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0719A -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bus boarding information of mobil communication unit having gps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bus boarding information of mobil communication unit having gps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0719A
KR20050060719A KR1020030092419A KR20030092419A KR20050060719A KR 20050060719 A KR20050060719 A KR 20050060719A KR 1020030092419 A KR1020030092419 A KR 1020030092419A KR 20030092419 A KR20030092419 A KR 20030092419A KR 20050060719 A KR20050060719 A KR 20050060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종만
김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9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0719A/en
Publication of KR20050060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719A/en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탑승 안내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버스 탑승 안내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oarding guid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boarding guide technolog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에 있어서,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서버에 통신 접속하는 단계; 상기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하여 획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며 상기 목적지로 운행하는 해당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s boarding guidance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the method comprising: connecting to a bus boarding service server; 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ed by using the GPS function to the bus boarding service server; Receiving bus ride guide information from the bus ride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including a bus stop location information close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ps at a corresponding bus traveling to the destination; And displaying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Description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탑승 안내 방법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버스 탑승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BUS BOARDING INFORMATION OF MOBIL COMMUNICATION UNIT HAVING GPS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TECHNICAL FOR PROVIDING SERVICE OF BUS BOARDING INFORMATION OF MOBIL COMMUNICATION UNIT HAVING GPS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부가 서비스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교통 정보 제공 서비스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ditional service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의 하나인 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목적지 까지 운행하는 버스의 번호가 무엇인지, 버스가 어느 경로를 거쳐 목적지 까지 가는 것인지,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When a user wants to take a bus, which is one of the public means of transportation, the user often does not know what number of buses run to the destination, which route the bus takes to the destination, and where the bus stops. do.

전술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는 외부에서 불시에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할 때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비스를 개발하게 될 때에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팩터 중 하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In order to develop a service tha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user's needs,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user terminal connecting to the service serv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esirable for the user to be able to conveniently use this service even when they are unwilling to use it externally.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he service is to make the user interface convenient.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정류장 위치, 건물위치 등과 같은 위치정보를 미리 인지하고 있다가 일일이 입력하도록 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며, 또한 버스 번호도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면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가 없다.For example, it is cumbersome to allow the user to know the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the stop location, the building location, etc. in advance and to input it manually. I can't.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58982호에는 종래의 버스 노선 안내 기술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따르면, 버스 정류장에 단말기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원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중앙관제 시스템으로 송신하며, 중앙관제 시스템은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기초로 버스 노선을 검색, 최소경로로 가공하여 그 정보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는 버스 노선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58982 disclose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bus route guidanc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above publication, a terminal is installed at a bus stop and receives raw data of a user and transmits the raw data to a central control system. The central control system searches for a bus route based on the transmitted data, processes the information into a minimum path,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 user can be guided to the bus route to the desired place.

그런데, 이러한 기술을 분석해보면, 단말기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목적지까지 운행되는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까지는 찾아갈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동작 가능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가장 가까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정차하는)정류장까지 편리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서비스 까지는 착안해 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버스 정류장에는 반드시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이동성이 보장되지 않는다.However, when analyzing the technology, since the terminal is installed at the bus stop, the user can operate on the premise that the user can go to the stop where the bus running to the destination stops. In other words, the service that guides the user to conveniently go to the nearest stop (stopped by the bus that runs to the destination) does not come to mind. In addition, the terminal must be installed at the bus stop, the mobility of the user is not guaranteed.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403173호에는 종래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교통수단의 교통시간 안내 기술의 일 예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따르면, 버스, 전철, 선박, 항공기 등과 같은 일정한 노선 및 시간표에 따라서 운행하는 대중교통수단에서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을 통해 호스트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 저장하여 상기 교통수단에 탑승하지 않은 외부의 정보 이용자가 무선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도착시간 및 소요시간등의 교통시간을 요청하면 기저장된 노선에 따른 교통흐름현황등의 교통정보를 토대로 요청한 상기 차량의 도착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과 같은 교통시간을 산출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403173 describes an example of a transit time guidance technology of a public transportation means using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above publication, GPS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is received in a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operating along a certain route and timetable such as a bus, a train, a ship, an aircraft, and transmitted in real time to a hos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o as not to board the vehicle. If a user requests a traffic time such as arrival time and required time through a wireless portable terminal, the required time to arrive and destination of the requested vehicle is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such as traffic flow status according to a pre-stored route. Calculate the same traffic time.

그런데, 이러한 기술을 분석해보면, 무선 휴대 단말기도 사용될 수 있다고 는 하나, 자신의 위치, 정류장 위치 건물위치 등과 같은 위치정보 및 차량의 노선번호를 음성 또는 문자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PC 기반의 유선(인터넷) 통신이 사용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외부로 나와서 전술한 위치정보를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사용자는 전술한 위치정보를 모두 알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노선번호 또한 사용자는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공보에서는 사용자가 가장 가까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정차하는)정류장까지 편리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서비스 까지는 착안해 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서는 GPS 기능을 가지는 무선 휴대 단말기를 전제로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계산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정류장의 위치를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또는 자신의 위치를 정류장의 위치로 하여 계산되어야 하여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운행되는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까지는 찾아갈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동작되는 것이다.However, when analyzing these technologies, wireless portable terminals can also be used, but by inputting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ir location, stop location, building location, etc., and the vehicle route number by voice or text, substantially PC-based Wired (Internet) communication is used. That is, it is very cumbersome for the user to enter the above-mentione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portable terminal by the outside, and the user needs to know all of the above-described location information. The route number also requires the user to know in advance. In addition, the above publication does not focus on the service for guiding the user to conveniently go to the nearest stop (stopped by a bus that runs to the destination). In addition, the above publication does not presuppose a wireless portable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Accordingly, in calculating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user must be aware of the location of the stop in advance, or should be calculated by using his location as the location of the stop, so that the user can find the stop where the bus to the destination stops. It works on the premise that you can go ther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가장 가까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정차하는)버스 정류장까지 편리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such a situation,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ervice for guiding a user to conveniently go to the nearest bus stop (stopped by a bus that runs to a destination).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의 하나인 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목적지 까지 운행하는 버스의 번호가 무엇인지, 버스가 어느 경로를 거쳐 목적지 까지 가는 것인지,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 어디에 있는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게 편리하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ants to use a bus that is one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means what number of buses to the destination, which route the bus goes to the destination, where the bus stop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ervice which can be conveniently provid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전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미리 특정한 (위치, 정류장 이름등)정보를 숙지하고 있지 않고서 외부에서 불시에 전술한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할 때에도 편리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service, which is convenient even when the user tries to use the above-mentioned service without any knowledge of specific (location, stop name, etc.) information in advance. There is another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에 있어서,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서버에 통신 접속하는 단계; 목적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되는 버스번호 목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버스번호 선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며 상기 선택된 번호의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상기 버스 정류장 근처의 지도 및 상기 지도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처리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s boarding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the method comprising: connecting to a bus boarding service server; Transmitting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server; Receiving corresponding bus number list information from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 bus number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A bus stop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us of the selected number stops, a map near the bus stop,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map from 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ing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And processing and displaying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장 가까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정차하는)버스 정류장까지 편리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안내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guided to conveniently reach the nearest bus stop (where the bus that runs to the destination stops).

