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040A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040A
KR20050058040A KR1020030090283A KR20030090283A KR20050058040A KR 20050058040 A KR20050058040 A KR 20050058040A KR 1020030090283 A KR1020030090283 A KR 1020030090283A KR 20030090283 A KR20030090283 A KR 20030090283A KR 20050058040 A KR20050058040 A KR 2005005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auxiliary
refrigerator
temperatur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073B1 (ko
Inventor
이정훈
이종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073B1/ko
Priority to US10/972,539 priority patent/US20050126207A1/en
Priority to EP04106337A priority patent/EP1541945A3/en
Publication of KR2005005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freeze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3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more than one sensor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in a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실 및 냉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과 각각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와 복귀구를 갖는 냉동실주덕트 및 냉장실주덕트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냉동실증발기 및 상기 냉장실증발기에서 각각 생성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한편,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상기 복귀구를 통해 복귀되게 하는 냉동실팬 및 냉장실팬을 갖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냉장고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보조저장실과; 상기 냉동실주덕트와 상기 냉장실주덕트 중 어느 하나에서 분기되어 해당 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보조저장실로 공급하는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냉기를 해당 주덕트로 복귀시키는 보조복귀덕트와; 상기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보조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보조저장실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저장실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의 전면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도어를 가지며,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성된 냉각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 중, 독립냉각방식의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냉동실 및 냉장실과 각각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와 복귀구를 갖는 냉동실주덕트 및 냉장실주덕트와, 냉동실주덕트 및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와, 냉동실주덕트 및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에서 각각 생성된 냉기를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한편, 냉동실 및 냉장실 내의 냉기를 복귀구를 통해 복귀되게 하는 냉동실팬 및 냉장실팬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냉동실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동실팬에 의해 송풍된 후 냉동실주덕트의 판면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냉동실로 안내되어 냉동실 내를 순환하고, 냉동실 내의 냉기는 냉동실주덕트 판면에 형성된 복귀구를 통해 다시 냉동실증발기로 순환하는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냉장실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장실팬에 의해 송풍되어 냉동실과는 독립적으로 냉장실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러한 냉장고에 야채저장이나 기타 특수목적을 위한 보조저장실이 마련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에는 한국실용신안공개공부 제1998-1151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과 냉장실에 형성된 냉기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냉기를 냉기공급팬에 의해 송풍하여 보조저장실에 공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보조저장실의 온도 조절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보조저장실의 온도가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온도에 의해 좌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냉기가 보조저장실로 항상 빠져나가게 되어 냉각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저장실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과 각각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와 복귀구를 갖는 냉동실주덕트 및 냉장실주덕트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냉동실증발기 및 상기 냉장실증발기에서 각각 생성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한편,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상기 복귀구를 통해 복귀되게 하는 냉동실팬 및 냉장실팬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된 보조저장실과; 상기 냉동실주덕트와 상기 냉장실주덕트 중 어느 하나에서 분기되어 해당 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보조저장실로 공급하는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냉기를 해당 주덕트로 복귀시키는 보조복귀덕트와; 상기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보조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주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냉장실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실온도감지부와;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하는 냉장실팬구동부와; 상기 냉장실주덕트와 연통된 보조공급덕트와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보조댐퍼 및 상기 냉장실댐퍼를 각각 구동하는 보조댐퍼구동부 및 냉장실댐퍼구동부와; 상기 냉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냉장실온도가 냉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냉장실팬구동부, 상기 냉장실댐퍼구동부,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댐퍼를 폐쇄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저장실이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냉장실댐퍼구동부,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실온도감지부 및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각각 감지된 냉장실온도 및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냉장실설정온도 및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 순으로 냉각운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냉장실온도가 상기 냉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고,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 및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냉장실팬구동부, 상기 냉장실댐퍼구동부 및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실,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의 냉각운전이 완료되어 제상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냉장실팬구동부, 상기 냉장실댐퍼구동부,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와; 상기 냉동실팬을 구동하는 냉동실팬구동부와; 상기 냉동실주덕트와 연통된 보조공급덕트와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보조댐퍼를 구동하는 보조댐퍼구동부와;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동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저장실이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냉동실팬구동부,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하는 냉장실팬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실,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의 냉각운전이 완료되어 제상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하도록 상기 냉장실팬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냉동실 및 냉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과 각각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와 복귀구를 갖는 냉동실주덕트 및 냉장실주덕트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냉동실증발기 및 상기 냉장실증발기에서 각각 생성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한편,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상기 복귀구를 통해 복귀되게 하는 냉동실팬 및 냉장실팬을 갖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보조저장실을 마련하고, 상기 냉동실주덕트와 상기 냉장실주덕트 중 어느 하나에서 분기되어 해당 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보조저장실로 공급하는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냉기를 해당 주덕트로 복귀시키는 보조복귀덕트와, 상기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보조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보조댐퍼를 미리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보조댐퍼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가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주덕트에, 상기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냉장실댐퍼를 미리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냉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냉장실온도가 냉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냉장실주덕트와 연통된 보조공급덕트와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보조댐퍼를 폐쇄시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댐퍼를 폐쇄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저장실이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된 냉장실온도 및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냉장실설정온도 및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 순으로 냉각운전을 제어한다.
