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914A -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914A
KR20050057914A KR1020030090131A KR20030090131A KR20050057914A KR 20050057914 A KR20050057914 A KR 20050057914A KR 1020030090131 A KR1020030090131 A KR 1020030090131A KR 20030090131 A KR20030090131 A KR 20030090131A KR 20050057914 A KR20050057914 A KR 20050057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main body
cover
vacuum clean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095B1 (ko
Inventor
윤현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0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5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필터안착부(172)에 안착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배기필터(170)와; 상기 배기필터(17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필터(170)가 필터안착부(17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카바(17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기필터(170) 및 배기카바(174)는, 상기 본체(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버튼(S)과, 풀어진 전선을 되감는 코드릴을 동작시키는 코드릴버튼(C)의 후방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A mounting structure of Exhaust filter in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2)와, 상기 본체(2)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연결호스(4), 상기 연결호스(4)와 연결되고 신축가능하게 구성되는 연장관(6), 그리고 상기 연장관(6)의 단부에 결합되어 바닥면과 닿아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하측에는 한쌍의 바퀴(2a)가 설치되어 있어서, 청소기 본체(2)를 원하는 부분으로 이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진공청소기를 구동시키면,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노즐(8)은 피청소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연장관(6) 및 연결호스(4)를 통하여 본체(2)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2) 내부 또는 후면에서는 필터링장치에 의하여 이물질은 필터링되어 일측에 모이게 되고, 정화된 공기는 모터를 경유하면서 방열시킨 후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중에 다른 장소로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경우 연결호스(4)에 형성된 호스손잡이(4a)를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동할 장소가 평면 바닥이 아닌 계단이나 문턱이 있는 경우에는 본체(2)의 전방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된 본체손잡이(2b)를 잡은 다음 청소기를 들어 이동시킨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방의 모서리 등 구석진 곳으로 옮기기 위하여 또한 상기 본체손잡이(2b)를 이용하여 청소기를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본체(2)의 상면 후방에는 전원스위치(S)와 코드릴버튼(C)이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S)는 외부 전원이 본체(2)에 내장된 팬모터에 공급되도록 온오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코드릴버튼(C)은 본체(2) 내부의 코드릴(도시되지 않음)에서 풀어진 전선(L)을 되감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원스위치(S)와 코드릴버튼(C) 사이에는 배기부(3)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부(3)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배기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배기카바(3a)가 설치되며, 상기 배기카바(3a)의 내측에는 배기필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따라서 본체(2) 내부의 팬모터를 통과한 오염된 먼지는 진공청소기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배기필터에서 최종적으로 걸러진후, 상기 배기공을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기부(3)는 전원스위치(S)와 코드릴버튼(C)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부(3)의 크기가 충분치 않아 공기가 쉽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협소한 크기의 배기부(3)로 공기가 배출되면, 흡입노즐에서의 흡입력이 떨어져 청소기의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청소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청소시간이 길어지면, 그만큼 전력소비가 늘어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기필터가 본체의 상면 후단을 따라 장착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필터안착부에 안착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배기필터와; 상기 배기필터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필터가 필터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카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기필터 및 배기카바는, 상기 본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버튼과, 풀어진 전선을 되감는 코드릴을 동작시키는 코드릴버튼의 후방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필터 및 배기카바는, 상기 본체의 상면 최후단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카바는, 카바체결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바체결장치는, 상기 배기카바의 선단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선단체결수단과; 상기 배기카바의 후단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후단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단체결수단은, 상기 배기카바의 선단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착홈과 장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단체결수단은, 상기 배기카바의 후단에 형성되는 잠금레버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차단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기카바에는 상기 배기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그릴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릴부는 상기 배기카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기구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에 의하면, 본체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기필터 장착구조가 적용된 진공청소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청소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도 2에서 배기필터와 배기카바를 제거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대형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강력한 흡입력을 가지는 본체(100)와, 청소면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노즐(200)과, 상기 흡입노즐(200)의 일단에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관(300), 그리고 상기 연장관(300)의 일단과 상기 본체(100)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호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200)에는 실내의 바닥 등을 청소할 경우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소형의 롤러(도시되지 않음) 등이 설치되기도 하며, 저면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공기흡입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관(300)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4)를 손으로 잡고 서서 청소작업을 할 경우, 사용자의 키높이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호스(4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본체(100)의 호스결합부(124)에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호스(400)의 일단에는 본체결합부(40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40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04)는 상기 흡입노즐(200)을 원하는 위치로 옮기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부는 바디베이스(110)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바디베이스(110)의 상면 전반부에는 청소면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집진되는 집진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러한 집진실에는 이물이 모이는 집진봉투 등과 같은 필터링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된다.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전방 선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본체손잡이(11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손잡이(112)는 상기 본체(100)를 장거리 이동시키거나, 상기 본체(100)를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후단부에는 한쌍의 이동바퀴(114)가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본체(100)의 하면이 바닥면을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전반부 중앙 하면에는 회전가능한 회전바퀴가 구비되어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상측에는 필터카바(120)가 형성되며, 이러한 필터카바(120)의 후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컨트롤카바(180)에 후단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카바(120)는 그 선단부가 상하로 유동하면서 상기 집진실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필터카바(120)의 선단부에는 카바버튼(122)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선단부 상면에는 이러한 카바버튼(122)이 걸어져 고정되는 버튼걸이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즉, 상기 카바버튼(122)을 누르면 상기 카바버튼(122)이 버튼걸이부에서 빠져나와, 필터카바(120)가 열리게 된다.
