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957A -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 Google Patents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957A
KR20050056957A KR20057002139A KR20057002139A KR20050056957A KR 20050056957 A KR20050056957 A KR 20050056957A KR 20057002139 A KR20057002139 A KR 20057002139A KR 20057002139 A KR20057002139 A KR 20057002139A KR 20050056957 A KR20050056957 A KR 20050056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touch panel
plate member
electrode plate
plast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02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99043B1 (en
Inventor
야스지 구스다
다카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05700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043B1/en
Publication of KR2005005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9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043B1/en

Links

Abstract

A touch panel with an adhesive layer, comprising the adhesive layer (9) for sticking, on the entire surface of a display (20), a touch panel body (1) having an upper electrode plate having an upper electrode (3)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an upper insulation substrate (2)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film and a lower electrode plate having a lower electrode (5)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a lower insulation substrate (4)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film and opposed to the upper electrode plate through an air layer (6) between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lower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for the adhesive layer, wherein the bending rigidity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at a room temperature is 0.3 to 40 kgf.cm2 when the width (b) of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in cross section is 12 cm.

Description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출하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 지장이 없고, 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제품의 구부러짐에 의한 기능열화가 생기지 않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roblem in the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and the external appearance inspection process before shipment, and the adhesive layer which does not cause functional deterioration due to the bending of the product during shipment or until it is mounted on the display surface after shipment. It relates to a touch panel.

종래부터 코드레스 전화기, 휴대전화기, 계산기, 서브노트 PC, PDA(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 디지털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업무용 통신기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가진 휴대형 전자기기나 PC의 모니터 등의 전면에 장착되어, 투시된 화면의 지시에 따르면서 표면을 펜이나 손가락 등으로 누름으로써 각종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it is mounted on the fron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monitor of a PC such as a cordless telephone, a mobile phone, a calculator, a subnote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digital camera, a video camera, a business communication device, etc. BACKGROUND ART A touch panel is widely used as an input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by pressing the surface with a pen, a finger, or the like while instructing a transparent screen.

터치패널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상부 절연기판(102)의 하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진 상부 전극(103)이 형성된 상부 전극판과, 투명 유리판이나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하부 절연기판(104)의 상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105)이 형성된 하부 전극판을 갖추어 터치패널 본체(101)을 구성하고서, 상부 전극판과 하부 전극판이 전극 사이에 공기층(106)을 매개로 대향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도 2 참조). 최근에는, 상기한 PC 등의 제품의 박형경량화가 중요시 되고 있고, 이에 수반해서 터치패널 자체의 박형경량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필름/유리 구성이 아닌 필름/필름 구성이 선택되는 일이 많다. 한편, 참조부호 108은 양면테이프이다.The touch panel includes an upper electrode plate formed with an upper electrode 103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on board 102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film, and a lower insulation board 104 made of a transparent glass plate or a transparent plastic film. A lower electrode plate having a lower electrode 105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form a touch panel body 101, and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lower electrode plat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an air layer 106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See FIG. 2). In recent years, thinning and weight reduction of products, such as a PC, is becoming important, and along with this, since thinning and weight reduction of a touch panel itself is requested | required, a film / film structure instead of a film / glass structure is often selected. Reference numeral 108 is a double-sided tape.

그리고, 상기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 표면에 전면적으로 접착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그 출하형태로는 다시 디스플레이에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109) 및 그 세퍼레이트 시트(110; 예컨대 두께 50㎛ 정도이고 구부러짐 강성이 0.0038 kgf·cm2 정도인 얇고 허리가 없는 PET 필름)를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uch panel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a display (not shown) and is mounted on the entire surface, the adhesive panel 109 and the separator sheet 110 (for example, 50 μm in thickness) for bonding to the display are shipped. Thin, waistless PET film with a bending strength of about 0.0038 kgf · cm 2 ).

그러나, 터치패널이 상기 필름/필름의 구성을 취한 경우, 출하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 또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touch panel takes the configuration of the film / film, various problems have occurred between the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before shipment and the appearance inspection process and until the final mounting on the display surface.