그리고, 감지된 냉장실온도가 상기 냉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고,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 및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동실,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의 냉각운전이 완료되어 제상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동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동실주덕트와 연통된 보조공급덕트와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보조댐퍼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저장실이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전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좌측의 냉동실(5)과 우측의 냉장실(7)을 형성하는 본체(3)와, 본체(3)의 냉동실(5) 및 냉장실(7) 후벽면 내에 각각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와 복귀구를 갖는 냉동실주덕트(10) 및 냉장실주덕트(14)와, 냉동실주덕트(10) 및 냉장실주덕트(14) 내에 각각 설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실증발기(미도시) 및 냉장실증발기(미도시)와,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5) 및 냉장실(7)로 각각 송풍하는 한편, 냉동실(5) 및 냉장실(7) 내의 냉기를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로 각각 복귀하도록 하는 냉동실팬(12) 및 냉장실팬(16)과, 냉장실주덕트(14)의 선단부에 마련된 냉장실댐퍼(18)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냉동실(5)과 냉장실(7) 하단에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보조저장실(9)과, 냉장실주덕트(14)에서 분기되어 냉장실팬(16)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보조저장실(9)로 공급하는 보조공급덕트(20)와, 보조저장실(9) 내의 냉기를 냉장실주덕트(14) 내의 냉장실증발기로 복귀시키는 보조복귀덕트(24)와, 보조공급덕트(20)와 보조복귀덕트(24)에 각각 마련된 보조댐퍼(26)를 포함한다.
여기서, 냉장실댐퍼(18) 및 보조댐퍼(26)는 냉장실(7) 및 보조저장실(9)로 각각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개략적인 전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서는 보조공급덕트(20)와 보조복귀덕트(24)에 각각 보조댐퍼(26)가 마련되어 있으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서는 보조복귀덕트(24)에만 보조댐퍼(26)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공급덕트(20)를 통해 냉기가 공급되어도 보조댐퍼(26)가 폐쇄상태이면, 냉기가 냉장실증발기로 복귀되지 않아 순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저장실(9)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보조저장실(9)로 냉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보조공급덕트(20)에만 보조댐퍼(26)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개략적인 전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동실(5)과 냉장실(7) 하단에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보조저장실(9)과, 냉동실주덕트(10)에서 분기되어 냉동실팬(12)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보조저장실(9)로 공급하는 보조공급덕트(20)와, 보조저장실(9) 내의 냉기를 냉동실주덕트(10) 내의 냉동실증발기로 복귀시키는 보조복귀덕트(24)와, 보조공급덕트(20)와 보조복귀덕트(24)에 각각 마련된 보조댐퍼(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보조공급덕트(20), 보조복귀덕트(24) 및 보조댐퍼(26)가 냉동실(5)에 마련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여기서, 보조댐퍼(26)가 보조공급덕트(20)와 보조복귀덕트(24)에 모두 마련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보조댐퍼(26)는 보조공급덕트(20)와 보조복귀덕트(24)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1)는, 냉장실(7), 냉동실(5), 보조저장실(9) 내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냉장실온도감지부(32), 냉동실온도감지부(34),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와, 압축기(38)를 구동하는 압축기구동부(40)와, 냉장실팬(16) 및 냉동실팬(12)을 각각 구동하는 냉장실팬구동부(42) 및 냉동실팬구동부(44)와, 냉장실댐퍼(18) 및 보조댐퍼(26)를 각각 구동하는 냉장실댐퍼구동부(46) 및 보조댐퍼구동부(48)와, 각 실의 온도감지부(32, 34, 36)의 감지결과에 따라 압축기구동부(40), 냉장실팬구동부(42) 및 냉동실팬구동부(44), 냉장실댐퍼구동부(46) 및 보조댐퍼구동부(48)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제어부(50)는 