또한,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의 하나인 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목적지 까지 운행하는 버스의 번호가 무엇인지, 버스가 어느 경로를 거쳐 목적지 까지 가는 것인지,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게 편리하게 버스 승차 안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use a bus, which is one of the public means of transportation, the bus does not know what number of buses run to the destination, which route the bus takes to the destination, and where the bus stops.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an provide a service that can conveniently provide a bus ride guidance.

또한, 전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미리 특정한 (위치, 정류장 이름등)정보를 숙지하고 있지 않고서 외부에서 불시에 전술한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할 때에도 간단한 키입력만으로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service,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that enables a simple key input even when a user attempts to use the above-mentioned service without notice of specific information (location, stop name, etc.) in advance. do.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상기 지도상에 표시되는 상기 선택 번호에 해당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상기 버스의 노선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number displayed on the map and / or route information of the bus. .

이러한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공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좀 더 시각적이고 자세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현재 버스의 위치와 진행방향으로 알려 주어 실시간으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aspect, the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can be more visually and in detail expressed, and can provide a high quality service in real time by informing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s.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가,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하는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destination guide list list transmitted by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환경에 기인한 비용 절감과 신속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는 대략적인 지명 예컨대 "분당"이나 "일산"이 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서현 지하철역" "일산병원"이 될 수가 있다. 또한, 안내 목록은 지역별(서울, 경기등)로 카테고리화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간단한 키입력 만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ly, cost reduction and quick and convenient interface du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rovided. The list of destination guide list may be an approximate place name such as "Bundang" or "Ilsan", and specifically "Sehyeon Subway Station" or "Ilsan Hospital". In addition, the guide list may be categorized by region (Seoul, Gyeonggi, etc.). 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destination by simple key input.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가, 사용자가 목적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keying in the destination place name.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기술은 사용자에게 조작의 간단성과 편리성을 더 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접적인 키입력 기술을 활용할 수가 있다.The key input technology of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s simplici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irect key input technique can be utiliz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되; 상기 출발지 정보는,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하는 출발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ource informatio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is selected by a user from a departure point guide list list transmitted by the bus boarding point service providing server.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정보와 함께 출발지 정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출발지 정보까지도 선택하게 하면,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경유하는 해당 버스노선번호를 정확히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f the user selects eve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bus route number via the selected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can be searched accurately.

또한 사용자는 출발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출발지 정보를 선택할 수가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한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the source information from the source guide list list, to facilitate the user interfac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되; 상기 출발지 정보는, 사용자가 출발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ource informatio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keying in the departure point name.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정보와 함께 출발지 정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출발지 정보까지도 선택하게 하면,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경유하는 해당 버스노선번호를 정확히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f the user selects eve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bus route number via the selected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can be searched accurately.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기술은 사용자에게 조작의 간단성과 편리성을 더 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접적인 키입력 기술을 활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key input technology of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s simplici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irect key input technique can be utiliz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발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 더 송신하되; 상기 출발지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별도로 선택하지 않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서버로 송신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transmits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bus boarding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may b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bus boarding service server without being separately sel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발지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301)의 현재 위치 정보가 된다. 따라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근거하여 버스 번호 목록이 선택되지만, 사용자는 출발지 정보를 선택할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하게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becom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Therefore, although the bus number list is selected based on the source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select the source information, so that a simple user interface can be provided more conveniently.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는,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써 버스 노선의 출발지와 목적지가 포함되는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ource informatio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by the bus boarding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re selected from a destination guidance list list including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of a bus route.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적 양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목록 리스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예컨대, 지역별로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301)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는 서울지역내에서는 (왕십리->영등포), 경기지역내에서는 (김포->일산),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강남->분당), 경기->서울 지역에서는 (용인->강남)이 될 수 있다. 행선지로써는 전술한 출발지와 목적지 외에도 중간 경유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is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 interface. Users can choose what they want from the list.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for example, transmits a destination guidance list li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for each region. For example, the list of destination guides is available in (Wangsimni-> Yeongdeungpo) in Seoul area, (Gimpo-> Ilsan) in Gyeonggi area, (Gangnam-> Bundang) in Seoul-> Gyeonggi area, and in Gyeonggi-> Seoul area. It can be (Yongin-> Gangnam). The destina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waypoin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선택된 번호의 버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버스 정류장으로 도착하는 예정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the predetermined time information that the bus of the selected number arrives at the bus stop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o.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버스가 도착하기 전까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버스 정류장에서 불필요하게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fficiently utilize the time until the bus arrives, and can shorten the unnecessary waiting time at the bus stop.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스번호 목록 정보에, 각 번호에 해당하는 버스의 경유지 정보 및/또는 목적지 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number list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waypoint inform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and / or estimated time required to the destination.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버스의 경유지 및/또는 도착 예정 시각을 더 참조할 수가 있어, 버스 번호를 선택하는데 있어 정확성을 높힌다.Accordingly, the user can further refer to the waypoint and / or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each bus,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in selecting the bus number.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서버의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해당되는 버스번호 목록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버스번호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며 상기 선택된 번호의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상기 버스 정류장 근처의 지도 및 상기 지도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bus ride guide service of a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bus number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rce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bus number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ving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close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bus stop at which the bus of the selected number stops, a map near the bus stop,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map. Transmitting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장 가까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정차하는)버스 정류장까지 편리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안내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guided to conveniently reach the nearest bus stop (where the bus that runs to the destination stops).

