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144A -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144A
KR20050062144A KR1020030093825A KR20030093825A KR20050062144A KR 20050062144 A KR20050062144 A KR 20050062144A KR 1020030093825 A KR1020030093825 A KR 1020030093825A KR 20030093825 A KR20030093825 A KR 20030093825A KR 20050062144 A KR20050062144 A KR 2005006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washing water
path switching
dishwasher
driv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406B1 (ko
Inventor
윤상헌
박능서
한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40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 회전시 메인 유로가 모두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물 챔버에 압력이 크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로절환 모터(51); 섬프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유입부(61): 상기 세척수 유입부로부터 각 분사암에 연결되도록 분지되는 메인 유로(62,63); 상기 유로절환 모터(51)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캠(66); 상기 세척수 유입부(61)와 메인 유로의 분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캠(66)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소정의 메인 유로(62,63)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밸브(6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apparatus controlling washing flow in the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식기세척기에 관해 첨부된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집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집수장치를 구성하는 필터링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집수장치에서 세척수가 유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a는 도 2의 필터링 하우징에서 하측 분사암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b는 도 2의 필터링 하우징의 메인 유로가 막힌 경우 세척수의 유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식기세척기의 내부 하측에는 집수장치(1)가 설치된다. 상기 집수장치(1)에는 상/하부 연결관(2.3)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 연결관(2.3)에는 상/하부 분사암(4,5)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연결관(3)에는 세척암(8)이 연결된다.
상기 상/하부 분사암(4,5)은 집수장치(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분사암에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공은 세척수를 비스듬하게 분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분사암에서 세척수가 분사될 때에 상기 세척수의 분사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각 분사암이 회전된다.
이러한 상부 분사암(4)의 상부에는 상부 랙(6)이, 상기 하부 분사암(5)의 상부에는 하부 랙(7)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랙 및 하부 랙은 식기류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집수장치(1)에서 펌핑된 세척수는 상/하부 분사암(4,5)에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유입되어 상/하부 랙(6,7)에 분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 랙에 담긴 식기류가 세척되게 된다. 이렇게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는 하부에 설치된 집수장치(1)로 다시 집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장치(1)는 크게 섬프(11), 펌핑 모터(12), 유로절환 모터(13), 히터(14), 회전차(15), 밸브(16), 필터링하우징(20) 및 필터링패널(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섬프(11)는 내부에 세척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섬프의 하부에는 펌핑 모터(12)와 유로절환 모터(13)가 설치된다.
이러한 섬프 내부에는 세척수를 데울 수 있도록 히터(14)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의 상부에는 필터링 하우징(2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링 하우징의 하부에는 회전차(15)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차는 펌핑 모터(12)에 축결합된다. 이러한 펌핑 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차(15)가 회전되면서 섬프(11)에 집수된 세척수를 필터링 하우징(20)으로 펌핑시킨다.
또한, 상기 필터링 하우징(20)에는 밸브(16)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16)는 유로절환 모터(13)에 축결합된다. 이러한 필터링 하우징 및 밸브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링 하우징(20)의 상부에는 필터링 패널(27)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링 하우징은 필터링 패널의 대략 중심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필터링 패널은 전체적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섬프(11)의 상단을 덮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링 패널의 테두리부에는 다수개의 배수홀(28)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의 중심측에는 필터링 하우징(20)의 오물 챔버(26)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메쉬(mesh)를 갖는 필터(29)가 대략 3개 정도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수홀(28)은 상/하부 랙(6,7)에서 떨어진 세척수를 섬프(11)에 다시 집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필터(29)는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을 거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필터(29)에는 오물이 걸려 필터(29)링하는 것을 방해하는데, 상기 필터링 패널(27)의 상부에 설치된 세척암(8)에서 도 1과 같이 필터(29)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오물을 떨어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링하우징(20)에는 회전차(15)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세척수 유입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 유입부에는 각 분사암에 세척수를 안내하는 통로인 2개의 메인 유로(22,23)가 분지된다. 이때, 상기 각 메인 유로(22,23)는 상기 상/하부 연결관(2.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 유입부(21)에는 일부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샘플링 유로(24)가 연결되고, 상기 샘플링 유로에는 오물 챔버(26)가 연결된다.