냉동실온도감지부(34), 냉장실온도감지부(32),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를 통해 감지된 각 실의 온도에 따라 각 실이 냉각운전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제어부(50)는 냉동실온도감지부(34)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 온도와 냉동실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압축기(38) 및 냉동실팬(12)을 구동하도록 압축기구동부(40) 및 냉동실팬구동부(44)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50)는 냉장실온도감지부(32)를 통해 감지된 냉장실 온도와 냉장실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감지된 냉장실 온도가 냉장실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압축기(38) 및 냉장실팬(16)을 구동하도록 압축기구동부(40) 및 냉장실팬구동부(42)를 제어한다. 또한, 냉장실댐퍼(18)를 개방시키고 보조댐퍼(26)를 폐쇄시키도록 냉장실댐퍼구동부(46) 및 보조댐퍼구동부(48)를 제어하여, 냉장실(7)이 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냉장실(7)이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고, 감지된 보조저장실 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냉장실댐퍼구동부(46) 및 보조댐퍼구동부(48)를 제어하여 냉장실댐퍼(18)를 폐쇄 및 보조댐퍼(26)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이에, 냉장실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보조공급덕트(20)를 통해 보조저장실(9)로 공급되고, 보조저장실(9) 내의 냉기가 보조복귀덕트(24)를 통해 냉장실증발기로 복귀된다. 따라서, 냉장실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의해 보조저장실(9)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냉장실팬(16)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냉장실팬구동부(42)를 제어하고, 냉장실댐퍼(18) 및 보조댐퍼(26)를 폐쇄시키도록 냉장실댐퍼구동부(46) 및 보조댐퍼구동부(48)를 제어하여, 보조저장실(9)로의 냉기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부(50)는 보조저장실 온도가 만족된 후, 냉동실온도감지부(34)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냉동실 온도가 만족된 경우, 압축기(38) 및 냉동실팬(12)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압축기구동부(40) 및 냉동실팬구동부(44)를 제어하여, 냉각운전을 종료한다.
냉각운전이 종료된 다음, 소정 시간 동안은 자연제상을 수행한다. 자연제상은 압축기(38)의 구동이 정지된 다음에도 소정시간 동안 냉장실팬(16)을 구동시키고, 냉장실댐퍼(18)를 개방시키고, 보조댐퍼(26)를 폐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자연제상에 의해, 압축기(38)의 구동이 정지된 다음에도 냉장실증발기에 남아있는 잔여냉기가 냉장실(7)에 공급되어 냉각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제상히터(미도시)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어느 정도의 제상이 행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7), 냉동실(5), 보조저장실(9) 내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냉장실온도감지부(32), 냉동실온도감지부(34),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와, 압축기(38)를 구동하는 압축기구동부(40)와, 냉장실팬(16) 및 냉동실팬(12)을 각각 구동하는 냉장실팬구동부(42) 및 냉동실팬구동부(44)와, 보조댐퍼(26)를 구동하는 보조댐퍼구동부(48)와, 각 실의 온도감지부(32, 34, 36)의 감지결과에 따라 압축기구동부(40), 냉장실팬구동부(42), 냉동실팬구동부(44), 보조댐퍼구동부(48)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제어부(50)는 냉동실온도감지부(34), 냉장실온도감지부(32),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를 통해 감지된 각 실의 온도에 따라 각 실이 냉각운전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결과에 따라 냉동실(5) 및 냉장실(7)을 각각 독립적으로 냉각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50)는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보조댐퍼구동부(48)를 제어하여 보조댐퍼(26)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이에, 냉동실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보조공급덕트(20)를 통해 보조저장실(9)로 공급되고, 보조저장실(9) 내의 냉기가 보조복귀덕트(24)를 통해 냉동실증발기로 복귀된다. 따라서, 냉동실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에 의해 보조저장실(9)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조댐퍼(26)를 폐쇄시키도록 보조댐퍼구동부(48)를 제어하여, 보조저장실(9)로의 냉기 공급을 차단한다.