또한,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의 하나인 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목적지 까지 운행하는 버스의 번호가 무엇인지, 버스가 어느 경로를 거쳐 목적지 까지 가는 것인지,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게 편리하게 버스 승차 안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use a bus, which is one of the public means of transportation, the bus does not know what number of buses run to the destination, which route the bus takes to the destination, and where the bus stops.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an provide a service that can conveniently provide a bus ride guidance.

또한, 전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미리 특정한 (위치, 정류장 이름등)정보를 숙지하고 있지 않고서 외부에서 불시에 전술한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할 때에도 간단한 키입력만으로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service,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that enables a simple key input even when a user attempts to use the above-mentioned service without notice of specific information (location, stop name, etc.) in advance. do.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상기 지도상에 표시되는 상기 선택 번호에 해당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상기 버스의 노선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number displayed on the map and / or route information of the bus. .

이러한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공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좀 더 시각적이고 자세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현재 버스의 위치와 진행방향으로 알려 주어 실시간으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aspect, the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can be more visually and in detail expressed, and can provide a high quality service in real time by informing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s.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가,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하는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destination guide list list transmitted by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환경에 기인한 비용 절감과 신속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는 대략적인 지명 예컨대 "분당"이나 "일산"이 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서현 지하철역" "일산병원"이 될 수가 있다. 또한, 안내 목록은 지역별(서울, 경기등)로 카테고리화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간단한 키입력 만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ly, cost reduction and quick and convenient interface du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rovided. The list of destination guide list may be an approximate place name such as "Bundang" or "Ilsan", and specifically "Sehyeon Subway Station" or "Ilsan Hospital". In addition, the guide list may be categorized by region (Seoul, Gyeonggi, etc.). 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destination by simple key input.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가, 사용자가 목적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keying in the destination place name.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기술은 사용자에게 조작의 간단성과 편리성을 더 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접적인 키입력 기술을 활용할 수가 있다.The key input technology of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s simplici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irect key input technique can be utiliz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하되; 상기 출발지 정보는,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하는 출발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ource informatio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is selected by a user from a departure point guide list list transmitted by the bus boarding point service providing server.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정보와 함께 출발지 정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출발지 정보까지도 선택하게 하면,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경유하는 해당 버스노선번호를 정확히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f the user selects eve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bus route number via the selected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can be searched accurately.

또한 사용자는 출발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출발지 정보를 선택할 수가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한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the source information from the source guide list list, to facilitate the user interfac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하되; 상기 출발지 정보는, 사용자가 출발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upplement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ource informatio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keying in the departure point name.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정보와 함께 출발지 정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출발지 정보까지도 선택하게 하면,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경유하는 해당 버스노선번호를 정확히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f the user selects eve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bus route number via the selected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can be searched accurately.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기술은 사용자에게 조작의 간단성과 편리성을 더 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접적인 키입력 기술을 활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key input technology of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s simplici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irect key input technique can be utiliz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를 더 수신하되; 상기 출발지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별도로 선택하지 않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서버로 송신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ceiving the sourc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may b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bus boarding service server without being separately sel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발지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301)의 현재 위치 정보가 된다. 따라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근거하여 버스 번호 목록이 선택되지만, 사용자는 출발지 정보를 선택할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하게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becom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Therefore, although the bus number list is selected based on the source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select the source information, so that a simple user interface can be provided more conveniently.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하되; 상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는,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써 버스 노선의 출발지와 목적지가 포함되는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upplement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ource informatio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by the bus boarding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re selected from a destination guidance list list including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of a bus route.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적 양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목록 리스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예컨대, 지역별로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301)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는 서울지역내에서는 (왕십리->영등포), 경기지역내에서는 (김포->일산),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강남->분당), 경기->서울 지역에서는 (용인->강남)이 될 수 있다. 행선지로써는 전술한 출발지와 목적지 외에도 중간 경유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is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 interface. Users can choose what they want from the list.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for example, transmits a destination guidance list li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for each region. For example, the list of destination guides is available in (Wangsimni-> Yeongdeungpo) in Seoul area, (Gimpo-> Ilsan) in Gyeonggi area, (Gangnam-> Bundang) in Seoul-> Gyeonggi area, and in Gyeonggi-> Seoul area. It can be (Yongin-> Gangnam). The destina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waypoin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선택된 번호의 버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버스 정류장으로 도착하는 예정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the predetermined time information that the bus of the selected number arrives at the bus stop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o.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버스가 도착하기 전까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버스 정류장에서 불필요하게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fficiently utilize the time until the bus arrives, and can shorten the unnecessary waiting time at the bus stop.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스번호 목록 정보에, 각 번호에 해당하는 버스의 경유지 정보 및/또는 목적지 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number list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waypoint inform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and / or estimated time required to the destination.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버스의 경유지 및/또는 도착 예정 시각을 더 참조할 수가 있어, 버스 번호를 선택하는데 있어 정확성을 높힌다.Accordingly, the user can further refer to the waypoint and / or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each bus,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in selecting the bus number.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105)와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통신망(103)을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버스(107)에 탑재되어 있는 GPS 기능 단말기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신망(103)을 통해서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105)로 송신한다. 통신망(103)은 기지국,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인터넷망등 유/무선 서킷/패킷 통신망이 모두 포함된다.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105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3. In addition, the GPS function terminal mounted on the bus 107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atellite and transmits it to the bus boarding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105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3. The communication network 103 includes a wired / wireless circuit /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base station, a packet data serving node (PDSN), and an internet network.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105)와 이동통신 단말기(101) 간의 통신 기술과,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105)와 버스(107)에 마련되는 GPS 단말기 간의 통신 기술은 본 발명이 출원되기 이전에 공지된 것이므로, 당업자가 이를 구현하는 것은 자명하다.The communication technology between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105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and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between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105 and the GPS terminal provided in the bus 107 b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is known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this.

