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775A - 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775A
KR20050059775A KR1020030091490A KR20030091490A KR20050059775A KR 20050059775 A KR20050059775 A KR 20050059775A KR 1020030091490 A KR1020030091490 A KR 1020030091490A KR 20030091490 A KR20030091490 A KR 20030091490A KR 20050059775 A KR20050059775 A KR 20050059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ntenna
portable terminal
fixing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9775A/en
Publication of KR2005005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77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당김조작 가능하게 안테나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안테나의 당김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배터리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배터리 고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을 통해 배터리를 본체에서 착/탈 시킬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며, 단말기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the antenna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interlock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ull operation of the antenna inside the main body can maintain or release the coupled state of the battery By installing a battery fixing device, to provide a convenience that can be attached to / detached from the main body of the battery through a simple operation, and to provide a battery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improve the design freedom of the terminal.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는 휴대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결합되는 배터리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the portable terminal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when carrying, 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for maintaining or releasing the coupled state of the coupled battery.

첨부한 도 3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종래 배터리 고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battery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ttery fixing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본체(1)의 후면에는 배터리 안착홈(2)이 구비되어 있고, 이 배터리 안착홈(2)에 배터리(3)가 밀착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결합되는 배터리(3)는 배터리 고정장치(4)에 의해 고정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battery seating groove 2, the battery seating groove 2 is coupled so that the battery 3 is in close contact, and thus the battery ( 3) can be fixed or released by the battery holding device (4).

그리고, 상기 배터리 안착홈(2)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전원연결단자(5)들이 탄력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3)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원연결단자(5)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원공급단자(6)들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ower connection terminals 5 are elastically protru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seating recess 2, and power i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s 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3. Supply terminals 6 are provided.

상기 배터리(3)의 내측면 하단부 양측에는 걸림돌기(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본체(1)의 후면 하단부에는 걸림홈(8)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배터리(3)의 결합시 배터리(3)에 형성된 걸림돌기(7)가 상기 본체(1)의 걸림홈(8)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Engaging protrusions 7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battery 3, and engaging grooves 8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body 1, so that the battery is coupled when the battery 3 is coupled. The engaging projection 7 formed in (3) is caught by the engaging groove 8 of the main body 1.

상기 배터리 고정장치(4)는 상기 배터리(3)의 상면에 고정홈(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본체(1)의 배터리 안착홈(3) 상단부에는 상기 고정홈(9)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1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고정돌기(10)의 후단부에는 고정돌기(10)를 탄성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11)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10)에는 이 고정돌기(10)가 고정홈(9)에서 이탈되되도록 밀어올리기 위한 해제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battery fixing device 4 has a fixing groove 9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3,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seating groove 3 of the terminal body 1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9. A fixing protrusion 10 is coupled to a position, and a spring 11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ixing protrusion 1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10, and the fixing protrusion 10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10. The release protrusion 12 for pushing up the protrusion 10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9 is integrally formed.

따라서, 상기 배터리(3)를 결합할때는, 한 손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1)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배터리(3)를 파지하고 배터리(3)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7)를 본체(1)의 배터리 안착홈(2)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홈(8)에 삽입하여 걸리도록 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3)를 본체(1)의 배터리 안착홈(2)에 밀착시키면 배터리(3)에 형성된 고정홈(9)에 고정돌기(10)가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배터리(3)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battery 3 is coupled, the battery 3 is gripped with the other hand while the terminal body 1 is gripped with one hand, and the locking protrusion 7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3 is held. Insert the battery into the locking groove 8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seating groove 2 of the main body 1, and in this state the battery 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ttery seating groove 2 of the main body 1 Then, the fixing protrusion 10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9 formed in the battery 3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f the battery 3.