여기서, 보조저장실(9)의 온도 제어를 냉동실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였는데, 보조저장실(9)은 냉동실(5)에 비해 내부 부피가 작기 때문에 보조저장실(9)의 온도가 먼저 만족하게 된다.
냉각운전이 종료된 다음, 소정 시간 동안은 자연제상을 수행한다. 자연제상은 압축기(38)의 구동이 정지된 다음에도 소정시간 동안 냉장실팬(16)을 구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자연제상에 의해, 압축기(38)의 구동이 정지된 다음에도 냉장실증발기에 남아있는 잔여냉기가 냉장실(7)에 공급되어 냉각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제상히터(미도시)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어느 정도의 제상이 행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서 냉동실(5), 냉장실(7), 보조저장실(9)이 모두 냉각운전이 필요한 경우의 각 구성요소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38) 및 냉동실팬(12)은 냉장실(7), 보조저장실(9), 냉동실(5)이 모두 설정온도를 만족하여 냉각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구동되며, 냉장실팬(16)은 냉장실(7)과 보조저장실(9)을 냉각하는 동안과 자연제상구간에 구동된다.
그리고, 냉장실댐퍼(18)는 냉장실(7) 냉각시와 자연제상구간에 개방되며, 보조댐퍼(26)는 보조저장실(9) 냉각시 개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냉동실(5), 냉장실(7), 보조저장실(9)이 모두 냉각운전이 필요한 경우의 각 구성요소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38) 및 냉동실팬(12)은 냉장실(7), 보조저장실(9), 냉동실(5)이 모두 설정온도를 만족하여 냉각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구동되며, 냉장실팬(16)은 냉장실(7)을 냉각하는 동안과 자연제상구간에 구동된다. 그리고, 보조댐퍼(26)는 보조저장실(9) 냉각시 개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냉장고(1)를 운전하기 위해 전원이 온 되면, 제어부(50)는 기저장된 운전프로그램에 따라 냉각운전에 대한 각 부의 구동상태를 초기화하게 되는데, 냉장실댐퍼(18)와 보조댐퍼(26)는 폐쇄되고 압축기(38)와 냉장실팬(16) 및 냉동실팬(12)은 정지된 상태가 된다(S10).
그리고, 제어부(50)는 냉장실온도감지부(32), 냉동실온도감지부(34) 및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를 통해 냉장실온도, 냉동실온도 및 보조저장실온도를 각각 감지한다(S12).
제어부(50)는 감지된 냉장실온도, 냉동실온도 및 보조저장실온도를 냉장실설정온도, 냉동실설정온도 및 보조저장실설정온도와 각각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실이 냉각운전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한다(S14).
냉장실온도가 냉장실설정온도보다 높아 냉장실(7)에 대한 냉각운전요구가 있거나, 냉동실온도가 냉동실설정온도보다 높아 냉동실(5)에 대한 냉각운전요구가 있거나,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아 보조저장실(9)에 대한 냉각운전요구가 있는 경우에 냉각운전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본 제어흐름도에서는 냉장실(7), 냉동실(5), 보조저장실(9)이 모두 냉각운전이 요구되는 경우에 S16단계로 진행되며, 모든 냉각운전이 완료되어 냉각운전이 요구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S32단계로 진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음을 명시하는 바이며, 냉장실(7) 또는 보조저장실(9)만이 냉각운전을 필요로 하거나, 냉동실(5)만이 냉각운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도시하지 않았다.