즉,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은, 전체의 두께가 얇은 것으로 되기 때문에,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다. 특히, 상부 전극판의 상부면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제조공정 중에서의 가열 등에 의해 휘어짐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져 있는 상태에서, 외관검사공정을 실행한 경우, 전극 사이의 거리가 균일하다고 하면 뉴톤링이 발생하지 않는 우량품으로 판단되지만, 터치패널의 하부 전극판이 점착층에 의해 플랫하게 디스플레이에 실장되면 전극간 거리가 불균일하게 되어 뉴톤링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또, 반대로,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져 있는 상태에서 전극간 거리가 불균일하게 되면, 뉴톤링이 발생하는 불량품으로 판단되지만, 터치패널을 디스플레이에 실장하면 전극간 거리가 균일해져 뉴톤링이 발생하지 않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이, 필름/필름 구성의 터치패널에서는 휘어짐에 기인하는 뉴톤링 등의 외관검사공정에서는 대단히 판단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in the touch panel of a film / film structure, since the whole thickness becomes thin, the whole touch panel becomes easy to bend. In particular, when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warpage tends to occur due to heating or the lik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When the external inspection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entire touch panel is ben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uniform, it is judged to be a good product that does not cause newton ring, but the lower electrode plate of the touch panel is flat on the display by the adhesive layer. When mounted, the distance between electrodes may become nonuniform, and a Newton ring may occur. On the contrary, if the distance between electrodes is non-uniform in the state where the entire touch panel is bent, it is judged to be a defective product in which Newton ring occurs.However, when the touch panel is mounted on the display, the distance between electrodes is uniform, so that the Newton ring does not occur. have. As described above, in the touch panel of the film / film configu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judge in an external inspection process such as Newton Ring due to warpage.

또, 전기검사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부 절연기판(4)과 세퍼레이트 시트(110)의 합계두께, 나아가 제품의 총두게가 얇고, 구부러짐 강성이 작아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기 쉬운 것으로 되기 때문에, 종래부터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에 사용되고 있는 카셋트 래크(cassette rack)방식의 자동검사기와 공용하는 경우 자동검사화가 곤란해진다. 즉, 카셋트 래크 최하단의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측면방향으로부터 푸셔로 밀어내어 뽑아낼 때, 또는 카셋트 래크에서 뽑아내어진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지그(jig)상에 위치결정하기 위해 측면방향으로부터 푸셔로 누를 때,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지그로부터 빠지거나 하게 된다.In the electrical inspection step, the total thickness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4 and the separate sheet 110 as well as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oduct are thin, the bending rigidity is small, and thus the touch panel is easily bent. When used with a cassette rack type automatic tester used for a touch panel of a film / glass configuration, the automatic test becomes difficult. That is, when the touch panel with the adhesive layer at the lowermost end of the cassette rack is pushed out by the pusher from the side direction, or pushed from the side direction for positioning the touch panel with the adhesive layer extracted from the cassette rack on the jig. When pressed, the adhesive layer with the adhesive layer is bent or pulled out of the jig.

또, 다른 방식의 자동 또는 반자동 전기검사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하부 절연기판(4)과 세퍼레이트 시트(110)의 합계두께가 얇고 구부러짐 강성이 작아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전기검사기의 지그상에 먼지와 같은 이물(異物)이 있으면 하부 절연기판이 이물을 따라 국부적으로 상부 절연기판측으로 돌출하는 변형이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우량품이라 하더라도,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이 접촉해서 절연불량판정으로 되거나, 또는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이 접촉하지는 않더라도 매우 접근하게 됨으로써, 펜 등으로 입력면을 덧대고 쓰면서 리니어리티(linearity: 선형성)의 검사를 하게 되면 입력부분 근방에서 입력이 되어 버려 불량판정으로 되어 버린다. 이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기검사공정을 클린룸에서 실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비용이 들고, 또 그것으로도 완전하지 못하다.In addition, in the automatic or semi-automatic electrical tester of another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total thickness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4 and the separate sheet 110 is thin, the bending rigidity is small, and the touch panel is easily bent. If there i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n the lower substrate, the lower insulation board will locally deform along the foreign material to the upper insulation board side. As a result, even in the case of a good product, the lower electrode plate and the upper electrode plat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poor insulation, or even when the lower electrode plate and the upper electrode plate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Linearity) test results in an input near the input part, resulting in a bad judgment. It is conceivable to carry out an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in a clean room to reduce these, but it is costly and not complete.

그리고, 상기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 무사히 합격을 했다고 해도, 제품 총두께가 얇고 구부러짐 강성이 작아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어떤 부하가 가해지면, 제품이 구부러지게 됨으로써 크랙이 발생하여 투명도전막 등의 기능열화를 일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Even if the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and the external inspection process are successfully passed,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oduct is small, the rigidity of the product is small, and the touch panel is easily bent, so that the product can be bent on the display surface after shipment or after shipment. If a certain load is applied to the product, the product may be bent, causing cracks to cause functional degradation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r the lik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출하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 지장이 없고, 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제품의 구부러짐에 따른 기능열화가 생기지 않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there is no problem in the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and the external appearance inspection process before shipment, and the product bends during the shipment or when it is mounted on the display surface after ship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panel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does not cause functional deterio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uch panel with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uch panel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의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점착층으로부터 벗겨낸 후 점착층을 디스플레이에 전면적으로 접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adhered to the display entirely after peeling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of the touch panel with th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adhesive layer;

