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061A - 버터플라이 광모듈 - Google Patents

버터플라이 광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061A
KR20050061061A KR1020030092871A KR20030092871A KR20050061061A KR 20050061061 A KR20050061061 A KR 20050061061A KR 1020030092871 A KR1020030092871 A KR 1020030092871A KR 20030092871 A KR20030092871 A KR 20030092871A KR 20050061061 A KR20050061061 A KR 20050061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utterfly
optical module
outputting
broad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국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1061A/ko
Publication of KR2005006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5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being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elements, e.g. variable wavelength optical modules or wavelength lock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2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 G02B6/4265Details of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of the Butterfly or dual inline package [DIP]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H01S3/06762Fibre amplifiers having a specific amplification band
    • H01S3/06766C-band amplifiers, i.e. amplification in the range of about 1530 nm to 1560 n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H01S3/06762Fibre amplifiers having a specific amplification band
    • H01S3/0677L-band amplifiers, i.e. amplification in the range of about 1560 nm to 1610 n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H01S3/06762Fibre amplifiers having a specific amplification band
    • H01S3/06775S-band amplifiers, i.e. amplification in the range of about 1450 nm to 1530 n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제1 및 제2 광 각각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대역 광원과, 상기 광대역 광원을 실장하기 위한 버터플라이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제1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1 광섬유와, 상기 제2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2 광섬유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터플라이 광모듈{BUTTERFLY OPTICAL MODULE}
본 발명은 광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넓은 파장 대역의 광을 생성할 수 있는 광대역 광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장 분할 다중(Wavelength division multipexing passive)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Passive Optical Network)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 기지국과, 상술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가입자들(Subscribers)과, 상기 가입자들에게 최인접하게 위치된 지역 기지국(RN : Remote Node) 등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지역 기지국까지는 단일 광섬유로 연결하고 상기 지역 기지국과 상기 가입자들은 각각의 독립된 광섬유로 연결된 이중성형 구조(double-star)를 갖는다. 일반적인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이중성형 구조를 갖음으로써 광섬유의 매설 및 관리가 용이하다.
상술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상기 가입자들 각각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수단으로서 사용한다. 즉, 상기 중앙 기지국은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각각의 광신호들을 다중화시켜서 상기 지역 기지국으로 출력하고, 상기 지역 기지국은 다중화된 광신호들을 각 파장에 따라서 역다중화시킨 후 해당 가입자로 출력한다. 즉, 상기 각 가입자는 할당된 파장의 광신호들을 이용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각 가입자에게 대용량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의 보안성과 성능 향상이 용이하다. 상술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상기 중앙 기지국에서 상기 가입자들 각각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하향 광신호들과, 상기 가입자들 각각이 상기 중앙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상향 광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광송신 수단을 포함해야 한다.
상술한 광송신 수단은 상호 다른 파장의 광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레이저들 또는 복수의 페브리-페로 레이저들 각각에 상호 다른 파장들 각각을 주입함으로써 기설정된 파장의 파장 잠김된 광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광송신 수단 등을 사용한다.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광송신 수단은 파장 잠김된 광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페브리-페로 레이저들과, 상기 페브리-페로 레이저들 각각에 주입하기 위한 넓은 파장 대역의 광을 생성하기 위한 광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광모듈은 넓은 파장 대역의 광을 생성하기 위한 광대역 광원 등을 포함하며, 상기 광대역 광원으로는 백색 광원,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또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백색 광원은 그 출력이 약하여 고출력의 파워를 요구하는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파장 잠김된 광신호들을 유도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부적합하다.
따라서, 광대역 광원은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또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등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상기 중앙 기지국에서 상기 가입자들 각각으로 전송하기 위한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하향 광신호들과, 상기 가입자들 각각이 상기 중앙 기지국으로 출력하기 위한 상향 광신들을 필요로 하며, 상기 상향 광신호들과 상기 상향 광신호들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을 이용한다.
즉, 일반적인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상기 하향 광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향 광모듈과, 상기 상향 광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상향 광모듈을 각각 별도로 포함해야만 한다.
