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999A -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999A
KR20050062999A KR1020030094021A KR20030094021A KR20050062999A KR 20050062999 A KR20050062999 A KR 20050062999A KR 1020030094021 A KR1020030094021 A KR 1020030094021A KR 20030094021 A KR20030094021 A KR 20030094021A KR 20050062999 A KR20050062999 A KR 20050062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mplex
individual
composi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549B1 (ko
Inventor
손지연
박준석
김명규
한동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5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58Service discovery by the service manag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 및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복합 서비스를 정의하고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에 저장하는 제 1단계;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의해 상기 제 1단계에서 정의된 복합 서비스 목록을 열거하고, 그 서비스 목록에서 사용자가 복합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합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로부터 로딩하여 개별 서비스 목록 및 개별 서비스 관계 리스트를 생성하고, 그 리스트로부터 개별 서비스들을 발견하는 제 3단계; 발견된 개별 서비스들과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4단계; 상기 개별 서비스들에 대해 제 3단계와 제 4단계 과정을 반복하면서 복합 서비스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수행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에서 수행된 복합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 6단계;의 루틴을 수행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 {Composite Service Discovering System for Wires/Wireless Communication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주변의 디바이스들을 활용하여 동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별 서비스들 간에 존재하는 상관(ordering) 관계를 정형화된 형식으로 정의하고,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는 상기 서비스 관계에 따라 서비스들을 인식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단말기들 및 그 주변 기기들이 소형화되고 휴대화되는 추세와 함께 정보 가전기기들의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는 노트북 뿐 아니라 더욱 소형화된 이동통신 정보기기로서, 스마트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휴대폰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오디오, 카메라, 셋탑 박스, 냉장고, TV 등의 가전제품들이 디지털화되면서 가정 내 홈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이들 디바이스들을 쉽게 인식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들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통해 현재 필요한 서비스들을 발견하고 제어하는 통신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UPnP forum에서는 네트워크 플러그 앤 플레이 (Plug & Play)의 일환으로 UPnP를 제안하였다. UPnP는 크게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와 디바이스로 구성되는데, 디바이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이며, 제어 포인트는 필요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어하는 측이다.
UPnP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기술하는 방식은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하며, 모델명, 제조업체 정보 뿐 아니라 서비스의 동작 및 파라메터, 변수 등을 포함한다.
블루투스 SIG에서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을 발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제안하였다. SDP는 클라이언트 /서버간의 트랜잭션 (요청/응답) 메시지 교환에 의해 통신하는 방식이며, 서비스 클래스나 서비스 속성들에 의한 검색 기능이나 서비스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한다. 서비스들은 서비스 클래스와 서비스 레코드로 기술되는데, 서비스 클래스는 서비스를 구분 짓기 위한 디바이스 범주(프린터, 저장용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며, 서비스 레코드에는 모델명, 지원되는 프로토콜 등 해당 서비스의 속성들을 포함한다.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RFC2608 스펙을 근간으로 하는 SLP(Service Location Protocol)를 제안한 바 있다. SLP의 통신 모델은 UA (User Agent), SA (Service Agent), DA (Directory Agent) 세 개 요소로 구성되며, DA는 생략될 수 있다. 이밖에도 선 마이크로 시스템(Sun Microsystems)사에서 제안한 지니 (Jini)와 Salutation 컨소시움에서 제안한 Salutation 프로토콜 등도 표준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로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제안된 방식들은 여러 개별 서비스들이 복합적으로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를 발견하고 이용/제어하는 과정에서 지나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낯선 환경에서 주변의 디바이스들을 활용하여 비디오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일일이 서비스 발견 과정을 통해 주변의 미디어 서버, 스피커와 디스플레이, 앰프 등의 적합한 서비스들을 선택하여 개별적으로 연결을 맺어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주변의 이용 가능한 자원들을 활용하여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복합 서비스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수행 절차를 자동화할 수 있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관관계에 따라 정의된 복합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 복합서비스 정보 저장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그 서비스를 수행시키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모듈; 복합 서비스 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복합서비스 정보 저장기에 저장하는 복합 서비스 정의모듈; 상기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에 저장되어 있는 복합 서비스 정보를 로딩하여, 개별 서비스들에 대해 지정된 서비스 관계에 따라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서비스를 발견하고 지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 상기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에 의해 생성된 개별 서비스 목록 및 서비스 관계 리스트로부터 개별 서비스를 발견하는 서비스 발견모듈; 및 개별 서비스들의 네트워크 연결 시 사용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 정보들을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로부터 획득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 