이러한 샘플링 유로(24)에는 세척수의 오염을 측정할 수 있도록 오염도 센서(25)가 설치된다. 상기 오염도 센서(25)는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해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샘플링 유로(24)에 유입된 일부 세척수는 오물 챔버(26)에 유입된다. 상기 오물 챔버(26)의 세척수는 오우버 플로우(over flow)되고, 이때,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들이 걸러진다. 이렇게 필터링된 세척수는 필터링 패널의 배수홀(28)를 통해 다시 섬프(11)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오물 챔버(26)의 소정 부분에는 배수구(26a)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26a)는 섬프(11)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오물 챔버의 배수구(26a)에는 개폐구조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세척수 유입부(21)에는 밸브(1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16)에는 유로절환 모터(13)가 축결합된다. 이때, 상기 유로절환 모터는 밸브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킨다. 이러한 밸브(16)에는 메인 유로(22,23)를 폐쇄시키도록 개폐용 리브(16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절환 모터(1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메인 유로(22,23)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예비세척, 본세척, 헹굼, 가열헹굼 및 건조 행정을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하면서 식기를 세척한다. 이러한 각 행정 사이에는 배수 행정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세척 행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세척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펌핑 모터(1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차(15)가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차(15)는 도 4와 같이 섬프(11)의 세척수(세제 포함)를 필터링 하우징(20)으로 펑핑시키고, 이 세척수는 필터링 하우징(20)의 세척수 유입부(21)에 유입된다.
이어, 상기 유로절환 모터(1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밸브(16)는 2개의 메인 유로(22,23)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개폐시킨다.
이때, 상기 세척수는 일부가 메인 유로(22,23)를 통해 상기 상부 및/또는 분사암에 유입되고, 동시에, 나머지 일부가 샘플링 유로(24)를 통해 오물 챔버(26)에 유입된다.
먼저, 세척수의 일부가 메인 유로를 통해 분사암에 유입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데, 상부 랙(6)에만 식기가 담겨있을 경우에, 상기 밸브(16)는 도 3과 같이 개폐용 리브(16a)가 하부 분사암과 연결되는 메인 유로(22,23)를 폐쇄시키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유입부(21)에 유입된 세척수는 상부 분사암(4)에 공급된다.
또, 하부 랙(7)에만 식기가 담겨있을 경우에, 상기 밸브(16)는 도 5a와 같이 개폐용 리브(16a)가 하부 분사암과 연결되는 메인 유로(22,23)를 폐쇄시키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유입부(21)에 유입된 세척수는 하부 분사암(5)에 공급된다.
또, 상/하부 랙(6,7)에 식기가 담겨있을 경우에, 상기 상/하부 분사암(4,5) 모두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메인 유로(22,23)를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유입부(21)에 유입된 세척수는 상/하부 분사암에 동시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상부 또는/및 하부 분사암에 공급된 세척수는 상부 또는/및 하부 랙에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한다.
이어, 상기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는 필터링 패널(27)에 떨어지고, 이 세척수는 필터링 패널(27)의 배수홀(28)를 통해 섬프(11)에 회수된다.
다음으로, 세척수의 나머지 일부가 샘플링 유로(24)를 통해 오물 챔버(26)에 유입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샘플링 유로(24)에는 상기 밸브(16)가 어느 메인 유로(22,23)를 개방시키는 것에 상관없이 항상 세척수의 일부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오염도 센서(25)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척수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오물 챔버(26)의 배수구(26a)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를 배수한 후에는 배수한만큼의 세척수를 보충시킨다.