그러나, 어븀 첨가 광섬유는 가격이 고가이고, 그 부피가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생성하기 위한 하향 광모듈과 상향 광모듈 각각을 별도로 포함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광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제1 및 제2 광 각각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대역 광원과;
상기 광대역 광원을 실장하기 위한 버터플라이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제1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1 광섬유와;
상기 제2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2 광섬유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은 제1 및 제2 광대역 광원들(210, 220)과, 버터플라이 구조의 하우징(230)과, 제1 광섬유(211)와, 제2 광섬유(221)와, 제1 아이솔레이터(212)와, 제2 아이솔레이터(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광대역 광원(210, 220) 각각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제1 및 제2 광 각각을 생성하기 위한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광대역 광원들(210, 220) 구성의 보다 다양한 예를 들도록 한다. 상기 제1 광대역 광원(210)이 S-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경우에 상기 제2 광대역 광원(220)은 L-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대역 광원(210)이 O-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경우에, 상기 제2 광대역 광원(220) C-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대역 광원(210)이 C-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경우에, 상기 제2 광대역 광원(220)은 L-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대역 광원(210)이 S-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경우에, 상기 제2 광대역 광원(220)은 C-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대역 광원(210)이 S-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경우에, 상기 제2 광대역 광원(220)은 O-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대역 광원(210)이 O-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경우에, 상기 제2 광대역 광원(220)은 L-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광대역 광원들(210, 220)은 상기 제1 및 제2 광을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서브 마운트(240) 상에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230)은 버터플라이 구조로서 상기 제1 및 제2 광대역 광원들(210, 220)을 실장하며, 상기 하우징(230)의 양 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광들 각각을 출력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들(211, 221)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제1 광섬유(211)는 상기 제1 광대역 광원(210)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2 광섬유(221)는 상기 제2 광대역 광원(220)에서 생성된 상기 제2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아이솔레이터(212)는 상기 제1 광섬유(211)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광을 통과시키고, 일부 반사되는 광이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아이솔레이터(222)는 상기 제2 광섬유(221)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광을 통과시키고, 일부 반사되는 광이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은 제1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1 광대역 광원(310)과, 제2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2 광대역 광원(320)과, 상기 광대역 광원들(310, 320)을 실장하기 위한 버터플라이 구조의 하우징(370)과, 제1 광섬유(311)와, 제2 광섬유(31)와, 상기 제1 광을 상기 제1 광섬유(311)의 일단에 수렴시키기 위한 제1 렌즈계(330)와,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2 광섬유(321)의 일단에 수렴시키기 위한 제2 렌즈계(340)와, 상기 제1 광의 세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1 광검출기(350)와, 상기 제2 광의 세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3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광대역 광원(310, 320) 각각은 상호 다른 넓은 파장 대역의 제1 및 제2 광 각각을 생성하기 위한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70)은 버터플라이 구조로서 상기 광대역 광원들(310, 320) 및 다수의 광 소자들이 안착된 서브마운트(380)를 실장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370)은 양 측벽에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311, 321)가 고정된다.
상기 제1 광섬유(311)는 상기 제1 광대역 광원(310)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광섬유(321)는 상기 제2 광대역 광원(320)에서 생성된 상기 제2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시킨다.
상기 제1 렌즈계(330)는 상기 제1 광대역 광원(310)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광을 시준화시키기 위한 제1 시준화 렌즈(331)와, 상기 제1 시준화 렌즈(331)에서 시준화된 상기 제1 광을 상기 제1 광섬유(311)의 일단으로 수렴시키기 위한 제1 수렴 렌즈(332), 상기 제1 시준화(331) 및 수렴 렌즈(332)들의 사이에 위치된 제1 아이솔레이터(3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아이솔레이터(333)은 상기 제1 시준화 렌즈(331)에서 시준화된 상기 제1 광을 상기 제1 수렴 렌즈(332)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1 수렴 렌즈(332)에서 상기 제1 시준화 렌즈(331)로 역방향 진행하는 일부 광이 상기 제1 광대역 광원(310)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렌즈계(340)는 상기 제2 광대역 광원(32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광을 시준화시키기 위한 제2 시준화 렌즈(341)와, 상기 제2 시준화 렌즈(341)에서 시준화된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2 광섬유(321)의 일단으로 수렴시키기 위한 제2 수렴 렌즈(342)와, 상기 제2 시준화(341) 및 수렴 렌즈(342)의 사이에 위치된 제2 아이솔레이터(34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아이솔레이터(343)는 상기 제2 시준화 렌즈(341)에서 시준화된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2 수렴 렌즈(342)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2 수렴 렌즈(342)에서 반사된 제2 광의 일부가 상기 제2 시준화 렌즈(341)로 역방향 진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2 렌즈계(340)는 상기 제2 광대역 광원(320)과 상기 제2 광섬유(321)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2 광섬유(321)의 일단에 수렴시킨다.