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복합 서비스를 정의하고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에 저장하는 제 1단계;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의해 상기 제 1단계에서 정의된 복합 서비스 목록을 열거하고, 그 서비스 목록에서 사용자가 복합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합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로부터 로딩하여 개별 서비스 목록 및 개별 서비스 관계 리스트를 생성하고, 그 리스트로부터 개별 서비스들을 발견하는 제 3단계; 발견된 개별 서비스들과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4단계; 상기 개별 서비스들에 대해 제 3단계와 제 4단계 과정을 반복하면서 복합 서비스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수행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에서 수행된 복합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 6단계;의 루틴을 수행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서비스를 정의하는 제 1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복합 서비스를 정의한 후, 이를 정형화된 표현 방식으로 자동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정형화된 표현방식으로 복합 서비스 정보를 기술하여 디스크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제 4단계는, 개별 서비스에서 사용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 정보를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 개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연결 설정된 개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게 시행할 명령을 요청하는 단계; 및 개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시행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서비스 시행 결과를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에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수행하는 제 5단계는, 복합 서비스 정보를 로딩하여 생성된 개별 서비스 목록 및 개별 서비스 관계 리스트로부터 지정된 서비스 관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서비스를 발견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요청한 후 타이머를 동작시켜 서비스들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만료된 이후에도 특정 서비스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예외처리 정책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정보를 인식하고 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10)가 요구된다.
상기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정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20)를 경유하여 무선으로 또는 근거리망(LAN)(40)을 통한 유선으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30)와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복합 서비스 처리를 위한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10)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동일 네트워크 내에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30)가 존재할 수도 있고, 근거리망(LAN)에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30)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10)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정보기기이면 어느 것이어도 좋다.
상기 정보기기는 예를 들면, 컴퓨터 단말기, 정보 가전기기, 노트북이나 이동통신 정보기기인 스마트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휴대폰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가정 내 홈 네트워크가 구축된 오디오, 카메라, 셋탑 박스, 냉장고, TV 등의 디지털화된 가전제품들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자하는 복합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를 구체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체를 부호 10으로 표시한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상관관계에 따라 정의된 복합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 복합서비스 정보 저장기(11),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그 서비스를 수행시키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모듈(12), 복합 서비스 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복합서비스 정보 저장기(11)에 저장하는 복합 서비스 정의모듈(13), 상기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11)에 저장되어 있는 복합 서비스 정보를 로딩하여, 개별 서비스들에 대해 지정된 서비스 관계에 따라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서비스를 발견하고 지정된 명령(action)을 수행하는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 상기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에서 생성된 개별 서비스 목록 및 서비스 관계 리스트로부터 개별 서비스를 발견하는 서비스 발견모듈(15) 및 개별 서비스들의 네트워크 연결 시 사용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 정보들을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로부터 획득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관리모듈(1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10)는 사용자와 상관 작용에 의해 정의된 정보를 복합 서비스 정의모듈(13)을 통해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11)에 미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모듈(12)을 통해 복합 서비스를 요청하면,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에서는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11)로부터 저장되어 있는 복합 서비스 정보를 로딩하여, 개별 서비스들에 대해 지정된 서비스 관계에 따라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서비스를 발견하고 지정된 명령(action)을 수행한다.
여기서, 실제 개별 서비스의 발견은 서비스 발견모듈(15)을 통해서 수행되며, 발견된 개별 서비스와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은 네트워크 관리모듈(16)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관리모듈(16)은 개별 서비스 연결 시 사용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 정보들을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로부터 얻어서 실제 연결을 설정하고 수행한다. 지정된 서비스 관계에 따라 최종 서비스까지 수행이 완료되면,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은 어플리케이션 모듈(12)로 복합 서비스 수행 결과를 통보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복합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어지는 것에 의해 정형화된 방식으로 복합 서비스를 정의하고 복합 서비스 정의모듈(13)의 제어 하에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11)에 저장한다(S301).
