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915A -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915A
KR20050057915A KR1020030090132A KR20030090132A KR20050057915A KR 20050057915 A KR20050057915 A KR 20050057915A KR 1020030090132 A KR1020030090132 A KR 1020030090132A KR 20030090132 A KR20030090132 A KR 20030090132A KR 20050057915 A KR20050057915 A KR 20050057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ust
vacuum cleaner
chamber cover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932B1 (ko
Inventor
하건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932B1/ko
Publication of KR20050057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버튼 및 코드릴버튼에 걸림부재를 형성하여 힌지리브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는, 공기중의 이물이 집진되는 집진실과, 상기 집진실을 개폐하는 집진실커버(120)와,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일면에는 상기 집진실커버(120)의 개방시 버튼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부재(S', C')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은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전원버튼(S)과, 전선을 코드릴에 감기게 하는 코드릴버튼(C)이며, 상기 걸림부재(S', C')는 상기 버튼의 상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집진실커버(120)의 개방시 힌지리브(185)의 상면과 접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실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전원버튼 및 코드릴버튼이 하방으로 놀러지지 않아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 Locking assembly of button in vacuum cleaner }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버튼 및 코드릴버튼의 걸림부재가 집진실커버 후단의 힌지리브와 각각 서로 대응하여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서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흡입노즐을 통해 청소면의 이물질등을 강제 흡입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구로, 근래에는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 보급되어 있고, 특히 양탄자나 쇼파 청소의 필요성으로 강력한 흡입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에는 비교적 강한 흡입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된 본체(2)와, 상기 본체(2)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연결호스(4), 상기 연결호스(4)와 연결되고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장관(6), 그리고, 상기 연장관(6)의 단부에 결합되어 바닥면과 닿아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하측에는 한쌍의 이동바퀴(2a)가 설치되어 있어, 청소기 본체(2)를 원하는 부분으로 이끌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상면 후방에는 전원버튼(S)과 코드릴버튼(C)이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은 아래에서 설명할 배기커버(3a)의 양측면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배기커버(3a)의 양측으로 상기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이 필요할 때마다 부드럽게 하방으로 누룰 수 있도록, 상기 배기커버(3a)의 양측면과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의 측면이 접하여 슬라이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원버튼(S)과 코드릴버튼(C) 사이에는 배기부(3)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부(3) 상면에는 다수개의 배기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배기커버(3a)가 설치되며, 상기 배기커버(3a)의 내측에는 배기필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로 청소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노즐(8)은 피청소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렇게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상기 연장관(6) 및 연결호스(4)를 통하여 상기 본체(2)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2) 내부 또는 후면에서는 필터링장치에 의하여 이물질은 필터링되어 일측에 모이게 되고, 정화된 공기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경유하면서 방열시킨 후 외부로 배기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2) 내부의 팬모터를 통과한 오염된 공기는 진공청소기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배기필터에서 최종적으로 걸러진 후 상기 배기공을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중에 다른 장소로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연결호스(4)에 형성된 호스손잡이(4a)를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동할 장소가 평면 바닥이 아닌 문턱이나 계단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2)의 전방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된 본체손잡이(2b)를 잡은 다음 청소기를 들어 이동시킨다.
상기 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되면, 진공청소기 내부로 흡입된 이물질 등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집진실(13) 내부에 결합된 집진주머니(14a)로 모이게 된다. 상기 집진주머니(14a)로 가득 모인 이물질 등은 집진실커버(12) 상면에 구비된 먼지지시기(도시되지 않음)의 상태를 살펴 사용자가 상기 집진실커버(12)를 열고 집진주머니(14a)를 비우게 된다.