상기 필터카바(120)의 상면 대략 선단부 중앙부분에는 상기 연결호스(400)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호스결합부(1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호스결합부(124)는 상기 연결호스(400)의 일단에 형성되는 본체결합부(402)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호스결합부(124)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카바(120)를 상하로 관통하는 공기흡입공(126)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호스(4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흡입공(126)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카바(1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함몰된 홈으로 구성되는 악세사리수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수납부(130)에는 브러시흡입구(132)나 칼형흡입구(134) 등과 같은 소형 흡입구와, 먼지의 집진량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36)가 안착되고, 악세사리수납부(130)의 상측에는 악세사리수납부(130)의 상면을 복개하는 악세사리카바(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집진실의 후방에는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의 부품이 내장되고, 이러한 다수의 부품은 바디카바(160)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바디카바(160)의 좌우측에는 스위치버튼(S)과 코드릴버튼(C)이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바디카바(160)의 우측에는 상기 본체(100)로 유입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버튼(S)이 설치되고, 좌측에는 파워코드(L)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릴버튼(C)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버튼 하방에는 압축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되어 상기 버튼의 상하유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카바(160)의 상면 후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위치버튼(S) 및 코드릴버튼(C)의 후방에는 배기필터 장착구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기필터 장착구조는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배기필터(170)와, 이러한 배기필터(170)가 안착되는 필터안착부(172)와, 상기 필터안착부(172)의 상측에 구비되어 배기필터(17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는 배기카바(17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카바(174)는 아래에서 설명할 카바체결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체결된다.
상기 바디카바(160)의 상면에는 상기 배기필터(170)가 안착되는 필터안착부(172)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안착부(172)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공기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관통공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기카바(174)는 상기 필터안착부(17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필터안착부(172)의 상측을 감싸는 것으로, 이러한 배기카바(174)의 상면에는 배기그릴부(17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기그릴부(174')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기공(17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배기카바(174)의 선단에는 장착돌기(174a)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174a)는 아래에서 설명할 콘트롤카바(180)에 형성되는 장착홈(184)에 삽입되어 상기 배기카바(174)의 선단부가 상기 본체(100)에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기카바(174)의 배면에는 잠금레버(175)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레버(175)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잠금돌기(175')가 더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필터안착부(172)의 후단에는 상기 잠금돌기(175')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상방차단턱(172a)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상방차단턱(172a)은 상기 필터안착부(172)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상방차단턱(172a)의 하측에 상기 잠금돌기(175')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배기카바(174)의 상방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안착부(172)의 후방 즉, 상기 바디카바(160)의 상면 후단부에는 후방차단턱(172b)이 더 형성된다. 상기 후방차단턱(172b)은 상기 바디카바(16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후방차단턱(172b)으로 인해 상기 배기카바(174)의 배면 하단이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카바(174)는 상기 후방차단턱(172b)에 의해 후방으로의 탈거가 방지되며, 상기 후방차단턱(172b)의 상단부는 상기 배기카바(174)의 배면 후단부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상방차단턱(172a)과 후방차단턱(172b)에 의해 상기 배기카바(174)의 후단부가 상기 바디카바(16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바디카바(160)의 상면 중앙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위치버튼(S)과 코드릴버튼(C)의 사이에는 콘트롤카바(180)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카바(180)의 상면은 상기 악세사리카바(140)의 상면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콘트롤카바(180)에는 진공청소기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182)이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카바(180)의 배면에는, 상기 배기카바(174)에 형성되는 장착돌기(174a)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홈(18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84)은 상기 콘트롤카바(180)의 배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장착돌기(174a)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수량으로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디카바(160)의 배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노즐체(200)가 걸어져 고정될 수 있는 노즐걸이부(190)와, 상기 본체(100)를 상기 본체손잡이(112)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딩지지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배기필터 장착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배기필터 장착구조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파워코드(L)를 통한 전원의 인가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흡입력이 생성되어 상기 흡입노즐(20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흡입노즐(20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때에는 실내 바닥면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함께 흡입되며, 이러한 이물질을 함유한 공기는 상기 연장관(300) 및 연결호스(400)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집진실(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집진봉투(도시되지 않음)에 집진된다.