단계 301과 같이 복합 서비스가 정형화된 방식에 의해 정의되고,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10)를 통해 복합 서비스를 요청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12)은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서비스 요청 정보를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에 전달하게 된다.(S302)
상기 복합서비스 조정모듈(14)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어진 해당 복합 서비스 정보를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11)로부터 로딩(S303) 하여,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개별 서비스들의 목록 및 개별 서비스들의 인과 관계 또는 병렬 관계 등의 서비스 관계 리스트를 생성한다(S304).
상기 서비스 발견 모듈(15)은 상기 단계 304에서 생성된 서비스 관계 리스트로부터 지정된 서비스 관계에 따라 개별 서비스들을 발견(S305)하고, 발견된 개별 서비스들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20)를 경유하여 유무선으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30)와 네트워크 관리모듈(16)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가 설정되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306)
개별 서비스 발견을 위해 네트워크 관리모듈(16)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법은 기존의 UPnP, SLP, Jini, Salutation 등 기존에 제안된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을 이용하거나, 독자적으로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 대부분은 서비스 등록, 서비스 요청, 서비스 제공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의 예로는 제조업체 관련 정보, 모델명, 시리얼 넘버, 서비스 타입, 사용되는 명령 및 파라메터 정보 등이 포함된다.
단계 306에서, 서비스 발견모듈(15)에 의해 발견된 개별 서비스에 대해 네트워크 관리모듈(16)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30)와의 연결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고, 서비스 수행이 완료되면, 서비스 발견모듈(15)에서는 다음 개별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S307)하게 된다.
만약, 서비스 발견모듈(15)에 의해 또 다른 개별 서비스가 존재하면, 다음 순서의 개별 서비스를 선택(S308)하여 상기 단계 304에서 생성된 서비스 관계 리스트로부터 개별 서비스를 발견하고 이후 과정을 반복한다.
단계 307에서 복합 서비스 내 모든 서비스가 완료되어 더 이상의 개별 서비스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복합 서비스 내 모든 개별 서비스가 완료되었으므로 서비스 발견모듈(15)은 더 이상 개별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음을 복합서비스 조정모듈(14)로 통보하고, 복합서비스 조정모듈(14)은 어플리케이션 모듈(12)로 복합 서비스 완료 사실을 통보하고 종료한다.(S309)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복합 서비스 내에서 개별 서비스들의 여러 가지 관계 유형에 대한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에서 첨부된 부호, S1, S2,... 등은 개별 서비스들을 의미하며, "S1->S2" 는 개별 서비스 S1의 수행이 완료되고 난 후에, 다른 개별 서비스 S2가 수행될 수 있는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즉 "happened before"의 관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개별 서비스 "S1, S2"는 S1과 S2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concurrent" 관계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도 4b와 도 4c는 여러 가지 개별 서비스들 예를 들면, S1 내지 S6과 같이 많은 개별 섭스들이 존재할 경우 도 4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관계에 대해 다른 개별 서비스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유형의 예를 포함한 복합 서비스 정보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합 서비스 정보 예로서, 복합 서비스의 이름, 개별 서비스 목록, 개별 서비스들 간의 관계, 예외처리 정책 등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서비스 목록에는 개별 서비스 이름, 개별 서비스의 타입, 수행할 명령(action) 및 전달될 파라메터의 타입이나, 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개별 서비스 관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serviceName_1[(actionName_1)] relation_1, serviceName_2[(actionName_2)] relation-2,...
상기 표기에서 serviceName_1, serviceName_2,..는 개별 서비스 이름이며, actionName_1, actionName2,...는 개별 서비스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수행할 명령(action) 이름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생략되는 경우는 단순히 개별 서비스 인식 및 연결 설정만을 의미한다.
또한, relation_1, relation_2,..는 개별 서비스들 간의 관계를 지정하는 기호로서, 인과 관계는 "->" 으로 표기될 수 있으며, 병렬관계는 "," 부호로 표기될 수 있다.
예외 처리 정책은 복합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예외 상황이 발생했을 때의 정책으로서, "Abort" 또는 "Ignore" 등의 정책이 있을 수 있다. "Abort" 정책은 개별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예외 상황이나 오류가 발생 된 경우, 복합 서비스 수행 자체를 종료하는 것이고, "Ignore" 정책의 경우에는 해당 오류가 있는 개별 서비스 수행이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다음 개별 서비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정책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모듈에서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서비스 발견모듈(15)에 의해 개별 서비스가 발견면 되면, 네트워크 관리모듈(16)은 발견된 개별 서비스 연결을 위해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로부터 서비스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 등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 등을 획득한다(S601).