도 4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panel with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panel with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상부 절연기판의 하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상부 전극이 형성된 상부 전극판과,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하부 절연기판의 상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하부 전극이 형성되고 상부 전극판과 전극 사이에 공기층을 매개로 대향 배치된 하부 전극판을 갖춘 터치패널 본체를 디스플레이에 전면적으로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 및 그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가진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에 있어서,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가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O.3 ~ 40 kgf·cm2인 투명 프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lectrode plat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composed of a transparent plastic film, and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A lower electrode compos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formed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The touch panel main body having the lower electrode plat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via an air layer between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electrode is entirely adhered to the display. In a touch panel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the transparent support plate member has a bending rigidity at room temperature of 0.3 to 40 kgf · cm 2 when the width b of the cross section is 12 cm. It is characterized by a plastic film.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가 그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1.5 ~ 8.O 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aspect, the bending support rigidity at room temperature when the separator supporting plate member is 12 cm in width (b) is 1.5 to 8.O kgf · cm 2 . It is a transparent plastic film.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1 태양 또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을, 아크릴계 점착층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심재(芯材) 및, 실리콘계 자기점착제층으로 구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3rd aspect of this invention, in the said 1st aspect or 2nd aspect, the said adhesion layer is comprised from the acryl-type adhesive layer, the core material which consist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a silicone type self-adhesive layer.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Before continuing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참조부호 1은 터치패널 본체이고, 2는 상부 절연기판, 3은 상부 절연기판(2)의 내면에 배치된 상부 전극, 4는 상부 절연기판(2)에 대향해서 배치된 하부 절연기판, 5는 하부 절연기판(4)의 내면에 배치되고 또한 상부 전극(3)과 대향하는 하부 전극, 6은 상부 전극(3)과 하부 전극(5) 사이에 개재된 공기층, 8은 상부 절연기판(2)과 하부 절연기판(4)의 주위를 서로 밀착시키는 양면테이프, 9는 하부 절연기판(4)의 외면에 배치된 점착층, 10은 점착층(9)에 배치된 세퍼레이트 시트의 기능과 지지판의 기능을 모두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각각 나타낸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1 is a touch panel body, 2 is an upper insulating substrate, 3 is an upper electrod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2, 4 is a lower insulating substrate disposed to face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2, 5 is a lower electrod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4 and is opposed to the upper electrode 3, 6 is an air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3 and the lower electrode 5, and 8 is an upper insulating substrate ( 2) a double-sided tape which closely adheres to the periphery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4, 9 is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4, and 10 is a function of the separate sheet disposed on the adhesive layer 9 and a supporting plate. Each of the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s having the function of.

여기서, 범용의 점착시트인 세퍼레이트 시트는, 접착 직전까지의 접착방지역할을 하면 족하고, 「판」에 가까운 본 발명 정도의 두께는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서, 지지기능은 전혀 갖고 있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세퍼레이트 시트와 지지기능을 가진 판모양의 본 발명의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Here, the separator sheet, which is a general-purpose adhesive sheet, is sufficient as long as it can bond to the area immediately before adhesion, and does not require the thick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lose to the "plate", and does not have any supporting function. Therefore, i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separate sheet of the prior art separate sheet and the plate-shaped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상부 절연기판(2)의 하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상부 전극(3)이 형성된 상부 전극판과,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하부 절연기판(4)의 상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하부 전극(3)이 형성되고 상부 전극판과 전극 사이에 공기층을 매개로 대향 배치된 하부 전극판을 갖춘 터치패널 본체(l)를 도 3의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9) 및 그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가진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가 그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0.3 ~ 40 kgf·cm2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다.The touch panel with an adhesive layer illustrated in FIG. 1 includes an upper electrode plate having an upper electrode 3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2 composed of a transparent plastic film, and a transparent plastic film. The lower electrode 3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4, and the touch panel body 1 having the lower electrode plate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electrode facing each other via an air layer is provided. In the touch panel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9 and its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for full adhesion to the display 20 of FIG. 3,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is the width b of its cross-section. Bending rigidity at normal temperature, when 12) is 12 cm, is a transparent plastic film of 0.3 to 40 kgf · cm 2 .

