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970A -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970A
KR20050059970A KR1020030091922A KR20030091922A KR20050059970A KR 20050059970 A KR20050059970 A KR 20050059970A KR 1020030091922 A KR1020030091922 A KR 1020030091922A KR 20030091922 A KR20030091922 A KR 20030091922A KR 20050059970 A KR20050059970 A KR 20050059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aggregate
steelmaking slag
slag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870B1 (ko
Inventor
김형석
한기현
배우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창신산업개발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1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8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5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8Compounds chosen for their latent hydraulic characteristics, e.g. pozzuo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05Materials having an early high strength, e.g. allowing fast demoulding or formless cas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를 골재로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 조골재 및 세골재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포졸란계 혼화재를 포함하는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6~2.0중량부의 물유리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유리를 첨가함으로써 제강슬래그를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할때 야기될 수 있는 팽창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포졸란계 혼화재를 포함하는 시멘트를 사용할때 야기될 수 있는 초기강도 저하의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제강슬래그 골재를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함에 있어서 안정된 품질을 보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concrete with steel-making slag aggregate}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를 골재로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유리를 첨가제로 사용함에 의하여 제강슬래그내 유리석회에 의한 팽창 및 포졸란계 혼화재를 포함하는 시멘트에 의한 초기강도 저하를 억제한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석회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고로슬래그는 일찍부터 콘크리트용 골재로 규격화 되어 있다. 하지만, 제강슬래그는 유리석회에 의한 부피팽창으로 인하여 도로용 골재, 성토재와 같은 비교적 저급한 토목용 재료로만 활용되어 왔다.
상기 제강슬래그는 용선으로 부터 강을 제조할때 발생되는 슬래그로써, 이러한 제강슬래그에는 슬래그 형성과정에서 완전히 슬래그화 되지 않은 생석회가 남아 있다. 또한, 슬래그화된 구성 광물중에서도 냉각 상변태시에 생석회가 석출되기도 한다. 이러한 생석회 성분들을 유리석회라고 하며, 상기 유리석회는 이후에 물과 반응하여 Ca(OH)2 상태가 되면서 부피 팽창을 야기함으로써, 균열이나, 파괴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제강슬래그가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된 예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연골재가 점차 고갈되어 가고, 이에 따라 제강슬래그도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79095호, 2001-130945호, 2003-2726호 및 2002-179451호가 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79095호에서는 전로슬래그, 용선예비처리슬래그를 직경 5mm 이하로 풍쇄, 구상화하여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제강슬래그를 세골재로만 사용하고 있어, 조골제를 추가로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0945호는 제강슬래그를 콘크리트용 조골재로 사용한 예로써, 에이징(aging) 처리한 제강슬래그 조골재 및 세골재,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퓸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 건전한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50% 이상 첨가하거나,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퓸 혼합량의 합이 50%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50% 이상 첨가하게 되면, 초기강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어, 실제 현장에서의 몰드 및 거푸집 사용시 작업 효율이 떨어져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726호에서는 제강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하였지만 성형방법이 일반적인 콘크리트 제조방법이 아닌 가압성형법 등의 특수한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로는 대형 구조물을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451호에서는 제강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하고 고로 수쇄슬래그 입자를 20~70% 혼합하여 기존 콘크리트 제조방법으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제강슬래그의 유리석회에 의한 팽창은 고로슬래그의 가용성 규산에 의해서 억제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고로 수쇄슬래그 입자에서 용출되는 가용성 규산의 양과 속도는 유리석회가 물과 반응하여 Ca(OH)2가 되는 반응에 비하여 대단히 느리다. 따라서, 양생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유리를 첨가제로 사용함에 의하여 제강슬래그의 팽창을 신속히 억제하고 포졸란계 혼화재를 포함하는 시멘트에 의한 초기강도 저하를 억제한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 조골재 및 세골재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포졸란계 혼화재를 포함하는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6~2.0중량부의 물유리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강슬래그 조골재 및 세골재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하여 골재로 사용하고, 여기에 포졸란계 혼화재를 포함하는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물유리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강슬래그에는 슬래그화 되지 않은 유리석회가 남아있고, 또한 슬래그화된 구성 광물중에서도 냉각변태시 유리석회가 석출된다. 