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801A -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801A
KR20050057801A KR1020030089992A KR20030089992A KR20050057801A KR 20050057801 A KR20050057801 A KR 20050057801A KR 1020030089992 A KR1020030089992 A KR 1020030089992A KR 20030089992 A KR20030089992 A KR 20030089992A KR 20050057801 A KR20050057801 A KR 2005005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ccessory
vacuum cleaner
color
accesso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7801A/ko
Publication of KR2005005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8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칼형흡입구와 같은 다수개의 액세서리가 수납되는 액세서리수납부를 복개하는 액세서리카바가 2중으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는, 본체(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액세서리수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수납부에 수납되는 액세서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액세서리 카바본체(26)와;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26)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26)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색상카바(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진공청소기가 보다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제품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 Dual accessory cover in vacuum cleaner }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칼형흡입구와 같은 다수개의 액세서리가 수납되는 액세서리수납부를 복개하는 액세서리카바가 2중으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2)와,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와 흡입노즐(4) 사이에는, 상기 본체(2)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연결호스(6)와, 상기 연결호스(6)와 연결되고 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장관(8)이 더 구비되어 진공청소기를 구성한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내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장치(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하측에는 한쌍의 바퀴(2a)가 설치되어, 청소기 본체(2)를 원하는 부분으로 끌고갈 수 있도록 한다.
청소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흡입노즐(4)은 청소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흡입된 이물질 및 공기는 연장관(8) 및 연결호스(6)를 통하여 본체(2)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본체(2) 내부의 필터링장치에 의하여 이물질은 필터링되어 일측에 모이게 되고,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는 내부의 모터를 방열시킨 후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사용중인 진공청소기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경우 연결호스(6)에 형성된 호스손잡이(6a)를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동할 장소가 평면 바닥이 아닌 계단이나 문턱이 있는 경우에는 본체(2)에 형성된 본체손잡이(2b)를 세운 후 청소기를 들어 이동시킨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방의 모서리 등 구석진 곳으로 옮기기 위하여 상기 본체손잡이(2b)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2)의 상면에는 액세서리카바(2')가 설치되어, 상측 외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액세서리카바(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하방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액세서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2) 외관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진공청소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2)의 외관이 액세서리카바(2')에 의해 형성되면, 상기 액세서리카바(2')는 단색으로 형성되어 있어 진공청소기의 외관에 대한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카바(2')를 2가지 이상의 색으로 제작하고자 하면, 많은 제작비가 드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가지 색상으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액세서리카바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2가지 색상의 액세서리카바를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는,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액세서리수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수납부에 수납되는 액세서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액세서리 카바본체와;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색상카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색상카바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조립홈과; 상기 색상카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에 삽입 고정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홈 및 조립돌기는 다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색상카바의 테두리를 둘러서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색상카바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의 양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트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인디케이트표시창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디케이트표시창은, 상기 색상카바를 관통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에 의하면, 색상카바가 액세서리 카바본체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외관 색상이 2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진공청소기의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색상카바가 적용된 상태의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색상카바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먼저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측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바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본체의 전방 상부에 부착되는 바디카바(22)와, 상기 바디카바(22)의 하부에서 집진공간과 그 외의 다수개의 내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바디베이스(24)와, 상기 바디카바(22)의 상면에 형성되는 액세서리장착부를 복개하는 액세서리 카바본체(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26)의 후방에는 필터와 모터를 거쳐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필터를 고정시키는 필터카바(도시되지 않음)와, 스위치버튼(S), 그리고 코드릴버튼(C)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버튼(S)은 본체(2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코드릴버튼(C)은 풀어진 파워코드를 감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본체손잡이(2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손잡이(20')는 본체(20)를 비교적 먼거리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본체손잡이(20')를 잡고 본체(2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바퀴(30)는 본체 후방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퀴(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 측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도록 설계되는데 이것은 청소기가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청소기가 문턱을 넘어야 하는 경우에는 바퀴(30)의 지름이 큰 경우 더욱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바퀴(30)는, 일반적인 사출성형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바닥과 밀착되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사출성형된 바퀴의 원주면을 고무재질로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20)에는,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연결호스(41)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호스(41)는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호스(41)가 유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사용자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노즐을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이다.
