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375A -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375A
KR20050059375A KR1020030092208A KR20030092208A KR20050059375A KR 20050059375 A KR20050059375 A KR 20050059375A KR 1020030092208 A KR1020030092208 A KR 1020030092208A KR 20030092208 A KR20030092208 A KR 20030092208A KR 20050059375 A KR20050059375 A KR 20050059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lectronic
electronic key
manua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filed Critical 이재경
Priority to KR102003009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9375A/ko
Publication of KR2005005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37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키와 번호키가 함께 형성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록에서 전자키를 감지하여 전기적 회로를 연결시키고 전자키 내부의 암호 신호를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빗장 몸체가 여닫히게 하는 동작을 하는 전자키 감지부의 중앙이 소정 직경의 관통홀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전자키 감지부의 후단에는 수동식 키가 삽입되는 키 코어를 구성되어 전자키나 번호키에 의해 빗장 몸체를 돌려주는 동력 전달축에 축 결합되어 전자키나 번호키가 고장 또는 전원이 나갔을때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키 코어에 수동식 키를 삽입하여 돌려줌으로써 빗장 몸체가 기계적으로 열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록에서 전자키와 번호키의 구성에서 외부 크기의 변화없이 수동식 키 코어를 추가할 수 있어 간소한 구성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키나 번호키가 동작을 하지 않을 때 디지털 도어록을 떼어낼 필요없이 수동식 키를 삽입하여 문을 열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A DIGITAL DOORLOCK FORMED WITH MANUAL KEY CORE ALTOGETHER}
본 발명은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키와 번호키가 함께 형성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록에서 전자키를 감지하여 전기적 회로를 연결시키고 전자키 내부의 암호 신호를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빗장 몸체가 여닫히게 하는 동작을 하는 전자키 감지부의 중앙이 소정 직경의 관통홀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전자키 감지부의 후단에는 수동식 키가 삽입되는 키 코어를 구성되어 전자키나 번호키에 의해 빗장 몸체를 돌려주는 동력 전달축에 축 결합되어 전자키나 번호키가 고장 또는 전원이 나갔을때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키 코어에 수동식 키를 삽입하여 돌려줌으로써 빗장 몸체가 기계적으로 열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도어록은 그 이용의 편리성 때문에 가정이나 상업용 건물 등에서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의 출현에 따라 점차 종래의 수동식 키와 수동식 키 코어는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에 전자키나 번호키 또는 지문인식이나 음성인식 등의 다양한 방식의 도어록 또한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전자회로에 의한 마이컴 기능을 수행하는 PCB(인쇄회로기판)가 내측에 내장되어 접촉 또는 비접촉 전자키에 의해 루프 회로가 구성되어 전자키로부터 인가된 암호 신호의 진위를 확인하거나, 누름버튼에 입력된 번호에 의해 비밀번호의 진위를 확인함으로써 도어 몸체 내측에 내장된 모터를 구동시키고, 이렇게 구동된 모터는 모터 축에 기어 결합된 빗장 몸체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도어에 대한 개폐작용을 수행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록은 통상적으로 패널 전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식 전자키 부분과 누름 버턴에 의한 번호키 방식으로 구별되어 구성되는 바, 이는 전자키 방식에 의한 구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일종의 안전장치로서 번호키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며, 전자키 부분과 번호키 부분과는 별도의 위치에 부수적으로 수동식 키 코어가 배치되어 보조적인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빗장 몸체를 전진 또는 후진 시켜주기 위한 동력으로 수납 밧데리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주로 사용하고 있어 밧데리의 완전 소모에 따라 전자키나 번호키가 동작이 되지 않으면 빗장 몸체를 돌릴 방법이 없으므로 문밖에서 디지털 도어록을 부수고 들어가야 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기도 한다.