상기 터치패널 본체(1)의 상부 절연기판(2) 및 하부 절연기판(4)의 각 투명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폴리에스테르술폰 수지(PES), 폴리아릴레이트 수지(PAR), 또는 노보넨(norbornene) 수지 등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절연기판(2) 및 하부 절연기판(4)은 복층 구성이어도 좋다. 상부 절연기판(2) 및 하부 절연기판(4)의 두께는 75 ~ 200㎛ 정도로 하면 좋다. 또, 상부 절연기판(2)의 상부면에는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하드코팅층으로는, 실록산계 수지 등의 무기재료, 또는 아크릴에폭시계, 우레탄계의 열경화형 수지나 아크릴레이트계의 광경화형 수지 등의 유기재료가 있다.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 7㎛ 정도가 적당하다. 또, 상부 절연기판(2)의 상부면에는 광반사방지를 위해 난글래어(non-glare)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예컨대, 투명 절연기재나 하드코팅층을 요철(凹凸)가공하거나, 하드코팅층 중에 체질안료나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미립자를 혼합하거나 한다.As each transparent plastic film of the upper insulating board 2 and the lower insulating board 4 of the touch panel main body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ET), polycarbonate resin (PC), polyester sulfone resin (PES) ), Polyarylate resin (PAR), norbornene (norbornene) resin, such as a transparent plastic film can be used. In addition, the upper insulating board 2 and the lower insulating board 4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2 and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4 may be about 75 to 200 mu m. In addition, a hard coat lay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2. Examples of the hard coat layer include inorganic materials such as siloxane resins or organic materials such as acrylic epoxy watches, urethane thermosetting resins, and acrylate photocurable resins.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is suitably about 1 ~ 7㎛.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2 may be subjected to a non-glare treatment to prevent light reflection. For example, a transparent insulating base material and a hard coating layer are uneven | corrugated, or fine particles, such as an extender pigment, silica, and alumina, are mixed in the hard coating layer.

상부 전극(3) 및 하부 전극(5)에 이용되는 투명도전막의 재료로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안티몬, 산화아연, 산화카드뮴, 또는 ITO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나, 금, 은, 동, 주석, 니켈, 알루미늄, 또는 팔라듐과 같은 금속이 있다. 이들 투명도전막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도금법, 또는 CVD법 등이 이용된다.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used for the upper electrode 3 and the lower electrode 5 include metal oxides such as tin oxide, indium oxide, antimony oxide, zinc oxide, cadmium oxide, or ITO, gold, silver, copper, Metals such as tin, nickel, aluminum, or palladium. As the method for forming thes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a vacuum deposition method, a sputtering method, an ion plating method, a CVD method, or the like is used.

또, 상부 전극판 및 하부 전극판의 전극쪽 면에는, 버스바(bus bar)나 인회선(引回線: 둘러친 선) 등의 소정 패턴의 회로가 형성된다(도시되지 않음). 회로의 재료로는, 예컨대 금, 은, 동, 또는 니켈 등과 같은 금속 또는 카본 등과 같은 도전성을 가진 페이스트 외에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스크린인쇄, 오프셋인쇄, 그라비어인쇄, 플렉소(flexo)인쇄 등의 인쇄법, 포토레지스트법, 또는 인쇄솔 도포법 등이 있다.Moreover, the circuit of a predetermined pattern, such as a bus bar and a helical line, is formed in the electrode side of an upper electrode board and a lower electrode board (not shown). As a material of a circuit, a well-known material can be used besides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aste, such as metal, such as gold, silver, copper, or nickel, or carbon, for example. As these formation methods, there are printing methods such as screen printing, offset printing, gravure printing, flexo printing, photoresist method, or printing brush coating method.

한편, 상부 전극판과 하부 전극판은 통상적으로 상부 전극(3) 또는 하부 전극(5)의 표면에 형성된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사이가 떨어지도록 되어 있어,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상부 전극판 위로부터 누름으로써 비로소 상부 전극(3)과 하부 전극(5)이 접촉하게 되어 입력이 실행된다. 스페이서로는, 투명한 광경화형 수지를 포토프로세스(photo process)로 미세한 도트모양으로 형성하여 얻을 수가 있다. 또, 인쇄법으로 미세한 도트를 다수 형성하여 스페이서로 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의 높이는 통상적으로 2 ~ 10㎛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lower electrode plate is usually separated by a spacer (not show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3 or the lower electrode 5, the upper electrode plate with a finger or a pen, etc. By pressing from above, the upper electrode 3 and the lower electrode 5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put is performed. As the spacer, a transparent photocurable resin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fine dot shape by a photo process. In addition, many fine dots can be formed by a printing method to form a spacer. The height of the spacer is usually 2 to 10 mu m.

터치패널 본체(1)를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시키기 위한 점착층(9)으로는, 실리콘계 점착제층/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심재/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적층체로 구성되는 점착시트(뒤에 설명되는 도 5 참조)로 된 것이나, 실리콘계 점착제층만으로 된 것,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층만으로 된 것 등이 있다. 점착층(9)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20 ~ 100㎛ 정도로 하면 좋다. 또, 점착층(9)의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되는 쪽의 면에는, 그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갖게 된다. 이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점착층(9)으로부터 벗겨낸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9)을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시키도록 되어 있다.As the adhesive layer 9 for fully bonding the touch panel body 1 to the display 20, an adhesive sheet composed of a laminate of a core material / acrylic adhesive layer composed of a silicone adhesive layer / polyethylene terephthalate (described later) 5), only a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or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The thickness of the adhesion layer 9 may be made into about 20-100 micrometers normally. In addition, the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10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9 that is fully adhered to the display 20. The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10 is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9, and then the adhesive layer 9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display 2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가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0.3 ~ 40 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인 점에 있다. 이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구부러짐 강성은 인장탄성률×I(단면 2차 모멘트(cm4))로 나타내어지고,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단면이 장방형인 경우는 I(단면 2차 모멘트) = bh3/12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b는 단면의 폭(cm), h는 단면의 높이(cm)이다. 또, 상온(常溫)이라 함은 20 ~ 25℃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제로 사용하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단면의 폭(b)이 12cm가 아닌 경우에도, b = 12cm로 가정하여 상기 식에 기초해 구부러짐 강성값을 얻는 것으로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is a transparent plastic film having a bending rigidity at room temperature of 0.3 to 40 kgf · cm 2 when the width b of the cross section is 12 cm. . The bending stiffness of this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10 is expressed by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x I (cross section secondary moment (cm 4 )), and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10 is rectangular, I (cross section secondary moment) = It is represented by bh 3/12. Where b is the cross section width (cm) and h is the cross section height (cm). In addition, normal temperature means 20-25 degreeC.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width b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actually used is not 12 cm, the bending stiffness value is obtained based on the above equation on the assumption that b = 12 cm. Shall be.