이러한 유리석회는 이후에 물과 반응하여 Ca(OH)2 상태가 되면서 2배 이상의 부피팽창을 일으키게 되며, 이후 박리, 균열, 파괴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제강슬래그는 도로용 골재, 성토재와 같은 비교적 저급의 토목용 재료로만 활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리석회에 의한 부피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물유리를 첨가하여 가용성 규산을 신속하게 공급함으로써, 칼슘실리케이트를 생성시켜 팽창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물유리는 물에 투입되면 즉각적으로 가용성 규산과 소다성분으로 해리되어 가용성 규산을 공급함으로써, 유리석회에서 생성된 Ca(OH)2와 곧바로 반응하여 칼슘실리케이트를 생성하여 이후의 팽창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다성분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수화를 활성화시켜 초기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물유리의 첨가량이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6중량부 미만이면 초기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내해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물유리 첨가량은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6~2.0중량부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이징 처리한 제강슬래그를 사용한다면 제강슬래그의 부피팽창을 보다 저감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시멘트에 포함되는 포졸란계 혼화재로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퓸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강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할 경우에는 미량의 철분이 장기간에 걸쳐 용출되어 나옴으로써, 식물의 생육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인공어초 및 해중림초와 같은 해양생태계 복원용 구조물용으로 사용시 상당히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강슬래그는 기존의 천연 쇄석보다 단단하여 좋은 내마모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동일 배합의 경우에 자연쇄석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팽창과 관련된 문제점을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해결한다면,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파일(pile), 전신주, 암거 및 수로관 등의 2차 제품의 재료로도 매우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제강슬래그 세골재:제강슬래그 조골재=1:1, 물:시멘트=1:1로 하여 콘크리트를 배합하였다. 이때, 시멘트는 4,000±10㎠/g 입도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45% 혼합된 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하였고, 제강슬래그 골재는 0.15~5mm를 세골재로 사용하였고, 5~25mm를 조골재로 사용하였으며, 물유리 첨가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편은 성형후 24시간 경과 후 탈형을 실시하고, 탈형 후 23℃의 항온 수조에서 24시간 양생하여 초기 압축강도를 측정하였고, 같은 배합의 시편을 28일간 양생하여 ASTM C 1202-97에 명시된 방법에 의해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물유리 첨가량(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초기 압축강도(kg/㎠) 28일 양생후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비교재1 0 58 1138
비교재2 0.2 66 1211
비교재3 0.4 72 1245
발명재1 0.6 80 1232
발명재2 0.8 92 1375
발명재3 1.0 97 1340
발명재4 1.2 112 1492
발명재5 1.4 116 1771
발명재6 1.6 124 2012
발명재7 1.8 127 2215
발명재8 2.0 129 2278
비교재4 2.2 131 240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발명재1~8은 비교재에 비하여 우수한 초기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염소이온 침투에 대한 저항성도 2300coulomb 이하로 내해수성도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물유리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보다 적은 비교재1~3은 초기강도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유리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보다 많은 비교재4는 내해수 저항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물유리 첨가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활성이 과도하게 촉진되어 콘크리트 조직의 치밀도가 저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기 표 2는 종래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자극제로 많이 사용되던 소석회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특성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Ca(OH)2 첨가량(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초기 압축강도(kg/㎠) 28일 양생 후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
종래재1 2.0 75 1835
종래재2 2.5 73 2017
종래재3 3.0 98 2312
종래재4 3.5 119 2543
종래재5 4.0 122 2669
종래재6 4.5 125 2738
종래재7 5.0 134 301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소석회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초기 압축강도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내해수성(염소이온침투 저항성)을 함께 만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실시예2]
실시예 1과 같은 배합방법으로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연쇄석 골재와 제강슬래그 골재에 대해서 각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천연쇄석 콘크리트의 경우 세골재는 표준사를 사용하였고, 제강슬래그 콘크리트의 경우는 제강슬래그 세골재를 사용하였다. 물유리를 첨가한 경우, 물유리 첨가량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를 사용하였다.