참고적으로, 전술한 통신 기술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면,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105)는 왑(Wireless Application Protocol:WAP) 기능을 지원하여,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GPS 위치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다.For reference, the brief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described above, 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105 supports a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function,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기지국(예: 기지국 전송 시스템, 기지국 제어기)에 마련되는 패킷망 장비(예:AP, APC)를 통해서 PDSN에 접속한다. 그러면, PDSN은 라우터를 통해 인증서버로 라우팅을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번호가 일치하는지 등을 검사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이 정상적이면, PDSN은 IP를 할당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1)로 송신한다. 이 IP는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저장되고 패킷망을 통한 서비스 이용은 이 IP를 기반으로 이루어 진다. 이렇게 패킷망에 접속이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1)의 화면에는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아이콘 클릭하면, 도메인 서버를 통해 URL을 획득하여 해당 서비스 서버(버스 숭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105))로 연결되어 서비스를 받게 된다.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accesses the PDSN through packet network equipment (eg, AP, APC)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eg, 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ler). Then, the PDSN performs the authentication by routing the mobile station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through a router and check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matches the telephone number. If authentication is normal, the PDSN assigns an IP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This IP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and service use through the packet network is made based on this IP. When the packet network is connected, various menus for servic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When a user clicks a specific menu icon, a user obtains a URL through a domain server and provides a corresponding service server (bus worship service). Server 105 to receive the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2 is an example of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무선 처리부(205)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한다. 예컨대, 무선 처리부(205)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을(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천이 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출력하며,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 밴드로(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주파수 대역을 천이 시킨다.The radio processing unit 205 wirelessly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base stations (not shown). For example, the wireless processing unit 205 shifts the baseband transmission signal at a high frequency for wireless output (may go through an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step), amplifies it, and wirelessly outputs it through the antenna, which is received from the antenna. Transmit the high frequency signal to the base band (may go through an intermediate frequency conversion step).

음성 처리부(209)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이야기한 음성 송신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21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10)에 의해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상대측의 음성)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음성 처리부(209)는 음성 데이터에 대해 압축 및 압축해제를 수행하는 보코더(도시하지 않음)와, 증폭기와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 그리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등을 포함한다.The voice processor 209 transmits the voice transmission signal that the user talks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ler 210 by performing a corresponding process including voice encoding, and demodulates the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ler 210 (the other side). Voice) to perform a corresponding process including voice decoding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Typically, the voice processing unit 209 includes a vocoder (not shown) that performs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n voice data, analog circuits such as amplifiers and filters, and analog / digital conversion circuits and digital / analog conversion circuits. .

제어부(210)는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처리부(205)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The control unit 210 demodulates the received radio signal and modulates the transmitted signal to transmit to the radio processor 205.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10 performs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operation in a manner preset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210 may perform the CDMA modulation / demodulation operation such as channel coding / decoding and orthogonal code / decoding.

이외에도, 제어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석하고, 이에 대응하여 조작부(201), 무선 처리부(205) 및 음성 처리부(209)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조작부(20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201, 203, 205, 207, 209, 21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탑승 안내 방법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210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unit 201, the radio processing unit 205, 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209 correspondingly.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components 201, 203, 205, 207, 209, and 21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data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201. In addition,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bus board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조작부(201)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되며, 숫자키와 기능키등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 사이드키, 터치패널, 필기체 입력부, 음성 인식부등이 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201 is implemented as a means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and may be a keypad, a side key, a touch panel, a handwriting input unit, a voice recognition unit, etc., which are composed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표시부(203)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진행 상황과, 사용자의 메뉴 선택 화면, 통화 화면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표시부(203)는 그래픽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가 있다. 표시부(203)는 본 발명에 따라서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버스 승차 안내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display unit 203 displays a program progress st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ser's menu selection screen, a call scree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3 has a graphics processing function and can display various video data. The display unit 203 displays bus ride guide informati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저장부(211)는 제어부(2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한 프로그램은 통상 저장부(211)에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가 가능한 롬으로서는 이이피롬, 플래쉬 메모리등이 있다. 또한, 저장부(211)는 여러 동작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있어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저장부(21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탑승 안내 방법을 기술하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211 stores an operation program and a system program of the controller 210. The above program is normally stored in a ROM area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211, and can be erased as necessary. Examples of electrically erasable ROMs include EPIROM and flash memory.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11 includes a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various operation programs. The storage unit 211 stores program data describing a bus board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탑승 안내 서비스 절차를 도시한 절차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us boarding guide service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능을 가질 수가 있다. 내부의 버스 승차 안내 데이터베이스에는 지역별 지도(건물, 도로등) 정보와 각 버스(번호)의 버스 정류장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버스 정류장 정보는 상기 지도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하는 각 목적지에 대응되는 버스번호 목록 정보가 저장된다.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may have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unction. The internal bus ride guide database stores regional maps (buildings, roads, etc.) and bus stops for each bus (number). The bus stop information is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map. In addition, bus number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estin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stored.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버스(상기 도 1의 107 참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을 수행한다. 상기 버스의 위치는 상기 지도상에서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bus (see 107 of FIG. 1) and performs location tracking in real time. The location of the bus may be displayed overlapping on the map.