상기 연결호스(41)의 단부에는 호스손잡이(41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호스손잡이(41a)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노즐(45)을 원하는 위치로 옮기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호스손잡이(41a)를 잡고 옮기면, 그 하방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노즐(45)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호스손잡이(41a)에는 조작버튼(B)이 더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B)은 상기 본체(20) 내부에 설치되는 팬모터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기 조작버튼(B)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강약으로 세기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호스(41)의 하단에는 연장관(43)이 연결된다. 상기 연장관(43)은 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연장관(43)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호스손잡이(41a)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장관(43)의 단부에는, 공기와 바닥면의 이물질을 동시에 흡입하는 흡입노즐(45)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노즐(45)의 하면에는 내부와 관통하는 흡입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바닥면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노즐(45)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45)의 하면에는, 상기 흡입노즐(45)이 청소면을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호스(41)와 연장관(43) 그리고 흡입노즐(45)로 구성되면, 바닥의 이물질은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데, 이때 흡입되는 경로는 흡입노즐(45), 연장관(43), 연결호스(41)를 순차적으로 거쳐 본체(20)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20)의 악세사리카바본체(26)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색상카바(50)가 안착되는 카바안착홈(26a)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카바안착홈(26a)의 대략 중심부분 하방에는 본체(20)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의 양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트(I)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디케이트(I)는 일반적으로 초록색과 붉은색의 바(Bar)가 소정공간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아래에서 설명할 색상카바(50)의 인디케이트표시창을 통해 외부로 드러난다. 즉 상기 인디케이트(I)는 집진된 이물질의 양이 일정 이하면 초록색 바가 외부로 드러나고, 먼지봉투와 같은 집진공간에 많은 양의 이물질이 집진되면, 붉은색 바가 외부로 드러나 먼지봉투를 교체해야할 시기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카바안착홈(26a)의 테두리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색상카바(50)의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홀(26b)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홀(26b)은 상기 악세사리 카바본체(26)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색상카바(50)의 조립돌기에 따라 요홈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조립홀(26b)은 상기 카바안착홈(26b)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 형성된 상태이며, 아래에서 설명할 색상카바(50)의 조립돌기의 갯수와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카바안착홈(26b)에는 색상카바(50)가 체결된다. 상기 색상카바(50)는 상기 카바안착홈(26b)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테두리에는 하방으로 소정크기 돌출된 가이드리브(52)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52)는 상기 색상카바(50)가 카바안착홈(26b)에 체결되었을때, 상기 색상카바(50)의 상면이 액세서리 카바본체(26) 상면과 대응되도록 함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리브(52)는 상기 카바안착홈(26b)의 깊이와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색상카바(50)의 가이드리브(52)에는 조립돌기(54)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돌기(54)는 가이드리브(52)의 하면을 따라 다수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립홀(26b)의 위치 및 갯수와 대응된다. 상기 조립돌기(54)는 상기 색상카바(50)가 카바안착홈(26b)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역할을 위해 상기 조립돌기(54)의 하단에는 걸림단(54a)이 더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색상카바(50)는 상기 조립돌기(54)의 걸림단(54a)에 의해 상기 카바안착홈(26b)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색상카바(50)의 대략 중심에는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26)의 하방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트(I)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인디케이트표시창(56)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트표시창(56)을 통해 인디케이트(I)의 상태가 외부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색상카바(50)는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26)와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색상카바(50)에 의해 액세서리 카바본체(26)가 2가지 색상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26)가 단색이 아닌 복수색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서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26)가 2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지려면, 제작과정이 복잡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상기 색상카바(50)를 액세서리 카바본체(26)와 다른 색상으로 제작한 다음, 체결하면 단순한 과정으로 액세서리 카바본체(26)가 2가지 색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카바본체(26)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액세서리 카바본체(26)의 색상이 다양해 질 수 있다. 물론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가지 색상으로 쉽게 바꿀수 있다.