구분 3일 강도(kgf/㎠) 7일 강도(kgf/㎠) 28일 강도(kgf/㎠) 3개월 강도(kgf/㎠) 6개월 강도(kgf/㎠)
천연쇄석콘크리트 125 249 389 463 472
물유리 첨가천연쇄석콘크리트 149 279 392 455 468
제강슬래그콘크리트 106 254 407 475 489
물유리 첨가제강슬래그콘크리트 162 301 415 478 496
먼저, 천연쇄석콘크리트와 제강슬래그 콘크리트를 비교하면, 초기강도에 있어서 천연쇄석콘크리트가 다소 높은 압축강도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제강슬래그 골재에서 용출되는 유리석회의 팽창에 의해 강도가 다소 저하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천연골재 콘크리트에 물유리를 첨가하였을 경우의 초기강도 개선은 물유리의 소다성분에 의해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수화가 촉진되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강슬래그 콘크리트에 물유리를 첨가한 시편이 초기강도 개선 효과가 가장 크며, 장기강도 측면에서도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제강슬래그의 팽창 약점을 보완하면서도, 동시에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수화 활성을 촉진하여 초기강도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제강슬래그 골재가 가지는 고강도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유리를 첨가함으로써 제강슬래그를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할때 야기될 수 있는 팽창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포졸란계 혼화재를 포함하는 시멘트를 사용할때 야기될 수 있는 초기강도 저하의 약점을 보완함으로써 제강슬래그 골재를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함에 있어서 안정된 품질을 보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내해수성도 확보되어 해양용 구조물로도 이용이 가능한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강슬래그 조골재 및 세골재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포졸란계 혼화재를 포함하는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첨가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6~2.0중량부의 물유리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강슬래그는 에이징 공정을 거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20030091922A 2003-12-16 2003-12-16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KR100592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922A KR100592870B1 (ko) 2003-12-16 2003-12-16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922A KR100592870B1 (ko) 2003-12-16 2003-12-16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970A true KR20050059970A (ko) 2005-06-21
KR100592870B1 KR100592870B1 (ko) 2006-06-23

Family

ID=3725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922A KR100592870B1 (ko) 2003-12-16 2003-12-16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8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61B1 (ko) * 2012-08-28 2014-04-14 주식회사 메카 Scs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10057477A (ko) * 2019-11-12 2021-05-21 (주)케미우스코리아 저유동 충진재를 이용한 도로 하부 공동 충진방법
CN116120001A (zh) * 2022-12-02 2023-05-16 泰安市晓然园林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再生骨料混掺钢渣高强混凝土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261B1 (ko) * 2012-08-28 2014-04-14 주식회사 메카 Scs 콘크리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10057477A (ko) * 2019-11-12 2021-05-21 (주)케미우스코리아 저유동 충진재를 이용한 도로 하부 공동 충진방법
CN116120001A (zh) * 2022-12-02 2023-05-16 泰安市晓然园林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再生骨料混掺钢渣高强混凝土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870B1 (ko) 200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7879B1 (ko) 슬래그 경화체의 제조방법
JP5791927B2 (ja) 高活性セメントクリンカの製造方法
KR101121724B1 (ko) 고로슬래그, 분말형 규산나트륨,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결합재를 이용하는 무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WO2008013694A2 (en) Slag concrete manufactured aggregate
JPH06321590A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01673B1 (ko)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체
KR20120066769A (ko) 페로니켈슬래그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4551B1 (ko) 조기강도 발현형 콘크리트 조성물
KR101299163B1 (ko) 조강성 시멘트와 광물질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연약지반 고결용 고화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18009B1 (ko) 결합재로 폐유리 미분말과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JP2003002726A (ja) 製鋼スラグ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状固化体の製造方法
JP4171173B2 (ja) スラグ骨材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
KR100592870B1 (ko)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JP6292257B2 (ja) 脱硫スラグを用いた水和固化体
JP2003137618A (ja) 無機混和材を含有する高炉スラグ微粉末、高炉セメント、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694267B1 (ko) 제강슬래그를 이용한 해양용 콘크리트
KR100876143B1 (ko) 고강도 규석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0494A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유해 폐기물 고화용 시멘트 제조방법및 이로부터 제조된 시멘트
KR101117780B1 (ko) 시멘트 킬른 바이패스 더스트를 이용한 다공성 규산칼슘 경화체 제조방법
KR101797350B1 (ko) PSC(Pre-stressed concrete) 거더용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018007B1 (ko) 석탄회를 이용한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958911B1 (ko) 시멘트계 경화체용 결합재,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0415640B1 (ko) 제철소슬래그를이용한성형재료
KR102473751B1 (ko) 하수슬러지 중의 유기물 함유 파우더를 이용한 모르타르용 조성물
CN115724629B (zh) 一种淤泥质渣土用固化剂稳定土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