사용자가 길거리에서 특정한 목적지로 가기 위해 버스를 타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301)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로 접속한다(305).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a bus to go to a specific destination on the street, the user connects to 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305).

이때, 사용자는 어느 번호의 버스를 타야 할지 버스 정류장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user is in a state of not knowing which number of buses the bus stop is.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301)는 목적지 정보를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로 송신한다(303).By operation of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303).

상기 목적지 정보는 대략적인 지명 예컨대 "분당"이나 "일산"이 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서현 지하철역" "일산병원"이 될 수가 있다.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an approximate place name, for example, "Bundang" or "Ilsan", or specifically, "Sehyeon Subway Station" or "Ilsan Hospital".

상기 목적지 정보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가 송신하는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커서를 움직여 선택하여 송신될 수가 있다(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by selecting a user by moving a cursor in a destination guide list list transmitted by the bus boarding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not shown in FIG. 3).

상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버스번호의 목록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301)로 송신한다(309).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searches the internal database and transmits the list information of the bus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309).

그러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버스 번호 선택 정보를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로 송신한다(311).Then, by the user's oper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bus number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311).

그러면,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상기 선택된 버스 번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며, 상기 선택된 번호의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도 4의 409 참조), 상기 버스 정류장 근처의 지도(도 4 참조)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1)의 현재 위치 정보(도 4의 411 참조)를 포함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해당 포맷의 이미지로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01)로 송신한다(313). 물론,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301)의 현재 위치 정보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301)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에 근거한다. 상기 버스 정류장 근처의 지도상에는 상기 버스 정류장과 이동통신 단말기(301)의 현재 위치 정보가 표시된다. 전체 지도 데이터에서 특정 위치(선택된 버스 정류장) 근처의 지도 데이터를 추출하고, 여기에 특정 위치(버스 정류장)와 다른 특정 위치(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중첩시켜 이를 이미지 포맷으로 생성하는 기술 그 자체는 본 발명 출원 이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n, 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corresponds to the selected bus number, is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us stop where the bus of the selected number stops (see 409 of FIG. 4), The mobile terminal 301 generates bus ride guide information including a map near a bus stop (see FIG. 4)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see 411 in FIG. 4) as an image of a corresponding format. (313). Of cours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is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having the GPS function. On the map near the bus stop,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stop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is displayed. Extracts map data near a specific location (selected bus stop) from the entire map data, and superimposes the specific location (bus stop) and other specific location (lo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it and generates it in image format. Is known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301)는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디코딩하고 이를 표시부(상기 도 2의 203 참조)에 표시한다(315).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decodes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see 203 of FIG. 2) (315).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장 가까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정차하는)버스 정류장까지 편리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안내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guided to conveniently reach the nearest bus stop (where the bus that runs to the destination stops).

또한,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의 하나인 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목적지 까지 운행하는 버스의 번호가 무엇인지, 버스가 어느 경로를 거쳐 목적지 까지 가는 것인지,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게 편리하게 버스 승차 안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use a bus, which is one of the public means of transportation, the bus does not know what number of buses run to the destination, which route the bus takes to the destination, and where the bus stops.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an provide a service that can conveniently provide a bus ride guidance.

또한, 전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미리 특정한 (위치, 정류장 이름등)정보를 숙지하고 있지 않고서 외부에서 불시에 전술한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할 때에도 간단한 키입력만으로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service,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that enables a simple key input even when a user attempts to use the above-mentioned service without notice of specific information (location, stop name, etc.) in advance. do.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상기 지도상에 표시되는 상기 선택 번호에 해당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도 4의 413 참조) 및/또는 상기 버스의 노선 정보(4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ee 413 in FIG. 4) and / or route inform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number displayed on the map. 405);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전술한 바와 같이,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버스(상기 도 1의 107 참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을 수행한다. 상기 313 단계의 버스 승차 안내 정보 생성시에 상기 버스의 위치를 상기 지도상에서 중첩되어 표시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bus (see 107 of FIG. 1) and performs location tracking in real time. When generating bus ride guide information in step 313, the locations of the buses may be superimposed on the map.

또한,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각 버스의 버스 노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더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313 단계의 버스 승차 안내 정보 생성시에 상기 버스의 노선 정보를 상기 지도상에서 중첩되어 표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may further store bus line information of each bus in a database, and when the bus boarding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in step 313, the bus line information of the bus may be superimposed on the map. Can be.

이러한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공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좀 더 시각적이고 자세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현재 버스의 위치와 진행방향으로 알려 주어 실시간으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haracteristic aspect, the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can be more visually and in detail expressed, and can provide a high quality service in real time by informing the current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bus.

한편,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가,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하는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destination guide list list transmitted by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환경에 기인한 비용 절감과 신속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301)로 송신할 수가 있다(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is a destination guide list list in order to provide a cost-saving and quick and convenient interface du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can be transmitted (not shown in FIG. 3 abov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는 대략적인 지명 예컨대 "분당"이나 "일산"이 될 수도 있고, 더 세부적으로 나누어 "서현 지하철역" "일산병원"이 될 수가 있다. 또한, 안내 목록은 지역별(서울, 경기등)로 카테고리화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stination guide list list may be an approximate place name such as "Bundang" or "Ilsan", or may be further divided into "Sehyeon Subway Station" and "Ilsan Hospital". In addition, the guide list may be categorized by region (Seoul, Gyeonggi, etc.).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단한 키입력 만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destination by simple key input.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가, 사용자가 목적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selected by key input destination name;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기술은 사용자에게 조작의 간단성과 편리성을 더 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접적인 키입력 기술을 활용할 수가 있다.The key input technology of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s simplici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irect key input technique can be utilized.