여기서, 단면의 폭(b)을 12cm로 한 이유는,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O)의 구부러짐 강성을 재료의 두께와 탄성률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구부러짐 강성을 나타내는 식은,Here, the reason why the width b of the cross section is 12 cm is to express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in terms of the thickness and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The formula representing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구부러짐 강성 = 인장탄성률×bh3/12Bending stiffness, tensile modulus = × bh 3/12

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b는 단면의 폭, h는 단면의 높이(두께)이기 때문에, 식 중의 분모의 값인 12에 맞추어, b = 12cm로 고정하면, 재료의 두께와 탄성률만으로 구부러짐 강성을 나타낼 수가 있게 된다.It is represented by Here, since b is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and h is the height (thickness) of the cross section, when b = 12 cm is fixed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the denominator of 12 in the formula, bending rigidity can be exhibited only by the thickness and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또, 상온으로 한 이유는, 검사작업환경이나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박리작업환경이 상온환경이기 때문이다(한편, 환경온도에 따라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재료의 탄성률은 변화하고 구부러짐 강성값도 변화한다).The reason why the temperature is at room temperature is that the inspection work environment or the peeling work environment of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is a room temperature environment (wherein the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of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changes and the bending rigidity is chang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The value also changes).

또,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의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5 ~ 8.0 kgf·cm2이다.Moreover, the more preferable range of bending rigidity at normal temperature when the width | variety b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10 is 12 cm is 1.5-8.0 kgf * cm <2> .

구부러짐 강성이 O.3 kgf·cm2에 미치지 못하면, 종래의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과 마찬가지의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다. 또, 구부러짐 강성이 40 kgf·cm2를 넘으면,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점착층(9)으로부터 벗길 때, 터치패널 본체(1)가 크게 구부러져 투명도전막에 크랙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다.If the bending stiffness is less than 0.3 kgf · cm 2 , the same problem as in the conventional touch panel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bending stiffness exceeds 40 kgf · cm 2 , when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is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9, the touch panel main body 1 may be largely bent to cause problems such as cracking i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here is.

이들 문제를 보다 확실히 없애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인 1.5 ~ 8.0 kgf·cm2로 한다.In order to eliminate these problems more reliably, it is set as 1.5-8.0 kgf * cm <2> which is a more preferable range as mentioned above.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구부러짐 강성을 상기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출하(出荷)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서 발생하고 있던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된다.By setting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10 in the above rang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and the appearance inspection process before shipment are prevented from occurring.

즉, 전기검사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종래부터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에 사용하고 있던 카셋트 래크방식의 자동검사기와 공용하는 경우에도, 자동검사화가 쉬워진다. 즉,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측면방향으로부터 푸셔로 누를 때, 종래 기술과 같이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지그로부터 빠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That is, in the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the rigidity of the entire product is increased by using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having the bending rigidity in a specific range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assette rack method conventionally used in the touch panel of the film / glass structure Even when shared with an automatic tester, the automatic tester becomes easy. In other words, when the touch panel with the adhesive layer is pressed with the pusher from the side direction, the touch panel with the adhesive layer is not bent or pulled out of the jig as in the conventional art.

또, 다른 방식의 자동 또는 반자동 전기검사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기검사기의 지그상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있더라도 하부 절연기판이 완만하게 휘어져, 종래 기술과 같이 이물을 따라 국부적으로 상부 절연기판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절연이나 리니어리티에 대한 오판이 없어, 전기검사공정을 크린룸 밖에서 실행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ther type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lectric testers, since the stiffness of the whole product is increased by using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having a specific range of bending stiffness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n the jig of the electric tester. Even if there is this,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is bent gently, so that deformation such as protruding locally toward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along the foreign matter does not occur. As a result, there is no mistake of insulation or linearity, and the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outside the clean room.