물론, S14단계에서 냉장실(7) 또는 보조저장실(9)이 냉각운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38)와 냉장실팬(16)을 구동하도록 하고, S14단계에서 냉동실(5)이 냉각운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38)와 냉동실팬(12)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0)는 판단결과, 냉장실(7), 냉동실(5), 보조저장실(9)이 모두 냉각운전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38), 냉장실팬(16), 냉동실팬(12)을 구동하도록 압축기구동부(40), 냉장실팬구동부(42), 냉동실팬구동부(44)를 제어한다(S16).
그리고, 제어부(50)는 냉장실팬(16)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냉기가 냉장실(7)을 순환한 후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하여 냉장실(7)에 대한 냉각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초기화동작에서 폐쇄된 보조댐퍼(26)는 계속 폐쇄시키는 반면, 초기화동작에서 폐쇄된 냉장실댐퍼(18)는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S18).
제어부(50)는 냉장실온도감지부(32)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냉장실(7)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냉장실댐퍼(18)를 폐쇄시키고, 보조댐퍼(26)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여 보조저장실(9)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0, S22).
만약,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9)온도가 보조저장실(9)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냉장실팬(16)을 정지시키고, 냉장실댐퍼(18) 및 보조댐퍼(26)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한다(S24, S26).
그리고, 제어부(50)는 독립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진 냉동실온도가 냉동실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S28). 판단결과, 냉동실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38) 및 냉동실팬(12)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여, 냉각운전을 종료한다(S30).
또한, 제어부(50)는 냉각운전이 종료되면, 소정 시간 동안 냉장실팬(16)을 구동시키고(S32), 냉장실댐퍼(18)를 개방하고 보조댐퍼(26)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여 자연제상을 수행한다(S34).
그리고, S14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냉장실(7), 냉동실(5), 보조저장실(9)이 모두 냉각운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S32 및 S34 단계를 수행한다.
자연제상을 수행하고 난 후에는, S12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현재 독립냉각방식의 냉장실증발기는 냉동실증발기의 1/3 정도의 크기이나, 본 발명에 따른 냉장실증발기는 냉장실(7) 및 보조저장실(9)을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므로 그 크기가 냉동실증발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 되어야 바람직하다.
이는, 또한 보조저장실보다 냉동실온도가 먼저 만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냉장고(1)를 운전하기 위해 전원이 온 되면, 제어부(50)는 기저장된 운전프로그램에 따라 냉각운전에 대한 각 부의 구동상태를 초기화하게 되는데, 보조댐퍼(26)는 폐쇄되고 압축기(38)와 냉장실팬(16) 및 냉동실팬(12)은 정지된 상태가 된다(S40).
그리고, 제어부(50)는 냉장실온도감지부(32), 냉동실온도감지부(34) 및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를 통해 냉장실온도, 냉동실온도 및 보조저장실온도를 각각 감지한다(S42).
제어부(50)는 감지된 냉장실온도, 냉동실온도 및 보조저장실온도를 냉장실설정온도, 냉동실설정온도 및 보조저장실설정온도와 각각 비교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저장실이 냉각운전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한다(S44).
냉장실온도가 냉장실설정온도보다 높아 냉장실(7)에 대한 냉각운전요구가 있거나, 냉동실온도가 냉동실설정온도보다 높아 냉동실(5)에 대한 냉각운전요구가 있거나,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아 보조저장실(9)에 대한 냉각운전요구가 있는 경우에 냉각운전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본 제어흐름도에서는 냉장실(7), 냉동실(5), 보조저장실(9)이 모두 냉각운전이 요구되는 경우에 S46단계로 진행되며, 모든 냉각운전이 완료되어 냉각운전이 요구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S62단계로 진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음을 명시하는 바이며, 냉장실(7) 또는 보조저장실(9)만이 냉각운전을 필요로 하거나, 냉동실(5)만이 냉각운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도시하지 않았다.
