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4392A -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4392A
KR20050064392A KR1020030095752A KR20030095752A KR20050064392A KR 20050064392 A KR20050064392 A KR 20050064392A KR 1020030095752 A KR1020030095752 A KR 1020030095752A KR 20030095752 A KR20030095752 A KR 20030095752A KR 20050064392 A KR20050064392 A KR 20050064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magnetic tape
guide
ba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4392A/ko
Priority to US11/014,852 priority patent/US20050134998A1/en
Publication of KR2005006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3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 베이스 조립체는,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헤드드럼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데크 샤시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 그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경사지게 고정되어 자기테이프가 헤드드럼과 접촉되는 구간에서 경사지게 주행되도록 안내하는 폴부재, 및 폴부재와 접촉된 상태로 주행하는 자기테이프가 폴부재의 상단을 향해 유동될 때 자기테이프의 상단과 접촉되도록 폴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상단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가이드 롤러 대신 폴부재가 자기테이프의 상하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어,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수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 Pole base assembly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본 발명은 자기 기록/재생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자기테이프를 헤드드럼에 밀착시키고, 자기테이프의 주행시 자기테이프가 헤드드럼에 밀착된 상태로 주행되도록 자기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 캠코더(Camcorder)와 같이 데크 메카니즘(Deck mechanism)을 가지는 자기 기록/재생기기는, 데크 내부에 형성된 소정 경로를 따라 자기테이프를 주행시키면서 그 자기테이프에 데이터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상술한 자기 기록/재생기기들 중 캠코더에 주로 채용되는 데크(Deck)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데크(100)는 데크 샤시(10)와, 헤드드럼(30)과, 폴베이스 조립체(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40, 60, 70은 자기테이프의 주행경로를 형성시키는 텐션폴 조립체, 핀치롤러, 리뷰조립체를 나타내며, 미설명 부호 80은 자기테이프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캡스턴 구동부를 나타낸다.
데크 샤시(10)는 데크(100)의 외곽을 형성시키며, 그 내부에는 헤드드럼(30), 폴베이스 조립체(50) 등과 같은 자기데이터의 기록/재생을 위한 각종 구동부품들이 설치된다.
헤드드럼(30)은 데크(10) 내부에서 주행하는 자기테이프(1)와 접촉되어 데이터를 자기테이프(1)에 기록하거나, 자기테이프(1)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헤드드럼(30)은 데이터의 기록/재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공지된 바와 같이 데크 샤시(1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폴베이스 조립체(50)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테이프 카세트(90)로부터 자기테이프(1)를 인출하여 헤드드럼(30)에 밀착시키고, 자기테이프(1)의 주행시 자기테이프(1)가 헤드드럼(30)과 밀착된 상태로 주행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다.
종래의 폴베이스 조립체(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51)와, 폴부재(53)와, 가이드 롤러(55)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51)는 데크 샤시(1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51)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헤드드럼(30)에 인접한 로딩위치(P1;도 1참조)로 도 1의 화살표 A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폴부재(53)과 가이드 롤러(55)는 베이스 부재(51)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자기테이프(1)와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자기테이프(1)를 헤드드럼(30)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폴부재(53)과 가이드 롤러(55)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후 자기테이프(1)가 주행할 때, 자기테이프(1)가 헤드드럼(30)에 밀착된 상태로 주행되도록 자기테이프(1)의 주행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폴부재(53)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데크 샤시(1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된 헤드드럼(30)의 외주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폴부재(53)에 의해, 자기테이프(1)의 주행방향이 헤드드럼(30)측으로 전환된다. 한편, 가이드 롤러(55)는 폴부재(53)로 진입하는 자기테이프(1)의 상하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테이프(1)의 상단 및 하단 각각과 접촉되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57)(56)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데크(100)는 폴베이스 조립체(50)가 폴부재(53)와, 가이드 롤러(55)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수의 절감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소형화도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수를 절감시키고,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폴베이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는,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헤드드럼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데크 샤시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경사지게 고정되어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헤드드럼과 접촉되는 구간에서 경사지게 주행되도록 안내하는 폴부재; 및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폴부재와 접촉된 상태로 주행하는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폴부재의 상단을 향해 유동될 때 상기 자기테이프의 상단과 접촉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상단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가이드 롤러 대신 폴부재가 자기테이프의 상하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어,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수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부재는,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자기테이프와 접촉되는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헤드드럼의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의 플랜지부는, 상기 자기테이프와 상기 헤드드럼이 접촉되는 구간에서의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가 상기 폴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자세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세유지수단은,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핀과 연결되어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가 상기 폴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폴부재의 주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공과 나사결합되도록 그 하단에 형성되며, 풀림방지가공이 된 숫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공은 상기 나사부의 강제삽입시 상기 나사부의 숫나사선이 상기 고정공의 내주면을 절삭하여 형성된 암나사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사부의 하단 및 상기 고정공의 바닥면 각각에는 고정홈 및 고정돌기가 상기 나사부와 상기 고정공의 나사결합시 상호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폴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결합시 폴부재의 경사각 및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부재와 접촉된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폴부재의 하단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자기테이프의 하단과 접촉되는 하단 가이드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단 가이드 부재와 베이스 부재는 합성수지재질의 몰드물로 형성되어, 하단 가이드 부재와 베이스 부재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폴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의 상면은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과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설명된 종래의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구비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며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 내부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200)는 데크 샤시(10)와, 헤드드럼(30)과, 폴베이스 조립체(350)(350')를 포함한다.
