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882A -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882A
KR20050059882A KR1020030091604A KR20030091604A KR20050059882A KR 20050059882 A KR20050059882 A KR 20050059882A KR 1020030091604 A KR1020030091604 A KR 1020030091604A KR 20030091604 A KR20030091604 A KR 20030091604A KR 20050059882 A KR20050059882 A KR 20050059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ad
seating space
mounting structure
refrigerat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5804B1 (ko
Inventor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8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59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용 홈바도어(57)의 전면에 구비되는 안착공간(58)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홈바도어(57)의 일측에는 각각 베이스판(61)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61)의 배면과 상기 홈바도어(57)의 전면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62)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돌기(65)가 설치된다. 상기 설치공간(62)의 내부에는 커뮤니케이션패드(60)가 상기 안착공간(58)에 안착되는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상기 고정돌기(65)에 항상 부여하는 코일스프링(67)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돌기(65)에 대응되는 삽입홈(6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냉장고에 홈바도어의 적용이 가능해지고, 상기 홈바도어에 장착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본 발명은 인터넷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바의 적용이 가능하고,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착탈이 간단하도록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냉장고(이하 냉장고라 칭함) 본체(10)에는 도어(11)(13)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1)(1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힌지(h)(h')에 의하여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도어(11)(13)의 회동중심의 타측에 해당하는 전면 일측에는 도어핸들(11')(13')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13) 중 도면상 좌측의 도어(11)에는 외부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디스펜서(15)가 구비되고, 도면상 우측의 도어(13)에는 커뮤니케이션패드(17)가 구비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Communication Pad)(17)는 인터넷 및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LCD스크린이 사용되거나, 인터넷 및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동시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하는 터치스크린과 제어부가 구비되는 테블릿컴퓨터(Tabulate computer)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컨트롤부(19)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13)의 일측에 고정된다.
한편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13)의 전면에는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안착을 위한 안착공간(14)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공간(14)은 그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공간(14)의 하면에는 한쌍의 관통공(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14)의 상하단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20)와 홀더(3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20)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상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21)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20)의 전단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전면 상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단(23)이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안착공간(14)의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25)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25)에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스프링(29)이 구비된다. 상기 토션스프링(29)은 상기 클램프(20)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가 상기 안착공간(1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클램프(20)에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한다.
한편 상기 홀더(30)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1)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14a)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공간(14)의 하방에 위치되는 삽입레그(33)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레그(33)의 전후폭은 상기 관통공(14a)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30)는 상기 관통공(14a)에 인접하는 그 상단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홀더(30)의 회동범위는, 상기 관통공(14a)과 상기 삽입레그(33)의 전후폭 차이 및 상기 삽입레그(33)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삽입레그(33)의 하부는 상기 관통공(14a)보다 상대적으로 큰 전후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30)가 상기 안착공간(14)의 외측으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커뮤니케이션패드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홀더(3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를 이에 대응하는 경사로 비스듬하게 이동시켜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하단부가 상기 홀더(30)의 삽입홈(31)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20)를 상기 힌지(25)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29)은 인장되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상기 클램프(20)에 부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 및 홀더(3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그 상단부가 상기 클램프(20)의 안착홈(21)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20)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클램프(20)가 상기 토션스프링(29)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전면 상단부가 상기 지지단(23)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11)(13)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펜서(15)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홈바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홈바도어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의 인터넷 냉장고는 상기 도어(11)(13) 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펜서(15)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커뮤니케이션패드(17)가 고정되므로, 이와 같은 홈바의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의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에 의하면, 상기 클램프(20)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 즉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탈거가 상기 탄성부재(29)의 탄성력에 의하여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9)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 예를 들면 상기 도어(13)의 회동에 의한 외부충격이나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커뮤니케이션패드(17)가 상기 안착공간(14)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바가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커뮤니케이션패드;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용 홈바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도어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커뮤니케이션패드;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그 이동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홈바도어의 일측에는 베이스판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홈바도어와 베이스판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에 의하면, 상기 홈바의 적용이 가능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인터넷 냉장고에 구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가 부분절결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A-A' 선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냉장고(이하 냉장고라 칭함)의 본체(50)에는 한쌍의 도어(51)(53)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51)(53)는 각각 힌지(h)(h')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본체(5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공간(미도시)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도어(51)(53)의 일측에는 도어(51)(53)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게 되는 도어핸들(51')(53')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51)(53) 중 도면상 좌측 도어(51)의 전면 일측에는, 외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5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도어(51)(53) 중 도면상 우측 도어(53)의 전면 일측에는 홈바(56)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56)(도 4참조)의 내부에는 음료병 등이 저장되고, 상기 도어(53)의 일측에는 홈바도어(57)가 설치된다. 상기 홈바도어(57)는 힌지(H)를 중심으로 상단부가 상하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홈바(56)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도어(57)의 전면에는 소정의 안착공간(58)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공간(58)은 상기 홈바도어(57)의 일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58)에 커뮤니케이션패드(60)가 안착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로는 인터넷 및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고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입력받은 조작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터치스크린과 제어부가 구비되는 테블릿컴퓨터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는 상기 홈바도어(57)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본체(50)의 상면에 구비되는 컨트롤부(59)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공간(58)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홈바도어(57)의 일측에는 각각 베이스판(6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61)은 그 일부가 냉장고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그 배면과 상기 홈바도어(57)의 전면 일측 사이에 소정의 설치공간(62)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설치공간(62)의 양측은 차폐판(63)(64)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차폐판(63)(64) 중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에 인접하는, 즉 도 4에서 도면상 우측(반대편의 베이스판(61)의 경우에는 도면상 좌측)에 구비되는 차폐판(63)에는 관통공(6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62)에는 상기 관통공(63a)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돌기(65)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돌기(65)의 선단부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양측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밀리게 될 수 있도록 각각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65)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63a)을 통하여 외부로 완전하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66)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66)는 상기 관통공(63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돌기(65)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65)는 상기 플랜지(66)를 중심으로 그 일부는 상기 설치공간(62)의 외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설치공간(6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62)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돌기(65)의 일단부와 상기 차폐판(63)(64) 중 도면상 좌측(반대편의 베이스판(61)의 경우에는 도면상 우측)의 차폐판(64) 사이에는 코일스프링(67)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67)의 일단부는 상기 플랜지(66)의 일면에 구비되는 보스(65a)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차폐판(64)의 일면에 밀착된다. 상기 코일스프링(67)은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가 상기 안착공간(58)에 안착되는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 즉 도 4에서 도면상 우측(반대편의 베이스판(61)의 경우에는 도면상 좌측)으로의 탄성력을 상기 고정돌기(65)에 항상 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양측면에는 삽입홈(69)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삽입홈(69)은 상기 고정돌기(6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69)의 형상도 상기 고정돌기(65)의 반구형 선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손잡이부(60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배면 양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가 상기 안착공간(58)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돌기(65)가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배면 양단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게 밀릴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뮤니케이션패드(60)를 홈바도어(57)에 구비되는 안착공간(58)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이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공간(58)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돌기(65)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 즉 도면상 좌측의 고정돌기(65)는 우측으로 돌출되고, 도면상 우측의 고정돌기(65)는 좌측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65)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가 상기 안착공간(58)에 안착되기 위하여 이동하는 궤적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가 상기 안착공간(58)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돌기(65)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배면 양측에 의하여 눌리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돌기(65)의 선단부는 각각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배면 양단은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돌기(65)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에 의하여 밀리면서 슬라이딩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65)의 일단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67)은 이와 같은 상기 고정돌기(65)의 이동에 의하여 압축되고, 상기 고정돌기(65)는 상기 코일스프링(67)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받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를 후방, 즉 도면상 우측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는 상기 안착공간(58)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양측에 구비되는 삽입홈(69)이 상기 고정돌기(65)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돌기(65)는 상기 코일스프링(67)에 의하여 탄성을 받고 있으므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65)의 선단부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삽입홈(69)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65)에 상기 코일스프링(67)의 탄성력이 계속하여 부여됨으로써, 상기 삽입홈(69)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를 상기 안착공간(58)으로부터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60a)를 잡고 냉장고의 전방, 즉 도면상 좌측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65)가 상기 삽입홈(6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의 양측면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60)가 상기 안착공간(58)으로부터 탈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커뮤니케이션패드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의 서로 대응되는 양측에 탄성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상기 홈바도어에 장착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커뮤니케이션패드가 홈바의 개폐를 위한 홈바도어에 안착되므로, 인터넷 냉장고에 홈바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도어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양측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상기 홈바도어의 회동에 의하여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인터넷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부분절결도.
도 5는 도 4의 A-A'선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착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3: 도어 56: 홈바
57: 홈바도어 58: 안착공간
60: 커뮤니케이션패드 60a: 손잡이부
61: 베이스판 61a: 체결공
62: 설치공간 63,64: 차폐판
63a: 관통공 65: 고정돌기
66: 플랜지 67: 코일스프링
69: 삽입홈