한편,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로 송신하는 단계(307)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1)가,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되(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출발지 정보는,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가 송신(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하는 출발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307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bus boarding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further includes a source information. (Not shown in FIG. 3 above);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may be selected by a user from a departure point guide list list transmitted by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not shown in FIG. 3).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정보와 함께 출발지 정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출발지 정보까지도 선택하게 하면,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경유하는 해당 버스노선번호를 정확히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f the user selects eve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bus route number via the selected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can be searched accurately.

또한 사용자는 출발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출발지 정보를 선택할 수가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한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the source information from the source guide list list, to facilitate the user interface.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로 송신하는 단계(307)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1)가,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되(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출발지 정보는, 사용자가 출발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307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further includes a source information, (Not shown in FIG. 3 above);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keying in the departure point nam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정보와 함께 출발지 정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출발지 정보까지도 선택하게 하면,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경유하는 해당 버스노선번호를 정확히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f the user selects eve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bus route number via the selected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can be searched accurately.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기술은 사용자에게 조작의 간단성과 편리성을 더 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접적인 키입력 기술을 활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key input technology of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s simplici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irect key input technique can be utilized.

한편,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1)가, 출발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로 더 송신하되(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출발지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1) 사용자가 별도로 선택하지 않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1)에서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서버(301)로 송신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인 것(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further transmits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not shown in FIG. 3);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i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to the bus boarding guide service server 301 without being separately selected by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 Not shown in FIG. 3);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발지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301)의 현재 위치 정보가 된다. 따라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근거하여 버스 번호 목록이 선택되지만, 사용자는 출발지 정보를 선택할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하게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becom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Therefore, although the bus number list is selected based on the source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select the source information, so that a simple user interface can be provided more conveniently.

한편, 본 발명의 보조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303)로 송신하는 단계(307)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1)가,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되(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는,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1)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써(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 버스 노선의 출발지와 목적지가 포함되는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auxiliary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307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further includes a source information (the above figure) Not shown in 3);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by the bus boarding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not shown in FIG. 3) and include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of a bus route. It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guide list;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적 양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목록 리스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예컨대, 지역별로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301)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는 서울지역내에서는 (왕십리->영등포), 경기지역내에서는 (김포->일산),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강남->분당), 경기->서울 지역에서는 (용인->강남)이 될 수 있다. 행선지로써는 전술한 출발지와 목적지 외에도 중간 경유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is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 interface. Users can choose what they want from the list.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for example, transmits a destination guidance list li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for each region. For example, the list of destination guides can be found in (Wangsimni-> Yeongdeungpo) in Seoul area, (Gimpo-> Ilsan) in Gyeonggi area, (Gangnam-> Bundang) in Seoul-> Gyeonggi area, and in Gyeonggi-> Seoul area. It can be (Yongin-> Gangnam). The destina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waypoin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선택된 번호의 버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버스 정류장으로 도착하는 예정 시간 정보(도 4의 415 참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predetermined time information (see 415 of FIG. 4) when the bus of the selected number arrives at the bus stop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해당 버스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버스 정류장으로 도착하는 예정 시간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현재 버스의 속도 정보, 버스와 버스 정류장 사이의 거리 정보, 교통 상황 정보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정보를 입수하는 것과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구체적 구현 방안은 본 발명이 출원 되기 이전에 공지된 것이며, 상기 정보들을 팩터로 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order to calculate the scheduled time for the bus to arrive at the bus stop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current bu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bus and the bus stop, and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are required. Obtaining such information and a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for calculat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using the information are known b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filed, it is a skilled person to implement a program that calculates the estimated arrival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Since it is obvious to the us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버스의 속도 정보는 버스(상기 도 1의 107 참조)에 구비되는 차량 속도 센서부와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버스와 버스 정류장 사이의 거리는 두 위치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속도와 거리에 의하면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해 낼 수 있다. 또한 교통 상황 정보를 고려할 수 있는데, 이는 외부의 교통 정보 서버(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버스의 주행 경로 근방의 교통 상황 정보가 입수되면,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산출된 도착 예정 시간을 적절히 변경한다. 만약, 교통 상황이 아주 좋다면, 도착 예정 시간은 좀 더 빨라 질 수가 있고, 교통 상황이 매우 않좋다면 도착 예정 시간을 더 길어질 것이다.The speed information of the bus may be provid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provided in the bus (see 107 of FIG. 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us and the bus stop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wo positions. Basically, speed and distance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may also be considered, which may be provided from an external traffic information server (not shown). When the traffic state information near the driving route of the bus is obtained, the calculated estimated arrival time is appropriately changed to correspond thereto. If the traffic is very good,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can be a little faster, and if the traffic is very bad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will be longer.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버스가 도착하기 전까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버스 정류장에서 불필요하게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fficiently utilize the time until the bus arrives, and can shorten the unnecessary waiting time at the bus stop.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버스번호 목록 정보에, 각 번호에 해당하는 버스의 경유지 정보 및/또는 목적지 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 number list information, the waypoint inform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and / or estimated time required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307),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버스번호의 목록 정보와 함께, 기 저장되어 있는 각 버스번호의 경유지 정보 및/또는 기 저장되어 있는 각 버스 번호의 목적지 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301)로 송신한다(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음).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307), the bus boarding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searches the internal database and lists the bus numbers stored in advance with the list information of the bus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Waypoint information and / or estimated time required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of each bus number previously stored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not shown in FIG. 3 above).

