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0328A -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0328A
KR20050060328A KR1020030091925A KR20030091925A KR20050060328A KR 20050060328 A KR20050060328 A KR 20050060328A KR 1020030091925 A KR1020030091925 A KR 1020030091925A KR 20030091925 A KR20030091925 A KR 20030091925A KR 20050060328 A KR20050060328 A KR 2005006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mascara
crystal base
mascara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363B1 (ko
Inventor
노영혜
육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3009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3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베이스(liquid crystal base)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 오일 및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에 보조 유화제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를 더 함유하여 도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습능력 및 수분함유 능력을 갖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Mascara composition with liquid crystal base}
본 발명은 액정베이스(liquid crystal base)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 오일 및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에 보조 유화제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를 더 함유하여 도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습능력 및 수분함유 능력을 갖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마스카라의 기능은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로, 상대적으로 속눈썹이 짧고 빈약하게 쳐져 있고 눈이 작은 여성들이 마스카라 및 아이라이너 화장을 함으로써 보다 눈매를 진하고 선명하게 표현하고자 하는데 있다. 특히, 동양 여성들의 속눈썹이 서양 여성에 비해 짧고 빈약하게 쳐져 있음으로 인해 마스카라를 사용하여 컬링, 볼륨감, 롱래쉬 등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스카라는 제형에 따라 유화형과 분산 제형으로 구분되고, 유화형 마스카라에는 유중수형과 수중유형이 있고, 분산제형은 용매에 파우더 및 필름 형성제를 분산시킨 유분산 타입이 있다. 이중에서 안정성,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수중유형 마스카라가 주를 이루어 개발되고 있다.
유중수형 마스카라는 수상이 내상에 존재하다 보니 내수성이 강하고 보습이 유지되어 사용기간이 길어도 균일하게 발리는 장점이 있으나, 물에 클렌징이 어렵고 외상이 유성이다 보니 눈밑번짐 현상 등 지속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외상이 물인 수중유형 마스카라는 우수한 지속성, 간편한 클렌징, 가벼운 사용감 등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마스카라 사용기간이 오래된 경우 외상에 있는 물이 건조되어 마스카라 액이 굳어져 균일하게 발리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수중유형 마스카라이면서 유중수형 마스카라와 같이 사용기간이 길어도 보습력이 유지되어 균일하게 발리는 도포성을 향상시키는데 연구를 해왔다.
한편, 액정은 수분 보유능력이 우수하고 유화제품에서 오일과 물과의 계면막의 단단한 액정막을 형성하므로 유화안정도를 향상시켜준다. 따라서, 화장료에 이들 액정을 첨가하여 상기한 효과를 얻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종래의 액정 베이스들은 콜레스테롤 유도체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용 사용하거나 콜레스테롤과 비타민 유도체 및 레시틴 등을 혼용 사용하여 액정을 만들었으며 이렇게 형성된 액정 베이스를 겔베이스나 로션, 화운데이션 등에 소량 첨가하여 액정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구체적인 예로 미국특허 제 4,999,348호, 일본공개특허 제 4-112807호, 제 3-34097호 등이 있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액정은 사용성이 오일리 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패되어 원료자체의 불쾌한 냄새가 있어 화장료에 사용시 주의를 요하며 열호변성(thermotropic)이기 때문에 온도에 특히 민감하여 고온(60℃)에서 액정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저온(10℃)에서는 액정의 결정이 석출하여 백탁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에는 내수성향상, 보습력 유지를 위해 화장료에 액정베이스를 사용하는 예(국내특허공개공보 제 95-28761호, 특2002-0095609호, 특2002-0095610호, 특1999-025563)가 많이 있으나, 마스카라에 사용한 예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외상이 물인 수중유형 마스카라 및 수분산형 아이 메이크업에 있어서, 사용기간이 오래 경과된 경우 브러시의 마스카라 액이 건조하게 되어 균일하게 도포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계면활성제, 오일 및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베이스에 보조유화제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더 함유하는 경우, 수분함유, 보습유지 및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유형 마스카라에 있어서, 수분 함유능력과 보습 유지능력이 우수한 액정베이스에 보조유화제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더 함유하여 우수한 보습능력 및 수분함유 능력을 갖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오일 및 폴리올로 제조되는 액정베이스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조성물에 보조유화제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액정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라멜라형 액정 베이스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더 함유하여 보습유지 능력 및 수분 함유능이 우수하고, 초기 사용감이 그대로 유지되어 균일하고 부드럽게 바를 수 있는 도포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액정베이스는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콜레스테롤 유도체를 이용하여 액정을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계면활성제, 오일, 및 폴리올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한 라멜라형 액정이다. 라멜라형 액정은 조성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며,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온도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의 액정베이스는 베이스 총 중량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1~30중량%, 오일 1~20중량%, 및 폴리올 1~20중량%로 형성된다.