상기 샘플링 유로(24)의 세척수는 오염도 센서(25)를 거쳐 오물 챔버(26)에 유입되고, 이 세척수는 오물 챔버(26)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필터(29)를 통해 오버 플로우된다. 이때, 상기 필터(29)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렇게 필터링된 세척수는 필터링 패널(27)의 배수홀(28)을 통해 다시 섬프(11)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필터링된 세척수는 짧은 시간 동안에는 일부만이 필터링되는 것 같지만, 본세척 행정 동안에는 전체적으로 거의 모든 세척수가 필터링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식기 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유로절환모터는 밸브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므로, 상기 밸브의 개폐용 리브가 도 5b와 같이 소정의 회전 구간에서 2개의 메인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 유입부의 모든 세척수는 샘플링 유로를 통해 오물 챔버로 유입되므로, 상기 오물 챔버에는 순간적으로 수압이 크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오물 챔버에 수압이 크게 작용하면, 상기 오물 챔버의 배수구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낭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오물 챔버에 수압이 크게 작용하면, 상기 오물 챔버에서는 도 5b와 화살표와 같이 세척수가 오염도 센서측으로 역류하여 상기 오염도 센서가 오염도를 오판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필터가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막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물 챔버에 수압이 크게 작용하면, 상기 필터에 피로가 누적되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메인 유로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회전차의 공회전에 의해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밸브 회전시 메인 유로가 모두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물 챔버에 압력이 크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며,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로절환 모터; 섬프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유입부; 상기 세척수 유입부로부터 각 분사암에 연결되도록 분지되는 메인 유로; 상기 유로절환 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캠; 그리고, 상기 세척수 유입부와 메인 유로의 분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캠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소정의 메인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는 소정의 회전각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밸브는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는 상기 세척수 유입부의 메인 유로를 개폐하도록 개폐용 리브가 형성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캠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캠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캠의 소정 부분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구동캠의 체결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캠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밸브가 어느 유로를 개폐시켰는 지를 판단하도록 개폐검출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검출장치는 상기 구동캠의 소정 회전각 범위에서 구동캠에 의해 가압되는 개폐감지부; 상기 개폐감지부에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가 가압/해제됨에 따라 가압/해제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가 가압/해제됨에 따라 메인 유로들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도록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에 관해 도 6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유로절환장치를 구성하는 필터링 하우징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6의 유로절환장치를 구성하는 필터링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절환장치는 유로절환 모터(51), 필터링 하우징(60), 구동캠(66), 밸브(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절환 모터(51)는 식기 세척기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섬프(도 2참조)에 설치된다.
상기 섬프의 내부에는 필터링 하우징(60)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링 하우징(60)에는 상기 섬프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세척수 유입부(61)가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 유입부(61)에는 각 분사암에 연결되도록 메인 유로(62,63)들이 분지된다. 이러한 각 메인 유로에는 해당 연결관(2,3 : 도 1 참조)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각 연결관에는 해당 분사암(4,5)이 연결된다.
상기 메인 유로(62,63)들은 식기 세척기에 설치되는 분사암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예컨데, 도 1과 같이 상/하부 분사암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2개의 메인 유로(62,6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유입부(61)의 소정 부분에는 샘플링 유로(64)가 형성되고, 상기 샘플링 유로(64)는 오물 챔버(65)에 연결되며, 상기 오물 챔버(65)에는 배수구(65a)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에는 오물이 포함된 세척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개폐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샘플링 유로(64)에는 오염도 센서(64a)가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링 하우징(60)의 상부에는 필터링 패널(27 : 도 2 참조)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링 패널의 테두리부에는 다수개의 배수홀(28)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들의 중심측에는 소정의 메쉬를 갖는 필터(2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링 하우징(60)은 필터링 패널의 중심측에 위치한 필터들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캠(66)은 유로절환 모터(51)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캠(66)은 도 6과 같이 유로절환 모터(51)의 회전축에 축결합된다.