여기서 예상 소요 시간 정보는 평균적인 예상 시간 정보로써 미리 결정되는 값이다. 또한 예상 소요 시간 정보는 하루 중에서 시간대별로 다르게 결정되어 질 수가 있다.The estimated time required information is a value determined in advance as average estimated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estimated time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ime of day.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버스의 경유지 및/또는 도착 예정 시각을 더 참조할 수가 있어, 버스 번호를 선택하는데 있어 정확성을 높힌다.Accordingly, the user can further refer to the waypoint and / or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each bus,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in selecting the bus numb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 이미지이다.4 is a bus ride guide information image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조부호 401은 도로를 의미하고, 참조부호 403은 근처의 건물을 의미하고, 참조부호 405는 버스 노선을 의미한다. 또한 참조부호 413은 해당되는 버스를 의미하고, 407, 409는 해당 버스의 버스 정류장을 의미한다. 여기서 409는 사용자 근처의 버스 정류장이다. 또한 참조부호 411은 사용자의 현 위치를 의미한다.Reference numeral 401 denotes a road, reference numeral 403 denotes a nearby building, and reference numeral 405 denotes a bus route. Reference numeral 413 denotes a corresponding bus, and 407 and 409 denote bus stops of the corresponding bus. 409 is the bus stop near the user. Reference numeral 411 denot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장 가까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버스가 정차하는)버스 정류장까지 편리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안내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guided to conveniently reach the nearest bus stop (where the bus that runs to the destination stops).

또한, 사용자가 대중 교통 수단의 하나인 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 목적지 까지 운행하는 버스의 번호가 무엇인지, 버스가 어느 경로를 거쳐 목적지 까지 가는 것인지,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이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게 편리하게 버스 승차 안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wants to use a bus, which is one of the public means of transportation, the bus does not know what number of buses run to the destination, which route the bus takes to the destination, and where the bus stops.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an provide a service that can conveniently provide a bus ride guidance.

또한, 전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미리 특정한 (위치, 정류장 이름등)정보를 숙지하고 있지 않고서 외부에서 불시에 전술한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할 때에도 간단한 키입력만으로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service,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that enables a simple key input even when a user attempts to use the above-mentioned service without notice of specific information (location, stop name, etc.) in advance. do.

또한, 제공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 좀 더 시각적이고 자세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현재 버스의 위치와 진행방향으로 알려 주어 실시간으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may be more visually and in detail expressed, and may provide a high quality service in real time by informing the current bus position and direction.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환경에 기인한 비용 절감과 신속하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는 대략적인 지명 예컨대 "분당"이나 "일산"이 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서현 지하철역" "일산병원"이 될 수가 있다. 또한, 안내 목록은 지역별(서울, 경기등)로 카테고리화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간단한 키입력 만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를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st-saving and quick and convenient interface du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ist of destination guide list may be an approximate place name such as "Bundang" or "Ilsan", and specifically "Sehyeon Subway Station" or "Ilsan Hospital". In addition, the guide list may be categorized by region (Seoul, Gyeonggi, etc.). 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destination by simple key input.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기술은 사용자에게 조작의 간단성과 편리성을 더 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접적인 키입력 기술을 활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key input technology of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s simplici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irect key input technique can be utiliz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정보와 함께 출발지 정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출발지 정보까지도 선택하게 하면,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경유하는 해당 버스노선번호를 정확히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f the user selects eve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bus route number via the selected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can be searched accurately.

또한 사용자는 출발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출발지 정보를 선택할 수가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한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the source information from the source guide list list, to facilitate the user interfa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정보와 함께 출발지 정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출발지 정보까지도 선택하게 하면,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경유하는 해당 버스노선번호를 정확히 검색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rce information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f the user selects even 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bus route number via the selected departure point and the destination can be searched accurately.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기술은 사용자에게 조작의 간단성과 편리성을 더 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직접적인 키입력 기술을 활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key input technology of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ds simplicity and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irect key input technique can be utilized.

또한, 상기 출발지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301)의 현재 위치 정보가 된다. 따라서,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에 근거하여 버스 번호 목록이 선택되지만, 사용자는 출발지 정보를 선택할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하게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becom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Therefore, although the bus number list is selected based on the source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user does not need to select the source information, so that a simple user interface can be provided more conveniently.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목록 리스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3)는 예컨대, 지역별로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301)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는 서울지역내에서는 (왕십리->영등포), 경기지역내에서는 (김포->일산),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강남->분당), 경기->서울 지역에서는 (용인->강남)이 될 수 있다. 행선지로써는 전술한 출발지와 목적지 외에도 중간 경유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It also provides the convenience of a user interface. Users can choose what they want from the list.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303, for example, transmits a destination guidance list li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1 for each region. For example, the list of destination guides is available in (Wangsimni-> Yeongdeungpo) in Seoul area, (Gimpo-> Ilsan) in Gyeonggi area, (Gangnam-> Bundang) in Seoul-> Gyeonggi area, and in Gyeonggi-> Seoul area. It can be (Yongin-> Gangnam). The destina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waypoin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또한, 사용자는 버스가 도착하기 전까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버스 정류장에서 불필요하게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fficiently utilize the time until the bus arrives, and can shorten the unnecessary waiting time at the bus stop.