상기 집진실커버(12)의 개방은, 집진실커버(12) 선단부 전면에 걸림돌기(도시되지 않음)와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 집진실커버버튼(12a)을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진실커버(12)가 바디베이스(15) 상단에서 벗어나게 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집진실커버버튼(12a)의 작용으로 상기 바디베이스(15)로부터 벗어난 상태의 집진실커버(1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집진실(13)이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집진주머니(14a)는 집진실(13) 내부에 설치되는 집진어셈블리(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실커버(12)를 개방시켜 상기 집진어셈블리(14)를 고정하고 지지하도록, 상기 집진실(13)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마운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상기 집진어셈블리(14)를 분리해서 집진주머니(14a)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실커버(12)는 집진실커버(12)의 후단이 상기 본체(2)의 상면과 힌지(16)로 결합되어 상하로 개폐된다. 상기 힌지(16)는 집진실커버(12)의 이러한 상하 회동 외에, 상기 집진실커버(12)가 개방되었을 때 집진실커버(12)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2)의 상면 후방의 상기 전원버튼(S)은, 외부 전원이 본체(2)에 내장된 팬모터(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되도록 온/오프(ON/OFF)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코드릴버튼(C)은 본체(2) 내부의 코드릴(도시되지 않음)에서 풀어진 전선을 되감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에 버튼잠금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가 어느 때라도 상기 버튼들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실커버(12)를 개방하여 집진주머니(14a)를 비울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버튼들이 작동되어 전원플러그가 꽂힌 상태의 전선이 단선되거나, 감전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버튼 및 코드릴버튼의 걸림부재가 집진실커버 후단의 힌지리브와 각각 대응하여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는, 공기중의 이물이 집진되는 집진실과, 상기 집진실을 개폐하는 집진실커버와,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일면에는 상기 집진실커버의 개방시 버튼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은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전원버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은 전선을 코드릴에 감기게 하는 코드릴버튼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버튼의 상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집진실커버의 개방시 힌지리브의 상면과 접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에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이 사용자의 부주의로 집진실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작동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버튼잠금장치가 적용된 진공청소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청소기 본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집진실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부분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본체(100)와, 피청소면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흡입노즐(200)과, 상기 흡입노즐(200)의 일단에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관(300), 그리고 상기 연장관(300)의 일단과 상기 본체(100)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호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노즐(200)에는 실내의 바닥 등을 청소할 경우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소형의 바퀴(도시되지 않음) 등이 설치되기도 하며, 저면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공기흡입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300)은 사용자가 상기 연결호스(400)에 형성된 손잡이(404)를 손으로 잡고 서서 청소를 할 경우, 사용자의 키높이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호스(4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호스결합부(124)에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호스(400)의 일단에는 본체결합부(40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404)가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부는 바디베이스(110)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바디베이스(110)의 상면 전반부에는 피청소면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집진되는 집진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집진실에는 먼지 등이 모이는 집진주머니(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집진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된다.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전방 선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본체손잡이(11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손잡이(112)는 본체(100)를 장거리 이동시키거나, 상기 본체(100)를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후단부에는 한쌍의 이동바퀴(114)가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하면이 바닥면을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전반부 중앙 하면에는 회전가능한 회전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의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상측에는 집진실커버(120)가 형성되며, 이러한 집진실커버(120)의 후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 즉 아래에서 설명할 컨트롤커버(180)의 하방에 힌지(183)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실커버(120)는 