위와 같은 경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밧데리의 전원이 소정 레벨이하로 떨어지면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거나 램프를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 등이 이용되지만 사용자가 미리 경보음이나 램프의 점멸을 인식하지 못하면 결국 밧데리의 전원이 소진되어 디지털 도어록이 작동하지 않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밧데리 전원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AC 220V와 같은 외부 상용 전원선에 연결시켜 상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도 이용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힌지 결합된 문의 개폐 동작을 고려할 때 외부 상용 전원 선을 눈에 잘 띄지 않도록 매설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에너지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에서 밧데리가 소모되어도 빗장 몸체를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식 키 코어를 디지털 도어록에 일체로 내장시켜 전자식과 기계식 방법 모두 작동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의 구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키 감지부(45)에 의해 전자키(40)를 감지 및 암호 신호를 읽어들여 PCB 회로부(90)에 제공하여 빗장 구동 모터(60)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키 부(43)와, 누름 버튼(51)에 의해 암호를 입력받아 PCB 회로부(90)에 제공하여 상기 빗장구동 모터(60)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번호키 부(50)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100)에 있어서,
상기 전자키 감지부(45)는 중앙이 소정 직경으로 관통된 관통홀(46)을 갖는 링형 금속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PCB 회로부(90)와 전자키 신호선(4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키 감지부(45)의 배면에는 수동식 키 코어(30)의 키 삽입구(31)가 상기 전자키 감지부(45)의 관통홀(46) 위치에 위치되도록 수동식 키 코어(30)가 배치되며,
상기 수동식 키 코어(30)의 키 축(32)은 빗장 몸체(80)를 개폐시키는 동력전달축(70)에 축결합되어 상기 전자키 부(43)나 번호키 부(50)가 동작되지 않을 때 상기 키 삽입구(31)를 통해 수동식 키를 삽입시켜 돌려줌으로써 빗장 몸체(80)가 회동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100)은 크게 외부 패널(10)과 내함 케이스(20) 및 수동식 키 코어(30)로 구성되며, 외부 패널(10)과 내함 케이스(20)는 문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외부 패널(10)과 내함 케이스(20)사이의 문 공간에는 수동식 키 코어(30)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패널(10)은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을 사용하는 전자키(40)를 감지하는 전자키 감지부(45)와, 누름 버튼(51)의 번호 누름에 의해 비밀번호를 감지하는 버튼키 부(50)가 외부를 향해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전자키 감지부(45)는 중앙이 소정 직경으로 관통된 관통홀(46)을 갖는 링형 금속부재로 구성되며, 소정 직경의 관통홀(46)은 바람직하게 수동식 키(1)가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전자키 감지부(45)는 소정 단차를 갖는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 케이스(5)에 수용되어 전자키 감지부(45)의 일측에 결합된 전자키 신호선(44)이 수동식 키 코어(30)의 측면과 문 내부 공간을 지나 내함 케이스(20)에 수납된 PCB 회로부(9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전자키 감지부(45)와 전자키 신호선(44)을 통틀어 전자키 부(43)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키 코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전자키 감지부(45)의 배면에는 수동식 키 코어(30)가 위치하는데, 수동식 키 코어(30)의 일측에 형성된 키 삽입구(31)가 전자키 감지부(45)의 관통된 부분, 즉 관통홀(4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키 코어(30)의 타측에 연장되는 키 축(32)은 내함 케이스(20)내에서 전자키 감지부(45)와 키 코어(30) 및 키 축(32)으로 이어지는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동력전달축(70)의 8자 형 홈(71)에 끼워지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자키 감지부(45)와 키 코어(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에서 전자키를 사용하는 전자 구동 방식과 키에 의한 기계식 구동방식이 별개로 구성되어 서로 호환이 되지 않으며 전체적인 외형을 크게 만들던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밧데리의 소모나 전자회로 이상 등의 고장으로 전자키나 번호키가 동작하지 않으면 전자키 감지부(45)의 관통홀(46)을 통해 키를 키 코어(30)에 삽입하여 기계적으로 동력전달축(70)을 돌려줌으로써 문을 열 수 있게 된다.
도 3의 정면도에 따른 내함 케이스(20)에는 전자키 감지부(45)와 번호키부(50)로부터 문을 통해 전자키 신호선(44)과 누름 버튼 신호선(미도시)이 연결되는 PCB 회로부(90)가 고정되고, PCB 회로부(90)에서 인출된 모터 구동선(61)은 모터(60)에 인입되도록 구성되며, 모터(60)에서는 회전축(62)이 연장되어 동력 전달축(70)의 일측에 형성된 반원형 치자(72)와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동력 전달축(70)의 타측에는 막대형 돌출부(73)가 형성되어 빗장 몸체(80)에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홈(81)에 위치하여 모터(60)의 회전력을 빗장 몸체(80)의 수평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동력 전달축(70)의 축 내부에는 8자형 홈(71)이 형성되는데, 이는 수동식 키 코어(30)에서 연장되는 키 축(32)이 삽입되어 키 코어(32)를 통해 수동식 키(1)가 돌아가는 힘을 전달받아 수동으로 빗장 몸체(8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기존의 디지털 도어록의 동력 전달축에서는 전자키와 번호키에 의해 모터만 구동시키면 빗장 몸체가 개폐되는 방식이므로 이와 같은 기계식 키 코어에서 사용되는 8자형 홈이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동력 전달축(70)과 수평되는 위치에 키 코어(30)와 키 축(32)이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상호간을 물리적으로 연동시켜주기 위한 구성을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빗장 몸체(80)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은 외부 패널(10)에 있는 전자키 감지부(45)와 번호키 부(50)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일견 