Claims (5)

  1.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커뮤니케이션패드;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2. 냉장고용 홈바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도어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커뮤니케이션패드;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그 이동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홈바도어의 일측에는 베이스판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홈바도어와 베이스판 사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20030091604A 2003-12-15 2003-12-15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74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604A KR100745804B1 (ko) 2003-12-15 2003-12-15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604A KR100745804B1 (ko) 2003-12-15 2003-12-15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882A true KR20050059882A (ko) 2005-06-21
KR100745804B1 KR100745804B1 (ko) 2007-08-02

Family

ID=3725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604A KR100745804B1 (ko) 2003-12-15 2003-12-15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8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818B1 (ko) * 2005-09-28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고정구조
US8220204B2 (en) 2005-07-20 2012-07-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200079061A (ko) * 2018-12-24 2020-07-02 이성진 메탈 마스크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4941A1 (de) 2017-08-25 2019-02-28 Dometic Sweden Ab Freizeitfahrzeug, Kühlvorrichtung, Steuerungs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Kühlvorrichtung
WO2019082168A1 (en) 2017-10-27 2019-05-02 Dometic Sweden Ab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AIR CONDITIONING DEVICES IN A RECREATIONAL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094A (ko)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냉장고
KR100607505B1 (ko) * 2000-06-19 2006-08-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0204B2 (en) 2005-07-20 2012-07-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375639B2 (en) 2005-07-20 2013-02-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769879B2 (en) 2005-07-20 2014-07-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683818B1 (ko) * 2005-09-28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고정구조
KR20200079061A (ko) * 2018-12-24 2020-07-02 이성진 메탈 마스크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804B1 (ko)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838B1 (ko)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593364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745804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US20050082864A1 (en) Stopper structure in a glove box
KR100657926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656394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593365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593641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657927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593386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JP2010174476A (ja) 吊り引戸の振れ止め装置
KR100982260B1 (ko) 인터넷 냉장고
KR100593640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593639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593642B1 (ko)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593363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100934001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컨넥터 보호장치
KR100593622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컨넥터 보호장치
KR20050054726A (ko) 인터넷 냉장고
KR20050059884A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JP3145524U (ja) ヒンジ組立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装置用フレーム
KR100593385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KR20080067140A (ko) 냉장고용 입력장치 장착구조
KR200411520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100442390B1 (ko)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