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958Y1 -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958Y1
KR200293958Y1 KR2020020022779U KR20020022779U KR200293958Y1 KR 200293958 Y1 KR200293958 Y1 KR 200293958Y1 KR 2020020022779 U KR2020020022779 U KR 2020020022779U KR 20020022779 U KR20020022779 U KR 20020022779U KR 200293958 Y1 KR200293958 Y1 KR 200293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rear case
mobile phone
torsion sp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7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2020020022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95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958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면케이스 내부에 배터리팩을 밀어 올릴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을 구비하고, 그 일부를 상기 배면케이스의 슬릿홀을 통해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팩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한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rsion spring that can push up the battery pack inside the rear case of the mobile phone, the battery pack detachable device of the mobile phone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battery pack by exposing a portion of the rear case through the slit hole It is about.

본 고안의 구성은 본체(50)와 본체(50)의 배면을 이루고 있는 배면케이스(51), 상기 배면케이스(51)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52)으로 이루어진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배면케이스(51)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홀(54)과, 상기 슬릿홀(54)을 통해 절곡된 양단부가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팩(52)의 하면을 탄지하도록 상기 배면케이스(51)의 내부에 구비되는 비틀림스프링(60)과, 상기 비틀림스프링(60)을 고정하기 위해 돌기부(72)가 형성된 채 상기 배면케이스(51)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pack 52 that is coupled to the rear case 51 and the rear case 51 forming the back of the main body 50 and the main body 50 to supply power to the main body 50. In the mobile phone, the one or more slit holes 54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case 51 and both ends bent through the slit holes 54 are exposed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pack 52. A support member 70 provided inside the rear case 51 with a torsion spring 60 provided inside the rear case 51 and a protrusion 72 formed to fix the torsion spring 60. It consists of).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배터리팩이 자동으로 들어올려지므로 한손만으로도 배터리팩의 착탈이 가능하여 양손을 다 쓸 수 없는 경우나 휴대폰 조작이 능숙하지 않은 노약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고, 상기 비틀림스프링을 상기 배면케이스에 내입시켜 휴대폰 하우징의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키고 디자인 구성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that the battery pack is automatically lifted, so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battery pack with only one hand so that both hands can not use or the elderly are not good at mobile phone operation, and the torsion spring is easily recalled. It is embedded in the rear cas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mobile phone housing and is not restricted by the design configuration.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Battery pack removal device for mobile phone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배면케이스 내부에 배터리팩을 밀어 올릴 수 있는 비틀림스프링을 구비하고, 그 일부를 상기 배면케이스의 슬릿홀을 통해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팩의 착탈을 용이하도록 한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detachable device of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torsion spring that can push up a battery pack inside the rear case of the mobile phone, and exposing a part of the rear case through the slit hole of the rear case. It relates to a battery pack detachable device of the mobile phone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battery pack.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첨부도면 도 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본체(10)와 본체(10)의 배면을 이루고 있는 배면케이스(12), 상기 배면케이스(12)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에 내장된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14)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s illustrated in FIG. 1, the mobile phone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2 and the rear case 12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phone. It consists of a battery pack 14 for supplying power to the parts built in.

그리고, 휴대폰의 본체(10)에 상기 배터리팩(14)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된 잠금노브 결합부(16)와, 상기 잠금노브 결합부(16)에 삽입되어 배터리팩(14)을 구속하는 잠금노브(18)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ck knob coupling portion 16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10 and the lock knob coupling portion 16 are inserted into the battery pack 14 to fix the battery pack 14 to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phone. A lock knob 18 for restraining 14 is provided.

또한, 상기 휴대폰 본체(10)의 배면 하부에는 상기 배터리팩(14)이 결합되도록 배터리 고정턱(20)이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팩(14)의 상부에는 상기 잠금노브(18)의 일단에 구비된 노브(22)가 삽입되는 걸림홈(24)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팩(14)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의 배터리 고정턱(20)에 걸림되는 걸림부(26)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잠금노브 결합부(16)에는 상기 잠금노브(18)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잠금노브(18)가 탄력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스프링 고정부(28)에 안착된 스프링(30)과, 상기 잠금노브(18)의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턱(3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battery fixing jaw 2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phone main body 10 so that the battery pack 14 is coupled, and an upper end of the battery pack 1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cking knob 18. The locking groove 24 into which the knob 22 is inserted is form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pack 14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26 that is locked to the battery fixing jaw 20 of the main body 10. . On the other hand, the lock knob coupling portion 16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 knob 18, the spring 30 seated on the spring fixing portion 28 so that the lock knob 18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elastically And, the stopping jaw 32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lock knob 18 is formed.