상기의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산계 및 폴리글리세릴계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사용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Montanov 202),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TEGOCARE 450)이 있다. 상기의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는 액정이 형성되지 않으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스카라가 겔화가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족 알콜, 하이드로 카본계인 리퀴드 파라핀,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리세린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올의 사용량은 베이스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사용하며, 이는 상기 폴리올의 배합량이 많을 경우 액정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만, 20중량%를 초과할 경우는 눈밑번짐 현상이 나타나 지속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발생하므로 20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계면활성제, 오일 및 폴리올로 제조된 액정베이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사용하며, 제형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3~10중량%이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발림성, 형성된 액정의 안정도 및 유화전체의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한 액정베이스 이외에 자기 유화형인 보조유화제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더 함유한다.
상기의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는 식물성 올리브 오일로부터 유도된 물질로 유화내 에서 액정구조를 띠며, 지방산으로 구성된 친유성 부분과 소르비탄의 다가 알코올기의 친수성으로 만들어진 구조로 양쪽성을 가지고 있어 배향성을 가진다. 또한, 이중층의 액정(Liquid Crystal) 네트워크구조 때문에 액정베이스를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조유화제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의 혼합비율은 1:4 내지 4:1의 비율로 혼합되며, 가장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동량일 경우이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상기 보조유화제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의 혼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는 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너무 소량이어서 액정형성 및 액정의 안정화 개선 효과를 기재할 수 없고,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도의 상승이 너무 높아 속눈썹에 바르기에 적절한 크림상의 경도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액정베이스와 보조 유화제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는 2:6 내지 6:2의 비율로 혼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왁스, 소포제 등의 유상 성분, 점증제 등의 수상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5]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액정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다음 제조예 1~5에 대하여 액정형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하기의 평가기준으로 판단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액정베이스의 조성
성분명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글리세린 15.0 15.0 15.0 15.0 15.0
3. 폴리글리세릴 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26.0 26.0 - 26.0 26.0
4. 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6.0 - 26.0 - -
5.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 6.0 6.0 6.0 6.0
6. 스쿠알란 15.0 15.0 15.0 - -
7. 카프릴릭카프리 트리글리세라이드 - - - 15.0 -
8. 리퀴드 파라핀 - - - - 15.0
<제조방법>
1) 성분 1 및 2를 70℃까지 가열하면서 교반한다.
2) 성분 3~5를 용해한 후, 상기 (1)에 투입하여 교반한다.
3) 성분 6~8을 70℃에서 천천히 상기 (1)에 투입하여 교반한다.
4) 40℃까지 냉각한다.
[평가기준]
- 4이상: 3X3 크기 화면에 액정이 8~10개 이상 생성된 경우
- 2.5~4: 3X3 크기 화면에 액정이 4~7개 생성된 경우
- 1~2.5: 3X3 크기 화면에 액정이 1~3개 생성된 경우
- 1이하: 3X3 크기 화면에 액정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시험항목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액정형성 O O O
* 1 이하; × / 1~2.5;△ / 2.5~4; O / 4이상; ◎
상기 제조예 1~5에 대하여 액정형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편광 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모두 청자색의 라멜라형 액정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예 중 제조예 3이 액정형성이 가장 잘 되었으며, 이는 계면활성제의 지방산 가지 길이가 길수록 액정형성에 유리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
상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액정베이스와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등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 칸데릴라납 5.0 5.0 5.0 5.0
2. 파라핀 5.0 5.0 5.0 5.0
3. 밀납 3.0 3.0 3.0 3.0
4. 세테아릴알콜 1.0 1.0 1.0 1.0
5.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0 1.0 1.0 1.0
6. 카르나우바 왁스 3.0 3.0 3.0 3.0
7. 스테아릭액시드 3.0 3.0 3.0 3.0
8.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9. 산화철 10.0 10.0 10.0 10.0
10.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 3.0 - 3.0
11.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 3.0 - -
1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1.0
14. 에탄올 2.0 2.0 2.0 2.0
15. 산타검 1.0 1.0 1.0 1.0
16. 아크릴레이트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 20.0 20.0 20.0 20.0
17. 제조예 3 5.0 5.0 - -
<제조방법>
1) 성분 1~8을 80℃로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2) 성분 9를 상기 1)에 넣고 교반하였다.
3) 성분 10~16을 7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4) 상기 1)에 상기 3)을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킨 후, 40℃로 냉각하였다.
5) 성분 17을 상기 1)에 가한 다음, 30℃로 냉각하여 이를 마스카라 용기에 담는다.
<시험예 1> 사용성 실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교예 1~2의 마스카라 제품과 실시예 1~2의 마스카라 제품을 20~35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로 3개월동안 매일 1회 사용하도록 하여 제품의 효과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비교 항목으로는 각 제품들의 초기도포성, 3개월후 도포성, 가루떨어짐 없음, 번짐 없음, 밀착력, 및 지속성으로 하였으며, 각 항목들을 품평한 후 0~5까지의 점수를 주도록 하여 그 평균점수를 내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5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 도포성 O
3개월 후 도포성 O ×
가루떨어짐 없음 O O O
번짐 없음 O O ×
밀착력 O O
지속성 O ×
* 1 이하; × / 1~2.5;△ / 2.5~4; O / 4이상; ◎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 베이스인 제조예 3과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가 초기 도포성이 우수 할 뿐만 아니라, 3개월 후 도포성도 우수하며 밀착력도 향상되었고, 모든 항목에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수분 유지능 비교실험
상기 실시예 1~2 마스카라 및 비교예 1~2 마스카라의 수분 유지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마스카라 조성물을 3개월간 37℃ 항온조에 보관하면서 건조된 수분량을 측정하여 수분 감량변화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한편, 실험에 사용된 무게저울은 소수점 5자리까지 표기되는 METTLER AE 240 이다.