보이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전체적인 외형 또한 크게 줄어드나, 실질적으로는 전자키 감지부(45)에 형성된 관통홀(46)을 통해 수동식 키(1)를 삽입하여 수동식 키 코어(30)를 돌릴 수 있는 복합적인 구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전자키나 번호키가 동작을 하지 않을 때 키를 삽입하여 돌려줌에 따라 문을 개폐할 수 있어 디지털 도어록 전체를 떼어낼 필요가 없어지는 편리한 사용이 가능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얼마든지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잘 알것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판단되어 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에서 전자키와 번호키 외에 별도로 부수적으로 수동식 키 코어를 구성하였을때 전체적인 외형이 커지던 것을 전자키 부분에 일체형으로 수동식 키 코어를 설치하여 전체적인 외형이 줄어들게 되고, 전자키와 번호키 만을 구성한 간소한 외부 형태에 수동식 키 코어를 복합적으로 설치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기능이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에서 전자키나 번호키에 의해 빗장 몸체를 돌려주는 동력 전달축을 수동식 키 코어의 축이 연결되어 기계적으로 돌려줄 수 있는 구성에 따라 전자키나 번호키가 동작을 하지 않을 때 디지털 도어록을 떼어낼 필요없이 수동식 키를 삽입하여 문을 열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키 코어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함 케이스 내부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동식 키 10: 외부 패널
20: 내함 케이스 30: 수동식 키 코어
31: 키 삽입구 32: 키 축
40: 전자키 43: 전자키 부
44: 전자키 신호선 45: 전자키 감지부
46: 관통홀 50: 번호키 부
51: 누름 버튼 60: 모터
61: 모터 구동선 62: 회전축
70: 동력 전달축 71: 8자형 홈
72: 반원형 치자 73: 막대형 돌출부
80: 빗장 몸체 81: 가이드 홈
90: PCB 회로부 100: 디지털 도어록

Claims (1)

  1. 전자키 감지부(45)에 의해 전자키(40)를 감지 및 암호 신호를 읽어들여 PCB 회로부(90)에 제공하여 빗장 구동 모터(60)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키 부(43)와, 누름 버튼(51)에 의해 암호를 입력받아 PCB 회로부(90)에 제공하여 상기 빗장 구동 모터(60)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번호키 부(50)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100)에 있어서,
    상기 전자키 감지부(45)는 중앙이 소정 직경으로 관통된 관통홀(46)을 갖는 링형 금속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PCB 회로부(90)와 전자키 신호선(4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키 감지부(45)의 배면에는 수동식 키 코어(30)의 키 삽입구(31)가 상기 전자키 감지부(45)의 관통홀(46) 위치에 위치되도록 수동식 키 코어(30)가 설치되며,
    상기 수동식 키 코어(30)의 키 축(32)은 빗장 몸체(80)를 개폐시키는 동력전달축(70)에 축결합되어 상기 전자키 부(43)나 번호키 부(50)가 동작되지 않을 때 상기 키 삽입구(31)를 통해 수동식 키를 삽입시켜 돌려줌으로써 빗장 몸체(80)가 회동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키 코어(30)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KR1020030092208A 2003-12-16 2003-12-16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KR20050059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208A KR20050059375A (ko) 2003-12-16 2003-12-16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208A KR20050059375A (ko) 2003-12-16 2003-12-16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832U Division KR200345866Y1 (ko) 2003-12-12 2003-12-12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375A true KR20050059375A (ko) 2005-06-20

Family

ID=3725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208A KR20050059375A (ko) 2003-12-16 2003-12-16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93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922B1 (ko) * 2006-05-02 2007-08-23 박장호 다기능 디지털 도어
KR100763884B1 (ko) * 2006-09-14 2007-10-05 주식회사 바이오엔터 도어록 장치
WO2007126299A1 (en) * 2006-05-02 2007-11-08 Jang-Ho Park Multi digital do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922B1 (ko) * 2006-05-02 2007-08-23 박장호 다기능 디지털 도어
WO2007126299A1 (en) * 2006-05-02 2007-11-08 Jang-Ho Park Multi digital door
KR100763884B1 (ko) * 2006-09-14 2007-10-05 주식회사 바이오엔터 도어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02161U (zh) 带定位斜舌的电子防盗锁体
CN101918661B (zh) 闩锁促动器和使用该闩锁促动器的闩锁
CN206110869U (zh) 便捷型电子锁
US5309743A (en) Door unlocking device
CN106567622A (zh) 便捷型电子锁
KR200345866Y1 (ko)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CN207934601U (zh) 一种智能锁总装配体
KR20050059375A (ko) 수동식 키 코어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록
KR100749638B1 (ko) 데드볼트식 전자석 도어록
WO2011146960A1 (en) A power source and/or control component housing primarily for door mounted devices
CN109403719A (zh) 一种智能面板锁
CN209482932U (zh) 一种智能面板锁
KR200360653Y1 (ko) 디지털 도어락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잠금 장치
CN215730860U (zh) 硬盘柜
CN108266054A (zh) 一种安全型的智能锁总装配体
KR200373352Y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전자식 도어록장치
JP3548899B2 (ja) 鍵管理装置
CN210858281U (zh) 一种新型双系统抽屉锁
CN209482850U (zh) 一种智能面板锁
CN210264202U (zh) 一种智能门锁的齿轮传动装置
CN207469935U (zh) 一种一体化电子锁
KR200360631Y1 (ko) 베벨기어를 이용한 전동 모티스 잠금 장치
CN219711251U (zh) 锁头全自动单密码锁
CN111663856A (zh) 智能插芯锁锁体
CN218894515U (zh) 一种便于更换电池且结构紧凑的机械电子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