또,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부 절연기판에 휘어짐이 발생해도 종래 기술과 같이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져 버리는 일이 없어 뉴톤링 등의 외관검사공정에 있어서도 양부 판단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tiffness of the entire product is increased by using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having a specific range of bending stiffness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touch panel is not bent as in the prior art even when the upper insulation board is bent. In the external inspection process such as Newton Ring,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erform the determination of acceptance.

또,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어떤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제품의 구부러짐에 의한 투명도전막 등의 크랙이 생기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tiffness of the whole product is increased by using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having a specific range of bending stiffness as described above, any load is applied between the time of shipment or when it is mounted on the display surface after shipment. Even if the product is not bent, cracks such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do not occur.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에 사용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아크릴로니트릴 수지(AC),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는, 최종적으로는 제거해서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PET, PC, 또는 PMMA 등과 같은 저가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의 두께는, 상기한 구부러짐 강성의 범위 내라면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used for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include polypropylene resin (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ET), polycarbonate resin (PC), acrylonitrile resin (AC), or methyl meta. Acrylate-styrene copolymer resins and the like can be used. Since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is finally removed, a low cost one such as PET, PC, or PMMA may be used. The thickness of the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10 can be freely selecte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above-described bending rigidity range.

구체적인 수치예로는, 예컨대 탄성률 2300 MPa(23460 kgf/cm3)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서, 두께 0.025 ~ 0.12cm이고, 구부러짐 강성은 약 0.37 ~ 40 kgf·cm2로 된다. 바람직한 범위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서, 두께 0.04 ~ 0.07cm이고, 구부러짐 강성은 1.5 ~ 8.0 kgf·cm2이다. 한편, 점착층(9)의 디스플레이(20)와 전면적으로 첩합(貼合)되는 면이 강고한 점착성 기능을 갖는 경우(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층(9)을 가진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예컨대 실리콘 박리층(25)이 형성된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이용한다.As a specific numerical example, for example, in a polycarbonate resin having an elastic modulus of 2300 MPa (23460 kgf / cm 3 ), the thickness is 0.025 to 0.12 cm, and the bending rigidity is about 0.37 to 40 kgf · cm 2 . The preferred range is from 0.04 to 0.07 cm in thickness, and the flexural rigidity is 1.5 to 8.0 kgf · cm 2 in polycarbonate res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rface bonded together with the display 20 of the adhesion layer 9 has a firm adhesive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acrylic adhesive layer 9 is provided), it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10 having the silicon release layer 25 formed thereon is used.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9)을 아크릴계 점착층(9a)과, 예컨대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심재(9b) 및, 실리콘계 자기 점착제층(9c)으로 구성해도 좋다. As shown in Fig. 5, the adhesive layer 9 may be composed of an acrylic adhesive layer 9a, a core material 9b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thickness of 38 μm, and a silicone self-adhesive layer 9c. good.

이와 같이 실리콘계 자기 점착제층(9c)을 사용함으로써, 터치패널 본체(1)와 디스플레이(20)의 재박리가 가능해져 유지관리가 쉬워지게 된다. 또, 박리되지 않은 아크릴계 점착층(9a)과 조합시킴으로써, 재박리면을 터치패널 본체(1)의 하부면 또는 디스플레이(20)의 상부면 중 어느 하나로 특정할 수 있게 된다.By using the silicone type self-adhesive layer 9c in this way, the touch panel main body 1 and the display 20 can be re-peeled, and maintenance becomes easy. In addition, by combining with the acrylic adhesive layer 9a not peeled off, the re-peeled surface can be specified as ei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main body 1 or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20.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의 사이즈로는 100mm×75mm, 80mm×60mm, 50mm×40mm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size of the touch panel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described above include 100 mm x 75 mm, 80 mm x 60 mm, and 50 mm x 40 mm.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두께 125㎛의 PET 필름을 하부 절연기판으로 이용해서, 그 상부면에 두께 O.02㎛의 ITO막으로 된 하부 전극을 스퍼터링으로 형성하여 하부 전극판으로 했다. 한편, 두께 200㎛의 PET 필름을 상부 절연기판으로 이용해서, 그 하부면에 두께 O.02㎛의 ITO막으로 된 상부 전극을 스퍼터링으로 형성하여 상부 전극판으로 하고, 더욱이 상부 절연기판의 상부 전극을 형성한 면과는 반대측 면에 아크릴레이트계의 광경화형 수지를 롤코터로 5㎛로 되도록 코팅해서 하드코팅층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상기의 상부 전극판과 하부 전극판에 소정 패턴의 회로를 스크린인쇄로 형성한 후, 상부 전극판과 하부 전극판을 전극 사이에 공기층을 매개로 대향 배치시키고, 양자를 주연부(周緣部)에서 두께 50㎛의 양면 테이프로 접착시켜 80mm×60mm 크기의 터치패널 본체를 얻었다.Using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25 µm as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a lower electrode made of an ITO film having a thickness of 0.02 µm wa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by sputtering to form a lower electrode plate. On the other hand, by using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0 μm as an upper insulating substrate, an upper electrode made of an ITO film having a thickness of 0.02 μm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by sputtering to form an upper electrode plate, and further, an upper electrod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urface was formed, the acrylate-based photocurable resin was coated with a roll coater to have a thickness of 5 μm, thereby forming a hard coating layer. Then, a circuit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by screen printing on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lower electrode plate, and then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lower electrode plat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via an air layer between the electrodes, and both of them are surrounded by a peripheral portion. In a section), and a double-sided tape having a thickness of 50 μm was bonded to obtain a touch panel body having a size of 80 mm × 60 mm.