상기 제1 광검출기(350)는 상기 제1 렌즈계(330)의 측면에 상기 제1 광의 진행 경로에 대해서 그 입사면이 경사지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렌즈계(330)를 진행하는 상기 제1 광의 세기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2 광검출기(360)는 상기 제2 렌즈계(340)의 측면에 상기 제2 광의 진행 경로에 대해서 그 입사면이 경사지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렌즈계(340)를 진행하는 상기 제2 광의 세기를 모니터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광들을 그 양 끝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상기 광대역 광원과(410), 버터플라이 구조의 하우징(450)과, 제1 광섬유(411)와, 제2 광섬유(412)와, 제1 및 제2 아이솔레이터(420, 43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들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광대역 광원(410)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을 생성하기 위한 상호 다른 밴드 갭을 갖는 활성층들을 하나의 기반 상에 집적시킨 반도체형 광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광대역 광원(410)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광들을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 각각을 통해서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은 제1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1 광대역 광원(510)과, 제2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2 광대역 광원(520)과, 상기 광대역 광원들을 실장하기 위한 버터플라이 구조의 하우징(540)과, 제1 및 제2 광섬유들(511, 521)과, 파장 선택 결합기(55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광대역 광원(510, 520)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생성할 수 있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광대역 광원(510, 520)에서 출력되는 제1 및 제2 광 각각은 상기 제1 광섬유(511)와 제2 광섬유(521)를 통해서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 파장 선택 결합기(550)는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511, 521) 각각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광을 출력단(560)을 통해서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시킨다. 이하, 본원 발명의 제4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이하 생략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대역 광모듈에서 출력되는 넓은 파장 대역 광의 스펙트럼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서 결합시켜서 출력하는 것이 출력되는 광의 파장 대역을 보다 넓게 확장시킴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각각의 출력단을 통해서 출력할 수 있는 이중 출력 구조의 버터플라이 광모듈을 포함하며, 단 하나의 버터플라이 광모듈로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광들을 생성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보다 소형화된 시스템에도 적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광모듈을 포함하는 광대역 광모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대역 광모듈에서 출력되는 넓은 파장 대역의 광의 스펙트럼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

Claims (14)

  1. 버터플라이 광모듈에 있어서,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제1 및 제2 광 각각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대역 광원과;
    상기 광대역 광원을 실장하기 위한 버터플라이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제1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1 광섬유와;
    상기 제2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2 광섬유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은,
    상기 제1 광섬유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광을 통과시키고, 일부 반사되는 광이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아이솔레이터와;
    상기 제2 광섬유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광을 통과시키고, 일부 반사되는 광이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아이솔레이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은 상호 다른 파장 대역의 광들을 그 양 끝단으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들은,
    S-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와;
    L-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들은,
    O-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와;
    C-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들은,
    C-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와;
    L-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들은,
    S-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와;
    C-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들은,
    S-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와;
    O-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광원들은,
    O-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1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와;
    L-Band 파장 대역의 광을 출력하기 위한 제2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1 및 제2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파장 선택 결합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11. 버터플라이 광모듈에 있어서,
    넓은 파장 대역의 제1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1 광대역 광원과;
    제2 광을 생성하기 위한 제2 광대역 광원과;