상기 밸브(67)는 세척수 유입부(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밸브(67)는 상기 구동캠(66)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소정의 메인 유로(62,63)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밸브(67)는 소정 회전각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세척수 펌핑시 상기 밸브가 회전됨에 의해 상기 메인 유로가 모두 폐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오물 챔버(65)에 순간적으로 수압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밸브는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는 밸브 몸체(68)와 가이드부재(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 몸체(68)에는 세척수 유입부(61)의 메인 유로(62,63)를 개폐시키도록 개폐용 리브(68a)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폐용 리브는 메인 유로보다 원주방향으로 약간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69)는 밸브 몸체(68)에 고정됨과 아울러 구동캠(66)에 체결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69)는 구동캠(66)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68)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캠과 밸브의 체결 구조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캠(66)의 소정 부분에는 체결부(66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69)에는 상기 구동캠(66)의 체결부(66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69)에는 상기 구동캠 회전시 체결부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홀(69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가이드 홀(69a) 대신에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캠에는 체결부 대신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과 가이드 홈은 상기 구동캠이 회전될 때에 상기 체결부가 이동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69)는 밸브 몸체(68)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체결부(66a)는 구동캠(66)의 테두리부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캠 회전시 밸브 몸체의 회전각 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체결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밸브 몸체의 회전 구간을 조절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로절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하우징(60)의 세척수 유입부(61)에는 밸브 몸체(68)의 회전각(θ1) 범위 내에 메인 유로(62,6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68)의 회전 중심과 구동캠(66)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와, 상기 구동캠(66)의 회전 중심과 체결부(66a) 사이의 거리는, 소정의 비(ratio)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밸브 몸체(68)가 소정의 회전각 범위(θ1) 내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두 거리의 비를 소정의 비로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구동캠(66)의 회전 중심과 체결부(66a)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 몸체(68)의 회전 중심과 구동캠(66)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면, 상기 밸브 몸체(68)의 회전각 범위는 넓게 형성된다.
또, 상기 밸브 몸체의 회전 중심과 구동캠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캠의 회전 중심과 체결부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면, 상기 밸브 몸체의 회전각 범위는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두 거리의 비를 조절하여 상기 밸브 몸체의 회전각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밸브 몸체와 메인 유로의 설치 구조에 관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유로들(62,63)은 밸브 몸체(68)의 개폐용 리브(68a)의 길이와 대략 동일 간격(W1)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예컨데, 상기 메인 유로들(62,63)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몸체(68)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120° 회전각(θ1) 범위 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의 개폐용 리브(68a)는 대략 120°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 몸체의 개폐용 리브(68a)가 메인 유로(62,63)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2개의 메인 유로(62,63)가 모두 개방된다.
또, 상기 메인 유로(62,63)들은 개폐용 리브(68a)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W2)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메인 유로들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몸체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략 80°의 범위 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의 개폐용 리브(68a)는 대략 120° 회전각(θ2)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 몸체의 개폐용 리브(68a)가 메인 유로(62,63)의 일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2개의 메인 유로(62,63)가 모두 개방된다.
이러한 메인 유로와 밸브 몸체의 회전각 범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나머지 변경예에 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캠(66)의 회전 구간에 따라 상기 밸브(67)가 어느 메인 유로(62,63)를 개폐시켰는 지를 판단하도록 개폐검출장치(7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인 유로의 개폐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폐검출장치(70)는 개폐감지부(71), 레버(72), 스위치(73) 및 제어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감지부는 구동캠(66)의 소정 회전구간에서 구동캠에 의해 가압된다. 이때, 상기 구동캠은 원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부 중에서 소정 길이의 원호가 절개되고,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구동캠의 소정 회전구간에서 절개부(66b)에 의해 가압이 해제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구동캠의 일측면에 절개부(66b)의 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폐감지부를 가압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상기 레버(72)는 개폐감지부(71)와 스위치(73)에 양단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레버는 개폐감지부가 가압될 때에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72)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74)에서는 메인 유로(62,63)들의 개폐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감지장치로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이루어진 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캠의 소정 부분에 수광부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캠의 테두리부 주위에 발광부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캠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광부와 발광부가 되응되는 가에 따라 상기 메인 유로(62,63)의 개폐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의 작용에 관해 첨부된 도 9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세척기의 본세척 행정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는 도 6의 유로절환장치가 세척수를 하부 분사암으로 유입시키도록 절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9b는 유로절환장치가 도 9a와 같이 절환되는 경우 상기 필터링 하우징에서 세척수가 하측 분사암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a는 도 6의 유로절환장치가 세척수를 상/하측 분사암으로 유입시키도록 절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b는 유로절환장치가 도 9b와 같이 절환된 경우 상기 필터링 하우징에서 세척수가 상/하측 분사암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식기 세척기의 본세척 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펌핑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차가 회전되면서 상기 섬프에 집수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펌핑시킨다. 이렇게 펌핑된 세척수는 필터링 하우징(60)의 세척수 유입부(61)에 유입된다.