상기 폴베이스 조립체(350)(350')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테이프 카세트(90)로부터 자기테이프(1)를 인출하여 헤드드럼(30)에 밀착시키고, 자기테이프(1)의 주행시 자기테이프(1)가 헤드드럼(30)과 밀착된 상태로 주행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다. 이러한 폴베이스 조립체(350)(350')는 헤드드럼(30)의 좌우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데크 샤시(10)에 설치된다. 헤드드럼(30)으로 진입하는 자기테이프(1)을 가이드 하는 폴베이스 조립체를 공급측 폴베이스 조립체(350)라 하고, 헤드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자기테이프(1)를 가이드 하는 폴베이스 조립체를 감김측 폴베이스 조립체(350')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350)(350')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공급측 폴베이스 조립체(350)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만을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공급측 폴베이스 조립체(350)는, 베이스 부재(351)와, 폴부재(353)와, 제 1 가이드 부재(355) 및 제 2 가이드 부재(357)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351)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헤드드럼(30)에 근접된 로딩위치(P1;도 1참조)로 이동되고, 자기테이프(1)의 언로딩시 언로딩위치(P2;도 1 참조)로 이동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351)의 이동은 로딩모터(20)와, 상기 로딩모터(20)의 동력을 베이스 부재(351)에 전달하는 연결유닛(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로딩모터(20)와 연결유닛의 구체적인 기술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354는 후술될 폴부재(353)와 베이스 부재(351)의 결합을 위해 폴부재(353)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가 결합되는 고정공을 나타낸다. 그리고, 352는 후술될 가이드 핀(357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나타낸다.
상기 폴부재(353)는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에 고정되며,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베이스 부재(351)와 함께 이동하여 자기테이프(1)를 헤드드럼(30)에 밀착시킨다.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후 자기테이프(1)가 주행될 때에는, 자기테이프(1)가 헤드드럼(30)에 밀착된 상태로 주행하도록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폴부재(353)는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에 경사지게 고정된다. 이는 데크 샤시(10)에 헤드드럼(30)이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이다. 즉, 헤드드럼(30)과 접촉되는 구간(B;도 2 참조)에서의 자기테이프(1)의 주행이 다른 구간에서의 주행에 대해 경사지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폴부재(353)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자기테이프(1)와 접촉이 시작 또는 끝나는 헤드드럼(30)의 외주면 일부와 폴부재(353)의 외주면이 나란하도록 데크 샤시(1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폴부재(353)와 베이스 부재(351)가 이루는 경사각의 크기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언로딩시 베이스 부재(351)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11;도 3참조)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기테이프(1)의 로딩시, 베이스 부재(351)가 헤드드럼(30)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레일(11)에 의해 경사지게 안내된다면 폴부재(353)와 베이스 부재(351)는 상호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51)가 자기테이프(1)의 로딩/언로딩시 데크 샤시(10)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되는 경우, 폴부재(3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샤시(10)와 헤드드럼(30)의 외주면이 이루는 경사각(θ)만큼 베이스 부재(351)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폴부재(353)를 베이스 부재(351)에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베이스 조립체(350)는 폴부재(353)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356)와, 베이스 부재(351)에 형성되는 고정공(354)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부(356)는 풀림방지가공이 된 탭타이트(Taptite)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부(356)의 숫나사선은 나사부(356)가 고정공(354)에 강제삽입될 때 고정공(354)의 내주면을 깎아 고정공(354)의 내주면에 암나사선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고정공(354)의 내경(D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356)의 외경(D1)보다 소정 크기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나사부(356)와 고정공(354)의 나사결합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351)에 대한 폴부재(353)의 높이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나사부(356)가 탭타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나사부(356)가 역으로 회전하여 폴부재(353)의 높이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사부(356)의 하단에는 고정돌기(356a)가 돌출형성되며, 고정공(354)의 바닥면에는 고정홈(354a;도 5참조)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56a)와 고정홈(354a)은 나사부(356)와 고정공(354)의 나사결합시 폴부재(353)와 베이스 부재(351)의 경사각이 올바르게 설정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356)와 고정공(354)의 나사결합 전에 상호 억지끼움되도록 고정돌기(356a)의 외경(D3)이 고정홈(354a)의 내경(D4)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폴부재(353)와 베이스 부재(351)의 결합시 베이스 부재(351)에 대한 폴부재(353)의 높이뿐만 아니라 폴부재(353)와 베이스 부재(351) 사이의 경사각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나사부(356)와 고정공(35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부재(351)가 합성수지 재질의 몰드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고정공(354)과 나사부(356)의 결합시 큰 힘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도 상기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폴 베이스 조립체(350)는 종래의 가이드 롤러(55;도 1참조)의 생략을 위해,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355)(357)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355)(357)들에 의하면, 자기테이프(1)의 로딩, 언로딩 및 주행시, 자기테이프(1)와 헤드드럼(30)의 접촉부위가 헤드드럼(30)의 상하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가이드 롤러(55;도 1참조)의 생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55)는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에 베이스 부재(351)와 일체로 형성되며, 자기테이프(1)가 폴부재(353)의 하단을 향해 유동될 경우 자기테이프(1)의 하단과 