그 선단부가 상하로 회동하면서 상기 집진실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힌지(183)는 상기 집진실커버(120) 후단으로부터 돌출 성형된 힌지리브(185)와 상기 본체(10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트롤커버(180) 하방에 형성되는 힌지축(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리브(185)는 상기 힌지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성형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힌지리브가이드홈(184)으로 이동되게 대략 직각(측방에서 보았을 때) 형상으로 그 중앙부가 절곡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리브(185)의 단부는, 대략 원형 돌기 형상의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집진실커버(120)가 원활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축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진실커버(120)의 선단부에는 커버버튼(122)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베이스(110) 선단부 상면에는 이러한 커버버튼(122)이 걸어져 고정되는 버튼걸이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실커버(120)의 상면, 대략 선단부 중앙부분에는 상기 연결호스(400)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호스결합부(1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호스결합부(124)는 상기 연결호스(400)의 일단에 형성되는 본체결합부(402)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호스결합부(124)의 중앙에는 상기 집진실커버(120)를 상하로 관통하는 공기흡입공(126)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호스(4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공(126)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집진실의 후방에는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등의 부품이 내장되고, 이러한 다수의 부품은 바디커버(160)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바디커버(160)의 좌우측에는 전원버튼(S)과 코드릴버튼(C)이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바디커버(160)의 우측(정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상기 본체(100)로 유입되는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키는 전원버튼(S)이 설치되고, 좌측에는 파워코드(P)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릴버튼(C)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버튼 하방에는 압축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되어 상기 각 버튼의 상하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며, 이러한 각 버튼은 그 외주면이 상기 본체(100)의 외연에 부합되도록 일정 각도로 라운드지게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의 측방, 즉 각 버튼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버튼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측방돌출높이를 형성하는 걸림부재(S', C')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의 누름 동작시 상기 힌지리브(185)의 상면에 상기 걸림부재(S', C')가 걸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버커(160)의 전방에는 상기 힌지리브(185)를 힌지(183)로 안내하는 힌지리브가이드홈(184)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리브가이드홈(184)은 상기 힌지리브(185)의 절곡부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방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183)로 안내될 수 있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사각 형상의 홈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커버(160)의 상면 중앙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원버튼(S)과 코드릴버튼(C)의 사이에는 컨트롤커버(18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커버(180)의 상면은 상기 배기커버(174)의 전방부와 대응되게 원형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컨트롤커버(180)에는 진공청소기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182)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버튼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버튼잠금장치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파워코드(P)를 통한 전원의 인가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팬모터의 회전에 의해 흡입력이 생성되어 상기 흡입노즐(20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흡입노즐(20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때에는 실내 바닥면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함께 흡입되며, 이러한 이물질을 함유한 공기는 상기 연장관(300) 및 연결호스(400)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집진실(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집진주머니(도시되지 않음)에 집진된다.
상기 집진실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바디커버(1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경유하면서 팬모터의 열을 방열시킨 후 상기 배기커버(174)의 배기그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진공청소기를 장시간 사용한 후에는 상기 집진주머니(도시되지 않음)에 쌓인 먼지 등이 가득차게 되면 집진효율이 급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내부에 장착된 상기 먼지지시기(도시되지 않음)의 상태를 살펴 먼지가 가득찬 상기 집진주머니를 비워줘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집진실커버(120) 선단부의 커버버튼(122)을 눌러 상기 집진실커버(120)을 개방시킨다. 상기 커버버튼(122)을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커버버튼(122)이 상기 바디베이스(110) 선단부 상면에 걸어져 고정되어 있는 버튼걸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상기 집진실커버(120)가 개방되어진다.