두께 500㎛,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2.9 kgf·cm2인 PC 필름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로 이용해서, 그 한쪽 면에 두께 40㎛의 실리콘계 자기점착제층,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심재, 두께 20㎛의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점착층을 형성했다(예컨대 도 5 참조). 이 적층필름을 그 점착층에 의해 상기 터치패널 본체의 하부 전극판의 하부면에 전면적으로 접착시켜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로 했다.Bending stiffness at room temperature when thickness 500m and cross section width b were 12 cm A silicon-based self-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40 μm was formed on one side thereof by using a PC film having a 2.9 kgf · cm 2 rigidity as a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 A core material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thickness of 38 μm, and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were sequentially stacked to form an adhesive layer (see, eg, FIG. 5). The laminated film was adhered to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lower electrode plate of the touch panel main body with the adhesive layer to form a touch panel with an adhesive layer.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두께 50㎛,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O.0038 kgf·cm2인 PET 필름을 세퍼레이트 시트로서 이용한 것 이외는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로 했다.50㎛ thickness, other than the bending stiffness at room temperature when the width (b) of the section to 12cm for using a PET film having a O.0038 kgf · cm 2 as the separate sheet is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dhered touch I made a panel.

상기 비교예 1의 터치패널은, 세퍼레이트 시트의 구부러짐 강성이 작기 때문에, 출하 전의 전기검사공정과 외관검사공정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제품의 구부러짐에 의한 기능열화가 생겼다. 이에 대해, 상기 실험예 1의 터치패널은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의 구부러짐 강성이 크기 때문에, 비교예 1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Since the flexural rigidity of the separator sheet is small, the touch panel of Comparative Example 1 causes many problems in the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and the external appearance inspection process before shipment, and until the shipment is mounted on the display surface after shipment or after shipment.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ccurred due to the bending of the product. On the other hand, the touch panel of Experimental Example 1 did not cause the same problem as in Comparative Example 1 becaus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was large.

본 발명의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구성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Since the touch panel with an adhesion layer of this invention is comprised by the above structures, it exhibits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은,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가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0.3 ~ 40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전기검사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종래부터 필름/유리 구성의 터치패널에 사용하고 있던 카셋트 래크방식의 자동검사기와 공용하는 경우에도 자동검사화가 쉬워진다. 즉,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을 측면방향으로부터 푸셔로 누를 때, 종래 기술과 같이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이 구부러지거나 지그로부터 빠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is a transparent plastic film having a bending rigidity at room temperature of 0.3 to 40 kgf · cm 2 when the width b of the cross section is 12 cm. By using a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having a specific range of bending stiffness, the overall rigidity of the product is increased, so that the automatic inspe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when used with the cassette rack type automatic inspection machine that has been used for a touch panel of a film / glass structure. . In other words, when the touch panel with the adhesive layer is pressed with the pusher from the side direction, the touch panel with the adhesive layer is not bent or pulled out of the jig as in the conventional art.

또, 다른 방식의 자동 또는 반자동 전기검사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기검사기의 지그상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있더라도 하부 절연기판이 완만하게 휘어져, 종래 기술과 같이 이물에 따라 국부적으로 상부 절연기판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변형이 생기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절연이나 리니어리티에 대한 오판정이 없게 되어, 전기검사공정을 크린룸 밖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ther type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lectric testers, the stiffness of the whole product is increased by using a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having a specific range of bending stiffness as described above, so that even if there i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n the jig of the electric tester, The insulating substrate is bent gently, so that deformation such as protruding locally toward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according to the foreign matter does not occur as in the prior art. As a result, there is no misjudgment about insulation or linearity, and the electrical inspec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outside the clean room.

또,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부 절연기판에 휘어짐이 발생하더라도 종래 기술과 같이 터치패널 전체가 휘어져 버리는 일이 없어, 뉴톤링 등의 외관검사공정에서도 양부의 판단을 정확히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igidity of the entire product is increased by using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having a specific range of bending stiffness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pper insulation board is bent, the entire touch panel is not bent as in the prior art. Also in the external inspection process, the judgment of good and bad can be carried out correctly.