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가이드 부재(355)와 베이스 부재(351)는 합성수지재질의 몰드물로 형성되어, 제 1 가이드 부재(355)와 베이스 부재(351)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가이드 부재(355)와 폴부재(353)의 외주면은 상호간에 둔각(β)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테이프(1)의 하단을 가이드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제 1 가이드 부재(355)와 폴부재(3553)의 외주면 사이의 각도(β)는 90°~ 130°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자기테이프(1)가 폴부재(353)의 하단을 향해 유동하여 제 1 가이드 부재(355)와 접촉될 때, 자기테이프(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테이프(1)가 스스로 폴부재(353)의 중앙으로 복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355)는 자기테이프(1)의 로딩, 언로딩, 및 주행시 자기테이프(1)와 접촉되는 폴부재(353)의 외주면 하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 일부가 제 1 가이드 부재(355)로서 사용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1)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351)가 데크 샤시(10)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되고, 폴부재(353)가 베이스 부재(351)에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이다. 즉, 자기테이프(1)의 로딩, 언로딩 및 주행시 폴부재(353)가 항상 데크 샤시(10)에 대해 경사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자기테이프(1)의 로딩, 언로딩 및 주행시 항상 자기테이프(1)가 폴부재(353)의 상방으로만 유동하려 하기 때문이다. 만약, 폴부재(353)가 데크 샤시(10)에 대해 경사진 자세를 일부 구간에서라도 유지할 수 없도록 폴베이스 조립체(350) 및 가이드 레일(11)이 형성된다면,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베이스 조립체(350)와 같이, 제 1 가이드 부재(355')는 베이스 부재(351')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가이드 부재(355')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테이프(1)의 하방 유동을 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2 가이드 부재(357)는 폴부재(353)의 상단에 설치되며, 폴부재(353)의 상단을 향해 유동되는 자기테이프(1)의 상단과 접촉되는 플랜지부(358)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2 가이드 부재(357)의 플랜지부(358)는 헤드드럼(30)과 자기테이프(1)가 접촉되는 구간(B;도 2 참조)에서의 자기테이프(1)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 2 가이드 부재(357)의 플랜지부(358)는 제 2 가이드 부재(357)가 베이스 부재(351)에 결합된 상태에서 폴부재(353)의 외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플랜지부(358)는 그 하면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1)의 로딩, 언로딩 및 주행시 자기테이프(1)와 접촉되는 폴부재(353)의 외주면 일부 구간에 대응되는 부분만 경사지게 형성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자기테이프(1)의 주행 및 데크(200)의 구성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조건만 만족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가이드 부재(357)는 그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357c)이 폴부재(353)와 억지끼움 결합됨으로써 폴부재(353)의 상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가이드 부재(357)은 커버부재(359)에 의해 상단이 둘러쌓여, 폴부재(353)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 부재(357)와 폴부재(353)가 결합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폴베이스 조립체(350)는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357)가 폴부재(353)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자세유지수단이 더 구비한다. 상기 자세유지수단은 폴부재(353)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플랜지부(358)가 유동하여 자기테이프(1)가 부정확하게 가이드 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유지수단은, 가이드 핀(357a)과 가이드 돌기(35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핀(357a)의 끝단에는 가이드 슬릿(357b)이 형성되며, 가이드 슬릿(357b)은 베이스 부재(35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352)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 슬릿(357b)의 슬라이딩 방향은 폴부재(353)의 주축방향과 나란하다. 이에 의하면, 폴부재(353)가 베이스 부재(351)에 결합될 때, 나사부(356)와 고정공(354)의 나사결합을 조절함에 따라 폴부재(353)의 높이가 가변될 때에도 가이드 슬릿(357b)과 가이드 돌기(352)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한 쌍의 폴베이스 조립체(350)(350') 중 공급측 폴베이스 조립체(350)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감김측 폴베이스 조립체(350')의 구성이 기본적으로 공급측 폴베이스 조립체(350)와 동일하기 때문에, 감김측 폴베이스 조립체(350')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캠코더의 데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폴부재와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는 폴베이스 조립체를 포함하는 데크라면,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과 같은 다른 종류의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폴베이스 조립체의 폴부재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자기테이프의 상하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가이드 롤러와 같이 자기테이프의 상하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하단 가이드 부재의 경우 베이스 부재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베이스 부재와 하단 가이드 부재의 형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수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슬림화된 자기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 내부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폴베이스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크 내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폴베이스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폴베이스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6은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을 따라 본 발명의 요부를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베이스 조립체를 도시해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0 : 데크 10 : 데크 샤시
11 : 가이드 레일 30 : 헤드드럼
350 : 폴베이스 조립체 351 : 베이스 부재
354 : 고정공 354a : 고정홈
352 : 가이드 돌기 353 : 폴부재
356 : 나사부 356a : 고정돌기
355 : 제 1 가이드 부재 357 : 제 2 가이드 부재
357a : 가이드 핀 357b : 가이드 슬릿
358 : 플랜지부

Claims (11)