그리고, 상기 잠금노브(18)의 하부에는 상기 잠금노브 결합부(16)의 스프링 고정부(28) 및 멈춤턱(32)에 걸림되도록 스프링 걸림돌기(34) 및 멈춤돌기(36)가 구비된다.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knob 18 is provided with a spring locking projection 34 and the stop projection 36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pring fixing portion 28 and the stop jaw 32 of the lock knob coupling portion 16. .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는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배면케이스(12)에 형성된 잠금노브 결합부(16)의 잠금노브(18)를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스프링(30)의 탄성력으로 지지된 채 배터리팩(14)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홈(24)에 상기 잠금노브(18)의 노브(22)를 삽입하여 상기 배터리팩(14)이 휴대폰의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battery pack detachabl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 the spring is formed by inserting the lock knob 18 of the lock knob coupling portion 16 formed in the rear case 12 of the mobile pho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knob 22 of the locking knob 18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ttery pack 14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battery pack 14 so that the battery pack 14 is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phone. ) Is combined.

이때, 상기 배터리팩(14)의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배면부 하단에 형성된배터리 고정턱(20)에 배터리팩(14)의 걸림부(26)를 끼워 넣음으로써 본체(10)와 결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pack 14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inserting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battery pack 14 in the battery fixing jaw 2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will be.

상기 착탈장치를 통해 배터리팩(14)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잠금노브(18)를 스프링(30)을 압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잠금노브(18)의 일측에서 상기 배터리팩(14)을 구속하고 있던 노브(22)가 일측으로 후퇴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배터리팩(14)을 파지한 채 외측으로 끌어당기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When the battery pack 14 is to be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etachable device, the locking knob 18 is moved in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spring 30, and the battery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ocking knob 18. Since the knob 22 restraining the pack 14 is retracted to one side, the user pulls the battery pack 14 outwar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는 배터리팩(14)의 결합 또는 해제시 사용자가 스프링(30)의 탄성력보다 더 많은 힘을 가하여 착탈장치의 배터리팩(14) 구속을 해제하여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손으로는 잠금노브(18)를 일측으로 밀고 다른손으로는 배터리팩(14)을 본체(10)로부터 이격시켜야 하므로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However, in the battery pack detachable device of the mobile phone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the battery pack 14 is coupled or released, the user applies more force than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30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battery pack 14 of the detachable device. Since the user pushes the lock knob 18 to one side with one hand and the battery pack 14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 with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operation is not easy.

또한, 사용자가 잠금노브(18)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배터리팩(14)을 당기는 작업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배터리팩(14)이 본체(10)로부터 이탈될 때 사용자의 조작 미숙으로 인하여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다.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moves the lock knob 18 and the working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pack 14 is pull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battery pack 14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the battery pack 14 is dropped on the floor due to immature operation of the user. It was often broken.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의 배터리팩을 배면케이스로부터 간편하게 착탈시키고, 충격으로 인한 휴대폰의 외관변형에도 배터리팩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detach the battery pack of the mobile phone from the rear case, and to easily detach the battery pack even in the appearance deformation of the mobile phone due to the impact. have.

도 1은 종래의 배터리팩 착탈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와 요부확대도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main portion enlarged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battery pack detachable device

도 2는 도 1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확대도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도 3는 본 고안의 비틀림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torsion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비틀림스프링을 배면케이스에 내입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rsion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back case

도 5은 도 4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 및 요부확대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main portion enlarged view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50 : 본체 12, 51 : 배면케이스10, 50: main body 12, 51: rear case