한편 상기 색상카바(50)가 액세서리 카바본체(26)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살펴보면, 먼저 카바안착홈(26a)과 조립홀(26b)이 각각 형성된 상태의 액세서리 카바본체(26)를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카바안착홈(26a)에 색상카바(50)를 하방으로 삽입하면, 상기 색상카바(50)의 가이드리브(52)를 따라 색상카바(50)의 테두리가 카바안착홈(26a)에 밀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리브(52)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조립돌기(54)가 상기 조립홀(26b)에 삽입된다. 또한 삽입된 조립돌기(54)에는 걸림단(54a)이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단(54a)이 조립홀(26b)의 하면에 걸어지고, 결국 삽입된 조립돌기(54)는 조립홀(26b)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26)의 카바안착홈(26a)에 색상카바(50)가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된 색상카바(50)에는 인디케이트표시창(56)이 천공 형성되어 있어, 그 하방에 구비된 인디케이트(I)의 상태가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는, 액세서리수납부를 복개하는 액세서리 카바본체에 다른 색상을 가진 색상카바가 체결됨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기존의 액세서리카바가 단색으로 이루어진 것에 반해, 본 발명의 색상카바가 설치되면, 액세서리카바구조가 2가지 색상을 가질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되면, 진공청소기가 보다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제품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색상카바를 교체하면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액세서리카바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액세서리카바 전체가 아닌 색상카바만 바꾸는 것에 의해 색상변경이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다.
상기와 같이 액세서리카바와 다른 색상을 가진 색상카바가 체결되면, 제품을 구매자의 구매욕을 높일 수 있는 이점도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2중 액세서리카바가 적용된 상태의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색상카바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본체 22: 바디카바
24: 바디베이스 26: 액세서리카바본체
26a: 카바안착홈 26b: 조립홀
30: 바퀴 50: 색상카바
52: 가이드리브 54: 조립돌기
54a: 걸림단 56: 인디케이트표시창

Claims (7)

  1.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액세서리수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수납부에 수납되는 액세서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액세서리 카바본체와;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색상카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카바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액세서리 카바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조립홀과;
    상기 색상카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홈에 삽입 고정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 및 조립돌기는 다수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색상카바의 테두리를 둘러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카바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집진된 이물질의 양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트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는 인디케이트표시창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트표시창은, 상기 색상카바를 관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KR1020030089992A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KR20050057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992A KR20050057801A (ko)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992A KR20050057801A (ko)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801A true KR20050057801A (ko) 2005-06-16

Family

ID=3725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992A KR20050057801A (ko) 2003-12-11 2003-12-11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78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101264A4 (en) Vacuum cleaner
KR10093413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377056Y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JP2009504309A (ja) キャニスタ型に転換可能な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KR20060068792A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CA2289808A1 (en) Battery power combination vacuum cleaner
KR20060130259A (ko) 원형의 진공청소기 핸들
KR20050057801A (ko) 진공청소기의 2중 액세서리카바구조
AU777603B2 (en) Accessary tool moun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060128098A (ko) 진공청소기의 복합노즐
KR200344840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고정구조
JP4753861B2 (ja) 縦型電気掃除機
KR200344844Y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장착구조
KR200364056Y1 (ko) 진공청소기
KR100587095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KR100548932B1 (ko)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KR200354037Y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50043062A (ko) 진공청소기의 손잡이구조
KR20034043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JP6653225B2 (ja) 電気掃除機
KR2006005775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50042376A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장착구조
KR200353551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KR200353549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KR100556307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