그리고, 네트워크 관리모듈(16)은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개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30)로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요청(S602)하고, 그 연결 설정 요청에 의해 개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30)로부터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처리하여 연결 설정을 완료한다(S603).
이후, 네트워크 관리모듈(16)은 연결 설정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30)에게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action)을 요청(S604)하고, 그 서비스 요청 명령에 의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30)로부터 서비스 시행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정의된 절차에 따라 서비스를 수행(S605)한 후, 서비스 시행 결과를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모듈(12)에 통보한다(S606).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에서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은 어플리케이션 모듈(12)을 통해 전달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11)로부터 정형화된 복합 서비스 정보들을 로딩(S701)하여, 내부적으로 개별 서비스 목록 및 서비스 관계 리스트를 생성한다.(S702)
서비스 발견모듈(15)은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 관계 리스트를 참조하여 개별 서비스들을 발견(S703)하고, 발견한 개별 서비스에 대해 네트워크 관리모듈(16)로 연결 설정 요청(S704)한 후 타이머(도시되지 않음)를 동작시켜 서비스들을 동기화시킨다(S705).
이후,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네트워크 관리모듈(16)로부터 개별 서비스 연결 완료 통보를 받으면(S706),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14)은 타이머를 정지(S707)시키고, 서비스 발견모듈(15)에 의해 새로운 개별 서비스가 발견되었는지 확인(S708)하게 되며, 다른 개별 서비스가 존재할 경우 단계 703부터의 과정을 반복하고, 개별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단계 706에서, 개별 서비스 연결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만료(S709)되고, 네트워크 관리모듈(16)로부터 개별 서비스 연결 완료 통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에, 복합서비스 조정모듈(14)에서는 예외 처리 정책에 따라서 다음 절차를 결정한다.(S710)
만일, 예외 처리 정책이 "Abort"인 경우에는 복합 서비스 수행을 바로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개별 서비스 절차를 진행한다. 다음 개별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703부터 다시 반복하며, 모든 개별 서비스들의 수행이 완료되었으면, 서비스 완료 사실을 어플리케이션 모듈(12)로 통보하고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 시스템 및 방법은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개별 서비스들을 발견하고 수행하는 절차를 자동화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개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생략함으로써 필요한 복합 서비스를 간단한 절차에 의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 시스템 및 방법에 설명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서비스 자동인식/수행을 개시하기 위한 전체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를 보인 블록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의 전체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합 서비스를 구성하는 개별 서비스들 간의 관계 유형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용되는 복합서비스 정보의 예를 보인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개별 서비스 네트워크 연결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복합 서비스의 조정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서비스 요청 디바이스 20: 무선 액세스 포인트
30: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 근거리망
11: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 12: 어플리케이션 모듈
13: 복합 서비스 정의모듈 14: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
15: 서비스 발견모듈 16: 네트워크 관리모듈

Claims (7)

  1.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관관계에 따라 정의된 복합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 복합서비스 정보 저장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그 서비스를 수행시키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모듈;
    복합 서비스 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복합서비스 정보 저장기에 저장하는 복합 서비스 정의모듈;
    상기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에 저장되어 있는 복합 서비스 정보를 로딩하여, 개별 서비스들에 대해 지정된 서비스 관계에 따라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서비스를 발견하고 지정된 명령을 수행하는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
    상기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에 의해 생성된 개별 서비스 목록 및 서비스 관계 리스트로부터 개별 서비스를 발견하는 서비스 발견모듈; 및
    개별 서비스들의 네트워크 연결 시 사용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 정보들을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로부터 획득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결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 시스템.