이러한 세척수는, 일부분이 상/하부 분사암에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오물 챔버(65)에 유입된다. 이러한 세척수의 유동에 관해 이하에서는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상기 세척수가 하부 분사암에 유입되는 경우에 관해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로절환 모터(51)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캠(66)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구동캠(66)의 체결부(66a)는 가이드 홀(69a)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밸브 몸체(68)를 회전시킨다.
상기 밸브 몸체(68)가 도 6과 같이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개폐감지장치(70)에서는 밸브 몸체(68)가 하부 분사암과 연결된 메인 유로(62)를 개방시켰다고 판단하고 상기 유로절환 모터(5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의 개폐용 리브(68a)는 도 7과 같이 상기 상부 분사암에 연결된 메인 유로(63)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세척수 유입부(61)의 세척수는 일부분이 메인 유로(62)를 통해 하부 분사암에 유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샘플링 유로(64)를 통해 오물 챔버(65)에 유입된다.
둘째, 상기 세척수가 상부 분사암에 유입되는 경우에 관해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밸브 몸체(68)가 도 9a와 같이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개폐감지장치에서는 밸브 몸체(68)가 상부 분사암에 연결된 메인 유로(63)를 개방시켰다고 판단하고 상기 유로절환 모터(5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68)의 개폐용 리브(68a)는 도 9b와 같이 상기 하부 분사암에 연결된 메인 유로(63)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세척수 유입부(61)의 세척수는 일부분이 메인 유로(63)를 통해 상부 분사암에 유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샘플링 유로(64)를 통해 오물 챔버(65)에 유입된다.
셋째, 상기 세척수가 상/하부 분사암에 유입되는 경우에 관해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밸브 몸체(68)가 도 10a와 같이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개폐감지장치에서는 밸브 몸체(68)가 상/하부 분사암과 연결된 메인 유로(62,63)를 개방시켰다고 판단하고 상기 유로절환 모터(5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68)의 개폐용 리브(68a)는 도 10b와 같이 상기 2개의 메인 유로(62,6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세척수 유입부(61)의 세척수는 일부분이 2개의 메인 유로(62,63)를 통해 상/하부 분사암에 유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샘플링 유로(64)를 통해 오물 챔버(65)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캠과 밸브에 의해, 상기 구동캠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더라도, 상기 밸브는 소정의 회전 구간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 메인 유로를 개폐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밸브의 개폐용 리브가 모든 메인 유로를 폐쇄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오물 챔버 내에 순간적으로 압력이 크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오물 챔버에는 거의 균일한 수압이 작용하므로, 상기 오물 챔버의 배수구가 개방되어 세척수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오물 챔버의 세척수가 오염도 센서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오염도 센서가 오염도를 오판할 수 있는 개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오물 챔버에 수압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필터가 피로에 누적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모든 메인 유로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회전차가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밸브와 구동캠의 작용에 의해 상기 메인 유로를 개폐시킴으로써, 종래에 유로절환 모터에 축결합된 밸브에 비해 오작동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집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집수장치를 구성하는 필터링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낸 상면도.