이와 반대로 배터리(3)를 분리할때는, 상기 단말기 본체(1)를 파지한 손으로 해제돌기(12)를 밀어 올려서 이에 연동하는 고정돌기(10)가 배터리(3)의 고정홈(9)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3)의 상단부를 다른 한 손으로 파지하여 배터리(3)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7)를 기준으로 회전 이격시킨 후, 배터리(3)의 걸림돌기(7)를 걸림홈(8)에서 빼내어 배터리(3)를 단말기 본체(1)에서 분리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removing the battery 3, the fixing protrusion 10 interlocked by pushing the release protrusion 12 with the hand holding the terminal body 1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9 of the battery 3. In such a state,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3 is gripped by the other hand to rotate and spaced apart based on the locking protrusion 7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3, and then the locking protrusion 7 of the battery 3 is formed. ) Is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8) to separate the battery (3) from the terminal body (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는 단말기 본체(1)에 배터리(3)를 장착하거나 분리할때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해제돌기(12)를 밀어 올리게 되는데, 이와 같은 동작은 스프링(11)이 가압되는 역방향으로 힘을 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힘이들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손톱을 이용하여 해제돌기(12)를 밀어 올렸는데 이로 인해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상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battery fix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attaches or detaches the battery 3 to the terminal body 1, the user pushes up the release protrusion 12 with a finger. 11) because the force to be appli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press the pressure most users have pushed the release projections 12 using the nail, which caused a problem such as a broken nail caused.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장치(4)는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단말기의 설계 자유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4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o reduce the design freedom of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당김조작 가능하게 안테나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안테나의 당김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배터리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배터리 고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을 통해 배터리를 본체에서 착/탈 시킬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며, 단말기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the antenna is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to enable the operati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ntenna By installing a battery fixing device that interlocks according to the pulling operation and maintains or releases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battery, it provides convenien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attery from the main body through simple operation, and improves design freedom of the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fix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당김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당김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상기 배터리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배터리 고정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when being portable is detachably coupled to a main body, the antenna being provided to be pullable to the main body; A battery fixing device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antenna and maintaining or releasing the coupled state of th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본체 내부에 내설됨과 아울러 상기 안테나와 연설되어 상기 안테나의 당김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and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struck with the antenna and selectively caught in the fixing groove according to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antenna.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그 상단에 구비된 레일홈부와 상기 안테나 하단에 구비된 레일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oove coupled to the antenna through the rail groove provided on the top and the rail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antenna.

또한, 상기 안테나가 탄성적으로 당김조작될 수 있게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tenn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to be elastically pulled operation.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spri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고정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고정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with a battery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state of the battery fixing device of FIG.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21)에 설치되는 안테나(22)와, 상기 안테나(22)와 연동되며 배터리(26)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배터리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battery fix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the antenna 22 and the antenna 22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body 21, and maintain or release the coupled state of the battery 26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ttery fixing device.

즉, 휴대용 단말기 본체(21)에는 당김 조작 가능하게 안테나(22)가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22) 하부에는 이 안테나(22)와 일체로 연동될 수 있는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배터리(26)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27)과, 상기 본체(21) 내부에 내설됨과 아울러 상기 안테나(22)와 연설되어 상기 안테나(22)의 당김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홈(27)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고정돌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antenna 22 is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21 so as to be able to be pulled, and a fixing device which can be integrated with the antenna 22 is installed below the antenna 22. The fixing groove 27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26,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 and the speaker 22 and the speaker 22 is spoken with the fixed groove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antenna 2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protrusion 24 that is selectively hung on 27.

이때, 상기 안테나(22)의 하단에는 소정 형상의 레일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24) 상단에는 상기 레일부(23)가 삽입 가능한 레일홈부(25)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레일부(23) 및 레일홈부(25)를 통해 상기 고정돌기(24)는 상기 안테나(22)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22)와 일체로 연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a rail portion 23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antenna 22, and a rail groove portion 25 into which the rail portion 23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24. The fixing protrusion 24 is slidably coupled to the antenna 22 through the rail part 23 and the rail groove part 25, and may be integrated with the antenna 22.

또한, 상기 안테나(22)가 탄성적으로 당김 조작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28)과 같은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바, 상기 압축스프링(28)의 일단은 상기 본체(21)의 상부 내면에 걸려지고, 타단은 상기 고정돌기(24) 상면에 걸려지며 상기 안테나(22)가 탄성적으로 당김 조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22)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돌기(24)도 상기 고정홈(27)에 탄성적으로 걸려질 수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such as a compression spring 28 is installed to allow the antenna 22 to be elastically pulled, and one end of the compression spring 28 is caught by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 The other end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24 and the antenna 22 may be elastically pulled and manipulated. Accordingly, the fixing protrusion 24 integrally coupled to the antenna 22 is also fixed to the fixing groove ( 27 may be elastically hung.

따라서, 상기 배터리(26)를 결합할때는, 한 손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21)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배터리(26)를 파지하고 배터리(26)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를 본체(21)의 배터리 안착홈(도시하지 않음)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홈(도시하지 않음)에 삽입하여 걸리도록 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26)를 본체(21)의 배터리 안착홈에 밀착시키면 배터리에 형성된 고정홈(27)에 고정돌기(24)가 탄력적으로 삽입되며 배터리(26)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attery 26 is coupled, a gripping protrusion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26 by holding the battery 26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terminal body 21 with one hand is held. ) Is inserted into a locking groove (not show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seating groove (not shown) of the main body 21 to be caught. In this state, the battery 26 is seated in the battery of the main body 21.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the fixing protrusion 24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7 formed in the battery and maintains the engaged state of the battery 26.