14 : 배터리팩 16 : 잠금노브 결합부14: battery pack 16: locking knob coupling portion

18 : 잠금노브 20 : 배터리 고정턱18: lock knob 20: battery fixing jaw

22 : 노브 24 : 걸림홈22: knob 24: locking groove

26 : 걸림부 28 : 스프링 고정부26: engaging portion 28: spring fixing portion

30, 41 : 스프링 32 : 멈춤턱30, 41: spring 32: stopper

34 : 스프링 걸림돌기 36 : 멈춤돌기34: spring jam 36: stop

38 : 배터리팩 접촉단자 40 : 탄성접촉부38: battery pack contact terminal 40: elastic contact

42 : 커넥팅부 54 : 슬릿홀42: connecting portion 54: slit hole

60 : 비틀림스프링 62 : 코일부60: torsion spring 62: coil part

64 : 아암부 66 : 절곡부64: arm part 66: bending part

70 : 지지부재 72 : 돌기부70: support member 72: protrus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와 본체의 배면을 이루고 있는 배면케이스, 상기 배면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으로 이루어진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배면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홀과, 상기 슬릿홀을 통해 절곡된 양단부가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팩의 하면을 탄지하도록 상기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비틀림스프링과, 상기 비틀림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돌기부가 형성된 채 상기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rear case in the mobile phone consisting of a battery case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and the rear case, the rear cas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t least one slit hole, and both ends bent through the slit hole is exposed to the torsion spring provided inside the rear case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and the projection is formed to secure the torsion spring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upport member provided inside the rear case.

상기 비틀림스프링은 상기 지지부재의 돌기부에 관통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절곡부가 구비된 아암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rsion sp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il portion penetrating the protrus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n arm portion provided with bent portions on both sides around the coil por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50)와 본체(50)의 배면을 이루고 있는 배면케이스(51), 상기 배면케이스(51)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14)으로 이루어진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배면케이스(51)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홀(54)과, 상기 슬릿홀(54)을 통해 절곡된 양단부가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팩(14)의 하면을 탄지하도록 상기 배면케이스(51)의 내부에 구비되는 비틀림스프링(60)과, 상기 비틀림스프링(60)을 고정하기 위해 돌기부(72)가 형성된 채 상기 배면케이스(51)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3 to 6,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ar case 51 and the rear case 51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50 and the main body 50 to supply power to the main body 50. In the mobile phone consisting of a battery pack 14 for supplying, at least one slit hole 54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ar case 51 and both ends bent through the slit hole 54 is exposed to the battery The rear case 51 is formed with a torsion spring 60 provided inside the rear case 51 and a protrusion 72 to fix the torsion spring 60 so a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pack 14. 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70 provided in the interio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틀림스프링(60)은 상기 지지부재(70)의 돌기부(72)에 관통되는 코일부(62)와, 상기 코일부(6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절곡부(66)가 구비된 아암부(64)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orsion spring 60 has a coil portion 62 penetrating through the protrusion portion 72 of the support member 70 and a bent portion at both sides of the coil portion 62. 66 is provided with an arm portion (64).

상기 아암부(64)는 상기 코일부(62)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소정의 각(θ)을 이루며 형성되며, 상기 각(θ)이 작을수록 상기 코일부(62)를 중심으로 한 아암부(64)의 탄성 복원력은 커지게 된다.The arm portion 64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angle θ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il portion 62, and as the angle θ is smaller, the arm portion centered on the coil portion 62 is form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64 becomes large.

또한, 아암부(64)의 일단에서 절곡된 채 형성되는 절곡부(66)는 상기 배면케이스(51)의 슬릿홀(5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배터리팩(14)의 하면과 접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66 formed while being bent at one end of the arm portion 64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it hole 54 of the rear case 51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pack 14.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케이스(51)의 슬릿홀(54)은 배터리팩(14)의 착탈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바람직하게 잠금노브(18)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하되 상기 비틀림스프링(60)의 절곡부(66)가 노출되도록 좌, 우 양측에 구비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the slit hole 54 of the rear case 51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ck knob 18 so that the battery pack 14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The bent portion 66 of 60 is to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도 5에서는 상기 비틀림스프링(60)이 배면케이스(51)의 지지부재(70)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배면케이스(51)의 상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소정의 지지부재(70)가 상기 잠금노브(18)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70)의 중앙부에는 돌기부(72)가 구비되어 상기 비틀림스프링(60)의 코일부(62)를 관통하며 지지하고 있다.In FIG. 5, the torsion spring 60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70 of the rear case 51. The predetermined support member 70 extends integrally from the top surface of the rear case 51. Is provided below the lock knob 18, and a projection portion 72 i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70 to support the coil portion 62 of the torsion spring 6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면케이스(51)에 형성된 슬릿홀(54)을 통해 탄성력을 지닌 비틀림스프링(60)을 노출시켜 상기 배면케이스(51)에 결합되는 배터리팩(14)을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asily removes the battery pack 14 coupled to the rear case 51 by exposing the torsion spring 60 having elastic force through the slit hole 54 formed in the rear case 51 of the mobile phone. It is to be made.