또한, 사용자는 각 버스의 경유지 및/또는 도착 예정 시각을 더 참조할 수가 있어, 버스 번호를 선택하는데 있어 정확성을 높힌다.In addition, the user can further reference the waypoints and / or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each bus,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in selecting the bus number.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but should be construed to cover many modifications that are obvious from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의 일 예.2 is an example of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탑승 안내 서비스 절차를 도시한 절차도.3 is a procedure showing a bus boarding guide service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 이미지.4 is a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image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4)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에 있어서,In the bus ride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서버에 통신 접속하는 단계;Communicating with a bus boarding service server; 상기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하여 획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ed by using the GPS function to the bus boarding service server;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며 상기 목적지로 운행하는 해당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bus ride guide information from the bus ride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including a bus stop location information close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ps at a corresponding bus traveling to the destination; And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가,The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Further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가,The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상기 버스 정류장 근처의 지도 정보를 더 포함하고;Further includes map information near the bus stop; 상기 위치정보가,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지도상에 표시되는 것;Displayed on the map; 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되는 버스번호 목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corresponding bus number list information from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버스번호 선택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bus number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해당 버스가,The corresponding bus, 상기 선택된 번호의 버스인 것;A bus of the selected number; 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상기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상기 버스의 노선 정보;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and / or route information of the bus;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목적지 정보가,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하는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Selecting by a user from a list of destination guide lists transmitted by the bus boarding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목적지 정보가,The destination information, 사용자가 목적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The user is selected by keying in the destination place name; 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되;Further including source information; 상기 출발지 정보는,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하는 출발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Selecting by a user from a list of origin guide lists transmitted by the bus boarding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되;Further including source information; 상기 출발지 정보는,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사용자가 출발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Selected by the user keying in the place name; 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되;Further including source information; 상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는,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써 버스 노선의 출발지와 목적지가 포함되는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것;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ed from a destination guide list list includ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of a bus line; 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선택된 번호의 버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버스 정류장으로 도착하는 예정 시간 정보;Predetermined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bus of the selected number arrives at a bus stop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버스번호 목록 정보에,In the bus number list information, 각 번호에 해당하는 버스의 경유지 정보 및/또는 목적지 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Stopover information and / or estimated travel time to the destin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스 승차 안내 방법.Bus ride guid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지피에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서버의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bus ride guidance service of a server that can communicat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접속하는 단계;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하여 획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btained by using the GPS func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며 상기 목적지로 운행하는 해당 버스가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 승차 안내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us ride location information being close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ing bus stop loc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bus running to the destina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1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가,The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Further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가,The bus ride guidance information, 상기 버스 정류장 근처의 지도 정보를 더 포함하고;Further includes map information near the bus stop; 상기 위치정보가,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지도상에 표시되는 것;Displayed on the map; 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해당되는 버스번호 목록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corresponding bus number list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버스번호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bus number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해당 버스가,The corresponding bus, 상기 선택된 번호의 버스인 것;A bus of the selected number; 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상기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 및/또는 상기 버스의 노선 정보;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s and / or route information of the bus;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e service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상기 목적지 정보가,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하는 목적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Selecting by a user from a list of destination guide lists transmitted by the bus boarding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상기 목적지 정보가,The destination information, 사용자가 목적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The user is selected by keying in the destination place name; 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In the step of receiv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하되;Receive further including the source information; 상기 출발지 정보는,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송신하는 출발지 안내 목록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Selecting by a user from a list of origin guide lists transmitted by the bus boarding guide service providing server; 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In the step of receiv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하되;Receive further including the source information; 상기 출발지 정보는,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사용자가 출발지 지명을 키입력하여 선택되는 것;Selected by the user keying in the place name; 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상기 목적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In the step of receiv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하되;Receive further including the source information; 상기 출발지 정보와 목적지 정보는,The departure point information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써 버스 노선의 출발지와 목적지가 포함되는 행선지 안내 목록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것;The bus boarding service providing server provi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ed from a destination guide list list includ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of a bus line; 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상기 버스 승차 안내 정보는,The bus ride guide information, 선택된 번호의 버스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근접하는 버스 정류장으로 도착하는 예정 시간 정보;Predetermined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bus of the selected number arrives at a bus stop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청구항 1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상기 버스번호 목록 정보에,In the bus number list information, 각 번호에 해당하는 버스의 경유지 정보 및/또는 목적지 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정보;Stopover information and / or estimated travel time to the destination of the bus corresponding to each number;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승차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Bus ride guidance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030092419A 2003-12-17 2003-12-17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bus boarding information of mobil communication unit having gps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KR200500607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419A KR20050060719A (en) 2003-12-17 2003-12-17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bus boarding information of mobil communication unit having gps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419A KR20050060719A (en) 2003-12-17 2003-12-17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bus boarding information of mobil communication unit having gps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719A true KR20050060719A (en) 2005-06-22

Family

ID=3725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419A KR20050060719A (en) 2003-12-17 2003-12-17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bus boarding information of mobil communication unit having gps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071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5858A1 (en) * 2006-09-18 2008-03-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aid information
US7880645B2 (en) 2006-08-04 2011-0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containing bus stop-connected information
US9702962B2 (en) 2009-08-25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apply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0645B2 (en) 2006-08-04 2011-0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containing bus stop-connected information
WO2008035858A1 (en) * 2006-09-18 2008-03-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aid information
KR100862574B1 (en) * 2006-09-18 2008-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aid information
US7928864B2 (en) 2006-09-18 2011-04-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aid information
US9702962B2 (en) 2009-08-25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apply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962B2 (en)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applying the same
US8315795B2 (en)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and map display method
US1012614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navigation instructions
JP5410990B2 (en) Navigation device and position display method in text-readable format
JP4206843B2 (en) Navigation device
US20070124066A1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10022305A1 (en) Car navigation apparatus,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car navigation system
JP2011506983A (en) Improved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CN1011717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vailability of wireless lan
JP20115259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bit display
JP2011506985A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porting traffic conditions by a driver
JP2020056739A (en) Route search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200700849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stination in navigation terminal
JP2006275777A (en) Navigation device, updating system of map data, and updating method of map data
KR1008116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route in telematics terminal
JPH10318772A (en) Information-providing system and its information-providing center, relay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90177393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2005181262A (en) On-vehicle apparatus and cellular phone
JP2014066576A (en) Taxi driver guidance system, guidance message provis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axi driver guidance apparatus, and taxi driver guidance method
KR20050060719A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bus boarding information of mobil communication unit having gps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KR1011145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eding user position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101677618B1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07389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oad guide service at crossroads
JP2003244739A (en) Destination arrival guidance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KR100408657B1 (en) The method for traffic information service using DAR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