제어부(50)는 판단결과, 냉장실(7), 냉동실(5), 보조저장실(9)이 모두 냉각운전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38), 냉장실팬(16), 냉동실팬(12)을 구동하도록 압축기구동부(40), 냉장실팬구동부(42), 냉동실팬구동부(44)를 제어한다(S46).
그리고, 제어부(50)는 냉동실팬(12)에 의해 냉동실(5)을 순환하는 냉기가 보조저장실(9)에도 공급되도록 초기화동작에서 폐쇄된 보조댐퍼(26)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S48). 이에, 보조저장실(9)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제어부(50)는 냉장실온도감지부(32)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냉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냉장실팬(16)을 정지시키도록 냉장실팬구동부(42)를 제어한다(S50, S52).
그리고, 제어부(50)는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36)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댐퍼(26)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한다(S54, S56). 여기서, 물론 S50, S52와 S54, S56단계는 그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독립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진 냉동실온도가 냉동실설정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한다(S58). 판단결과, 냉동실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38) 및 냉동실팬(12)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여, 냉각운전을 종료한다(S60).
또한, 제어부(50)는 냉각운전이 종료되면, 소정 시간 동안 냉장실팬(16)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여 자연제상을 수행한다(S62).
그리고, S44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냉장실(7), 냉동실(5), 보조저장실(9)이 모두 냉각운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S62 단계를 수행한다.
자연제상을 수행하고 난 후에는, S42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냉동실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에 의해 냉동실과 보조저장실 온도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독립냉각방식의 냉동실증발기에 비해 그 크기가 증가된 냉동실증발기를 사용하여야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실주덕트와 냉장실주덕트 중 어느 하나에서 분기되어 해당 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보조저장실로 공급하는 보조공급덕트와, 보조저장실 내의 냉기를 해당 주덕트로 복귀시키는 보조복귀덕트와, 보조공급덕트와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보조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보조댐퍼를 포함함으로써, 보조저장실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저장실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각사이클 동안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각사이클 동안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3 : 본체
5 : 냉동실 7 : 냉장실
9 : 보조저장실 10 : 냉동실주덕트
12 : 냉동실팬 14 : 냉장실주덕트
16 : 냉장실팬 18 : 냉장실댐퍼
20 : 보조공급덕트 24 : 보조복귀덕트
26 : 보조댐퍼 32 : 냉장실온도감지부
34 : 냉동실온도감지부 36 :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
38 : 압축기 40 : 압축기구동부
42 : 냉장실팬구동부 44 : 냉동실팬구동부
46 : 냉장실댐퍼구동부 48 : 보조댐퍼구동부
50 : 제어부

Claims (17)

  1. 냉동실 및 냉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과 각각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와 복귀구를 갖는 냉동실주덕트 및 냉장실주덕트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냉동실증발기 및 상기 냉장실증발기에서 각각 생성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한편,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상기 복귀구를 통해 복귀되게 하는 냉동실팬 및 냉장실팬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된 보조저장실과;
    상기 냉동실주덕트와 상기 냉장실주덕트 중 어느 하나에서 분기되어 해당 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보조저장실로 공급하는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냉기를 해당 주덕트로 복귀시키는 보조복귀덕트와;
    상기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보조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주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냉장실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장실온도감지부와;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하는 냉장실팬구동부와;
    상기 냉장실주덕트와 연통된 보조공급덕트와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보조댐퍼 및 상기 냉장실댐퍼를 각각 구동하는 보조댐퍼구동부 및 냉장실댐퍼구동부와;
    상기 냉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냉장실온도가 냉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냉장실팬구동부, 상기 냉장실댐퍼구동부,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댐퍼를 폐쇄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저장실이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냉장실댐퍼구동부,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실온도감지부 및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각각 감지된 냉장실온도 및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냉장실설정온도 및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 순으로 냉각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냉장실온도가 상기 냉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고,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 및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냉장실팬구동부, 상기 냉장실댐퍼구동부 및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실,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의 냉각운전이 완료되어 제상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냉장실팬구동부, 상기 냉장실댐퍼구동부,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와;
    상기 냉동실팬을 구동하는 냉동실팬구동부와;