  1.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상기 자기테이프를 헤드드럼에 밀착시키고,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된 후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헤드드럼에 밀착된 상태로 주행되도록 상기 자기테이프를 가이드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시 상기 헤드드럼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데크 샤시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경사지게 고정되어,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헤드드럼과 접촉되는 구간에서 경사지게 주행되도록 안내하는 폴부재; 및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폴부재와 접촉된 상태로 주행하는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폴부재의 상단을 향해 유동될 때 상기 자기테이프의 상단과 접촉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상단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재는, 상기 자기테이프의 로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자기테이프와 접촉되는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헤드드럼의 회전축과 나란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의 플랜지부는, 상기 자기테이프와 상기 헤드드럼이 접촉되는 구간에서의 상기 자기테이프의 주행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가 상기 폴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자세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수단은,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핀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단 가이드 부재가 상기 폴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폴부재의 주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공과 나사결합되도록 그 하단에 형성되며, 풀림방지가공이 된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공은, 상기 나사부의 강제삽입시 상기 나사부의 숫나사선에 의해 상기 고정공의 내주면이 깎여 형성되는 암나사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와 상기 고정공의 나사결합시 상호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나사부의 하단 및 상기 고정공의 바닥면 각각에 형성되는 고정홈 및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재와 접촉된 상기 자기테이프가 상기 폴부재의 하단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자기테이프의 하단과 접촉되는 하단 가이드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하단 가이드 부재의 상면은 상기 폴부재의 외주면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합성수지 재질의 몰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KR1020030095752A 2003-12-23 2003-12-23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KR20050064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752A KR20050064392A (ko) 2003-12-23 2003-12-23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US11/014,852 US20050134998A1 (en) 2003-12-23 2004-12-20 Pole base assembly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752A KR20050064392A (ko) 2003-12-23 2003-12-23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392A true KR20050064392A (ko) 2005-06-29

Family

ID=3467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752A KR20050064392A (ko) 2003-12-23 2003-12-23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34998A1 (ko)
KR (1) KR200500643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3685A (en) * 2004-04-30 2005-11-0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ape guid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950A (ja) * 1985-01-24 1986-08-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プロ−デイング装置
JPH04313843A (ja) * 1991-04-12 1992-11-05 Sony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JP2003242700A (ja) * 2002-02-18 2003-08-29 Orion Denki Kk テープ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34998A1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149A (en) Tape cassette
KR20050064392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폴베이스 조립체
US6224007B1 (en) Tape cassette
US6844997B2 (en) Head feeding mechanism having protrusion engaged with lead screw
US6736351B2 (en) Tape guide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200304410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와 로딩기어의 연결장치
US7092201B2 (en) Tape deck mechanism with main cam gear moving sub-deck, pole base loading unit, brake unit and main sliding memeber
US5777831A (en) Tape cassette
KR20050064399A (ko) 자기 기록/재생기기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KR10046522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브레이크 조립체
KR19980082340A (ko)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테이프 로딩 장치
KR017497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US6923402B2 (en) Tape guide post mechanism
KR10043637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가이드레일 정렬장치
KR100485812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주행시스템
KR100485829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이탈방지장치
KR10048577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커버 장착장치
KR200304411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드럼의 자기테이프 이탈방지장치
KR200214361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가이드장치
KR100715853B1 (ko) 헤드크리닝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자기기록재생장치
KR10049749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풀림 방지장치
KR100422013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US6886768B2 (en) Recording tape cartridge
KR10051378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딩장치
KR100533261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로딩구동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