이와 반대로 배터리(26)를 분리할때는, 상기 단말기 본체(21)를 파지한 손으로 안테나(22)를 당김 조작하여 이에 연동하는 고정돌기(24)가 배터리(26)의 고정홈(27)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26)의 상단부를 다른 한 손으로 파지하여 배터리(26)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기준으로 회전 이격시킨 후, 배터리(26)의 걸림돌기를 걸림홈에서 빼내어 배터리(26)를 단말기 본체(21)에서 분리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battery 26 is removed, the fixing protrusion 24 interlocked by pulling the antenna 22 with the hand holding the terminal body 21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7 of the battery 26. In this state,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26 is gripped with the other hand to rotate apart based on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26, and then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battery 26 is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to remove the battery ( 26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21.

또한, 상기와 같이 안테나(22)를 당김 조작하여 배터리(26)를 단말기 본체(21)에서 분리한 후 상기 안테나(22)를 당겨주던 동작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안테나(22) 및 걸림돌기(24)는 상기 압축스프링(28)의 탄성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되며 교체될 배터리(도시하지 않음)가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when the antenna 22 is pull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battery 26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21,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antenna 22 is released. )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compression spring 28 and allows the battery (not shown) to be replaced to be elastically coupled.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 당김조작 가능하게 안테나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안테나의 당김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배터리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배터리 고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을 통해 배터리를 본체에서 착/탈 시킬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ttery fix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fixing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antenna is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and the antenna inside the main body By installing a battery fixing device that interlocks according to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battery and maintains or releases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battery from the main body through simple operation. Freedom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고정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battery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배터리 고정장치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ng state of the battery fixing device of FIG.

도 3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battery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4는 종래 배터리 고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ttery fixing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 : 본체 22 : 안테나21 body 22 antenna

23 : 레일부 24 : 고정돌기23: rail portion 24: fixing protrusion

25 : 레일홈부 26 : 배터리25: rail groove portion 26: battery

27 : 고정홈 28 : 압축스프링27: fixing groove 28: compression spring

Claims (5)

휴대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portable terminal that th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when carryin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 당김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테나와;An antenna installed on the main body so as to be pulled; 상기 안테나의 당김조작에 따라 연동되며 상기 배터리의 결합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배터리 고정장치;A battery fixing device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antenna and maintaining or releasing the coupled state of the battery;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Battery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과;The fixing device includes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상기 본체 내부에 내설됨과 아울러 상기 안테나와 연설되어 상기 안테나의 당김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struck with the antenna and selectively caught in the fixing groove according to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antenna.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정돌기는 그 상단에 구비된 레일홈부와 상기 안테나 하단에 구비된 레일부를 통해 상기 안테나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The fixing protrusion is a battery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oove coupled to the antenna through the rail groove portion provided on the top and the rail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antenn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테나가 탄성적으로 당김조작될 수 있게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The battery hold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to enable the antenna to be pulled elastically.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The elastic member is a battery fixing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spring.
KR1020030091490A 2003-12-15 2003-12-15 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KR200500597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490A KR20050059775A (en) 2003-12-15 2003-12-15 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490A KR20050059775A (en) 2003-12-15 2003-12-15 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775A true KR20050059775A (en) 2005-06-21

Family

ID=3725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490A KR20050059775A (en) 2003-12-15 2003-12-15 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97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369B1 (en) Internal battery pack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2000058020A (en) Battery pack removing device
KR100425094B1 (en) structure of a detachable battery pack for a mobile phone
US7065389B2 (en) Locking device for a battery pack in a handheld radiotelephone
JP3088300B2 (en) Battery housing structure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050059775A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KR20070042013A (en) Magnetic battery cover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511307B1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KR100504806B1 (en) Fixing apparatus for battery in mobile device
KR100524758B1 (en) Battery cover locking mechanism for mobile phone
KR100661570B1 (en) Device for locking battery of mobile phone
KR20000004869U (en) Battery pack lock of mobile cordless phone
KR20050082819A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mobile phone
KR200293958Y1 (en)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
KR20060110960A (en) Battery cover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338281Y1 (en) A Device for Locking Battery Pack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46061B1 (en) Battery remover of portable terminal
KR100790111B1 (en) Locking device for battery pack in portable radiotelephone
KR100790101B1 (en) Locking device for battery pack in portable radiotelephone
KR20100040544A (en) Cover lock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710307B1 (en) Mobile phone
KR200327771Y1 (en) A Locking Structure of Battery Pack for mobile phone, PDA, etc.
KR20040044568A (en) Locking device for cell type battery pack in portable radiotelephone
JP2000011978A (en) Battery pack removing device
KR20040039721A (en) Internal battery loc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