  2.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그 서비스를 수행하는 청구항 1의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복합 서비스를 정의하고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에 저장하는 제 1단계;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의해 상기 제 1단계에서 정의된 복합 서비스 목록을 열거하고, 그 서비스 목록에서 사용자가 복합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합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복합 서비스 정보 저장기로부터 로딩하여 개별 서비스 목록 및 개별 서비스 관계 리스트를 생성하고, 그 리스트로부터 개별 서비스들을 발견하는 제 3단계;
    발견된 개별 서비스들과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 4단계;
    상기 개별 서비스들에 대해 제 3단계와 제 4단계 과정을 반복하면서 복합 서비스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수행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에서 수행된 복합 서비스의 실행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를 정의하는 제 1단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복합 서비스를 정의한 후, 이를 정형화된 표현 방식으로 자동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정형화된 표현방식으로 복합 서비스 정보를 기술하여 디스크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 정보는
    복합 서비스의 이름, 개별 서비스 목록, 개별 서비스들 간의 관계, 예외처리 정책 등의 정보들로 구성되며, 개별 서비스 목록에는 개별 서비스 이름, 개별 서비스의 타입, 수행할 명령 및 전달될 파라메터 타입이나, 파라메터 값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 및 수행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제 4단계는,
    개별 서비스에서 사용될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 정보를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 개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연결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연결 설정된 개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게 시행할 명령을 요청하는 단계; 및
    개별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시행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서비스 시행 결과를 복합 서비스 조정모듈에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 및 수행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서비스를 인식하고 수행하는 제 5단계는,
    복합 서비스 정보를 로딩하여 생성된 개별 서비스 목록 및 개별 서비스 관계 리스트로부터 지정된 서비스 관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서비스를 발견하여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요청한 후 타이머를 동작시켜 서비스들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만료된 이후에도 특정 서비스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예외처리 정책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 처리 단계는,
    예외 처리 정책이 "Abort"인 경우에는 복합 서비스 수행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개별 서비스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 인식/수행방법.
KR1020030094021A 2003-12-19 2003-12-19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7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021A KR100578549B1 (ko) 2003-12-19 2003-12-19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021A KR100578549B1 (ko) 2003-12-19 2003-12-19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999A true KR20050062999A (ko) 2005-06-28
KR100578549B1 KR100578549B1 (ko) 2006-05-12

Family

ID=3725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021A KR100578549B1 (ko) 2003-12-19 2003-12-19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5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08B1 (ko) * 2006-12-06 2008-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양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8096907A1 (en) * 2007-02-03 2008-08-14 Ki-Hyung Kim Method of operating directory proxy agent in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method of searching for specific service information therein, and directory proxy agent performing the same therei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708B1 (ko) * 2006-12-06 2008-04-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양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8096907A1 (en) * 2007-02-03 2008-08-14 Ki-Hyung Kim Method of operating directory proxy agent in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method of searching for specific service information therein, and directory proxy agent performing the same therein
KR101064926B1 (ko) * 2007-02-03 2011-09-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저전력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 디렉토리 프록시 에이전트를 동작시키는 방법, 특정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렉토리 프록시 에이전트
US8886122B2 (en) 2007-02-03 2014-11-11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of operating directory proxy agent in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method of searching for specific service information therein, and directory proxy agent performing the same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8549B1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9313B2 (en) Protocol independent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s
JP5061360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フレームワーク
CN1866258B (zh) 数据共享系统和数据共享方法
US8261341B2 (en) UPnP VPN gateway configuration service
US7917653B2 (en) SyncML data sync system and data exchanging method for data exchange between clients
US10419535B2 (en) Preconfigured syncML profile categories
JP2005514837A (ja) 多モード通信方法および多モード・プロファイルを含む装置
JP2003509934A (ja) 移動局に制御情報をダウンロードすることによる電子装置の遠隔制御
EP26662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ne communication using home network
EP2630556A1 (en) Adaptive device behavior in response to user interaction
TWI489900B (zh) 無線網路系統及其連線方法
JP2010536251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用の無線デバイスのネットワーク設定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78207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13044B1 (ko) 사용자 선호정보에 따른 디바이스 자동 연결 장치 및 그방법
WO200401920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ust-in-time provisioning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at a communication device
CN112333062A (zh) 家居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578549B1 (ko)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합 서비스 자동인식/수행시스템 및 그 방법
JP4445302B2 (ja) 無線端末装置、サービス検索方法
WO2017092315A1 (zh) 一种控制电视的方法及装置
KR101049339B1 (ko) 다양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JP3840215B2 (ja) 通信装置、方法、機器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61524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048990A1 (en)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nd system, intelligent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4866611A (zh) 消息回调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计算机设备
KR20090062316A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