상기 집진실커버(120)를 개방시키면 집진공간인 상기 집진실(도시되지 않음)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실에 설치되어 집진주머니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집진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를 집진실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집진주머니에 가득찬 먼지 등을 비우면 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실커버(120)가 개방될 때, 집진실커버(120)의 후단부는 상기 본체(100) 상면과 힌지(183) 결합되어, 상기 집진주머니에 가득찬 먼지 등을 비울 때 상기 집진실커버(120)의 개방을 원활하게 한다. 즉, 상기 집진실커버(120) 후단에 성형된 힌지리브(185)와 상기 컨트롤커버(180) 하방에 형성된 힌지축(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집진실커버(1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집진실커버(120)가 개방되면, 집진실커버(120) 후단에 성형된 상기 힌지리브(185)가 상기 컨트롤커버(180)의 하방에 형성된 힌지리브가이드홈(184)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리브(185)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힌지리브(185)의 절곡부으로부터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는 힌지리브(185)의 상단면이 상기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 측방에 형성된 걸림부재(S', C')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집진실커버(12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을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걸림부재(S', C')의 하면과 대응되는 상기 힌지리브(185)의 상면이 맞닿아, 상기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이 하방으로 눌러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실커버(120)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진공청소기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거나 상기 집진주머니를 비우고자 할 때, 전원이 연결돼 있는 상태라도 전원과 관련된 버튼이 작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진주머니의 먼지 등을 제거하고, 이러한 집진주머니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집진어셈블리를 상기 집진실에 고정 설치된 필터마운트(도시되지 않음)에 재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방된 상태의 상기 집진실커버(120)의 선단부 상면을 사용자가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집진실커버(120)가 닫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집진실커버(12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이 하방으로 눌러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전원버튼(S) 및 코드릴버튼(C)에 한해서만 버튼장금장치를 설치하였으나, 전원과 연결되는 다른 버튼이나 기능이 중요한 버튼에도 상기 버튼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는, 전원버튼 및 코드릴버튼 측면에 측방으로 걸림부재를 형성하여 힌지리브와 접촉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실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전원버튼 및 코드릴버튼을 눌러도 상기 각 버튼이 조작되지 않아, 전원이 연결된 상태의 전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감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진공청소기의 작동중에 전원과 관련된 버튼들이 조작되지 않아 진공청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될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품구매욕이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 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진공청소기 본체의 집진실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버튼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버튼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 집진실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부분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바디베이스
112. ..... 본체손잡이 114. ..... 이동바퀴
120. ..... 집진실커버 122. ..... 커버버튼 124. ..... 호스결합부 126. ..... 공기흡입공 160. ..... 바디커버 174. ..... 배기커버 180. ..... 컨트롤커버 182. ..... 조작버튼
183. ..... 힌지 184. ..... 힌지리브가이드홈 185. ..... 힌지리브 200. ..... 흡입노즐 300. ..... 연장관 400. ..... 연결호스 404. ..... 손잡이 C. ..... 코드릴버튼 P. ..... 파워코드 S. ..... 전원버튼 C', S'. ..... 걸림부재

Claims (4)

  1. 공기중의 이물이 집진되는 집진실과, 상기 집진실을 개폐하는 집진실커버와,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일면에는 상기 집진실커버의 개방시 버튼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전원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전선을 코드릴에 감기게 하는 코드릴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버튼의 상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집진실커버의 개방시 힌지리브의 상면과 접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KR1020030090132A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KR10054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132A KR100548932B1 (ko)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132A KR100548932B1 (ko)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915A true KR20050057915A (ko) 2005-06-16
KR100548932B1 KR100548932B1 (ko) 2006-02-02

Family

ID=3725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132A KR100548932B1 (ko)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9350A (zh) * 2020-08-26 2020-10-30 追创科技(苏州)有限公司 尘杯及吸尘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9350A (zh) * 2020-08-26 2020-10-30 追创科技(苏州)有限公司 尘杯及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8932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7565B2 (ja)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US7600293B2 (en) Vacuum cleaner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6363571B1 (en) Convertible upright vacuum
EP1190660A2 (en) Versatile vacuum cleaner
US20060000052A1 (en) Suction nozzle height adjustment control circuit
US7462210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0548932B1 (ko)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KR100509057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101093887B1 (ko) 진공청소기
JP4753861B2 (ja) 縦型電気掃除機
KR100587095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US20060021187A1 (en) Vacuum cleaner and damper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200344844Y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장착구조
KR10056557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565578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20050057907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실커버 회동감속수단
KR200344840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고정구조
KR1009327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57800A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장치
KR20050042376A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장착구조
KR20060034401A (ko) 진공청소기의 핸들
KR20050042571A (ko) 진공청소기의 버튼
KR20060018713A (ko) 진공청소기의 핸들
KR20060009980A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