즉, 휴대폰의 배면케이스(51)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팩(14)을 탈착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상기 잠금노브(18)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노브(22)를 배터리팩(51)의 걸림홈(24)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배터리팩(14)은 잠금노브(18)에 의한 구속이 해제한다.That is, to remove the battery pack 14 coupled to the rear case 51 of the mobile phone, first, the locking knob 18 is moved to one side to move the knob 22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battery pack 51 ( 24, the battery pack 14 is released from the lock knob 18.

그리하면, 상기 배터리팩(14)을 통해 압압되어 있던 비틀림스프링(60)의 절곡부(66)는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승하면서 상기 배터리팩(14)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상기 배터리팩(14)을 들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Then, the bent portion 66 of the torsion spring 60 that was pressed through the battery pack 14 is pushed up by the battery pack 14 while being raised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battery pack 14 is lifted up. Will be lifted.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14)의 하부에서는 배터리팩 걸림부(26)가 배터리 고정턱(20)에 걸려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팩(14)의 상부에서는 상기 잠금노브(18)의 구속력이 해제되어 상기 비틀림스프링(60)에 의해 배터리팩(14)이 소정간격 상승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ile the battery pack catching part 26 is caught by the battery fixing jaw 20 at the lower part of the battery pack 14, the binding force of the locking knob 18 is released at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pack 14. The torsion spring 60 causes the battery pack 14 to stop at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리하여, 사용자는 자동으로 들어올림된 배터리팩(14)을 손으로 파지한 채 분리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휴대폰의 배터리팩(14) 탈착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user only needs to detach the battery pack 14, which is automatically lifted by hand, so that the battery pack 14 of the mobile phone can be easily detached.

한편, 분리되었던 배터리팩(14)을 상기 배면케이스(51)에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종래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를 사용할 때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parated battery pack 14 is to be coupled to the rear case 51, the same process as when using a conventional battery pack removable device.

즉, 배터리팩(14)을 파지하고 배터리 고정턱(20)에 배터리팩(14) 하측의 걸림부(26)를 끼워 넣은 후, 상기 배터리팩(14)을 힘을 주어 장착하면 상기 배터리팩(14)은 잠금노브(18)를 일측으로 미는 동시에 하측의 슬릿홀(54)을 통해 노출된 비틀림스프링(60)의 절곡부(66)를 압압하게 되고, 일측으로 밀렸던 잠금노브(18)가 스프링(30)의 탄발력으로 다시 돌아오면서 상기 배터리팩(14)의 걸림홈(24)에 노브(22)가 걸리게 되므로 배터리팩(14)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fter holding the battery pack 14 and inserting the locking portion 26 of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pack 14 to the battery fixing jaw 20, the battery pack 14 is mounted by applying force to the battery pack ( 14 pushes the lock knob 18 to one side and simultaneously presses the bent portion 66 of the torsion spring 60 exposed through the lower slit hole 54, and the lock knob 18 pushed to one side is spring-loaded. The knob 22 is caught by the catching groove 24 of the battery pack 14 while returning back to the elastic force of 30 so that the battery pack 14 may be firmly coupled.

따라서, 상기 비틀림스프링(60)은 상기 배터리팩(14)으로 인해 또 다시 긴장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이후 배터리팩(14)을 분리하고자 할 때, 상기 잠금노브(18)를 이동시켜 배터리팩(14)의 구속을 해제하기만 하면 비틀림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배터리팩(14)을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torsion spring 60 is in tension again due to the battery pack 14, and the user later tries to separate the battery pack 14, the torsion spring 60 moves the lock knob 18 to move the battery pack 14. Only by releasing the restraint will be able to push the battery pack 14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60).

그러므로, 사용자는 배터리의 착탈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배터리팩을 탈착할 수 있고, 착탈과정이 단순하므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detach the battery pack without exerting excessive force when the battery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removal process is simple, so anyone can use it easily.

또한, 이러한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는 플립형 휴대폰이나 폴더형 휴대폰 등 다양한 타입의 휴대폰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detachable device of the mobile phone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such as flip-type mobile phone or folder mobile phon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폰의 배면케이스로부터 잠금노브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배터리팩을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design because the battery pack can be easily removed by only moving the locking knob to one side from the rear case of the mobile phone.