    상기 냉동실주덕트와 연통된 보조공급덕트와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보조댐퍼를 구동하는 보조댐퍼구동부와;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동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저장실이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냉동실팬구동부,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실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보조댐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하는 냉장실팬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동실,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의 냉각운전이 완료되어 제상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하도록 상기 냉장실팬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냉동실 및 냉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과 각각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와 복귀구를 갖는 냉동실주덕트 및 냉장실주덕트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와, 상기 냉동실주덕트 및 상기 냉장실주덕트 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냉동실증발기 및 상기 냉장실증발기에서 각각 생성된 냉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게 하는 한편,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상기 복귀구를 통해 복귀되게 하는 냉동실팬 및 냉장실팬을 갖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보조저장실을 마련하고, 상기 냉동실주덕트와 상기 냉장실주덕트 중 어느 하나에서 분기되어 해당 팬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를 상기 보조저장실로 공급하는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냉기를 해당 주덕트로 복귀시키는 보조복귀덕트와, 상기 보조공급덕트와 상기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보조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보조댐퍼를 미리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보조댐퍼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저장실 내의 온도가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주덕트에, 상기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냉장실댐퍼를 미리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냉장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냉장실온도가 냉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냉장실주덕트와 연통된 보조공급덕트와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보조댐퍼를 폐쇄시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댐퍼를 폐쇄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저장실이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감지된 냉장실온도 및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냉장실설정온도 및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 순으로 냉각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감지된 냉장실온도가 상기 냉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고,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냉장실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 및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상기 냉장실, 상기 보조저장실의 냉각운전이 완료되어 제상구간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냉장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장실댐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보조댐퍼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감지된 보조저장실온도가 보조저장실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동실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냉동실주덕트와 연통된 보조공급덕트와 보조복귀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보조댐퍼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저장실이 상기 보조저장실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030090283A 2003-12-11 2003-12-11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54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283A KR100549073B1 (ko) 2003-12-11 2003-12-11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0/972,539 US20050126207A1 (en) 2003-12-11 2004-10-26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04106337A EP1541945A3 (en) 2003-12-11 2004-12-06 A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283A KR100549073B1 (ko) 2003-12-11 2003-12-11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040A true KR20050058040A (ko) 2005-06-16
KR100549073B1 KR100549073B1 (ko) 2006-02-06

Family

ID=3451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283A KR100549073B1 (ko) 2003-12-11 2003-12-11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126207A1 (ko)
EP (1) EP1541945A3 (ko)
KR (1) KR1005490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428B1 (ko) * 2004-08-13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768851B1 (ko) * 2006-05-19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774003B1 (ko) * 2007-02-12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257516B1 (ko) * 2007-01-02 2013-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009850A (ko) * 2012-07-13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746005B2 (en) 2007-01-02 2014-06-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273067B2 (en) * 2005-07-29 2009-10-22 Lg Electronics Inc. A cool air supply structure of storage receptacle for refrigerator
US7665320B2 (en) * 2005-11-30 2010-02-23 General Electric Company Damper assembly and methods for a refrigeration device
KR100811488B1 (ko) * 2006-05-19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761357B1 (ko) * 2006-07-21 2007-09-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온도 전환실을 갖는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및 이의제어방법
US20080271475A1 (en) * 2007-01-29 2008-11-06 Wuesthoff Edward P Refrigerator having compartment capable of converting between refrigeration and freezing temperatures