    상기 광대역 광원을 실장하기 위한 버터플라이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제1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1 광섬유와;
    상기 제2 광을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2 광섬유와;
    상기 제1 광대역 광원과 상기 제1 광섬유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광을 상기 제1 광섬유의 일단에 수렴시키기 위한 제1 렌즈계와;
    상기 제2 광대역 광원과 상기 제2 광섬유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2 광섬유의 일단에 수렴시키기 위한 제2 렌즈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 광모듈은,
    상기 제1 렌즈계의 측면에 상기 제1 광의 진행 경로에 대해서 그 입사면이 경사를 갖도록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렌즈계를 진행하는 상기 제1 광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1 광의 세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1 광검출기와;
    상기 제2 렌즈계의 측면에 상기 제2 광의 진행 경로에 대해서 그 입사면이 경사를 갖도록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렌즈계를 진행하는 상기 제2 광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2 광의 세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2 광검출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계는,
    상기 제1 광대역 광원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광을 시준화시키기 위한 제1 시준화 렌즈와;
    상기 제1 시준화 렌즈에서 시준화된 상기 제1 광을 상기 제1 광섬유의 일단으로 수렴시키기 위한 제1 수렴 렌즈와;
    상기 제1 시준화 및 수렴 렌즈들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시준화 렌즈에서 시준화된 상기 제1 광을 상기 제1 수렴 렌즈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1 수렴 렌즈에서 상기 제1 시준화 렌즈로 역방향 진행하는 일부 광이 상기 제1 광대역 광원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계는,
    상기 제2 광대역 광원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광을 시준화시키기 위한 제2 시준화 렌즈와;
    상기 제2 시준화 렌즈에서 시준화된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2 광섬유의 일단으로 수렴시키기 위한 제2 수렴 렌즈와;
    상기 제2 시준화 및 수렴 렌즈들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시준화 렌즈에서 시준화된 상기 제2 광을 상기 제2 수렴 렌즈로 통과시키고, 상기 제2 수렴 렌즈에서 상기 제2 시준화 렌즈로 역방향 진행하는 일부 광이 상기 제2 광대역 광원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아이솔레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광모듈.
KR1020030092871A 2003-12-18 2003-12-18 버터플라이 광모듈 KR20050061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871A KR20050061061A (ko) 2003-12-18 2003-12-18 버터플라이 광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871A KR20050061061A (ko) 2003-12-18 2003-12-18 버터플라이 광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061A true KR20050061061A (ko) 2005-06-22

Family

ID=3725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871A KR20050061061A (ko) 2003-12-18 2003-12-18 버터플라이 광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10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616B1 (ko) * 2006-05-09 2007-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CN109326373A (zh) * 2018-12-03 2019-02-12 江苏中天科技股份有限公司 小基站用光电混合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616B1 (ko) * 2006-05-09 2007-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CN109326373A (zh) * 2018-12-03 2019-02-12 江苏中天科技股份有限公司 小基站用光电混合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121B1 (en) Bidirectional module for multichannel use
US7224519B2 (en) Low noise multi-wavelength light sourc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using same
US74508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ignals
US7068905B2 (en) Extended optical bandwidth semiconductor source
US6922281B2 (en) Erbium-doped fiber amplifier and integrated module components
US20090116838A1 (en) Bi-directional optical module with a polarization independent optical isolator
US20100046950A1 (en) Seeding wdm pon system based on quantum dot multi-wavelength laser source
US9768586B2 (en) Compact WDM optical modules
KR20040040659A (ko) 중앙 기지국에서 생성된 다파장 광의 루프백을 이용하는수동형 광통신망
US10746933B2 (en) Fiber coupled laser source pump with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isolator, tap filter, and photodetector
US5812307A (en) Optical device and optical amplifier
US20090162073A1 (en) Optical module
KR100575966B1 (ko) 광대역 광원
JPH05502334A (ja) 損失のない光学素子
CN107728267A (zh) 一种单激光光学组件的组装结构
KR100701158B1 (ko) 펌프 광원이 단일 집적된 광송수신기 및 광송수신기 모듈
US7209508B2 (en) Multi-channel light source and multi-channel optical module using the same
US20070153845A1 (en) Wide-band tunable laser
US20050111773A1 (en) Integrated lithium niobate based optical transmitter
CN110932789A (zh) 一种波长可调谐器件封装结构
KR20050061061A (ko) 버터플라이 광모듈
US20050134185A1 (en) Hybrid broadband light source
US7413352B2 (en) Optical module
CN208110108U (zh) 一种单激光光学组件的组装结构
KR20120056480A (ko) 양방향 광송수신 모듈 및 그의 티오-캔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