또한, 이를 위해 구비된 비틀림스프링을 상기 배면케이스의 내측에 내입시킴으로써 휴대폰 하우징의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키고 디자인 구성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된 것이다.In addition, by incorporating the torsion spring provided for this to the inside of the rear cas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mobile phone housing and is not restricted by the design configuration.

아울러, 배터리팩이 자동으로 들어올려지므로 한손만으로도 배터리팩의 착탈이 가능하여 양손을 다 쓸 수 없는 경우나 휴대폰 조작이 능숙하지 않은 노약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pack is automatically lifted, the battery pack can be attached or detached with only one hand so that both hands cannot be used or the elderly can easily use the mobile phone.

Claims (3)

본체(50)와 본체(50)의 배면을 이루고 있는 배면케이스(51), 상기 배면케이스(51)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52)으로 이루어진 휴대폰에 있어서,In the mobile phone consisting of a back case 51 forming the back of the main body 50 and the main body 50, the battery pack 52 coupled to the back case 51 to supply power to the main body 50, 상기 배면케이스(51)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홀(54)과;At least one slit hole 54 formed at one surface of the rear case 51; 상기 슬릿홀(54)을 통해 절곡된 양단부가 노출되어 상기 배터리팩(52)의 하면을 탄지하도록 상기 배면케이스(51)의 내부에 구비되는 비틀림스프링(60)과;A torsion spring (60) provided inside the rear case (51) to expose both ends bent through the slit hole (54)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pack (52); 상기 비틀림스프링(60)을 고정하기 위해 돌기부(72)가 형성된 채 상기 배면케이스(51)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And a support member (70) provided inside the rear case (51) with a protrusion (72) formed to fix the torsion spring (6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틀림스프링(60)은 상기 지지부재(70)의 돌기부(72)에 관통되는 코일부(62)와;The torsion spring 60 may include a coil part 62 penetrating the protrusion 72 of the support member 70; 상기 코일부(6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절곡부(66)가 구비된 아암부(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Battery pack detachable device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rm portion (64) having a bent portion (66)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il portion (6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릿홀(54)은 배터리팩(14)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기 잠금노브(18)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The slit hole (54) is a battery pack removable device of the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ck knob (18)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battery pack (14).
KR2020020022779U 2002-07-30 2002-07-30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 KR2002939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79U KR200293958Y1 (en) 2002-07-30 2002-07-30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79U KR200293958Y1 (en) 2002-07-30 2002-07-30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958Y1 true KR200293958Y1 (en) 2002-11-04

Family

ID=7307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779U KR200293958Y1 (en) 2002-07-30 2002-07-30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95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76B1 (en) * 2002-11-04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locker having side locker butt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276B1 (en) * 2002-11-04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locker having side locker butt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369B1 (en) Internal battery pack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425094B1 (en) structure of a detachable battery pack for a mobile phone
KR100678198B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TWI251964B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KR200293958Y1 (en) A locking apparatus of battery-pack for mobile phone
JP3088349B2 (en) Battery fixing structure
KR100681584B1 (en) Card connector allowing easy removal of a card after the card is ejected
KR100511307B1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KR100504806B1 (en) Fixing apparatus for battery in mobile device
KR100535965B1 (en) Holding or unholding device of battery pack of mobile phone using toggle spring
KR100629882B1 (en) Mobile terminal with battery lock apparatus
KR100524758B1 (en) Battery cover locking mechanism for mobile phone
KR101080585B1 (en) Structure for coupling batter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25969A (en) Apparatus for locking battery pack of mobile phone
KR200355865Y1 (en) Seperating and Combine Apparatus of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04118A (en) Battery locking device of mobile phone
KR100575782B1 (en) Mounting apparatus for battery cover of fortable terminal having inner type battery
KR100565288B1 (en) Battery cover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inner battery type mobile terminal
KR200319738Y1 (en) Apparatus for holding or unholding battery pack of mobile phone
KR101046061B1 (en) Battery remover of portable terminal
KR10070204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27772Y1 (en) A Locking Structure of Battery Pack for mobile phone, PDA, etc.
KR100593547B1 (en) The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930008006Y1 (en) Device for mounting battery case
KR20040092224A (en) Battery docking apparatus of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