또, 상기와 같이 특정 범위의 구부러짐 강성을 가진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출하까지의 사이나, 출하 후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될 때까지의 사이에 어떤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제품의 구부러짐에 의한 투명도전막 등의 크랙이 생기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rigidity of the entire product is increased by using the separate support plate member having a specific range of bending stiffness as described above, no matter what load is applied between shipment or when it is mounted on the display surface after shipment, No cracks, such a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due to the bending of the product.

한편, 앞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그들 각각이 가진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appropriately combining any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becomes possible to exhibit the effects each of them ha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하기는 했으나,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로서는 여러 가지로 변형하거나 수정해서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ully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or modified in various ways.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ed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3)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상부 절연기판(2)의 하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상부 전극(3)이 형성된 상부 전극판과,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하부 절연기판(4)의 상부면에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는 하부 전극(5)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극판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에 공기층(6)을 매개로 대향 배치된 하부 전극판을 갖춘 터치패널 본체(1)를 디스플레이(20)에 전면적으로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9) 및 그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를 가진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에 있어서,Transparenc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2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film, and upper surface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4 composed of a transparent plastic film. The touch panel body 1 having the lower electrode 5 formed of a front film and having a lower electrode plate disposed to face the air electrode 6 between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lower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display 20. In the touch panel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9 and its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10 for bonding with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가 그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0.3 ~ 40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The separator supporting plate member 10 is a transparent plastic film having a bending rigidity at room temperature of 0.3 to 40 kgf · cm 2 when the width b of the cross section is 12 c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트 지지판부재(10)가 그 단면의 폭(b)을 12cm로 했을 때의 상온에서의 구부러짐 강성이 1.5 ~ 8.0 kgf·cm2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The adhesive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e supporting plate member 10 is a transparent plastic film having a bending rigidity at a normal temperature of 1.5 to 8.0 kgf · cm 2 when the width b of the cross section is 12 cm. Layer attached touch pane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9)을, 아크릴계 점착층(9a)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심재(9b) 및, 실리콘계 자기점착제층(9e)으로 구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층 부착 터치패널.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9)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9) is composed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9a), a core material (9b)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a silicone-based self-adhesive layer (9e). Touch panel with adhesion layer made of.
KR20057002139A 2002-09-03 2003-09-02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KR1006990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7002139A KR100699043B1 (en) 2002-09-03 2003-09-02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8202 2002-09-03
KR20057002139A KR100699043B1 (en) 2002-09-03 2003-09-02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957A true KR20050056957A (en) 2005-06-16
KR100699043B1 KR100699043B1 (en) 2007-03-23

Family

ID=3725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2139A KR100699043B1 (en) 2002-09-03 2003-09-02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04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31B1 (en) * 2008-02-08 2011-05-2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anel-type input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panel-typ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anel-type input device
KR20140139281A (en) * 2013-05-27 2014-12-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eparing method for flexible touch screen panel
KR20140139283A (en) * 2013-05-27 2014-12-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eparing method for thin film touch screen panel
KR20150077854A (en)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Bond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creen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454B1 (en) * 2008-04-07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31B1 (en) * 2008-02-08 2011-05-2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anel-type input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panel-typ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anel-type input device
US8847392B2 (en) 2008-02-08 2014-09-30 Fujitsu Component Limited Panel-typ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anel-type input device
US9710115B2 (en) 2008-02-08 2017-07-18 Fujitsu Component Limited Panel-type input device with conductive coat formed from conducting polymer
KR20140139281A (en) * 2013-05-27 2014-12-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eparing method for flexible touch screen panel
KR20140139283A (en) * 2013-05-27 2014-12-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eparing method for thin film touch screen panel
KR20150077854A (en)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Bond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creen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043B1 (en)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490B1 (en) Capacitive touch sensor integrated with window panel and ma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266712B1 (en) Removable protection panel mount structure and mounting sheet for use therein
US7161588B2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EP2518602A1 (en) Touch panel and portable device using same
JP2010032938A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70218957A1 (en) Touch Panel And Protective Panel For Display Window Of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6853704B (en) Interior rupture pressure disc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or more curved surface touch-control display modules
CN105765505A (en) Input apparatus
CN107422904B (en) Touch screen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187792A (en)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touch sensing, touch module and preparation method
JP58857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699043B1 (en)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JP4356416B2 (en) Touch panel
KR20160043965A (en) Capacitive touch panel
JP2005115729A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it
JP2004213187A (en) Touch panel with icon
CN205103796U (en) Touch sensing device
JPH06309990A (en) Touch panel for pen entry
KR20100111340A (en) Resistive touch sensor integrated with window panel
TWI275026B (en)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CN205353979U (en) Forced induction touch -control display screen and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KR20160009630A (en) Capacitive touch panel
KR20140056960A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resistance difference and touch panel with the sai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id touch panel
CN204833212U (en) Touch module
JP2004119373A (en) Touch panel with adhesive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