상기 집진실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바디카바(1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경유하면서 모터의 열을 방열시킨 후 상기 배기카바(174)의 배기그릴부(174')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상기 모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바디카바(160)의 필터안착부(172)에 형성된 공기관통공을 통해 상방으로 토출되면서 상기 배기필터(170)에서 최종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를 통해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정화되어 다시 실내공간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는,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이 집진된 다음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기필터가 본체 상면 최후단을 따라 형성됨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배기필터와 배기카바가 종래의 스위치버튼과 코드릴버튼 사이로부터 벗어나, 본체의 최후단을 따라 형성되므로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되는 공기의 양이 많으면 흡입하는 공기의 양도 많아지므로 흡입력이 강해지게 되어, 보다 많은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강한 흡입력으로 인해 청소가 수월해지며, 청소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어, 결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하는 이점으로 이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필터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4은 도 3에서 배기카바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바디베이스
112: 본체손잡이 120: 필터카바
122: 카바버튼 124: 호스결합부
126: 공기흡입공 130: 악세사리수납부
136: 인디케이트 140: 악세사리카바
160: 바디카바 170: 배기필터 172: 필터안착부 174: 배기카바 174': 배기그릴부 174": 배기공 174a: 장착돌기 175: 잠금레버 175': 잠금돌기 180: 컨트롤카바 182: 조작버튼 184: 장착홈

Claims (8)

  1.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필터안착부에 안착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배기필터와;
    상기 배기필터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필터가 필터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카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기필터 및 배기카바는, 상기 본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버튼과, 풀어진 전선을 되감는 코드릴을 동작시키는 코드릴버튼의 후방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필터 및 배기카바는, 상기 본체의 상면 최후단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카바는, 카바체결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바체결장치는,
    상기 배기카바의 선단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선단체결수단과,
    상기 배기카바의 후단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후단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체결수단은,
    상기 배기카바의 선단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장착홈과 장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체결수단은,
    상기 배기카바의 후단에 형성되는 잠금레버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차단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카바에는 상기 배기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그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배기카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KR1020030090131A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KR10058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131A KR100587095B1 (ko)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131A KR100587095B1 (ko)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914A true KR20050057914A (ko) 2005-06-16
KR100587095B1 KR100587095B1 (ko) 2006-06-07

Family

ID=3725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131A KR100587095B1 (ko)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0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095B1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8764B2 (en) Mode control arrangement for a floor care appliance
KR10093413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389289B1 (ko) 진공청소기
US20070251050A1 (en) Dirt collecting system for a floor care appliance
KR100474083B1 (ko) 다용도 진공청소기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6363571B1 (en) Convertible upright vacuum
US20070245514A1 (en) Vacuum Cleaner Filter
KR20060068792A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KR20050091834A (ko) 진공청소기
KR20060117002A (ko) 진공청소기
KR101093887B1 (ko) 진공청소기
KR100587095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JP2003111695A (ja) 電気掃除機
KR20060128098A (ko) 진공청소기의 복합노즐
KR200331794Y1 (ko) 투웨이 방식의 청소기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548932B1 (ko)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JP3726734B2 (ja) 電気掃除機
KR20060034401A (ko) 진공청소기의 핸들
KR20050036350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KR1009327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42571A (ko) 진공청소기의 버튼
KR200364056Y1 (ko) 진공청소기
KR20050057908A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