도 4는 도 2의 집수장치에서 세척수가 유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a는 도 2의 필터링 하우징에서 하측 분사암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b는 도 2의 필터링 하우징의 메인 유로가 막힌 경우 세척수의 유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유로절환장치를 구성하는 필터링 하우징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도 6의 유로절환장치를 구성하는 필터링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9a는 도 6의 유로절환장치가 세척수를 하부 분사암으로 유입시키도록 절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b는 유로절환장치가 도 9a와 같이 절환되는 경우 상기 필터링 하우징에서 세척수가 하측 분사암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a는 도 6의 유로절환장치가 세척수를 상/하측 분사암으로 유입시키도록 절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b는 유로절환장치가 도 9b와 같이 절환된 경우 상기 필터링 하우징에서 세척수가 상/하측 분사암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유로절환 모터 60 : 필터링 하우징
61 : 세척수 유입부 62,62a,63,63a : 메인 유로
64 : 샘플링 유로 65 : 오물 챔버
65a : 배수구 66 : 구동캠
66a : 체결부 66b : 절개부
67 : 밸브 68 : 밸브 몸체
68a : 개폐용 리브 69 : 가이드부재
69a : 가이드 홀 70 : 개폐검출장치
71 : 개폐감지부 72 : 레버
73 : 스위치 74 : 제어부

Claims (13)

  1. 유로절환 모터;
    섬프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 유입부;
    상기 세척수 유입부로부터 각 분사암에 연결되도록 분지되는 메인 유로;
    상기 유로절환 모터가 가동됨에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동캠; 그리고,
    상기 세척수 유입부와 메인 유로의 분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캠에 의해 회전됨에 의해 소정의 메인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소정의 회전각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세척수 유입부의 메인 유로를 개폐하도록 개폐용 리브가 형성된 밸브 몸체; 그리고,
    상기 밸브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캠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캠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밸브 몸체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의 소정 부분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구동캠의 체결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구동캠의 체결부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의 회전 중심과 구동캠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와, 상기 캠의 회전 중심과 체결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밸브 몸체의 회전각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소정의 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들은 밸브 몸체의 개폐용 리브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들은 밸브 몸체의 회전 중심에서 대략 120°의 범위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몸체의 개폐용 리브는 대략 120°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들은 밸브 몸체의 개폐용 리브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들은 밸브 몸체의 회전 중심에서 대략 80°의 범위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몸체의 개폐용 리브는 대략 120°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밸브가 어느 유로를 개폐시켰는 지를 판단하도록 개폐검출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검출장치는:
    상기 구동캠의 소정 회전각 범위에서 구동캠에 의해 가압되는 개폐감지부;
    상기 개폐감지부에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가 가압/해제됨에 따라 가압/해제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가 가압/해제됨에 따라 메인 유로들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도록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은 테두리부 중에서 소정 길이의 원호가 절개되고,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구동캠의 소정 회전각 범위에서 절개부에 의해서 가압이 해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KR1020030093825A 2003-12-19 2003-12-19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KR10055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825A KR100556406B1 (ko) 2003-12-19 2003-12-19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825A KR100556406B1 (ko) 2003-12-19 2003-12-19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144A true KR20050062144A (ko) 2005-06-23
KR100556406B1 KR100556406B1 (ko) 2006-03-03

Family

ID=3725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825A KR100556406B1 (ko) 2003-12-19 2003-12-19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4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26B1 (ko) * 2007-10-22 200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0122520A1 (ko) * 2018-12-10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26B1 (ko) * 2007-10-22 200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0122520A1 (ko) * 2018-12-10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406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823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101266868B1 (ko) 식기세척기
KR20050062145A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10152698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14517A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 유로 제어 장치
KR100917826B1 (ko) 식기세척기
US7722725B2 (en) Dishwasher and sump assembly thereof
KR20090061479A (ko) 식기세척기
KR101507803B1 (ko) 식기 세척기
US6234184B1 (en) Secondary filter system
US20070119488A1 (en) Dish washer with disc type passage control valve
KR10100341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7730897B2 (en) Dishwasher
KR100556406B1 (ko) 식기 세척기의 유로절환장치
KR100640898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2022002228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39564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20090040734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56407B1 (ko) 식기 세척기의 오염도 감지장치
KR101169274B1 (ko)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
KR101052780B1 (ko) 식기세척기
KR20060027044A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20220093727A (ko) 식기세척기
KR200324605Y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장치
KR20110064335A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