7일 후 15일 후 30일 후 45일 후 60일 후 90일 후
실시예 1 0.01090 0.01882 0.02082 0.04972 0.08976 0.15976
실시예 2 0.00825 0.01654 0.01954 0.03794 0.06795 0.12795
비교예 1 0.01103 0.02111 0.06611 0.13876 0.21873 0.41873
비교예 2 0.01187 0.02286 0.05286 0.09499 0.020099 0.39099
* 상기 수치는 시간경과에 따른 수분 건조된 량(g)을 상대 비교한 수치임.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기간이 초기인 15일까지는 실시예와 비교예가 비슷하게 수분이 건조되었으나, 30일 이후부터는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2는 수분건조의 변화가 거의 없고, 특히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더 함유한 실시예 2는 90일 후 수분 건조된 량이 비교예 1보다 3배 적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안정도 실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안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조성물을 4℃, 37℃ 및 45℃ 항온조에서 각각 한달간 보관하여 그 상태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한달 후의 내용물 상태를 살펴보았을 때 내용물 분리현상이 전혀 없으면 아주 우수, 분리층의 높이가 1㎜이하이면 우수, 1~2㎜인 경우 보통, 2㎜이상의 상태인 경우는 나쁨으로 평가하였다.
온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4℃ O O
37℃ O
45℃ O O
- ◎:아주 우수, O:우수, △:보통, ×:나쁨
상기 표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정베이스와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2의 마스카라가 다른 마스카라보다 안정성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보습 유지능이 우수하고 도포성이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마스카라를 사용하는 사람, 마스카라를 선호하는 사람 등 다양한 사람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수중유형 마스카라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오일 및 폴리올로 제조되는 액정베이스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보조유화제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는 액정베이스와 2:6 내지 6:2의 비율로 혼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아라키딜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및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액정 베이스 총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족 알콜, 하이드로 카본계인 리퀴드 파라핀,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액정 베이스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액정 베이스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20030091925A 2003-12-16 2003-12-16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1118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925A KR101118363B1 (ko) 2003-12-16 2003-12-16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925A KR101118363B1 (ko) 2003-12-16 2003-12-16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328A true KR20050060328A (ko) 2005-06-22
KR101118363B1 KR101118363B1 (ko) 2012-03-08

Family

ID=3725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925A KR101118363B1 (ko) 2003-12-16 2003-12-16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3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02B1 (ko) * 2006-03-07 2013-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금을 함유하는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04968B1 (ko) * 2007-08-14 2014-06-13 (주)아모레퍼시픽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7932B1 (ko) * 2022-12-07 2023-09-15 (주)나우코스 유용성 유상 성분을 캡슐화한 속눈썹 영양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5527B1 (fr) 1998-11-10 2000-12-1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phase continue hydrophile contenant du vanadate de bismuth
FR2830759B1 (fr) * 2001-10-15 2003-12-12 Oreal Composition sous forme d'emulsion huile-dans-eau contenant un copolymere silicone et ses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02B1 (ko) * 2006-03-07 2013-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금을 함유하는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04968B1 (ko) * 2007-08-14 2014-06-13 (주)아모레퍼시픽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7932B1 (ko) * 2022-12-07 2023-09-15 (주)나우코스 유용성 유상 성분을 캡슐화한 속눈썹 영양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363B1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7105B1 (en) Lamella type single phas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oil-base cosmetic compositions using the same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KR101155210B1 (ko)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EP1621229A1 (en) Shine enhancing film formers
JP2000053530A (ja) 油中油型乳化組成物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US4411887A (en) Use of alkylene oxide copolymers as emollients in cosmetic preparations
CN110753535A (zh) 用于化妆和护理嘴唇的水包油乳剂
KR101118363B1 (ko) 액정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0239186B1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JP3909828B2 (ja) 固形化粧料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US4177259A (en) Waterproof makeup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102644391B1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0227122B1 (ko) 입술화장료의 보습성 향상을 위한 w/o형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한 입술화장료 조성물
KR100405870B1 (ko) 비수 및 비계면활성제형 오일-분체 분산계 및 그 안정화방법
KR20000057944A (ko) 폴리(히드록시스티렌) 및 지방상 함유 화장용 조성물
KR100262763B1 (ko) 립스틱 조성물
KR100205128B1 (ko) 폴리옥시에틸렌-프리형 유화제를 사용한 유화형파운데이션 조성물
KR100372773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528785B1 (ko) 왁스-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2298141B1 (ko) 유중수형 유화베이스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1504B1 (ko) 볼륨감과 지속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KR100559691B1 (ko) 주름완화물질을 함유하는 유화형 고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KR0118875B1 (ko)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707

Effective date: 201201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52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707

Effective date: 2012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