KR100861283B1 (ko) * 2007-03-31 200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DE102009029124B4 (de) * 2009-09-02 2019-11-28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Luftstromteiler
CN101886867B (zh) * 2010-07-16 2011-08-10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回风管道及具有该回风管道的冰箱
US9733008B2 (en) 2013-03-13 2017-08-15 Whirlpool Corporation Air flow design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CN103673483B (zh) * 2013-11-22 2015-11-18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风冷冰箱的湿膜加湿系统
CN103673463B (zh) * 2013-12-27 2016-08-1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整体式送风回风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风冷冰箱
US20160076807A1 (en) * 2014-09-17 2016-03-17 Brent Thomas McMahon Personal Beverage Processing Apparatus
CN104807279B (zh) * 2015-04-29 2019-01-1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冷冻冷藏装置及其除霜控制方法
EP3538826B1 (en) 2016-12-15 2022-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JP6803217B2 (ja) * 2016-12-15 2020-12-23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冷蔵庫
KR102627719B1 (ko) * 2019-03-07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1692797A (zh) * 2019-03-11 2020-09-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风冷冰箱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521B1 (ko) * 1990-10-15 1998-04-08 강진구 김치발효 및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US5201888A (en) * 1991-11-14 1993-04-13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or/freezer combinations
US5231847A (en) * 1992-08-14 1993-08-03 Whirlpool Corporation Multi-temperature evaporator refrigerator system with variable speed compressor
KR0140460B1 (ko) * 1994-04-04 1998-07-01 김광호 냉장고의 냉기공급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2533B1 (ko) * 1994-11-15 1999-05-01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KR0170695B1 (ko) * 1994-11-15 1999-03-20 윤종용 냉장고 및 유전자 알고리즘-퍼지 추론을 적용한 그 온도 제어장치와 방법
KR0170878B1 (ko) * 1995-11-23 1999-03-20 윤종용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0165039B1 (ko) * 1996-07-30 199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냉장고
KR100197697B1 (ko) * 1996-08-12 1999-06-15 윤종용 냉장실의 내기온도 상승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533257B1 (ko) * 1998-12-24 2006-02-1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병립형 냉장고의 싱싱고 온도 제어 방법
JP3930206B2 (ja) * 1999-08-06 2007-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冷蔵庫の冷気循環方法
TW507061B (en) * 2000-05-22 2002-10-21 Matsushita Refrigeration Corp Refrigerator
US7056476B2 (en) * 2000-06-15 2006-06-06 Kabushiki Kaisha Toshiba Refrigerator and deodorizer producing ozone by high-voltage discharge
WO2002065035A1 (en) * 2001-02-15 2002-08-22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storage system for refrigerator
US6739146B1 (en) * 2003-03-12 2004-05-25 Maytag Corporation Adaptive defrost control for a refriger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428B1 (ko) * 2004-08-13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768851B1 (ko) * 2006-05-19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257516B1 (ko) * 2007-01-02 2013-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746005B2 (en) 2007-01-02 2014-06-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774003B1 (ko) * 2007-02-12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009850A (ko) * 2012-07-13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1945A3 (en) 2005-09-07
KR100549073B1 (ko) 2006-02-06
EP1541945A2 (en) 2005-06-15
US20050126207A1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07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5043938B2 (ja) 冷気循環装置を有する冷蔵庫及び冷気循環の制御方法
US6725678B2 (en) Refrigerator with multipurpose storage cha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08039B2 (en) Cooling storage cabine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09004625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H10318649A (ja) 蒸発器と冷却室との間の空気の流動を防止するための遮断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2010005944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613506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73301A (ko) 멀티 덕트 어셈블리 및 멀티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그리고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H11311473A (ja) 冷蔵庫の制御方法
KR10052660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제어 방법
KR20010037545A (ko) 냉장고의 제상주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1450A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KR0136054Y1 (ko) 냉장고의 냉기조절장치
KR20080076269A (ko) 냉장고
KR100913142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JP7478541B2 (ja) 冷蔵庫
KR100615785B1 (ko) 냉장고
KR100377748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774003B1 (ko) 냉장고
JP2007120913A (ja) 冷蔵庫
KR20030057790A (ko) 다수의 직냉 및 간냉 겸용 분리실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및그 제어방법
KR100498385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20210089531A (ko) 냉장고
KR0159696B1 (ko) 에어커튼구조를 갖춘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