 단부로 내부커플링(50)에 고정되는 걸림턱(71)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72)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의 연결시 내부커플링(50)의 조임력에 의해 도체커플링(71)이 도선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내부커플링의 톱니부(53)에 의해 도선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체커플링(71)이 도체로 구성됨은 물론 끝단이 관통공(11)으로 삽입되어 상호 밀착됨으로써, 도 4에서 설명한 슬리브(60)와 마찬가지로 연결부위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전류의 소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접속장치는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조임구(2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조임구와 본체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장볼트(80)와, 그 끝단에 체결되는 너트(8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체(10)에 조임구(20)를 결합하여 케이블(C1,C2)을 연결한 다음 장볼트(80)와 너트(81)를 체결하여 하나의 몸체와 같이 고정함으로써, 강력한 외력의 작용시에도 조임구와 본체의 연결부위가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케이블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됨은 물론 고정력이 강하여 케이블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재사용이 가능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조임구의 체결과정에서 발생되는 체결력이 외부커플링의 조임력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하여, 케이블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외부커플링의 내측면에 톱니부를 형성하여, 조임구가 본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톱니부가 케이블의 피복층을 파고들어 마찰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케이블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조임구의 내측으로 별도의 내부커플링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의 연결시 외부커플링은 피복층을 조이고 상기 내부커플링은 도선을 조이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을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조임구의 체결과정에서 발생되는 체결력이 내부커플링의 조임력으로 전환되도록 구성하여, 케이블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내부커플링의 내측면에 톱니부를 형성하여, 조임구가 본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톱니부가 케이블의 도선을 파고들어 마찰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케이블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케이블의 도선이 삽입되는 본체의 관통공으로 도체의 슬리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연결부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저항의 감소에 따라 전류가 보다 원활하게 소통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조임구와 본체의 사이로 밀폐부재를 구비하여, 그 틈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방전에 따른 감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 연결시 별도의 방수처리를 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장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조임구와 본체를 하나의 몸체와 같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강력한 외력의 작용시에도 조임구와 본체의 연결부위가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내부커플링의 톱니부와 케이블의 도선 사이로 별도의 도체커플링의 설치하여, 상기 톱니부에 의해 도선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이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결부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전류의 소통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체와 조임구에 밀폐부재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조임구의 결합 및 분리과정에서 상기 밀페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관통공
12 : 고정홈 20 : 조임구
21 : 삽입공 22 : 테이퍼면
23 : 요철부 24 : 고정홈
30 : 외부커플링 31 : 걸림턱
32 : 슬릿 33 : 톱니부
40 : 밀폐부재 50 : 내부커플링
51 : 걸림턱 52 : 슬릿
53 : 톱니부 60 : 슬리브
70 : 도체커플링 71 : 걸림턱
72 : 슬릿 80 : 장볼트
81 : 너트 C : 케이블

Claims (11)

  1. 중심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나선결합되고, 중심부에 상기 관통공(11)과 동축을 이루는 삽입공(21)이 형성된 조임구(20)와;
    상기 삽입공(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임구(20)의 결합력에 의해 삽입된 케이블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외부커플링(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플링(30)은 몸체의 입구측 단부로 상기 조임구(20)에 고정되는 걸림턱(3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후방으로부터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게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32)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조임구(20)의 삽입공(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외부커플링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테이퍼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플링(30)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톱니로 구성된 톱니부(33)를 형성하되, 상기 톱니는 상기 조임구(20)의 체결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20)의 삽입공(21)에는 상기 외부커플링(30)의 후방으로 케이블의 도선을 조이는 내부커플링(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플링(50)은 몸체의 입구측 단부로 상기 조임구(20)에 고정되는 걸림턱(5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후방으로부터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게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상기 입구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52)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플링(50)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톱니로 구성된 톱니부(53)를 형성하되, 상기 톱니는 상기 조임구(20)의 체결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의 내측에는 케이블의 도선을 감싸며 도체로 구성된 슬리브(6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조임구(20)의 사이에는 각각 밀폐부재(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20)에는 상기 본체(10)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장볼트(80)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볼트의 끝단에는 너트(81)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플링(50)과 케이블의 도선 사이에는, 몸체의 입구측 단부로 상기 내부커플링에 고정되는 걸림턱(71)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72)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도체커플링(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조임구(20)의 측면에는 각각 상기 밀폐부재(40)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홈(12)(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접속장치.
KR1020030096640A 2003-12-24 2003-12-24 케이블용 접속장치 KR100561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640A KR100561729B1 (ko) 2003-12-24 2003-12-24 케이블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640A KR100561729B1 (ko) 2003-12-24 2003-12-24 케이블용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013A true KR20050065013A (ko) 2005-06-29
KR100561729B1 KR100561729B1 (ko) 2006-03-20

Family

ID=3725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640A KR100561729B1 (ko) 2003-12-24 2003-12-24 케이블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851A1 (en) * 2006-01-18 2007-07-26 Byeong-Jun Bae A cable connecting module
KR101040269B1 (ko) * 2010-11-25 2011-06-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축 내부에 삽입되는 커플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071B1 (ko) * 2013-09-27 2020-06-01 한국전력공사 전선 접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851A1 (en) * 2006-01-18 2007-07-26 Byeong-Jun Bae A cable connecting module
KR101040269B1 (ko) * 2010-11-25 2011-06-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축 내부에 삽입되는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729B1 (ko) 200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1966B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cable clamping portion
US8747170B2 (en) Connector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disconnectable joint assemblies
US5651699A (en) Modular connector assembly for coaxial cables
US4408822A (en) Coaxial connectors
US7632143B1 (en) Connector with positive stop and compressible ring for coaxial cable and associated methods
US8777643B2 (en)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US8342879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KR20110124762A (ko) 플렉시블 핑거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및 연관된 방법
AU2014204509B2 (en) Conductor connectors for power cables
BRPI0617038A2 (pt) conjunto conector elétrico
CN113809593B (zh) 连接装置和神经电刺激系统
US5630737A (en) Junction connector for permanently connecting electrical cables
GB2443001A (en) Bolt having extending contact tip
US4493522A (en) Sealed cable connector
GB2060278A (en) Gland for metal sheathed cable
US4469390A (en) Crimped connector
KR100561729B1 (ko) 케이블용 접속장치
US3413407A (en) Connector for underwater cable
KR100639313B1 (ko)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US4447104A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multiconductor cable to a housing
US2753541A (en) Cable connector
US7699645B1 (en) Connector for multistranded insulated conductor cable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WO2020087279A1 (en) Pow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